본문 바로가기
四書/孟子

梁惠王 <上> 第 1章

by 柳川 2020. 5. 6.

第 1章

 

孟子見梁惠王,  王曰, 「叟不遠千里而來, 亦將有以利吾國乎。」 孟子對曰, 「王何必曰利? 亦有仁義而已矣。 王曰, 『何以利吾國?』 大夫曰, 『何以利吾家?』 士庶人曰, 『何以利吾身?』 上下交征利, 而國危矣。萬乘之國弑其君者, 必千乘之家, 千乘之國弑其君者, 必百乘之家。萬取千焉, 千取百焉, 不爲不多矣, 苟爲後義而先利, 不奪不饜。未有仁而遺其親者也, 未有義而後其君者也。王亦曰仁義而已矣, 何必曰利?」

 

 

 

맹자가 양혜왕을 접견하자 양혜왕이 말했다. 

"노인께서 천리를 멀지 않다고 오셨는데, 내 나라를 이롭게 해 주시는 것이 있겠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왕께서는 하필이면 ‘이(利)’를 말씀하십니까?  단지 인의(仁義)가 있을 뿐입니다. 왕께서 '어떻게 내 나라를 이롭게 하시겠습니까?' 하시면, 대부는 '어떻게 우리 가문을 이롭게 하시겠습니까?' 할 것이고, 선비와 백성들은 '어떻게 내 자신을 이롭게 하시겠습니까?' 할 것이니, 위아래가 서로 利를 취하면 나라가 위태할 것입니다. 만승의 나라에 그 인군을 죽이는 자는 반드시 천승의 (諸侯)가문이요, 천승의 나라에 그 인군을 죽이는 자는 반드시 백승의 (大夫)가문일 것입니다. 만이 천을 취하며, 천이 백을 취함이, 많지 않음이 아니지만, 의를 뒤에 행하고 이를 먼저 행하면,  뺏지 않으면 만족하지 않을 것입니다.  어진 자가 그 어버이를 버리는 일이 있지 않으며, 의로운 자가 그 인군을 뒤에 서게 하는 일은 있지 않습니다.왕께서도 인의일 뿐임을 말씀하셔야 하는데 하필이면 이를 말씀하십니까?"

 

 

○梁惠王 魏侯罃也, 都大梁僭稱王. 諡曰惠. 史記 惠王三十五年 卑禮厚幣, 以招賢者, 而孟軻至梁.

 

○양혜왕은 위나라 제후인 영(罃)이니 대량에 도읍해서 참람하게 왕이라 일컬었으며 시호는 혜라고 한다. (사마천의)『사기』(魏世家)에 ‘혜왕이 (재위) 35년에 예를 낮추고 폐백을 두터이 해서 (써) 賢者를 초청하니 (이에) 맹자께서 양나라에 이르렀다’고 하였다.

 

☞ 孟軻는 聖賢의 이름으로 입에 올리기를 꺼려(諱 :꺼릴 휘) 옛적에는 ‘맹모’로 읽었다. 

    梁惠王은 대량의 梁, 참칭왕의 王, 시호 惠를 따서 ‘양혜왕’이라 부른 것이다. 

  

 

 

王曰, 「叟不遠千里而來, 亦將有以利吾國乎。」

 

맹자가 양혜왕을 접견하자 양혜왕이 말했다. 

"노인께서 천리를 멀지 않다고 오셨는데, 내 나라를 이롭게 해 주시는 것이 있겠습니까?"

 

 

○叟 長老之稱. 王所謂利 蓋富國彊兵之類.

 

○수(叟)는 나이가 많은 노인에 대한 칭호이다. 왕이 ‘利’를 일컬은 바는 대개 부국강병과 같은 종류를 말함이다.

 

 

[備旨]

 

○惠王溺於功利之習, 乃問孟子曰, 齒德惟叟, 寡人素所仰慕也, 今自鄒至梁不憚千里之遠而來, 亦將有富國强兵之策, 而可以利益吾國乎.

 

○(양)혜왕이 이익을 탐하는 습성에 빠져 이에 (양혜왕이) 맹자에게 “나이가 많고 덕이 크신 (오직) 노인이신대 과인이 본디 앙모하던 바이니, 이제 (그대가) 추나라로부터 양나라에 이르러 천리의 먼길을 꺼리지 않고 왔으니 (또한) 장차 (그대가) 부국강병의 책략이 있어 (가히 써) 내 나라를 이익되게 할 수 있습니까?” 라고 물었다.

 

 

孟子對曰, 「王何必曰利? 亦有仁義而已矣。

 

맹자가 대답했다. “왕께서는 하필이면 ‘이(利)’를 말씀하십니까?  단지 인의(仁義)가 있을 뿐입니다”

 

 

○仁者 心之德, 愛之理, 義者心之制, 事之宜也. 此二句 乃一章之大指, 下文乃詳言之, 後多放此.

 

○仁이라는 것은 마음의 덕이요 사랑의 이치이며, 義라는 것은 마음의 지음이며 일의 마땅함이다. 이 두 구절은 (이에) 하나의 장(양혜왕장)의 큰 가르침인데 (이에) 아래 글에 자세히 말했으니 뒤의 글에서도 이를 본받은 것이 많다.

 

 

[해설]

 

仁이 體라면 義는 用이다. (『주역』에 나오는) 하늘의 四德인 원형이정(元亨利貞)과 (공자의) 인륜의 四德인 인의예지(仁義禮智)에 비유하면, 仁은 봄이요 義는 가을에 해당된다. 봄에 씨 뿌리고 가을에 결실을 거두듯이, 사람은 仁 곧 마음의 덕과 사랑의 이치를 중심으로 삼아, 義 곧 마음을 지어서 일을 마땅하게 하는 행동을 통해 仁을 바깥으로 드러낸다.

 

 

王曰, 『何以利吾國?』 大夫曰, 『何以利吾家?』 士庶人曰, 『何以利吾身?』 上下交征利, 而國危矣。萬乘之國弑其君者, 必千乘之家, 千乘之國弑其君者, 必百乘之家。 萬取千焉, 千取百焉, 不爲不多矣, 苟爲後義而先利, 不奪不饜。

 

왕께서 '어떻게 내 나라를 이롭게 하시겠습니까?' 하시면, 대부는 '어떻게 우리 가문을 이롭게 하시겠습니까?' 할 것이고, 선비와 백성들은 '어떻게 내 자신을 이롭게 하시겠습니까?' 할 것이니, 위아래가 서로 利를 취하면 나라가 위태할 것입니다. 만승의 나라에 그 인군을 죽이는 자는 반드시 천승의 (諸侯)가문이요, 천승의 나라에 그 인군을 죽이는 자는 반드시 백승의 (大夫)가문일 것입니다. 만이 천을 취하며, 천이 백을 취함이, 많지 않음이 아니지만, 의를 뒤에 행하고 이를 먼저 행하면,  뺏지 않으면 만족하지 않을 것입니다.

 

此 言求利之害, 以明上文, 何必曰利之意也. 征 取也, 上取乎下, 下取乎上. 故 曰交征. 國危 謂將有弑奪之禍.

○乘 車數也. 萬乘之國者, 天子畿內地方千里, 出車萬乘, 千乘之家者 天子之公卿, 采地方百里, 出車千乘也. 千乘之國 諸侯之國. 百乘之家 諸侯之大夫也.

 

○이는 利를 구하는 해로움을 말해서 (써) 앞글의 ‘何必曰利’라는 뜻을 밝혔다. 정(征)은 취함이니 위에서 아래를 취하고 아래에서 위를 취하는 것이다. 이에 ‘서로 뺏는 다’고 말했다. 나라가 위태로와진다는 것은 (장차) (군주를) 시해하고 찬탈하는 화가 있음을 일컫는다.

○승(乘)은 수레의 수이다. 만승의 나라라는 것은 천자가 도읍한 안에서 사방으로 천리니 (천자가 나갈 때) 수레 만승이 나간다. 천승의 가문이라는 것은 천자의 공과 경으로 사방으로 백리를 캐먹으니(흔히 ‘采邑百里’라 한다) 수레 천승이 나간다. 천승의 나라는 제후의 나라요, 백승의 가문은 제후의 대부이다.

 

 

[해설]

 

乘 車數也 : 수레는 전쟁에 쓰는 兵車를 가리키는 바, 병거 한 대에는 甲士 병력이 3명, 보병이 72명, 보급병력이 25명 , 군마 4마리가 따른다.

 

 

○弑 下殺上也. 饜 足也, 言臣之於君, 每十分而取其一分, 亦已多矣, 若又以義爲後, 而以利爲先, 則不弑其君而盡奪之, 其心未肯以爲足也.

 

○시(弑)는 아래가 위를 죽임이오. 염(饜)은 만족함이라. 이는 신하가 인군한테 매양 십분의 일만을 취할지라도 (또한) 이미 많거늘 만약 (또) 義로써 뒷전을 삼고 利를 우선으로 삼으면 (즉) (그) 인군을 시해하여 다 빼앗지 아니하고는 그 마음이 기꺼이 (써) 만족하지 못함을 말한 것이다.

 

 

 

未有仁而遺其親者也, 未有義而後其君者也。

 

어진 자가 그 어버이를 버리는 일이 있지 않으며, 의로운 자가 그 인군을 뒤에 서게 하는 일은 있지 않습니다.

 

 

[해설]

 

맹자는 윗글에서 仁은 血肉之親 곧 그 어버이를 잘 섬기는 德이며, 義는 인군을 충성으로 섬기는 德으로 보고 있다. 이에 맹자는 仁義는 百行之本으로 仁義가 있으면 나라 다스리는 일에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임을 말하고 있다.

 

 

○此 言仁義未嘗不利, 以明上文, 亦有仁義而已之意也. 遺 猶棄也, 後 不急也. 言仁者必愛其親, 義者必急其君. 故人君躬行仁義, 而無求利之心, 則其下化之, 自親戴於己也. 

 

○이는 仁義가 (일찍이) 이롭지 아니치 않음을 말해서 (써) 앞글의 ‘亦有仁義而已’라는 뜻을 밝혔음을 말하고 있다. 유(遺)는 ‘버릴 기(棄)’와 같고 후(後)는 급하지 않음이다. 어진 자는 반드시 그 어버이를 사랑하며 의로운 자는 반드시 그 인군을 급하게(우선으로) 여김을 말한다. 이에 인군이 몸소 인의를 행하고 利를 구하는 마음이 없으면 (곧) (그) 아래 사람이 교화되어 스스로 친애(親愛)함을 몸에 지니게 된다.

 

 

王亦曰仁義而已矣, 何必曰利?

 

왕께서도 인의일 뿐임을 말씀하셔야 하는데 하필이면 이를 말씀하십니까?"

 

 

○重言之, 以結上文兩節之意.

 

○거듭 말해서 앞글 두 구절의 뜻을 맺음이라.

 

 

○此章 言仁義根於人心之固有, 天理之公也, 利心 生於物我之相形, 人欲之私也. 循天理則不求利而自無不利, 徇人欲則求利未得而害已隨之, 所謂毫釐之差, 千里之繆. 此 孟子之書所以造端託始之深意, 學者 所宜精察而明辨也.

 

○이 장은 仁義는 人心의 본래 있는 근본으로서 하늘의 마땅한 이치(天理)의 공변됨이고, 利心은 물건과 내가 서로 드러난 데서 나온 것이니 人欲의 사사로움을 말하고 있다. 천리를 따르면 (곧) 利를 구하지 않아도 스스로 이롭지 않음이 없고 인욕을 따르면 (즉) 利를 구해도 얻지 못하고 (오히려 이미) 해로움이 따르니 이른바 호리의(털끝만한) 차이가 천리까지나 어긋남을 말한다. 이는 맹자의 글에 (써한 바) 造端託始(조단탁시)의 깊은 뜻이니 배우는 자는 마땅히 정밀하게 살펴고 밝게 분별해야 함을 뜻한다. 

 

 

[해설]

 

毫釐之差, 千里之繆(호리지차 천리지류) : 처음의 작은 차이가 나중에 천리까지나 벌어진다는 뜻으로『예기』 經解 편에 나온다.

造端託始(조단탁시) : 실마리를 만들고는 그것으로써 다시 시작을 삼는다는 뜻으로 오늘날 첫페이지를 장식하다는 의미이다.

 

 

○太史公曰, 予讀孟子書, 至梁惠王問, 「何以利吾國?」 未嘗不廢書而嘆也. 曰, 嗟乎. 利誠亂之始也. 夫子罕言利, 常防其源也. 故曰放於利而行多怨. 自天子以至於庶人 好利之弊何以異哉.

 

○태사공(司馬遷)이 말하기를 “내가 맹자의 글을 읽다가 ‘양혜왕이 묻기를 어찌 (써) 내 나라를 이롭게 할꼬’ 하는 대목에 이르러서는 (일찍이) 책을 덮고는 탄식치 아니할 수 없었느니라” 하며 (또) 말하기를 “슬프도다, 利는 진실로 어지러움의 시작이로다. 공자께서 드물게 利를 말씀하신 것은 항상 그 (亂의) 근원을 막은 것이다. 이에 (공자께서) 가라사대 ‘利에 의지하여 행동하면 원망이 많다(『논어』이인편 12장)’고 하셨으니 천자로부터 (써)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利를 좋아하는 폐단이 어찌 (써) 다르겠는가?” 고 하였다.

 

 

○程子曰, 君子未嘗不欲利, 但傳以利爲心, 則有害, 有仁義則不求利而未嘗不利也. 當是之時 天下之人惟利是求 而不復知有仁義. 故 孟子 言仁義而不言利, 所以拔本塞源, 而求其弊, 此 聖賢之心也.

 

○정자 가로대 “군자가 일찍이 利를 하고자 아니치 않지만 다만 오로지 利로써 마음을 삼으면 害가 있음이요 (오직) 仁義로써 마음을 두면 利를 구하지 않아도 (일찍이) 이롭지 않음이 있지 않느니라. 당시에 천하의 사람이 오직 利만을 구함이 옳다하고 다시 인의가 있음을 아지 못하니라. 이에 맹자께서 仁義를 말씀하고 利를 말씀하지 아니한 바 (써) (亂의) 뿌리를 뽑고 근원을 막아서 그 폐단을 구제하시니 이는 聖賢의 마음이라“이라 하였다.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梁惠王 <上> 第 4章  (0) 2020.05.06
梁惠王 <上> 第 3章  (0) 2020.05.06
梁惠王 <上> 第 2章  (0) 2020.05.06
梁惠王 <上> 本文  (0) 2020.05.06
趙岐의 孟子題辭  (0) 2020.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