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 2章
孟子見梁惠王, 王立於沼上, 顧鴻鴈麋鹿曰, 「賢者亦樂此乎?」 孟子對曰, 「賢者而後 樂此, 不賢者 雖有此不樂也。詩云, 『經始靈臺, 經之營之。庶民攻之, 不日成之。 經始勿亟, 庶民子來。王在靈囿, 麀鹿攸伏。麀鹿濯濯, 白鳥鶴鶴。王在靈沼, 於牣魚躍。』 文王以民力爲臺爲沼, 而民歡樂之, 謂其臺曰靈臺, 謂其沼曰靈沼, 樂其有麋鹿魚鼈, 古之人與民偕樂故能樂也。湯誓曰, 『時日害喪, 予及女偕亡。』 民欲與之偕亡, 雖有臺池鳥獸, 豈能獨樂哉?」
맹자가 양혜왕을 보니, 왕이 연못위에 서 있다가 기러기와 사슴을 보며 말했다.
“현자(賢者)도 이러한 것들을 즐깁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현자가 된 후에 이런 것을 즐깁니다. 어질지 못한 자는 비록 이런 것을 가지고 있어도 즐기지 못합니다.
시경(詩經)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습니다.
비로소 영대를 지어 경영하였도다.
백성들이 힘을 쓰니 하루도 되지 않아 완성되었도다.
처음 시작함에 서두르지 말라 했는데 백성들이 자식처럼 왔노라.
왕이 영유에 있으니 사슴들이 부복하는데,
사슴들이 통통하고 윤기가 있으며 백조가 깨끗하고 윤이 났도다.
왕이 영소에 있을 땐 오오! 통통히 살찐 물고기들이 뛰놀았노라. <大雅/文王之什/靈臺>
문왕이 백성의 힘을 이용하여 누대를 짓고 못을 만들었으며, 백성들이 그 일을 기뻐하고 즐거워 하여 그 누대를 영대라 하고, 그 연못을 영소라 하면서, 사슴과 물고기와 자라가 있는 것을 즐거워 하였습니다. 이렇게 옛사람들은 백성들과 함께 즐겼기 때문에 이런 것을 즐길 수 있었던 것입니다.
서경(書經) 탕서편(湯誓篇)에 ‘이 태양은 언제나 없어질까. 내 너와 함께 망하리라.’ 하였는데, 백성들이 임금과 함께 망하기를 바란다면 비록 누대와 못이 있고 새와 짐승이 있다 할지라도 어떻게 혼자 즐길 수 있겠습니까?”
[해설]
양혜왕이 자기를 자랑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스스로가 어진 人君에 속하는지 알고자 어진 인군도 이러한 즐거움을 아는가 라고 물으며 맹자를 떠보고 있다.
○沼 池也. 鴻 雁之大者. 麋 鹿之大者.
○소(沼)는 연못이라. 홍(鴻)은 기러기의 큰 것이오. 미(麋)는 사슴의 큰 것이라.
[해설]
위 주자의 집주 문장은 옛날 선비들이 글을 읽을 때 文理가 트였느냐 그렇지 않았느냐와 관련해 일화가 있는 유명한 대목이다. 옛적에는 오늘날처럼 한문 문장에 토(~는 ~라, ~은 ~오 등)를 달지 않고 죽 붙여진 상태로 읽다보니 처음부터 뜻을 통하기란 쉽지 않았다. 위 주석 문장이 대표적이다.
文理가 트이지 않은 초학자가 처음에는 종일토록 ‘鴻雁之大者 麋鹿之大者, 鴻雁之大者 麋鹿之大者’를 토가 없이 되뇌면서 그 뜻을 ‘기러기 기러기 큰 자 사슴 사슴 큰 자’라고 알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문리가 트여 그 뜻을 정확히 파악하게 되면서는 점을 찍어 두거나 토를 달아 어려운 한문 문장을 쉽게 공부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孟子對曰, 「賢者而後 樂此, 不賢者 雖有此不樂也。」
맹자가 대답했다.
“현자가 된 후에 이런 것을 즐깁니다. 어질지 못한 자는 비록 이런 것을 가지고 있어도 즐기지 못합니다."
○此 一章之大指.
○이는 일 장의 큰 가르침이라.
詩云, 『經始靈臺, 經之營之。庶民攻之, 不日成之。 經始勿亟, 庶民子來。王在靈囿, 麀鹿攸伏。麀鹿濯濯, 白鳥鶴鶴。王在靈沼, 於牣魚躍。』
시경(詩經)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습니다.
비로소 영대를 지어 경영하였도다.
백성들이 힘을 쓰니 하루도 되지 않아 완성되었도다.
처음 시작함에 서두르지 말라 했는데 백성들이 자식처럼 왔노라.
왕이 영유에 있으니 사슴들이 부복하는데,
사슴들이 통통하고 윤기가 있으며 백조가 깨끗하고 윤이 났도다.
왕이 영소에 있을 땐 오오! 통통히 살찐 물고기들이 뛰놀았노라.
大雅/文王之什/靈臺
經始靈臺,經之營之。 비로소 영대를 지어 경영하였도다.
庶民攻之,不日成之。 백성들이 힘을 쓰니 하루도 되지 않아 완성되었도다.
經始勿亟,庶民子來。 처음 시작함에 서두르지 말라 했는데 백성들이 자식처럼 왔노라.
王在靈囿,麀鹿攸伏; 왕이 영유에 있으니 사슴들이 부복하는데,
麀鹿濯濯,白鳥翯翯。 사슴들이 통통하고 윤기가 있으며 백조가 깨끗하고 윤이 났도다.
王在靈沼,於牣魚躍。 왕이 영소에 있을 땐 오오! 통통히 살찐 물고기들이 뛰놀았노라.
虡業維樅,賁鼓維鏞。 쇠북걸이 설주에 판자와 걸이가 있고 큰북과 종이로다.
於論鼓鐘,於樂辟癰。 아 ! 질서있게 종을 치니, 아 ! 즐거운 벽옹에서 하도다.
於論鼓鐘,於樂辟癰。 아 ! 질서있게 종을 치는데, 아 ! 즐거운 벽옹에서 하도다.
鼉鼓逢逢,矇瞍奏公。 악어가죽으로 된 북소리가 화합하니 소경악사들이 연주하네.
翯 : 함치르르할 학/흰 깃 혹. (새가)함치르르하다(깨끗하고 반지르르 윤이나다). 희다. 깃이깨끗하고 흰모양. 물이 맑고 빛나는 모양. 학.
牣 : 찰 인. 차다. 충만하다. 살찌다. 더하다. 막다. 麀 : 암사슴 우.
虡 : 쇠북거는틀 기둥 거. 쇠북거는틀 기둥. 책상. 신령스런 짐승의 이름. 鏞 : 쇠북 용. 쇠북. 종.
業 : 널빤지. 종·북 등을 매다는 가름대나무를 덮어 씌워 장식하는 널빤지.
樅 : 전나무 종. 전나무. 성의 하나. 치다. 들쭉날쭉하다. 鼉 : 악어 타. 악어.
矇 : 첨맹과니 몽. 청맹과니. 먼눈. 소경. (눈이)어둡다. (사리에)어둡다. 어리석다. 瞍 : 소경 수(소). 소경. 어르신네. 여위다. 총명하다.
矇瞍 : 장님으로 점치는 것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
文王以民力爲臺爲沼, 而民歡樂之, 謂其臺曰靈臺, 謂其沼曰靈沼, 樂其有麋鹿魚鼈, 古之人與民偕樂故能樂也。
문왕이 백성의 힘을 이용하여 누대를 짓고 못을 만들었으며, 백성들이 그 일을 기뻐하고 즐거워 하여 그 누대를 영대라 하고, 그 연못을 영소라 하면서, 사슴과 물고기와 자라가 있는 것을 즐거워 하였습니다. 이렇게 옛사람들은 백성들과 함께 즐겼기 때문에 이런 것을 즐길 수 있었던 것입니다.
[해설]
문왕은 아들인 무왕이 은나라 폭군인 주(紂)임금을 정벌하고 周나라를 통일국가로 만들도록 기초를 닦은 聖君이다. 政事를 훌륭하게 폈기에 문왕이 정원동산과 연못을 만들고 그곳에 관망대를 세울 터를 조성하니, 백성들이 자진해서 모여들어 이를 완성시켰다고 한다. 또한 문왕에게 신령스런 덕이 있다고 하여 백성들이 정원동산과 관망대와 연못을 일컬어 영유(靈囿), 영대(靈臺)와 영소(靈沼)라 불렀다고 한다.
○此 引詩而釋之, 以明賢者而後 樂此之意. 詩大雅靈臺之篇. 經 量度也. 靈臺文王臺名也. 營 謀爲也. 攻 治也. 不日 不終日也. 亟 速也. 言文王 戒以勿亟也.
○子來 如子來趨父事也. 靈囿靈沼, 臺下有囿, 囿中有沼也. 麀牝鹿也. 伏 安其所不驚動也. 濯濯 肥澤貌, 鶴鶴 潔白貌. 於 歎美辭, 牣 滿也.
○이는 『시경』을 인용하여 해석해서 ‘(써) 어진 자가 된 이후에야 이를 즐거워한다‘는 뜻을 밝힘이라. 시(詩)는 대아 영대의 편이라. 경(經)은 헤아리고 헤아림이라. 영대(靈臺)는 문왕의 臺 이름이라. 영(營)은 꾀함이라. 공(功)은 다스림이라. 不日은 ‘날을 마치지 못함(얼마 안 가서라는 뜻)’이라. 극(亟)은 빠름이라. (이는) 문왕이 빨리 말라 함으로써 경계하심을 말함이라.
○子來는 자식이 아비 일에 와서 추창(趨蹌 : 좋아서 겅중대며 나아가는 것)하는 것과 같으니라. 영유 영소(靈囿靈沼)는 臺의 아래에 동산이 있고, 동산 가운데에 연못이 있음이라. 우(麀)는 암사슴이라. 복(伏)은 그 곳이 편안하여 놀라 움직이지 않음이라. 탁탁은 살지고 윤택한 모양이오, 학학은 깨끗하고 뽀얀 모양이라. 오는 아름다움을 찬탄하는 말이라. 인(牣)은 가득함이라.
○孟子言, 文王雖用民力, 而民反歎樂之, 旣加以美名, 而又樂其所有, 蓋有文王能愛其民故, 民樂其樂, 而文王亦得以享其樂也.
○맹자가 말하기를 “문왕이 비록 백성들의 힘(노동력)을 썼으나 백성들이 도리어 (이를) 기뻐하고 즐거워해서 이미 아름다운 이름을 더하고는 (또한) 그 있는 바를 즐거워하니라. (이는) (대개) 문왕이 능히 그 백성을 사랑함을 둔 까닭인고로 (이에) 백성이 그 즐거움을 즐거워하고, 문왕 또한 (얻어서 써) 그 즐거움을 누리니라.”하시니라.
湯誓曰, 『時日害喪, 予及女偕亡。』 民欲與之偕亡, 雖有臺池鳥獸, 豈能獨樂哉?
서경(書經) 탕서편(湯誓篇)에 ‘이 태양은 언제나 없어질까. 내 너와 함께 망하리라.’ 하였는데, 백성들이 임금과 함께 망하기를 바란다면 비록 누대와 못이 있고 새와 짐승이 있다 할지라도 어떻게 혼자 즐길 수 있겠습니까?”
[해설]
여기서 해는 하나라의 마지막 임금이자 폭군인 걸임금을 말한다. 걸이 자기 백성들이 반란을 일으키려 하는 것을 보고는 자기를 해에 비유하여 말하기를 “이 해가 언제 없어져 본적이 있느냐? 해가 만약에 없어진다면 나와 너도 모두 없어질 것이다‘라고 하였다고 한다.
이에 백성들이 걸임금의 그 말을 받아 ”저 해가 언제 없어질 것인가! 우리도 같이 없어지겠다“라고 하였다고 한다. 걸임금의 학정에 대해 백성들의 극단적인 원망과 함께 그 멸망을 촉구하는 염원까지 담겨 있다.
○此 引書而釋之, 以明不賢者 雖有此 不樂之意也. 湯書商書篇名. 時 是也. 日 指夏桀. 害 何也.
○이는 『서경』을 인용하여 해석해서 (써) 어질지 못한 자는 비록 (이러한 것들이) 있으나 즐거워하지 못하는 뜻을 밝힘이라. 탕서는『서경』의 탕서 편 이름이라. 時는 是와 같음이라. 日은 夏나라 걸임금을 가리킴이라. 갈(害)은 ‘어찌’란 뜻이오.
○桀 嘗自言吾有天下, 如天之有日,日亡吾乃亡耳. 民怨其虐故, 因其自言, 而目之曰, 此日何時亡乎. 若亡則我寧與之俱亡. 蓋欲其亡之甚也.
○걸(임금)이 일찍이 스스로 말하기를 “내가 천하를 둔 것이 하늘에 해를 둔 것과 같으니 해가 없어져야 내가 이에 없어지리라” 하니 백성이 그 虐政(잔학한 정치)을 원망한 고로, (걸임금이 앞서) 스스로 (그렇게) 말함으로 인하여, (이에 백성들이) 해를 지목하여 “이 해는 어느 때 없어지랴? 네가 없어진즉 내가(백성들) 차라리 더불어 함께 망한다”고 말하니 대개 그 망하고자 하는 바램이 심함이라. (若 : 너 약 寧 : 차라리 녕)
○孟子 引此以明君獨樂而不恤其民, 則民怨之 而不能保其樂也.
○맹자가 이를 인용하여 (써) 인군이 홀로 즐기고는 (그) 백성을 긍률히 여기지 아니하면, 백성들이 그를 원망하여 능히 그 즐거움을 보전할 수 없음을 밝혔음이라.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梁惠王 <上> 第 4章 (0) | 2020.05.06 |
---|---|
梁惠王 <上> 第 3章 (0) | 2020.05.06 |
梁惠王 <上> 第 1章 (0) | 2020.05.06 |
梁惠王 <上> 本文 (0) | 2020.05.06 |
趙岐의 孟子題辭 (0) | 2020.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