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13章
滕文公問曰, 「滕小國也。間於齊楚, 事齊乎? 事楚乎?」 孟子對曰, 「是謀非吾所能及也。無已則有一焉, 鑿斯池也, 築斯城也, 與民守之, 效死而民弗去則是可爲也。」
등문공이 물었다. “등나라는 작은 나라입니다.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있는데, 제나라를 섬겨야 합니까? 초나라를 섬겨야 합니까?”
맹자가 대답하였다.
“이 계책은 제가 언급할 수 있는 바가 아닙니다. 말을 그치게 하지 않으신다면 한 계책이 있으니, 해자(垓字)를 파며 성을 쌓고 백성과 더불어 지켜, 죽음에 이르러서도 백성이 물러나지 않는다면 이것은 해볼 수 있습니다."
○滕 國名.
○등(滕)은 나라 이름이라.
孟子對曰, 「是謀非吾所能及也。無已則有一焉, 鑿斯池也, 築斯城也, 與民守之, 效死而民弗去則是可爲也。」
맹자가 대답하였다.
“이 계책은 제가 언급할 수 있는 바가 아닙니다. 말을 그치게 하지 않으신다면 한 계책이 있으니, 해자(垓字)를 파며 성을 쌓고 백성과 더불어 지켜, 죽음에 이르러서도 백성이 물러나지 않는다면 이것은 해볼 수 있습니다."
○無己 見前篇. 一謂一說也. 效 猶致也. 國君死社稷. 故致死以守國, 至於民亦爲之死守而不去, 則非有以深得其心者, 不能也.
○此章 言有國者 當守義而愛民, 不可僥倖而苟免.
○무이(無己)는 전편에 나타남이라. 일(一)은 한가지 가설이라. 효(效)는 이르다의 뜻이라. 나라 인군이 사직에(나라를 위해서) 죽느니라. 이에 죽음으로써 나라를 지키고, 백성에 이르러서도 또한 죽음으로 지키고 떠나지 아니하니 곧 깊숙이 그 마음에서 얻어진 것이 아니면 불가능 하니라.
○이 장은 나라를 둔 자가 마땅히 義를 지키고 백성을 사랑해서 가히 요행히 구차하게 면하지 말 것을 말함이라.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梁惠王 <下> 第15章 (0) | 2020.05.06 |
---|---|
梁惠王 <下> 第14章 (0) | 2020.05.06 |
梁惠王 <下> 第12章 (0) | 2020.05.06 |
梁惠王 <下> 第11章 (0) | 2020.05.06 |
梁惠王 <下> 第10章 (0) | 2020.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