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15章
滕文公問曰, 「滕小國也。 竭力以事大國, 則不得免焉, 如之何則可?」 孟子對曰, 「昔者大王居邠, 狄人侵之, 事之以皮弊, 不得免焉, 事之以犬馬, 不得免焉, 事之以珠玉, 不得免焉。乃屬其耆老而告之曰, 『狄人之所欲者 吾土地也。吾聞之也, 君子不以其所以養人者害人。 二三子 何患乎無君。我將去之。』 去邠踰梁山, 邑于岐山之下居焉, 邠人曰, 『仁人也。不可失也。』 從之者如歸市。或曰, 『世守也。非身之所能爲也, 效死勿去。』 君請擇於斯二者。」
등문공이 물었다.
“등나라는 작은 나라입니다. 힘을 다하여 대국을 섬기더라도 화를 면치 못할 것인데 어찌하면 좋겠습니까? ”
맹자가 대답했다.
“옛날 태왕이 빈(邠)에 거처하실 때, 적나라 사람들이 침입해 왔었는데 가죽과 비단등을 예물을 바치고 그들을 섬겨도 화를 면할 수 없었으며, 개나 말등 짐승을 바치고 섬겨도 화를 면하지 못했고 주옥같은 보석을 바치고 섬겨도 화를 면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태왕은 노인들을 모아놓고 말했습니다. '적나라 사람들이 바라는 것은 내 땅입니다. 내 들은 바로는 군자는 사람을 양육하는 땅때문에 사람을 해치지는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여러분들에게 군왕이 없다는 것이 어찌 근심이 되겠습니까? 나는 이곳을 떠나겠습니다.' 그리고는 빈을 떠나 양산을 넘어 기산 아래를 도읍으로 하고 살았는데, 빈의 사람들이 '어진 사람이로다. 그를 놓칠 수 없다.' 하며 따르는 사람들이 저잣거리에 나가는 사람들처럼 많았습니다.
어떤 자가 말했습니다. '대를 이어 땅을 지켜야 한다. 자신이 지킬 수 없어 죽더라도 떠나서는 안된다.' 인군께서는 이 두 가지중에서 선택하십시오."
[해설]
맹자가 14장에서 등문공에게 등나라가 소국이라 하더라도 강대국인 제나라나 초나라를 섬겨서는 안된다고 말하였다. 이에 등문공은 약소국으로서 큰 나라에 저항해서는 나라를 보존하지 못할 것이 뻔하고, 그렇다고 요구를 다 들어주며 큰나라를 섬기더라도 결국에는 망할텐데 어찌하면 좋겠는지를 맹자에게 묻고 있다. 이에 대해 맹자는 주나라 태왕의 예를 들어 답변하고 있다.
○皮 謂虎豹麋鹿之皮也. 幣 帛也. 屬 會集也. 土地 本生物以養人, 今爭地而殺人, 是 以其所以養人者 害人也. 邑 作邑也. 歸市 人衆而爭先也.
○피(皮)는 호랑이,표범, 사슴의 가죽을 이름이라. 폐(幣)는 비단이라. 촉(屬)은 모아놓음이라. 토지는 본래 물건을 내서 (써) 사람을 기르는 것이어늘 이제 땅을 (가지고) 다투어 사람을 죽이면 이는 (그) (써) 사람 기르는 것으로써 사람을 해침이라. 읍(邑)은 도읍을 지음이라. 귀시(歸市)는 사람이 많아 앞을 다툼이라.
或曰, 「世守也。非身之所能爲也, 效死勿去。」
어떤 자가 말했습니다. '대를 이어 땅을 지켜야 한다. 자신이 지킬 수 없어 죽더라도 떠나서는 안된다.'
○又言 或謂 土地乃先人所受而世守之者, 非己所能專, 但當致死守之, 不可舍去, 此 國君 死社稷之常法. 傳所謂國滅君死之正也, 正謂此也.
○또 말하기를 혹 이르되 토지는 이에 선인이 받은 바요 세대로 지킨 것이니 자기가 전일하게(마음대로) 할 바가 아니오 다만 마땅히 죽음에 이르러서라도 지켜서 가히 버리고 떠나지를 못하니 이는 나라 인군이 사직(나라)을 위해서 죽는 떳떳한 법이라. 예로부터 내려오는 글에 이른바 나라가 망하여 인군이 죽는 것은 ’바르다‘ 하니 정히 이를 이름이라.
「君請擇於斯二者。」
인군께서는 이 두 가지중에서 선택하십시오."
[해설]
맹자가 등문공에게 땅을 내주고 떠나든지 아니면 죽음을 무릅쓰고라도 끝까지 義로써 나라를 지키든지 선택하라고 말하고 있다.
○能如大王則避之, 不能則謹守常法, 蓋遷國以圖存者權也, 守正而俟死者義也. 審己量力, 擇而處之 可也.
○楊氏曰, 孟子之於文公始告之, 以效死而已, 禮之正也. 至其甚恐 則以大王之事告之, 非得己也. 然 無大王之德而去 則民或不從而遂至於亡, 則又不若效死之爲愈. 故 又請擇於斯二者.
○又曰 孟子所論, 自世俗觀之, 則可謂無謀矣. 然 理之可爲者, 不過如此, 舍此則必爲儀秦之爲矣.
○凡事求可 功求成, 取必於智謀之末, 而不循天理之正者 非聖賢之道也.
○능히 태왕같이 하려면 피함이요, 능치 못하면 떳떳한 법을 삼가하여 지킴이니 대개 나라를 옮김으로써 존립하기를 도모하는 것은 권도(權度)요, 바름(正)을 지키고 죽음을 기다리는 것은 의로움(義)이라. 자기를 살피고 힘을 헤아려 가려서 처하는 것이 가하니라.
○양씨 말하기를 “맹자가 문공에게 처음에 고하시되 ‘죽음에 이르는 것뿐이라 ’ 하시니 (이는) 예의 바름이라. (그) 두려움이 심한 지경까지 이르면 태왕의 일로써 깨우쳐 주시니 부득이함이라. 그러나 태왕의 덕이 없으면서도 가면 백성이 혹 따르지 않아 마침내는 망함에 이르니 (곧) 이 또한 죽음에 이르기까지 버티는 것보다 낫지 못하니라. 이에 (또한) 청컨대 이 두 가지중에서 선택하라” 하시니라.
○또 가로대 맹자가 논한 바는 세속적인 입장에서 본다면 가히 무모하다고 이를 것이라. 그러나 이치로 따져 가히 할 만한 것은 이에서 벗어나지 아니하니 이를 버리면 반드시 장의(張儀)와 소진(蘇秦)의 하는 일이 되니라.
○대저 일은 가능한 것만을 구하고 공적은 이루는 것만을 구함은 필히 지모의 끝(말엽적인 것)을 취하는 것이지 천리의 바름을 따르는 것은 아니니 (이는) 성현의 도가 아니니라.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公孫丑 <上> 本文 (0) | 2020.05.06 |
---|---|
梁惠王 <下> 第16章 (0) | 2020.05.06 |
梁惠王 <下> 第14章 (0) | 2020.05.06 |
梁惠王 <下> 第13章 (0) | 2020.05.06 |
梁惠王 <下> 第12章 (0) | 2020.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