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其他

古詩十九首 - 未祥

by 柳川 2021. 2. 26.

 

고시(古詩)는 중국 고전시(古典詩)의 명칭으로 통한다. 고시(古詩)는 시대에 따른 명칭과, 시체(詩体)에 따른 명칭의 2가지의 의미를 가진다.

시대에 따른 명칭으로는 육조시대(北魏가 華北을 統一한 439년부터 隋가 중국을 재통일하는 589년까지)의 위(魏:220年 - 265年).진(晋:265년 - 420년)이전의 시를 말하고, 시체(詩体)로는 당(唐(618년-907년)에 들어 근체시(近体詩)가 성립하고부터는 근체시(近体詩)가  성립하기 이전의 시(詩)를 말한다.

여기에 소개하는 고시십구수(古詩十九首)는 漢代(기원전202년-220년)에 작시한 일련의 작자미상(作者未詳)의 오언시(五言詩)이다. 이 시들을 차례로 19수 전부를 소개한다.

 

 

 

一. 行行重行行

 

 

行行重行行、                           가고 가고 또 가고 가서,
與君生別離。                           그대와 생이별을 하였도다.

相去萬餘裏、                           서로 만 여리나 떨어져,
各在天一涯。                           각기 하늘 끝자락에 있네.

 

道路阻且長、                           길이 험하고 멀어
會面安可知。                           만날 날 어찌 기약할 수 있나.
胡馬依北風、                           북방의 말은 북풍에 기대고,

越鳥巢南枝。                           남쪽에서 온 새는 남쪽 가지에 둥지를 트네.

 

相去日已遠、                           서로 떨어져 있는 날 이미 오래니,
衣帶日已緩。                           옷과 허리띠는 날로 느슨해지네.
浮雲蔽白日、                           뜬구름  밝은 해를 가리고,
遊子不顧返。                           떠난 사람은 돌아오지 않네.

 

思君令人老、                           님 그리다 늙어만 가고,
歳月忽已晩。                           세월은 어느덧 저물었구나.
棄捐勿複道、                           버림받았다고 또 말하지 말고, 
努力加餐飯。                           밥은 꼭 챙겨드소서.

 

 

 

二. 青青河畔草

 

青青河畔草、                           물가에 풀이 싱그럽고,
鬱鬱園中柳。                           동산의 버드나무도 우거졌어요.

盈盈樓上女、                           누각위의 아름다운 여인,
皎皎當窗庸。                           화사한 모습으로 창가에 있네.

娥娥紅粉妝                           단장하는 자태도 아름다운데,

纖出素手。                           섬섬옥수 놀리네.

 

昔爲娼家女                           지난 날 창가의 여인이 되어,
今爲蕩子婦。                           지금은 탕자의 부인이 되었네.

蕩子行不歸、                           탕자는 길 떠나 돌아오지 않고,
空床難獨守。                           홀로 빈 침상 지키기 어렵다네.

 

 

 

三. 青青陵上柏

 

青青陵上柏、                           언덕위 측백나무 싱그러운데,  
磊磊澗中石。                           골짜기에는 돌이 층층이 쌓였네.

人生天地間、                           인생은 하늘과 땅 사이에,   
忽如遠行客。                           홀연히 멀리 여행 떠난 사람같도다.  

 

斗酒相娛樂、                           말 술로 서로 즐기고,  
聊厚不爲薄。                           야박하게 굴지 말고 도탑게 살지어다.  
驅車策駑馬、                           말 채찍질 하여 수레 달려,  
遊戲宛與洛。                           완과 낙양에서 즐기리라.  

 

洛中何鬱鬱、                           낙양의 거리는 어찌 복잡한가?  
冠帶自相索。                           의관속대하고 서로 찾네.  
長衢羅夾巷                           큰 거리에 좁은 길이 연이어 있고,  
王侯多第宅。                           왕과 제후의 저택도 많다.  

 

兩宮遙相望、                           두 궁이 멀리 마주하는데, 
雙闕百餘尺。                           궁의  양 누대는 높이가 100여척.  
極宴心意娛                           잦은 연회로 마음이 즐거운데,   
戚戚何所迫。                           어찌 슬픔이 닥치겠는가! 

 

駑 : 둔할 노.  둔하다. 어리석고 느린 모양. 둔하고 느린 말.

 

 

 

四. 今日良宴會

 

今日良宴會                          오늘의 훌륭한 연회, 
歡樂難具陳。                           즐거움을 말로 다 하기 어렵네. 
彈箏奮逸響、                           쟁 뜯어 소리를 일으키니,
新聲妙入神。                           새로운 가락으로 신의 경지에 들어간 듯하였다.

 

令德唱高言、                           훌륭한 덕을  소리높여 노래하니,
識曲聽其真。                           곡을 알아듣는 자 그 참뜻에 귀 기울인다.
齊心同所願,                             다같이 한마음으로 바라는 바 있어도, 
含意倶未申。                           품은 뜻은 모두 말하지 않는구나.

 

人生寄一世                           사람이 한 세상 살다 가는 것은,
奄忽若飆塵。                           홀연히 부는 회오리바람속 먼지와 같다.
何不策高足                           어찌 출세를 꾀하지 않고
先據要路津。                           앞서서 요직에 있는 연줄에 기대지 않는가.

 

無爲守貧賤、                           빈천을 지키지 말라.
轗軻長苦辛。                           어려움에 빠지면 길게 고생하리라.

 

飆 : 폭풍 표. 폭풍. 광풍. 회오리바람.  어지러워지다.       

轗 : 가기힘들 감. 가기 힘들다. 길이 험난하여 수레가 가기 힘든 모양. 뜻을 얻지 못하여 불우(不遇)한 모양.

軻 : 수레가기힘들 가. 수레가 가기 힘들다. 뜻이 바뀌어, 일이 뜻대로 진척되지 아니함의 비유. 굴대. 차축(車軸).

 

 

 

五. 西北有高樓

 

西北有高樓                           서북쪽에 높은 누각이 있어,
上與浮雲齊。                           올라가니 구름에 닿아 있네.

交疏結綺窗                           격자창에는 아름다운 비단으로 장식했고,
阿閣三重階。                           누각에 세 높은 계단이 있구나.

 

上有弦歌聲、                           위에서 현악기타며 노래하는 소리, 
音響一何悲。                           음향이 한결같이 얼마나 슬픈가!
誰能爲此曲?                           누가 이러한 곡을 지었는가?
無乃杞梁妻!                           기량식의 처가 아닐까.


清商隨風發、                           청상곡 바람타고 떠도는데,
中曲正徘徊。                           곡이 중간에 이르러서는 이리저리 맴도네.
一彈再三嘆                           한번 퉁기고 거듭 세번 탄식 하니
慷慨有餘哀。                           북받쳐 원통해 더욱 슬퍼하는구나.

 

不惜歌者苦、                           노래하는 사람 아픔은 애석해 하지 않고
但傷知音希。                           곡을 알아주는이 드물어 속상하네.
願為雙鴻鵠                           한 쌍의 홍곡이 되어,
奮翅起高飛。                           한껏 날개 떨쳐 높이 날고 싶어라.

 

 

齊杞梁妻
  

齊杞梁殖之妻也。莊公襲莒,殖戰而死。莊公歸,遇其妻,使使者弔之於路。杞梁妻曰:「今殖有罪,君何辱命焉。若令殖免於罪,則賤妾有先人之弊廬在下,妾不得與郊弔。」於是莊公乃還車詣其室,成禮然後去。杞梁之妻無子,內外皆無五屬之親。旣無所歸,乃就其夫之尸於城下而哭之,內諴動人,道路過者莫不爲之揮涕,十日,而城爲之崩。

旣葬,曰:「吾何歸矣?夫婦人必有所倚者也。父在則倚父,夫在則倚夫,子在則倚子。今吾上則無父,中則無夫,下則無子。內無所依,以見吾誠。外無所倚,以立吾節。吾豈能更二哉!亦死而已。」 遂赴淄水而死。

君子謂杞梁之妻貞而知禮。

詩云:「我心傷悲,聊與子同歸。」此之謂也。
頌曰:杞梁戰死,其妻收喪,齊莊道弔,避不敢當,哭夫於城,城爲之崩,自以無親,赴淄而薨。 <劉向 列女傳 貞順傳>

 

 

商 : 商歌 : 悲凉的歌. 商聲凄凉悲切, 故稱. 后亦以'商歌'比喩自荐求官.  [荐 : 천거할 천.]  甯戚의 故事에 나온다. 

      仲商은 가을의 한창 때 즉 음력 8월 을 말하며, 仲秋, 仲商에서 은 다음, 버금 이 아니라 가운데 을 뜻하며,  商歌(가을의

      노래), 商風(가을 바람)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을을 뜻함.  商歌는 扣角歌, 牛角歌, 飯牛歌라고도 부른다.  <劉向 列女傳 齊管妾婧>

 

知音 : 자신의 연주음악을 잘 알아주는 친구를 말함. 중국 춘추시대 초나라의 백아와 종자기의 고사가 전한다. 

      伯牙善鼓琴, 鍾子期善聽. 伯牙鼓琴, 志在高山, 鍾子期曰, 善哉. 峨峨兮若泰山. 志在流水. 鍾子期曰, 善哉. 洋洋兮若江河. 伯牙所念,

      鍾子期必得之. 子期死, 伯牙謂世再無知音, 乃破琴絶絃, 終身不復鼓.  <列子 湯文>


 

 

六. 涉江采芙蓉

 

涉江采芙蓉                           강물을 건너 연꽃을 따고 싶은데
蘭澤多芳草。                           난초있는 연못엔 향기로운 풀도 많네.
采之欲遺誰                           꽃 따다 누구에게 줄까.
所思在遠道。                           그리운 사람 먼 곳에 있도다.

 

還顧望舊鄕                           정든 고향 쪽으로 고개를 돌려보니,
長路漫浩浩。                           멀고 먼 길 아득하구나.
同心而離居                           마음은 함께인데 떨어져 지내니.
憂傷以終老。                           시름과 상심으로 마침내 늙어만 간다.   

 

 

 

 

七. 明月皎夜光

 

明月皎夜光                           8월대보름 달이 밝은데,
促織鳴東壁。                           귀뚜라미 동쪽 담에서 울고 있다.
玉衡指孟冬                           북두칠성의 다섯째별은 10월 가리키는데,
衆星何歷歷。                           별들은 어찌 반짝이는고.

 

白露沾野草                           맑은 이슬 들풀에 맺히니,
時節忽復易。                           계절이 또 바뀌는구나.
秋蟬鳴樹間、                           가을 매미 나무사이에서 우는데
玄鳥逝安適。                           제비가 어찌 돌아가지 않겠는가.


昔我同門友                           옛날 같은 문하의 벗들,
高擧振六翮。                           높은 자리에 올라 훨훨 날고 있다.
不念擕手好、                           손 잡고 놀던 좋은 시절 생각지 않고,
棄我如遺跡。                           우리를 버려 자취만 남았다.

 

南箕北有鬥、                           남쪽에는 기성, 북에는 두성이 있고,
牽牛不負軛。                           견우에 멍에를 씌우지 않았다.

良無盤石固                           진실로 반석의 견고함이 없다면,
虛名復何益。                           헛된 명성으로 또 무슨 이익이 있으리오.

 

 

翮 : 깃촉 핵/세발솥 력.  깃 촉. 깃의 아래쪽에 잇는 강경한 축(軸).   

六翮 : 날개죽지. 공중에 높이 나는 새는 여섯 개의 강한 깃털을 지니고 있다.  振六翮은 날개를 폐고 행세하고 지냄을 의미함. 

南箕北鬥 : 이 구절은 시경 소아 巷伯, 大東에 나타나는데 각각의 註에는 다음의 구절이 있다. 鬥는 斗의 本字. 南箕北鬥는 실속없이

        허명만 있는, 유명무실함을 기리킨다. 

        南箕 四星 二爲踵, 二爲舌. 其踵狹而舌廣, <巷伯>

        箕斗 二星, 以夏秋之間於南方. 北斗者 以其在箕之北也.  曰北斗  常見不隱者也.   引也.   下之二星也.  南斗 柄固指西,   

        若北斗而西柄,  則亦秋時也.   . . . . . 南箕 旣不可以簸揚糠粃,  北斗 旣不可以挹酌酒漿. <大東>

 

 

 

 

八. 冉冉孤生竹

 

冉冉孤生竹、                           외롭게 살아가는 가냘픈 대나무,
結根泰山阿。                           태산 기슭에 뿌리 내렸도다.
與君爲新婚、                           그대와 혼인하게 된 것은,
兔絲附女蘿。                           토사가 여라에게 의지한 것과 같도다.

 

菟絲生有時                           토사가 사는 것도 때가 있듯,
夫婦會有宜。                           부부가 함께 하는 것도 마땅한 시기가 있는 법.
千里遠結婚                           천리나 멀리 떨어진 사람끼리 혼인을 맺었으니,
悠悠隔山陂。                           아득히 멀고 산과 물에 가로막혔도다.

 

思君令人老                           그대 생각에 사람은 늙어가는데,
軒車來何遲。                           나 데려갈 수레 오는 것이 어찌 늦어지는가.
傷彼蕙蘭花                           혜란꽃도 마음 상했나,
含英揚光輝。                           꽃부리 머금고 광채만 발하네.

 

過時而不采、                           때가 지나도록 꺾지 않으면,
將隨秋草萎。                           가을풀로 시들어버리겠지요.
君亮執高節、                           당신이 진실로 고귀한 지조를 지킨다면,
賤妾亦何爲。                           전들 또 어쩌겠어요.

 

 

兔絲 :  새삼. 뿌리없이 칡이나 콩과 식물에 얽혀 덩굴을 맺고 사는 풀.    

女蘿 :  뿌리없이 소나무에 얽혀 사는 蔓草.  松蘿라고도 하며 신혼부부에 비유됨.

兔絲燕麥 : 베를 짤 수 없는 실과 먹지 못하는 보리라는 말로, 이름만 그럴듯하고 실속이 없음을 뜻한다.  이름만 있을 뿐 실질(實質)이

              없는 것 즉 유명무실한 것을 비유한 토사연맥은 남기북두(南箕北斗)라고도 하며 위서(魏書) 이숭전(李崇傳)에서 볼 수 있다.

              今國子雖有學官之名 而無敎授之實 何異兔絲燕麥 南箕北斗哉. <魏書 李崇列傳>

 

☞ 兎絲와 女蘿는 李白의 [古意], [白頭吟]에 사용되었다.  

 

 

 

 

九. 庭中有奇樹

 

庭中有奇樹                           뜰에 있는 진귀한 나무,

綠葉發華滋。                           푸른 잎에 꽃이 만발하였네.
攀條折其榮                           가지 잡아 꽃을 꺾어서,
將以遺所思。                           그리운 이에게 보낼꺼나.

 

馨香盈懷袖                          꽃향이 소매자락에 가득해도,
路遠莫致之。                           멀리 떨어져 보내지 못하네.
此物何足貴                           이 꽃이 아무리 귀하다 해도
但感別經時。                           다만 마음만 보낼뿐이네.

 

 

 

 

一O. 迢迢牽牛星

 

迢迢牽牛星                           견우성은 아득히 먼 곳에 있는데,
皎皎河漢女。                           은하 건너 밝게 빛나는 직녀성.
纖纖擢素手                           가냘픈 하얀 손으로 실을 뽑는데,
札札弄機杼。                           덜커덩거리며 베틀에 북을 놀린다.

 

終日不成章                           종일 베를 짜지만 한 단락도 못짜고,
泣涕零如雨。                           우는데 눈물이 비오듯 흐른다.
河漢清且淺、                           은하는 맑고 수심 또한 얕은데도
相去復幾許。                           거리가 또 얼마나 되는가.

 

盈盈一水間、                           찰랑거리는 강(은하)이 사이에 있어
脈脈不得語。                           말 한마디도 못하고 바라만 보네.

 

 

迢迢 : 멀고 먼, 아득히 먼.      皎皎 : 밝게 빛남. 음력 6월말부터 7월이 되면 하늘의 은하가 확실히 보인다는 것을 말함.
河漢 : 하늘의 강. 은하수.  札札 : 베틀이 베를 짜는 소리.  盈盈 : 단어장 추가 물이 가득 차서 찰랑찰랑한 모양
脈脈 : 끊이지 않는 모양. 꼼짝하지 않고 바라봄

 

 

 

 

一一. 回車駕言邁

 

回車駕言邁、                           수레돌려 나아가는데,
悠悠涉長道。                           가는 길은 아득히 먼데,
四顧何茫茫、                           사방을 돌아보니 한없이 넓고,
東風搖百草。                           동풍 불어와 온갖 풀을 흔든다.


所遇無故物                           만나는 것에 옛 것은 없으니,
焉得不速老。                           어찌 늙어가는 것이 빠르지 않는가. 
盛衰各有時                           성쇠가 각기 때가 있는데,
立身苦不早。                           일찍 입신하지 못해 괴롭구나.

 

奄忽隨物化、                           만물은 때마다 홀연히 변하니,
榮名以爲寶。                           영예와 명성은 보배로 삼을만 하다.

 

 

 

 

一二. 東城高且長

 

東城高且長                           동쪽 성벽은 높고 길어
逶迤自相屬。                           구불구불 이어져 있다.
回風動地起                           회오리바람은 땅을 흔들고
秋草萋已綠。                           가을 풀은 무성하고 아직 푸르다.

 

四時更變化、                           사계절이 번갈아 변하는데,
歲暮一何速。                           한 해가 저무는 것도 어찌 이리 빠른가!
晨風懷苦心                           신풍편을 읊으며 쓰라린 마음 달래고,
蟋蟀傷局促。                           실솔편을 읊으며 마음 상해 움츠린다.

 

蕩滌放情志                           내 마음 씻어내고 자유로워질지니,

何爲自結束。                           어찌 해야 스스로 마음 다잡을거나.
燕趙多佳人、                           연, 조나라에는 미인이 많은데,
美者顔如玉。                           미인의 얼굴은 옥같이 아름답다내.


被服羅裳衣、                           얇은 비단옷 입고,
當戶理淸曲。                           집에서 맑고 부드러운 곡을 연주하네.
音響一何悲                           음향이 한결같이 얼마나 슬픈지,
弦急知柱促。                           현놀림이 급한 것은 기러기발을 좁혔는가.

 

馳情整巾帶                           마음이 전해져 의장을 단정히 하고,
沈吟聊躑躅。                           깊은 한숨 내쉬며 길을 멈춘다.
思為雙飛燕                           한 쌍의 제비가 되어 날아서,
銜泥巢君屋。                           진흙 물어다가 그대 집에 보금자리 틀어볼거나.

 

 

逶 : 구불구불갈 위. 구불구불 가는 모양. 사물의 형용.     迤 : 비스듬할 이. 비스듬하다. 굽다. 구불구불하다. 

 

 

國風/秦風/晨風

 

鴥彼晨風,鬱彼北林。                저 새매 빠르게 날아 저 울창한 북쪽 숲으로 가네.

未見君子,憂心欽欽。                군자를 보지 못하니 마음이 울적하다네.

如何如何!忘我實多。                어찌할거나 어찌할거나, 나를 잊은지 참으로 오래되었도다. 

 

山有苞櫟,隰有六駮。                산에는 상수리나무 더미, 진펄에는 육박나무.

未見君子,憂心靡樂。                군자를 뵙지 못하니 마음 우울하여 즐겁지도 않네.

如何如何!忘我實多。                어찌 할거나 어찌할거나, 나를 잊은지 참으로 오래되었도다.

 

山有苞棣,隰有樹檖。                산에는 산앵두나무더미, 진펄에는 돌배나무.

未見君子,憂心如醉。                군자를 보지 못하니 마음 우울하여 술에 취한 것 같네.

如何如何!忘我實多。                어찌 할거나 어찌할거나, 나를 잊은지 참으로 오래되었도다.

 

鴥 : 빨리날 율. 빨리 날다. 빠르다. 새가 빨리 나는 모양,

櫟 : 상수리나무 력(역)/문지를 로(노)/고을이름 약. 상수리나무. 난간. 땅의 이름. 성의 하나. 치다. 때리다. 밟고 넘다. 찌르다.

駮 : 논박할 박/짐승이름 박. 논박하다. 얼룩얼룩하다. 섞이다. 순수하지 않다. 어긋나다. 치우치다. 치다. 얼룩말.

檖 : 돌배나무 수. 돌배나무. 따르다. 깊숙하다.

 

 

[참고] 扊扅歌(염이가)

 

옛날에 가야금을 타면서 부르던 노래(琴曲)로 백리해(百里奚)의 아내가 지었다고 한다. 『천자문』에 ‘假途滅虢’의 내용과 관계되는데 

晉나라의 獻公이 괵나라를 치고자 중간에 위치한 虞나라에 길을 빌리고자 했다. 백리해는 虞의 군주가 말을 듣지 않을 것을 알고 나라를 떠났는데, 秦 穆公에게 재상으로 발탁되었다. 이때 옛날에 헤어진 아내가 찾아와 “이별할 때 암탉을 삶으려고 사립문 빗장(扊扅)을 뜯어내 불을 지피더니, 이제 부귀함에 나를 잊었는가? (憶別時 烹雌鷄 炊扊扅 今日富貴 忘我爲)”라는 노래를 불렀다는 데서 ‘염이가’란 노래가 전해진다.

 

扊 : 문빗장 염. 문빗장. 문자물쇠. 처자. 아내.     

扅 : 문빗장 이. 문빗장.    扊扅 : 문빗장.

 

 

 

國風/唐風/蟋蟀

 

蟋蟀在堂,歲聿其莫。                귀뚜라미 대청에 있으니 마침내 한해가 저무네.

今我不樂,日月其除。                지금 우리 즐기지 않으면 세월만 간다네.

無已大康,職思其居。                지나친 열락은 그쳐야 하지 않는가. 단지 살림살이 생각하네.

好樂無荒,良士瞿瞿。                즐김을 좋아해도 지나치지 않아 어진 선비 돌아보네.

 

 

蟋蟀在堂,歲聿其逝。                귀뚜라미 대청에 있으니 마침내 한 해가 가네.

今我不樂,日月其邁。                지금 우리 즐기지 않으면 세월만 간다네.

無已大康,職思其外。                지나친 열락은 그쳐야 하지 않는가. 다만 밖의 일도 생각하네.

好樂無荒,良士蹶蹶。                즐김을 좋아해도 지나치지 않으니 어진 선비 바쁘다네.

 

 

蟋蟀在堂,役車其休。                귀뚜라미 대청에서 우니 짐수레도 쉬네.

今我不樂,日月其慆。                지금 우리 즐기지 않는다면 세월만 간다네.

無已大康,職思其憂。                지나친 열락은 그쳐야 하지 않는가. 다만 근심 있음을 생각하네.

好樂無荒,良士休休。                즐김을 좋아하지만 지나치지 않으니 어진 선비 느긋하네.

 

 

 

 

一三. 驅車上東門

 

驅車上東門                           수레 몰아 낙양의 상동문에 이르니
遙望郭北墓。                           멀리 성곽의 북쪽에 묘지가 보인다.
白楊何蕭蕭、                           백양나무는 어찌 쓸쓸히 서 있나,
松柏夾廣路。                           송백나무가 넓은 길을 끼고 있네.

 

​下有陳死人                           지하에는 죽은 사람들 많은데,
杳杳即長暮。                           아득히 먼 옛날부터 긴 밤이로다.

潛寐黃泉下                           황천아래에서 잠들어,
千載永不寤。                           천년이 지나도록 깨어나지 못하네.

 

浩浩陰陽移                           도도한 세월 속에 음양이 교차하는데,
年命如朝露。                           생명은 아침이슬과 같구나.
人生忽如寄                           인생은 홀연히 왔다 가노니,
壽無金石固。                           수명은 금석같이 영원한 것이 아니로다.


萬歲更相送、                           오랜 세월 이별은 반복되지만,
賢聖莫能度。                           성현이라도 헤아릴 수 없다.
服食求神仙                           선약을 먹어 오래 살기를 구해도,
多爲藥所誤。                           대부분 약은 몸을 그르친다.


不如飮美酒                           맛 좋은 술 마시며,
被服紈與素。                           신선처럼 살아볼거나.

 

 

紈 : 흰 깁(비단) 환.  흰 깁. 희고 올이 가는 生絹. 맺다. 겹치다. 포개짐. 

 

 

 

一四去者日以疏

 

去者日以疏                           떠난 사람은 날이 갈수록 멀어지고,
生者日已親。                           새로운 사람은 나날이 가까워진다.
出郭門直視                           성문을 나서서 바라보면
但見丘與墳。                           보이는 건 언덕과 묘지뿐이다.

 

古墓犁為田                           오래된 묘는 가래에 갈려 밭이 되고
松柏摧為薪。                           송백은 잘려 땔감이 되었다.
白楊多悲風                           백양나무는 쌀쌀한 바람에 맞서고,
蕭蕭愁殺人。                           소슬바람 부니 서글프고 쓸쓸하다.

 

思還故里閭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은데,
欲歸道無因。                           돌아가려 해도 갈 명분이 없네.

 

 

 

 

一五. 生年不満百

 

生年不満百、                           살아 봐야 백년을 살지 못하는데
常懐千載憂。                           항상 천년의 근심을 안고 산다.
晝短苦夜長                           낮이 짧아 긴 밤이 힘들어도,
何不秉燭遊。                           어찌 촛불들고 즐기지 않을소냐.


爲樂當及時                          때 이르렀을 때 마땅히 즐길지니,
何能待來茲。                           어찌 내년을 기다리랴.
愚者愛惜費                           어리석은 자는 쓰는 것을 아까워 하니
但爲後世嗤。                           단지 후세의 비웃음이 될 뿐이다.

 

仙人王子喬                           선인 왕자교,
難可蜿等期。                           그 같이 장수하는 것은 어렵다네.

 

 

秉燭遊 : 촛불을 들고 밤에 놀다. 경치가 좋은 곳에서 놀다가 낮에 놀던 흥이 미진해서 밤중까지 노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때 맞춰 즐기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옛사람들이 촛불을 부여잡고 밤놀이를 했다.’는 조비의 글에서 ‘병촉야유’가 유래했다.

「少壯眞當努力, 年一過往, 何可樊援. 古人思秉燭夜遊, 良有以也.」    <曹丕. 與吳質書>

 

嗤 : 웃을 치. 웃다. 비웃음. 냉소함. 웃음거리.  蜿 : 꿈틀거릴 완. 꿈틀거리다. 뱀따위가 구불거리며 가는 모양. 범이 걷는 모양. 

王子喬 : 주(周)나라 영왕(靈王, 재위 BC572∼BC545)의 태자로. 생(笙)을 잘 불어 봉황새가 따라 울었으며, 나중에는 도사를 쫓아가 신선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一六. 凜凜歲云暮

 

凜凜歲云暮、                           매서운 추위속 저물어 가고,
螻蛄夕鳴悲。                           귀뚜라미 석양에 슬프게 운다.
涼風率已厲                           서늘한 바람 갑자기 거세지는데
遊子寒無衣。                           멀리 떠난 사람 추위 막을 옷도 없다네.


錦衾遺洛浦                           비단이불 낙양에 보냈지만,
同袍與我違。                           같이 덮지는 못하네.
獨宿累長夜                           홀로 긴 밤을 보내는데,
夢想見容輝。                           꿈속에서나 그 환한 모습 만날까.


良人惟古歡                           님의 옛 모습을 생각하면 기쁜데,

枉駕惠前綏。                           수레 세우고 손잡이를 내밀었지.
願得常巧笑                           항상 애교띈 웃음 웃으며,
攜手同車歸。                           손 잡고 함께 수레타고 돌아오고싶어 했네.


旣來不須臾                           와서는 잠깐도 머무르지 않고,

又不處重闈。                           규방에 들어오지도 않았네.
亮無晨風翼                           진실로 새매의 날개도 없는데,
焉能凌風飛。                           어찌 바람타고 날아가셨단 말인가?

 

眄睞以適意                           바라보면  마음이라도 풀릴까 봐,
引領遙相睎。                           목을 늘이고 서성거리며 서로 바라보았네.
徒倚懷感傷                           홀로 문에 기대어 그리움에 마음 상해,
垂涕沾雙扉。                           흐르는 눈물에 두 삽짝문이 적시네.

 

凜 : 찰 늠. 차다. 차가움. 늠름하다. 위풍이 있는 모양. 두려워하다. 삼감.

螻 : 땅강아지 루. 땅강아지. 청개구리. 풍뎅이의 애벌레. 악취. 악취를 풍기다.    蛄 : 땅강아지 고. 땅강아지. 씽씽매미. 바구미. 

螻蛄 : 땅강아지인데 그 모습이 귀뚜라미와 비슷하여 귀뚜라미로 쓴 듯 함.  

眄 : 애꾸눈 면. 애꾸눈. 한쪽 눈으로 자세히 보다. 곁눈질하다. 보다. 돌보다. 어수룩한 모양. 소경.   

睞 : 한눈팔 래. 한눈팔다. 보다. 돌보다. 사팔눈이 되다.      睎 : 바라볼 희. 바라보다. 힐끗보다. 그리워하다. 바라다. 

 

 

 

 

一七. 孟冬寒氣至

 

孟冬寒氣至、                           10월 되니 차가운 기운이 이르는데,
北風何慘栗。                           북풍은 어찌 이리 살을 에는 듯 추운가.
愁多知夜長,                             근심이 많이 밀려오는데 밤이 긴 것을 아는가.

仰觀衆星列。                           밤하늘을 올려다 보니 별도 많구나.


三五明月滿                           보름달은 가득 차 밝지만,
四五蟾兔缺。                           이십일이 되면 달은 이지러진다.
客從遠方來                           멀리서 온 손님이,
遺我一書劄。                           나에게 한 장의 편지를 건네주었네.

 

上言長相思、                           처음은 오랫동안 그리워했다고 하는데,
下言久離別。                           끝에는 이별이 길어진다 하네.
置書懷袖中                           편지를 소매 속에 간직하고는,
三歲字不滅。                           삼년동안 한자도 잊지 않았다.

 

一心抱區區                           한결같은 마음으로 온갖 사연 안고,
懼君不識察。                           낭군이 내가 살핌을 알아주지 않을가 두렵다네.

      

 

 

 

一八. 客從遠方來

 

客從遠方來                           멀리서 온 손님이
遺我一端綺。                           나에게 비단 한 단을 건네주네.
相去萬餘里                           서로 만 여 리나 떨어져 있어도, 
故人心尙爾。                           그 마음 아직도 나에게 있다 하네.


文彩雙鴛鴦                           한 쌍의 원앙새를 수놓아,
裁爲合歡被。                           마름질하여 함께 덮는 이불을 만들었네.
著以長相思                           오랜 세월의 그리움  담아,
緣以結不解。                           시침으로 매듭을 풀지 못하게 해야지.

 

以膠投漆中                           옻 칠속에 아교로 붙여 놓으면,
誰能別離此。                           누가 이를 떼어낼 수 있을거나.

 

 

 

 

一九. 明月何皎皎

 

明月何皎皎、                           보름달이 어찌나 밝은지,
照我羅床緯。                           내 침상의 휘장까지 비추네.
憂愁不能寐、                           시름으로 잠 못 이루다,
攬衣起徘徊。                           옷자락 걷고 일어나 서성인다.

 

客行雖雲樂、                           나그네 길 여행이 즐겁다 해도,
不如早旋歸。                           빨리 돌아가는 것만 못하네.
出戶獨彷徨、                           문을 나와 홀로 방황하는데
愁思當告誰。                           시름어린 마음을 누구에게 고하랴.

 

引領還入房、                           목 늘여 방에 돌아오니,
淚下沾裳衣。                           눈물 흘러 옷을 적시네.

 

 

 

 

                                                    《古詩十九首》

 

 

                                                                       倪其心(1934~2002.  전 북경대학 중문과 교수) 

 

   梁代蕭統《文選》“雜詩”類的一個標題, 包括漢代無名氏所作的十九首五言詩. 它們不是一人一時之作, 也不是一個有機構成的組詩. 

 

   “古詩”的原意是古代人所作的詩. 約在魏末晉初, 流傳著一批魏ㆍ晉以前文人所作的五言詩, 旣無題目, 也不知作者, 其中大多是抒情詩, 具有獨特的表現手法和藝術風格, 被統稱爲“古詩”. 淸代沈德潛說: “古詩十九首, 不必一人之辭, 一時之作. 大率逐臣棄妻, 朋友闊絶, 游子他鄕, 死生新故之感. 或寓言, 或顯言, 或反覆言. 初無奇闢之思, 驚險之句, 而西京古詩, 皆在其下.”(《說詩晬語》) 晉ㆍ宋時, 這批“古詩”被奉爲五言詩的一種典範. 西晉陸機曾逐首逐句地摹仿了其中的12首. 東晉陶淵明ㆍ宋代鮑照等, 都有學習“古詩”手法ㆍ風格的《擬古詩》. 到了梁代, 劉勰《文心雕龍》ㆍ鐘嶸《詩品》更從理論上總結評論了“古詩”的藝術特點和價値, 探索了它們的作者ㆍ時代及源流, 並大體確定它們是漢代作品. 同時, 蕭統《文選》, 以及陳代徐陵《玉台新詠》又從詩歌分類上確定了“古詩”的範圍﹕凡無明確題目的作品, 有作者的稱“雜詩”, 無名氏者爲“古詩”. 因此, 梁ㆍ陳以後, “古詩”已形成一個具有特定涵義的專類名稱. 它與兩漢樂府歌辭並稱, 專指漢代無名氏所作的五言詩, 並且發展爲泛指具有“古詩”藝術特點的一種詩體. 而《古詩十九首》便在文學史上佔有“古詩”代表作的地位, 這一標題也就成爲一個專題名稱. 

 

   “古詩”作品在梁代尙存59首(《詩品ㆍ古詩》), 但今存僅30多首, 包括《古詩十九首》在內. 在梁ㆍ陳時, 對“古詩”的作者和寫作年代, 已引起疑議. 劉勰說: “《古詩》佳麗, 或稱枚叔(即枚乘); 其‘孤竹, (指“冉冉孤生竹”)一篇, 則傅毅之詞. 比采而推, 兩漢之作乎?”(《文心雕龍ㆍ明詩》) 鐘嶸說: “舊疑是建安中曹ㆍ王(指曹植ㆍ王粲)所制.”(《詩品》) 大約由於“疑莫能明”, 蕭統《文選》把所選19首詩都歸之無名氏, 然而徐陵《玉台新詠》卻又把其中的8首確定爲枚乘《雜詩》. 這樣, 在大體肯定“古詩”爲漢代作品的同時, 對於其中是否有西漢枚乘ㆍ東漢傅毅ㆍ漢末魏初曹植ㆍ王粲的作品, 究竟是兩漢産物或者都是東漢作品等問題, 衆說紛紜, 莫衷一是. 比如明人王世貞就猜測其中“雜有枚生或張衡ㆍ蔡邕作”(《藝苑卮言》). 現代學者大多擺脫了前人成見的糾纏, 主要根據《古詩十九首》在思想內容和藝術形式上具有某些共同特點, 指出它們“雖不是一個人所作, 卻是一個時代──先後不過數十年間所作”, 並論證它們應是東漢後期安ㆍ順ㆍ桓ㆍ靈帝年間, 約公元2世紀的作品(梁啓超《中國之美文及其歷史》), 取得了比較合乎實際的結論. 

 

  東漢桓帝ㆍ靈帝時, 宦官外戚勾結擅權, 官僚集團壟斷仕路, 上層士流結黨標榜, “竊選擧ㆍ監榮寵者不可勝數也, 旣獲者賢已而遂往, 羨慕者並驅而追之, 悠悠皆是, 孰能不然者乎?”(徐幹《中論ㆍ譴交》) 在這樣的形勢和風氣下, 中下層士子爲了謀求前程, 只得奔走交遊. 他們離鄕背井, 辭別父母, “親戚隔絶, 閨門分離, 無罪無辜, 而亡命是效”. 然而往往一事無成, 落得滿腹牢騷和鄕愁. 《古詩十九首》主要就是抒寫游子失志無成和思婦離別相思之情, 突出地表現了當時中下層士子的不滿不平以至玩世不恭ㆍ頹唐享樂的思想情緒, 真實地從這一側面反映出東漢後期政治混亂ㆍ敗壞ㆍ沒落的時代面貌. 

 

   抒發仕途碰壁後產生的人生苦悶和厭世情緒, 是《古詩十九首》中游子詩的共同主題思想. 這類詩普遍寫到人生寄世, 如同行客, 壽命短促, 而窮賤坎坷. 由此引出的不同處世態度, 則構成各詩的具體主題. “靑靑陵上柏”勸人安貧達觀, 知足行樂: “鬥酒相娛樂, 聊厚不爲薄; 驅車策駑馬, 遊戲宛與洛”, 不必羨慕王侯權貴窮奢極慾的生活; “今日良宴會”則反語嘲弄, 勸人鑽營要職, 攫取高官: “何不策高足, 先據要路津. 無爲守窮賤, 轗軻常苦辛”; “西北有高樓”感慨世無知音; “明月皎夜光”怨恨不講交情; “回車駕言邁”諷勸珍惜榮名; “去者日以疏”悲哀死不得歸; 而“驅車上東門”ㆍ“生年不滿百”直截了當宣揚及時享樂: “服食求神仙, 多爲藥所誤. 不如飲美酒, 被服紈與素”; “爲樂當及時, 何能待來玆”. 這些詩毫無壯志豪情, 詩中主人公們地位卑賤而熱衷功名, 羨慕富貴. 他們追求功名富貴的熱望破滅了, 變得心灰意懶, 厭世棄仕. 他們的達觀ㆍ嬉笑ㆍ哀鳴ㆍ怨憤, 甚至頹廢放蕩, 實則都是在政治上失望至於絶望的種種病態心理的表露. 

 

  《古詩十九首》中抒寫離別相思的詩, 大多是思婦閨怨, 但也有游子鄕愁. 這類詩的共同主題思想是表達離恨之苦, 希望夫妻團聚, 怨恨虛度靑春. 由於作者們取材和側重點不同, 因而諸詩各有具體主題. “行行重行行”寫一個思婦因丈夫久出不歸而思念ㆍ擔懮: “相去日已遠, 衣帶日已緩. 浮雲蔽白日, 游子不顧返. 思君令人老, 歲月忽已晚. 棄捐勿復道, 努力加餐飯”; “靑靑河畔草”寫一個娼女出身的思婦春怨: “昔爲娼家女, 今爲蕩子婦. 蕩子行不歸, 空床難獨守”; “冉冉孤生竹”寫一個新婚離別的思婦怨傷靑春蹉跎: “傷彼蕙蘭花, 含英揚光輝. 過時而不採, 將隨秋草萎. 君亮執高節, 賤妾亦何爲”; “凜凜歲雲暮”通過思婦深秋夜夢, 渲染夫妻歡會的渴望; “孟冬寒氣至”用思婦珍藏丈夫家書的細節來突出她的忠貞; “客從遠方來”描寫思婦接到丈夫來信, 充滿愛情的喜悅; “明月何皎皎”以思婦閨中望月情景, 表現她爲丈夫懮愁不安; “迢迢牽牛星”藉牛郞ㆍ織女星故事, 比喩思婦盼望丈夫的愁苦心情; 而“涉江採芙蓉”則以採芳草贈美人的習俗, 寫游子思念妻室. 這些詩, 實質上是祈求社會安定, 家室團聚, 能過正常的恩愛夫妻生活. 然而由於政治混亂, 社會不安, 這樣的願望往往難以實現, 因而這些詩都流露著濃厚的感傷情調, 蘊含著對當時社會政治的深刻不滿. 

 

  《古詩十九首》思想內容比較狹窄, 情調也比較低沉, 但藝術成就相當突出. 作者們大抵屬於中下層文士, 熟悉本階層的生活狀況和思想情緒, 具有較高的文化素養, 詩歌藝術上繼承了《詩經》ㆍ《楚辭》的傳統, 吸取了樂府民歌的營養. 《詩經》的賦ㆍ比ㆍ興表現手法, 在“古詩”中得到廣泛運用. 有的作品還在題材ㆍ語言ㆍ意境等方面, 表現出《詩經》的影響, 如“迢迢牽牛星”, 寫織女星“終日不成章, 泣涕零如雨”, 發展了《詩經ㆍ大東》“跂彼織女, 終日七襄. 雖則七襄, 不成報章”的想象; “明月皎夜光”中“南箕北有斗, 牽牛不負軛”的比興, 提煉《大東》“維南有箕, 不可以簸揚”等語而成; “東城高且長”中“《晨風》懷苦心, 《蟋蟀》傷局促”的感慨, 更直接引用《詩經》作品. 而“涉江採芙蓉”則顯然受到《楚辭ㆍ九歌》的影響和啟發. 但“古詩”與樂府民歌的關係最爲密切, 其間並無鴻溝. “古詩”形式原是學習ㆍ模仿樂府民歌的, 許多作品留有樂府四句一解的痕跡. 有的“古詩”作品本屬樂府歌辭, 如“生年不滿百”來自樂府《西門行》古辭. 不少“古詩”作品有濃厚的民歌風味, 如“行行重行行”迴環復沓, 排比重疊; “靑靑陵上柏”曉喩通俗; “迢迢牽牛星”以民間傳說爲題材; “客從遠方來”用雙關隱語表相思; “冉冉孤生竹”ㆍ“凜凜歲雲暮”等抒情詩都採取敘事方式傾訴衷情, 運用比興手法渲染烘托, 使作品增强了民歌情趣. 但“古詩”的形式ㆍ技巧較之樂府民歌更爲細緻工整. 

 

   劉勰概括“古詩”的藝術特色是, “結體散文, 直而不野, 婉轉附物, 怊悵切情”. 以《古詩十九首》而言, 它把深入淺出的精心構思, 富於形像的比興手法, 情景交融的描寫技巧, 如話家常的平淡語言, 融合一爐, 形成曲盡衷情而委婉動人的獨特風格. 其中的游子詩多屬感興之作, 寓有哲理, 意蘊深長, 耐人尋味; 而思婦詩意在動人, 所以形像鮮明, 感情含蓄. 前一類如“靑靑陵上柏”, 它以“陵上柏”ㆍ“澗中石”起興, 而後如同閒話, 卻有層次, 有對比, 在描寫小民適意娛樂和王侯窮奢極侈的情景中自然流露褒貶, 結語“極宴娛心意, 戚戚何所迫”稍加點破, 引人思索. “明月皎夜光”則以悲秋起興, 鋪排秋夜明月繁星及時節物候變化, 渲染炎涼氣氛, 然後直截指責朋友不相提攜, 結語點破不講交情, “虛名復何益”, 藉以警世. 後一類如“行行重行行”通篇傾訴別離相思之苦, 似乎脫口而出, 信口絮叨, 實則從追敘遠別到強作自慰, 隨感情發展, 波瀾起伏, 結構精緻, 銜接自然, 而以直白爲主, 穿插比興, 語言精練, 形像明快, 確是“古詩”獨特藝術風格的代表作. 他如“冉冉孤生竹”ㆍ“凜凜歲雲暮”等篇也都具有同樣的藝術特點. 比較起來, “古詩”中思婦詩更能代表“古詩”的藝術特點和成就. 

 

  在文學史上, 《古詩十九首》所代表的東漢後期無名氏五言詩, 標誌著五言詩歌從以敘事爲主的樂府民歌發展到以抒情爲主的文人創作, 已經成熟. 無名氏詩人們所反映的中下層士子的苦悶和願望, 在封建社會具有相當的普遍性和典型意義. 他們所創造的獨特表現手法和藝術風格, 適合於表現感傷苦悶情緒, 爲後世封建文人所喜愛和模仿. 因此, 他們的作品在梁代已獲高度評價, 劉勰推崇它爲“五言之冠冕”, 鐘嶸稱它“驚心動魄, 可謂幾乎一字千金”. 學習ㆍ摹擬ㆍ繼承發展“古詩”手法ㆍ風格的詩歌創作, 始終不絶如縷, 可見其影響甚爲深遠. 

 

 《古詩十九首》以外也還有一些無名氏五言詩, 被稱爲“古詩”, 與《古詩十九首》並傳至今, 如《梁鼓角橫吹曲ㆍ紫騮馬》歌詞所截取的“十五從軍征”一首, 《樂府詩集》卷二十五引《古今樂錄》說: “‘十五從軍征’以下是古詩”. 又如“上山採蘼蕪”, “四坐且莫喧”, “穆穆淸風至”, “橘柚垂華實”等詩, 《玉台新詠》ㆍ《藝文類聚》等書也稱爲“古詩”, 風格亦與《古詩十九首》相近. 

 

 《古詩十九首》除《文選》註而外, 還有今人隋樹森《古詩十九首集釋》.

'중국의 漢詩 >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淸夜吟 - 邵康節  (0) 2021.11.24
天根月窟 - 邵康節  (0) 2021.11.24
山中示諸生(五首) - 王陽明  (0) 2020.11.13
眼兒媚 - 王雱  (0) 2020.11.11
七哀詩 - 曹植  (0) 2020.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