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李白

淸平調詞 三首

by 柳川 2016. 5. 25.

                         

                                                         淸平調詞 三首

 

 

一.

 

雲想衣裳花想容、                          구름같은 옷, 꽃같은 얼굴

春風拂檻露華濃。                          봄바람 스치는 난간에 고운 이슬 맺히네

若非群玉山頭見、                          군옥산 꼭대기에서 만나지 않았다면

會向瑤台月下逢。                          요대의 달빛 아래에서 만났을 테지

 

 

 

二.

 

一枝紅艶露凝香、                          모란꽃 가지에 맺힌 이슬 향기 머금었네

雲雨巫山枉斷腸。                          무산의 선녀와 나눈 애달픈 사랑

借問漢宮誰得似、                          이 나라 궁에서 뉘와 견주리오

可憐飛燕倚新粧。                          가련한 비연도 새롭게 단장해야 하네

 

 

 

三.

 

名花傾國兩相歡、                          모란꽃과 미인이 서로 반기고

常得君王帶笑看。                          임금은 오랜동안 웃으며 바라보네

解釋春風無限恨、                          봄바람에 오랜 정한 녹아내린듯

沈香亭北倚欄杆。                          침향정 난간에 몸을 기대네

 

 

 

 

[解說]

 

중국 당나라 현종시대 시인, 현종이 이백을 아껴 궁에 초대를 하여 궁중에 머무르고 있었는데 현종이 당시 24세였던 양귀비와 함께 침향정 못가에서 모란을 완상하고 있던중 이백을 불러 그 모습을 시로 짓도록 하였다.

이 때 이백은 몸을 가누기 힘들정도로 취했지만 다음과 같이 시를 즉석에서 지어 바쳤는데 이시가 바로 그 유명한 청평조사 삼수이다.

그런데 위 두번째 시 가운데 한나라 성제의 후궁 조비연에 비했음을 알게 된 환관 고력사가 황제와 양귀비에 참언하여 이백을 내치게 한다. 그러나 사실 이백은 황제가 백성을 돌보지 않고 미녀와 놀아나는 것을 은근히 비꼬았던 것이다. 이런 점이 이백의 이름이 천하에 회자되도록 한 것이다.

이 백은 그 후 혹독한 고난속에서 살게 되었고 결국 비참하게 생을 마치게 된다. 

 

'중국의 漢詩 > 李白' 카테고리의 다른 글

蜀道難  (0) 2016.06.29
將進酒  (0) 2016.06.16
子夜吳歌  (0) 2016.06.07
靜夜思  (0) 2016.06.06
山中問答  (0) 2016.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