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편 문사(文師)
문사(文師)란 문왕의 스승이란 뜻이다.
주나라 문왕은 위수(渭水) 북쪽에 사냥을 나갔다가 강태공을 만나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크게 기
뻐하여 함께 수레를 타고 돌아와 스승으로 삼았다.
1. 하늘의 계시
하루는 문왕이 사냥을 나가려 하였다.
사관(史官) 편(編)이 점을 쳐보고 말하였다.
"위수의 양지에서 사냥을 하시면 큰 수확이 있겠습니다. 그것은 용도 아니고, 이무기도 아니고, 범도
아니며, 곰도 아닙니다.
장차 공작, 후작이 될 만한 큰 인물을 얻을 징조입니다. 하늘이 당신에게 스승을 보내어 보필토록 하
고, 이어 삼대를 돕게 될 것입니다."
문왕이 물었다.
"점괘가 그렇게 나왔는가?"
사관이 대답했다.
"저의 조상인 사관 주(疇)가 순(舜)임금을 위하여 점을 쳐서 고요(皐陶)를 얻었다 합니다. 이번 점괘는
그에 비길만 합니다."
[원문(原文)]
文王將田, 史編布卜曰, 田於渭陽, 將大得焉. 非龍, 非彲, 非虎, 非羆, 兆得公侯。天遣汝師, 以之佐昌, 施及三王。
文王曰, 兆致是乎.
史編曰, 編之太祖史疇, 爲舜占得皐陶, 兆比於此
註)
文王 : 농업신 후직(后稷)의 12대손, 주(周)나라의 서백(西伯). 성은 희(姬), 이름은 창(昌)으로 문왕은
시호(諡號). 문왕 사후에 그 아들 무왕이 천자에 올라 왕으로 추존(追尊)하였음.
田(전): 수렵의 총칭. 봄사냥은 수(蒐), 여름사냥은 苗, 가을은 선(獮), 겨울은 狩등 사냥의 종류가 있
는데 田은 그 총칭.
卜(복): 귀갑(龜甲:거북이 등)을 구워 그 갈라진 금으로 길흉을 점치는 것.
渭陽(위양): 위수의 북쪽. 리: 이무기, 비: 곰 비슷한 동물. 陽은 북쪽, 陰은 남쪽
皐陶(고요): 순 임금의 어진 신하. 陶:순임금 신하이름 요.
[해설]
주의 문왕이 사냥을 나가려 할 때, 사관 편이 점을 쳐 본 결과, 위수의 북쪽으로 사냥을 나가면 큰 소득
이 있겠는데, 이는 상상에서 나오는 그런 짐승이 아니고 그런 것보다 더 귀한 공후(公侯)를 얻겠다고
하였다.
이분은 하늘이 보낸 스승으로 이는 문왕만을 보좌하는 것이 아니라 아들, 손자까지 3대에 걸쳐 보좌할
것이라 하였다.
과연 점괘가 그러하냐고 문왕이 묻자 편은 그 조상 주(疇)가 순임금에게 점을 쳐서 고요와 같은 큰 인
물을 얻었는데 점괘가 그와 같다 하였다.
고요는 순임금때의 신하로 옥관(獄官)의 우두머리로 있던 자로서 형벌(刑罰)에 관한 법을 제정하여 천하의 질서를 바로 잡았다고 전한다.
당시 문왕이 살던 시대는 중국의 은(殷)왕조(BC1769~1122)시대. 당시는 제정일치(祭政一致)의 시대로 국왕은 제사장을 겸하였다. 이 점
복은 천제의 소리, 즉 신탁을 듣는 통치자의 주요예식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신탁으로 대정치가요 전략가인 강태공을 얻어 주나라를 세우고 주나라의 기틀을 잡게 되는 것이다.
'兵書 > 六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도1.문사- 3. 낚시에 숨은 이치 (0) | 2016.06.02 |
---|---|
문도1.文師 -2.천하를 낚는 전주곡 (0) | 2016.06.02 |
第 一卷 文 韜 (0) | 2016.06.02 |
육도삼략의 저자 강태공 (0) | 2008.09.06 |
육도삼략 (0) | 2008.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