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其他

探春 - 戴益

by 柳川 2016. 6. 7.

                                 探    春 

 

 

 

                                                                    戴    益 

 

 

盡日尋春不見春,                    온종일 봄을 찾으러 다녔지만 찾지 못해

 

杖藜踏破幾中雲。                  명아주나무 꺾어 지팡이 삼아 구름 헤치며 다녔도다.

 

歸來試把梅梢看,                    돌아와 매화나무 가지를 잡고 보니

 

春在枝頭已十分。                  봄은 이미 나무 끝에 잔뜩 와 있구나.

 

 

 

[해설]

 

이 시는 송나라시대의 시인 대익(戴益, 자는 여해汝諧, 호는 봉지鳳池 )의 시로 되어 있는데 그 이상의 자료가 없어 안타깝다.  이 시의 내용은 봄 뿐만이 아니라 진리, 문제에 대한 해답등이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가까운 곳에 있다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위 시와 비슷한 시가  당나라 시대 모 비구니의 오도시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다음 고사성어대사전에는 戴益의 시로 설명되어 있다.  이 시는 송(宋)나라 때 나대경(羅大經)이 지은《학림옥로(鶴林玉露)》에 무명의 비구니가 지은 것으로 실려있다고 한다.

 

 

悟道詩 - 唐. 某尼 

 

盡日尋春不見春(진일심춘불견춘)、 : 종일토록 봄을 찾아도 봄을 보지 못하고

芒鞋踏遍隴頭雲(망혜답편롱두운)。 : 짚신 닳도록 먼 산 구름 덮인 곳까지 헤맸네

歸來笑拈梅花嗅(귀래소념매화후)、 : 돌아와 웃으며 매화가지 집어 향기 맡으니

春在枝頭已十分(춘재지두이십분)。 : 봄은 매화가지 위에 어느새 와 있는 것을

 

 

 

'중국의 漢詩 >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凉州詞 - 王翰  (0) 2016.08.29
高麗城懷古詩 - 樊 漢  (0) 2016.08.06
豊樂亭游春 - 歐陽修  (0) 2016.07.22
江雪 - 柳宗元  (0) 2016.06.18
麥秀之嘆 - 箕子  (0) 2016.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