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 農 · 工 · 商이 번영하면
"농업은 그 마을에 있어 이를 오로지 하면 곡식이 풍족하고, 공업은 그 마을에 있어 이를 오로지 하면
기물이 풍족하며, 상업은 그 마을에 있어 이를 오로지 하면 재화가 풍족합니다.
세 보배가 각각 그 있을 곳에 안존하면 백성은 이에 근심이 없고, 그 마을이 어지러움이 없으며,
그 씨족이 어지러움이 없게 됩니다."
[原文]
農一其鄕, 則穀足, 工一其鄕, 則器足, 商一其鄕, 則貨足。 三寶, 各安其處, 民乃不慮, 無亂其鄕,
無亂其族。
註]
一其鄕 : 한 고장에서 그 주민들이 오로지 자기들의 업에 정진함을 말함. 농공상은 각기 그 고장을
만들어 雜居하지 않음.
不慮 : 오로지 자기의 생업에 노력하여 다른 업을 생각하지 않음.
[解說]
그 시대에 농공상을 언급하였다는 것은 참으로 대단한 일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농공상이 각 지역을 달리 한다는 것은 오늘날의 농촌, 공업지대, 상업지대등과도 그 맥이 통한다.
'兵書 > 六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도第六.6.君主보다 富한 臣下없다. (0) | 2016.06.30 |
---|---|
문도제6. 4.세가지 보배 (0) | 2016.06.28 |
文韜제6. 3.人物考査法 (0) | 2016.06.27 |
문도제6. 2.六守란 (0) | 2016.06.27 |
文韜 제6.1.왜 失脚들을 하나. (0) | 2016.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