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 五. 用 衆
用衆이란 用兵의 뜻이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用衆은 이 篇 첫 머리에 있는 <用衆治>, 즉 많은 병력은
그 진영을 정돈하여 다스려야 한다는 말에서 두글자를 따서 편명으로 삼은 것이다.
오히려 앞의 제 四편에 이어서 실전에 있어서의 여러가지 전투의 원칙을 논하고 있다.
전투할 때의 地勢는 뒤와 좌우 삼면이 모두 넓고 험해야 하며, 바람을 등지고 싸워야 한다는 원칙을
말하고, 우군의 병력이 우세할 때는 정정당당히 공격하고, 약세일 경우에는 변화무쌍한 전법으로
적군을 혼란시켜야 승리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적군의 정체를 타진하는 방법과 적을 공격하는 원칙은 특이하다고 보겠다.
1. 적으면 지키고 많으면 정돈하라.
凡戰之道, 用寡固, 用衆治。寡利煩, 衆利正。用衆進止, 用寡進退。衆以合寡, 則遠裹而厥之。
若分而迭擊, 寡以待衆。若衆疑之, 則自用之。擅利, 則釋旗迎而反之。敵若衆, 則相衆而受裹。
敵若寡若畏, 則避之開之。
註]
用寡固 : 적은 병력으로는 수비를 굳게 함. 煩 : 변화를 빈번히 함. 正 : 정정당당히 싸움.
用衆治 : 많은 병력을 거느림에는 정돈하여 질서를 지키게 한다.
裹 : 쌀 과, 乃裹餱糧(건량을 싸다.詩經), 얽다. 꾸러미(松龕藏藥裹. 王維), 그치다. 멈춤(裹足不入秦)
則遠裹而厥之 : 멀리 포위하고 한 쪽을 열어 둠. 迭擊 : 교대로 공격함.
自用之 : 장군 자신이 진두지휘함. 擅利 ; 유리한 지세를 차지하고 있음. 利는 地利.
釋旗 : 군기를 버리고 도망침. 迎而反之 : 적을 유인해 끌어내어 반격함.
'兵書 > 司馬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五.3. 敵을 알고 攻擊하라. (0) | 2016.07.10 |
---|---|
第五.2. 바람은 업고 싸워라. (0) | 2016.07.10 |
第四.10. 이런 敵은 공격하라. (0) | 2016.07.10 |
第四. 9. 大敵을 물리치는 것은 용기다. (0) | 2016.07.10 |
第四. 8. 알기는 쉬워도 行하기는 어렵다. (0) | 2016.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