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核心을 좇아 應酬하라.
그러므로 옛사람의 말씀에도 사람이 모두 강할 것을 탐구하고 있으며, 미묘한 도를 지킬 수 있는
자는 적다 하였다. 만약 미묘한 도를 지킬 수 있다면 자기의 귀중한 생명을 보전할 수 가 있는 것
이다.
성인은 미묘한 도를 마음 속에 간직하고 있어 일의 고비에 응수하여 이 도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 도는 이를 펴서 넓힐 때에는 사해에까지 퍼지고 이를 말아서 거둘 때에는 작은 잔에도 차지
않는 것이며, 이를 두는 데는 집이 필요치 않으며, 이를 지키는 데에는 성곽도 필요치 않고,
이를 자기 가슴속에 간직해 두면 그 도의 감화로 적국은 자연히 복종한다.
[原文]
故曰, 莫不貪强。鮮能守微。若能守微, 乃保其生。聖人存之, 以應事機。舒之彌四海, 卷之不
盈杯。居之不以室宅, 守之不以城郭, 藏之胸臆, 而敵國服。
[註]
故曰 : 옛말. 鮮 : 少 또는 稀. 微 : 미묘한 道. 保其生 : 자기의 생명을 보전함.
之 : 앞의 微를 이름. 杯 ; 잔. 여기서는 잔에 담을 수 있는 크기를 뜻함.
'兵書 > 三略'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一.上略 10. 너무 强하면 꺾인다. (0) | 2016.07.13 |
---|---|
第一.上略 8. 事物에 대처하여 變身하라. (0) | 2016.07.13 |
第一.上略 7. 各各의 用器에 담아라. (0) | 2016.07.13 |
第一.上略 6. 柔의 剛, 그 微妙한 權變 (0) | 2016.07.12 |
第一.上略 5. 相對方의 志望하는 바를 充足시켜라. (0) | 2016.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