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文基礎/小學

稽古第四 4. 通論

by 柳川 2016. 10. 2.


衛莊公娶于齊東宮得臣之妹. 曰, 莊姜. 美而無子. 其娣戴嬀生桓公, 莊姜以爲己子. 公子州吁嬖人

之子也. 有寵以好兵, 公弗禁. 莊姜惡之. 石碏諫曰, 臣聞愛子, 敎之以義方, 弗納於邪. 驕奢淫佚, 

所自邪也. 四者謹來, 寵祿過也. 夫寵而不驕, 驕而能降, 降而不憾, 憾而能眕者鮮矣. 且夫賤妨貴, 

少陵長, 遠閒親, 新閒舊, 小加大, 淫破義, 所謂六逆也. 君義臣行, 父慈子孝, 兄愛弟敬, 所謂六

順也. 去順效逆, 所以速禍也. 君人者, 將禍是務去, 而速之. 無乃不可乎.


劉康公成肅公會晉侯, 伐奏. 成子受脤于社, 不敬. 劉子曰, 吾聞之. 民受天地之中, 以生. 所謂命也. 

是以有動作禮義威儀之則. 以定命也. 能子養之以福, 不能者敗以取禍. 是故君子勤禮, 小人盡力. 

勤禮莫如敦敬, 盡力莫如敦篤. 敬在養神, 篤在守業. 國之大事, 在祀與戎. 祀有執膰, 戎有受脤, 

神之大節也. 今成子惰. 棄其命矣. 其不反乎.


衛侯在楚. 北宮文子, 見令尹圍之威儀. 言於衛侯曰, 令尹其將不免. 詩云, 敬愼威儀, 維民之則. 

令尹無威儀. 民無則焉. 民所不則. 以在民上, 不可以終. 公曰, 善哉何謂威儀. 對曰, 有威而可

畏謂之威. 有儀而可象謂之儀. 君有君之威儀, 其臣, 畏而愛之, 則而象之, 故能有其國家, 令聞, 

長世, 臣, 有臣之威儀, 其下, 畏而愛之, 故能守其官職, 保族宜家. 順是以下皆如是. 是以上下, 

能相固也. 


[集說]吳氏曰 衛侯 襄公 名惡 文子 衛大夫 名佗 北宮 其姓也. 令尹 楚上卿執政者 名圍. 免 謂免於禍. 詩大雅抑之篇. 則 法也 不可以終 

       言不可以善保其終也.

[集說]吳氏曰 此 衛侯問而文子答也 令聞長世 謂善名 久垂於世也. 是 指君臣而言. 皆如是 謂皆有威儀也.固 安固也. 此 言君臣之有威儀

       而其效如此.


衛詩曰, 威儀棣棣, 不可選也. 言君臣上下父子兄弟內外大小, 皆有威儀也. 

周詩曰, 朋友攸攝, 攝以威儀. 言朋友之道, 必相敎訓以威儀也. 故君子在位可畏, 施舍可愛, 進退可度, 

周旋可則, 容止可觀, 作事可法, 德行可象, 聲氣可樂, 動作有文, 言語有章, 以臨其下. 

謂之有威儀也. 右, 通論.


[集解]詩 邶風柏舟之篇. 棣棣 富而閑習之貌. 選 簡擇也. 言威儀無一不善 不可得而簡擇取舍也.
[增註]此盖借引 以爲人皆不可無威儀耳.

[集解]詩 大雅旣醉之篇. 攝 檢也.

[集解]施 用也 舍 不用也 度 法度也. 眞氏曰 自古之論威儀者 未有若文子之備也. 蓋威 非徒事嚴猛而已. 正衣冠, 尊瞻視 儼然人望而畏之 

       夫是之謂威也. 儀 非徒事容飾而已. 動容周旋 無不中禮 夫是之謂儀也. 當是時 令尹圍專楚國之政 有簒奪之心 形諸威儀 必有僭偪于

       上者. 故 文子見而知其不終 未幾 果以簒奪得國 是爲靈王 其後 亦復被弑而不能終也.


嬀 : 성씨 규. 성의 하나, 물의 이름, 고을이름.    嬖 : 사랑할 폐. 사랑하다. 총애하다. 귀여움받다. 친압하다. 비천허더. 애첩.

碏 : 사람이름 작. 사람이름. 돌얼룩지다. 거리끼다. 훼방하다. 삼가다. 공경하다.

憾 : 섭섭할 감/근심할 담. 섭섭하다. 恨하다. 원한. 유감, 한을 품은 사람. [담]근심하다. 불안하다.

眕 : 진중할 진. 진중하다. 참고견디다. 고하다. 원망을 품은 눈길.  脤 : 제육 신. 제육.  제에 쓸 날고기.

膰 : 제사고지 번/큰배 반. 제사고기, 제육, 간. 음복하다. 나누다. 나눠주다. 큰 배.

戎 : 병장기 융/오랑캐 융. 병장기, 병거, 군사, 병사, 오랑캐, 싸움, 전쟁, 전투. 너, 그대, 돕다. 크다. 난잡하다.

棣 : 익숙할 태/산앵두나무 체. 익숙하다. 산앵두나무, 성의 하나. 통하다.

攸 : 바 유. 바, 곳, 장소, 이, 이에, 어조사, 재빠른 모양. 달리다. 빠르다. 아득하다. 위태롭다. 오래다. 장구하다.

文 : 빛나다. 화려하다. 아름답다. 몸에새기다. 꾸미다. 입묵하다. 자자하다. 어지러워지다.

章 : 크다. 성하다. 밝다. 밝히다. 나타나다. 드러내다.


'漢文基礎 > 小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嘉言第五 2. 廣明倫  (0) 2016.10.02
嘉言第五 1. 廣立敎  (0) 2016.10.02
稽古第四 3. 敬身  (0) 2016.10.02
稽古第四 2. 明倫  (0) 2016.10.02
稽古第四 1. 立敎  (0) 2016.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