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四回:廢漢帝陳留為皇,謀董賊孟德獻刀
且說董卓欲殺袁紹,李儒止之曰:「事未可定,不可妄殺。」袁紹手提寶劍,辭別百官而出,懸節東門,奔翼州去
了。卓謂太傅袁隗曰:「汝姪無禮,吾看汝面,姑恕之。廢立之事若何?」隗曰:「太尉所見是也。」卓曰:「敢
有阻大議者,以軍法從事。」群臣震恐,皆云:「一聽尊命。」宴罷,卓問侍中周毖、校尉伍瓊曰:「袁紹此去若
何?」周毖曰:「袁紹忿忿而去,若購之急,勢必為變,且袁氏樹恩四世,門生故吏,遍於天下;倘收豪傑以聚徒
眾,英雄因之而起,山東非公有也。不如赦之,拜為一郡守,則紹喜於免罪,必無患矣。」伍瓊曰:「袁紹好謀無
斷,不足為慮;誠不若加之一郡守,以收民心。」
毖 : 삼갈 비. 삼가다. 근신하다. 고달프다. 피로하다. 멀다. 통하다. 소통하다. 흐르다.
購 : 사다. 현상금을 내걸고 구하다. 보상하다. 화해하다. 화친함. 친하다. 풀리다. 걸다.
卓從之,即日差人拜紹為渤海太守。九月朔,請帝陞嘉德殿,大會文武。卓拔劍在手,對眾曰:「天子闇弱,不足
以君天下。今有策文一道,宜為宣讀。」
乃令李儒讀策曰:「孝靈皇帝,早棄臣民;皇帝,海內仰望。而帝天資輕佻,威儀不恪,居喪慢惰:否德旣彰,有
忝大位。皇太后教無母儀,統政荒亂。永樂太后暴崩,眾論惑焉。三綱之道,天地之紀,毋乃有闕?陳留王協,聖
德偉懋,規矩肅然;居喪哀戚,言不以邪;休聲美譽,天下所聞:宜承洪業,為萬世統。茲廢皇帝為弘農王,皇太
后還政。請奉陳留王為皇帝,應天順人,以慰生靈之望。」
佻 : 경박할 조/늦출 요. 경박하다. 가볍고 빠르다. 도둑질하다. 고달프다. 구차하다. [요]늦추다. 걸다.
恪 : 삼갈 각. 삼가다. 공경하다. (등급이)오르다. 올라가다. 삼감, 정성, 성의, 법, 표준.
忝 : 더럽힐 첨. 더럽히다. 욕보이다. 욕되게 하다. 황송하다. 욕, 수치, 겸사. 겸손의 말.
闕 : 대궐, 대궐문, 조정, 흠. 궐하다(마땅히 해야할 일을 빠뜨리다) 이지러지(게 하)다. 파다. 뚫다.
懋 : 무성할 무. 무성하다. 우거지다. 넉넉하다. 풍성하다. 힘쓰다. 뛰어나다. 빼어나다. 우수하다. 융성하다.
矩 : 법도 구/모날 구. 법도, 상규, 규칙, 직각, 가을, 곱자, 네모, 사각형, 모서리, 대지, 땅. 모나다. 새기다.
玆 : 무성할 자/이 자. 무성해지다. 힘쓰다. 붇다. 검다. 이, 이에, 즉, 여기, 더욱, 지금, 괭이, 돗자리, 年, 수염.
李儒讀策畢, 卓叱左右扶帝下殿, 解其璽綬, 北面長跪, 稱臣聽命。又呼太后去服候敕。帝后皆號哭。群臣無不悲慘。
階下一大臣,憤怒高叫曰:「賊臣董卓,敢為欺天之謀,吾當以頸血濺之!」揮手中象簡,直擊董卓。卓大怒,
喝武士拏下,乃尚書丁管也。卓命牽出斬也。管罵不絕口,至死神色不變。
濺 : 흩뿌릴 천/ 더운물뿌릴 찬. 흩뿌리다. 더럽히다. 물빨리 흐르는 모양. [찬]더운물 뿌리다.
象簡 : 홀
後人有詩歎曰:
董賊潛懷廢立圖,
漢家宗社委丘墟。
滿朝臣宰皆囊括,
惟有丁公是丈夫。
委 : 맡길 위. 맡기다. 맡게하다. 버리다. 내버려두다. 자세하다. 쌓다. 쌓이다. 의젓하다. 옹용하다. 시들다. 쇠퇴하다. 굽다. 굽이지다.
끝, 말단, 창고, 곳간, 자세히.
墟 : 언덕허. 터, 언덕, 구렁, 저자, 시장. 황폐하게하다. 丘墟 : 예전에는 번화하던 곳이 뒤에 쓸쓸하게 변한 곳.
括 : 묶을 괄. 묶다. 동여매다. 담다. 담아서 싸다. 찾다. 찾아내다. 窮求하다. 모이다. 모여들다. 이르다. 다다르다. 받아들이다. 수용하다. 감독하다. 단속하다. 일어나다. 시작되다. 오늬, 묶음, 법도, 법규.
囊括 : 모든 것을 망라하다. 독점하다. 다 차지하다. 여기에서는 입을 동여맨다는 뜻으로 보임.
卓請陳留王登殿。群臣朝賀畢,卓命扶何太后并弘農王及帝妃唐氏於永安宮閒住,封鎖宮門,禁群臣無得擅入。
可憐少帝四月登基,至九月即被廢。卓所立陳留王協,表字伯和,靈帝中子,即獻帝也,時年九歲。改元初平。
董卓為相國,贊拜不名,入朝不趨,劍履上殿,威福莫比。李儒勸卓擢用名流,以收人望,因薦蔡邕之才。卓命
徵之,邕不赴。卓怒,使人謂邕曰:「如不來,當滅汝族。」邕懼,只得應命而至。卓見邕大喜,一月三遷其官,
拜為侍中,甚見親厚。
贊拜 : 신하가 朝見(조현)할때 예식을 돕는 사람이 行禮의 절차를 말하는 것.
趨 : 달릴 추/재촉할 촉. 달아나다. 달리다. 뒤쫒다. 종종걸음치다. 빨리걷다. [촉]배촉하다. 핍박하다. 빠르다. 부추기다. 유도하다. 줄이다.
擢 : 뽑을 탁. 뽑다. 빼내다. 버리다. 제거하다. 발탁하다. 솟다. 빼어나다. 뛰어나다. 길다. 길게늘이다.
卻說少帝與何太后、唐妃困於永安宮中, 衣服飲食, 漸漸欠缺;少帝淚不曾乾。一日, 偶見雙燕飛於庭中, 遂吟詩一首。
詩曰:
嫩草綠凝煙,
裊裊雙飛燕。
洛水一條青,
陌上人稱羨。
遠望碧雲深,
是吾舊宮殿。
何人仗忠義,
洩我心中怨!
嫩 : 어릴 눈. 어리다. 연약하다. 미숙하다. (색갈이)엷다. 경미하다. 연하다.
裊 : 간드러질 뇨(요)간드러지다.
裊裊 : 嫋嫋. 간들간들 가냘픈 모양. 소리가 가늘게 울리는 모양. 餘音嫋嫋 不絶如縷 (蘇軾 前赤壁賦). 바람이 솔솔부는 모양.
陌 : 길 맥. 길, 거리, 두렁, 두둑. 두렁길. 경계, 머리띠. 一百. 성의 하나.
董卓時常使人探聽。是日獲得此詩,來呈董卓。卓曰:「怨望作詩,殺之有名矣。」遂命李儒帶武士十人,入宮
弒帝。帝與后、妃正在樓上,宮女報李儒至,帝大驚。儒以鴆酒奉帝,帝問何故。儒曰:「春日融和,董相國特
上壽酒。」太后曰:「既云壽酒,汝可先飲。」儒怒曰:「汝不飲耶?」呼左右持短刀白練於前曰:「壽酒不飲,
可領此二物!」唐妃跪告曰:「妾身代帝飲酒,願公存母子性命。」儒叱曰:「汝何人,可代王死?」乃舉酒與
何太后曰:「汝可先飲!」后大罵何進無謀,引賊入京,致有今日之禍。儒催逼帝,帝曰:「容我與太后作別。」
乃大慟而作歌。
練 : 익힐 련(연). 누인 명주(명주실로 무늬없이 짠 피륙). 연복(練服 : 상례에 입는 상제의 옷)
領 : 거느리다. 다스리다. 받다. 통솔하다. 깨닫다. 알아차리다. 차지하다. 소유하다. 목, 요소, 요점, 중요한부분, 옷 한벌, 재.(嶺)
其歌曰:
天地易兮, 日月翻,
棄萬乘兮, 退守藩。
為巨逼兮, 命不久,
大勢去兮, 空淚潸!
爲 : 수동형. 爲 ~ : ~을 당하다. 空 : 부질없이, 헛되이, 속절없이.
潸 : 눈물 흐를 산. 눈물 흐르다. 비 오다. 눈물 줄줄 흐르는 모양, 비가 오는 모양.
唐妃亦作歌曰:
皇天將崩兮,后土頹;
身為帝姬兮,恨不隨。
生死異路兮,從此別;
奈何煢速兮,心中悲!
煢 : 외로울 경. 근심하다. 외롭다. 시름겨워하는모양. 주사위
歌罷,相抱而哭。李儒叱曰:「相國立等回報,汝等俄延,望誰救耶?」太后大罵:「董賊逼我母子,皇天不佑!
汝等助惡,必當滅族!」儒大怒,雙手扯住太后,直攛下樓,叱武士絞死唐妃,以鴆酒灌殺少帝,還報董卓。
卓命葬於城外。自此每夜入宮, 姦淫宮女, 夜宿龍床。
嘗引軍出城, 行到陽城地方, 時當二月,村民社賽。男女皆集,卓命軍士圍住,盡皆殺之,掠婦女財物,裝載車上,懸頭
千餘顆於車下,連軫還都,揚言殺賊大勝而回;於城門下焚燒人頭,以婦女財物分散眾軍。
軫 : 수레뒤턱나무 진. 수레뒤턱나무. 두둑. 길. 별의 이름. 거문고 줄받침. 굽다. 마음아파하다. 슬퍼하다.돌다.
攛 : 던질 찬. 던지다. 내던지다. 교사하다. 꼬드기다. 꾀다. 섞다. 혼합하다.
賽 : 굿할 새, 굿하다. 내기하다. 굿, 주사위.
越騎校尉伍孚,字德瑜,見卓殘暴,憤恨不平。嘗於朝服內披小鎧,藏短刀,欲伺便殺卓。一日,卓入朝,孚迎至
閣下,拔刀直刺卓。卓氣力大,兩手摳住;呂布便入,揪倒伍孚。卓問曰:「誰教汝反?」孚瞪目大喝曰:「汝非
吾君,吾非汝臣,何反之有?汝罪惡盈天,人人願得而誅之!吾恨不車裂汝以謝天下!」卓大怒,命牽出剖剮之。
孚至死罵不絕口。
孚 : 미쁠 부. 미쁘다(믿음성이 있다) 붙다. 붙이다. 달리다. (알이)깨다. 기르다. 자라다. 빛나다. 껍질, 겉겨. 알, 씨. 옥이 빛나는 모양.平 : 평평할 평/다스릴 편. [편]다스리다. 관리하다. 나누다.
伺 : 엿볼 사. 엿보다. 노리다. 정찰하다. 정탐하다. 찾다. 살피다. 문안하다. 시중들다. 거들다. 기다리다.
摳 : 출 구. 추다(위로 끌어올리다). 추어올리다. 던지다. 조숙하다. 더듬다. 올벼.
瞪 : 바로볼 징[쟁, 챙]. 바로보다. 주시하다. 노려보다. 쏘아보다. 눈똑바로 뜨고 보다.
剮 : 바를 과. (살을)바르다. 발라내다. 능지처참하다.
後人有詩讚之曰:
漢末忠臣說伍孚,
沖天豪氣世間無。
朝堂殺賊名猶在,
萬古堪稱大丈夫!
董卓自此出入常帶甲士護衛。
時袁紹在渤海,聞知董卓弄權,乃差人齎密書來見王允。
書略曰:
卓賊欺天廢主,人不忍言;而公恣其跋扈,如不聽聞,豈報國效忠之臣哉?紹今集兵練卒,欲掃清王室,未敢輕動。
公若有心,當乘間圖之。若有驅使,即當奉命。
恣 : 방자할 자. 마음대로, 제멋대로. 방자하다. 방종하다. 내키는대로 하다. 맡기다.
跋扈 : 제마음대로 날뛰며 행동하는 것.
跋 : 밟을 발. 밟다. 짓밟다. 넘어가다. 난폭하다. 사납다. 되돌리다. 촛불이 다타다. 밑동, 타다 남은 부분. 발문(책의 끝에 본문내용의 대강 이나 간행경위를 간단하게 적은 글)
扈 : 따를 호. 따르다. 뒤따르다. 호종하다. 넓다. 광대하다. 널리 퍼지다. 횡행하다. 입다. 띠다. 막다. 못하게 하다. 말리다. 제지하다. 선명하다. 애호하다. 마부, 하인, 파랑새, 박, 바가지, 통발, 선명한 모양, 아름다운 모양.
驅 : 몰 구. (말을 타고)몰다. 빨리 달리다. 내쫒다. 내보내다. 몰아내다. 축출하다. 내침, 대열, 앞잡이.
驅使 : (사람이나 동물을 몰아서 부리는 것. (말이나, 수단, 수법따위를 능숙하게 다루거나 부리어 사용하는 것.
王允得書,尋思無計。一日,於侍班閣子內見舊臣俱在,允曰:「今日老夫賤降,晚間敢屈眾位到舍小酌。」
眾官皆曰:「必來祝壽。」當晚王允設宴後堂,公卿皆至。酒行數巡,王允忽然掩面大哭。
眾官驚問曰:「司徒貴誕,何故發悲?」允曰:「今日並非賤降,因欲與眾位一敘,恐董卓見疑,故託言耳。
董卓欺主弄權,社稷旦夕難保。想高皇誅秦滅楚,奄有天下;誰想傳至今日,乃喪於董卓之手:此吾所以哭也。」
於是眾官皆哭。坐中一人撫掌大笑曰:「滿朝公卿,夜哭到明,明哭到夜,還能哭死董卓否?」允視之,乃驍騎
校尉曹操也。允怒曰:「汝祖宗亦食祿漢朝,今不思報國而反笑耶?」操曰:「吾非笑別事,笑眾位無一計殺董
卓耳。操雖不才,願即斷董卓頭,懸之都門,以謝天下。」允避席問曰:「孟德有何高見?」操曰:「近日操屈
身以事卓者,實欲乘間圖之耳。今卓頗信操,操因得時近卓。聞司徒有七星寶刀一口,願借與操入相府刺殺之,
雖死不恨!」允曰:「孟德果有是心,天下幸甚!」遂親自酌酒奉操。操瀝酒設誓,允隨取寶刀與之。操藏刀,
飲酒畢,即起身辭別眾官而去。眾官又坐了一回,亦俱散訖。
奄 : 가릴 엄. 문득, 갑자기, 오래, 고자, 환관, 숨이 끊어질듯한 모양. 덮다. 가리다. 덮어가리다. 어루만지다. 위로하다. 오래다.
瀝 : 스밀 력(역). 스미다. 듣다. 쏟다. (물방울이)떨어지다. (물을)대다. 흘려보내다. 나타내다.
次日,曹操佩著寶刀,來至相府,問丞相何在。從人云:「在小閣中。」操竟入。見董卓坐於床上,呂布侍立於側。
卓曰:「孟德來何遲?」操曰:「馬贏行遲耳。」卓顧謂布曰:「吾有西涼進來好馬,奉先可親去揀一騎賜與孟德。」
布領令而去。操暗忖曰:「此賊合死!」即欲拔刀刺之。懼卓力大,未敢輕動。卓胖大不耐久坐,遂倒身而臥,
轉面向內。操又思曰:「此賊當休矣!」急掣寶刀在手。恰待要刺,不想董卓仰面看衣鏡中,照見曹操在背後拔刀,
急回身問曰:「孟德何為?」
時呂布已牽馬至閣外,操惶遽,乃持刀跪下曰:「操有寶刀一口,獻上恩相。」卓接視之,見其刀長尺餘,七寶嵌
飾,極其鋒利,果寶刀也;遂遞與呂布收了。操解鞘付布。卓引操出閣看馬。操謝曰:「借願試一騎。」卓就教與
鞍轡。操牽馬出相府,加鞭望東南而去。布對卓曰:「適來曹操似有行刺之狀,及被喝破,故推獻刀。」
卓曰:「吾亦疑之。」
贏 : 남을 영. 남다. 돈을 벌다. 盛하다. 넘치다. 가득차다. 자라다. 성장하다. 이기다. 낫다. 나아가다. 풀리다. 퍼지다. 지다. 짊어지다.
싸다. 꾸리다. 받다. 자리잡다. 늘어지다(緩也). 나머지, 이여. 이익, 이득
揀 : 가릴 간. 가리다. 분간하다. 가려뽑다. 구별하다. 분별하다. 고르다. 빼다.
忖 : 헤아릴 촌. 헤아리다. 미루어 짐작하다. 절단하다. 쪼개다. 덜다. 除하다.
胖 : 클 반/희생반쪽 판. 크다. 편안하다. 관대하다. [판]희생반쪽, 갈비상, 안심.
恰待 : 막 ~하려고 하고 있는데, 바로 ~할 때.
嵌 : 산골짜기 감. 산골짜기, 동굴, 구멍, 돌이 중첩한 모양. 새겨넣다. 끼워넣다. 박아넣다. 움푹꺼지다. 산이 깊다.
鞘 : 칼집 초. 칼집. 선후걸이, 말채찍의 끝 鞍轡 : 안장과 고삐.
喝 : 꾸짖을 갈/목이멜 애. 꾸짖다. 큰소리로 나무라다. 으르다. 위협하다. 고함치다. 외치다. 벽제하다. 장단을 맞추다. 큰소리.
[애]목이 메다. 소리죽여울다. 목쉰소리, 목이잠긴소리.
喝破 : 남을 큰 소리로 꾸짖음. 정당한 논리로 그릇된 주장을 깨뜨리고 진리를 밝힘.
正說話間,適李儒至,卓以其事告之。儒曰:「操無妻小在京,只獨居寓所。今差人往召,如彼無疑而便來,則是
獻刀;如推託不來,則必是行刺,便可擒而問也。」卓然其說,即差獄卒四人往喚操。去了良久,回報曰:「操不
曾回寓,乘馬飛出東門。門吏問之,操曰:『丞相差我有緊急公事』,縱馬而去矣。」儒曰:「操賊心逃竄,行刺
無疑矣。」卓大怒曰:「我如此重用,反欲害我!」儒曰:「此必有同謀者,待拏住曹操便可知矣。」卓遂令遍行
文書,畫影圖形,捉拏曹操。擒獻者,賞千金,封萬戶侯;窩藏者同罪。
推託 : 다른일을 핑계대고 거절함.
竄 : 숨을 찬. 숨다. 달아나다. 숨기다. 내치다. 고치다. 들여놓다. 훈(薰)하다.縱 : 세로종/바쁠총. 놓다. 쏘다. 늘어지다. 느슨하게하다. 내버려두다. 멋대로하다. 방종하다. 방임하다. 석방하다. 권하다. 부추기다 [총]바쁘다.
且說曹操逃出城外,飛奔譙郡。路經中牟縣,為守關軍士所獲,擒見縣令。操言:「我是客商,覆姓皇甫。」縣令
熟視曹操, 沈吟半晌, 乃曰:「吾前在洛陽求官時, 曾認得汝是曹操, 如何隱諱?且把來監下,明日解去京師請賞。」
把關軍士賜以酒食而去。
至夜分,縣令喚親隨人暗地取出曹操,直至後院中審究;問曰:「我聞丞相待汝不薄,何故自取其禍?」
操曰:「『燕雀安知鴻鵠志哉!』汝既拏住我, 便當解去請賞。」縣令屏退左右, 謂操曰:「汝休小覷我。我非俗吏,
奈未遇其主耳。」操曰:「吾祖宗世食漢祿,若不思報國,與禽獸何異?吾屈身事卓者,欲乘間圖之,為國除害耳。
今事不成,乃天意也!」縣令曰:「孟德此行,將欲何往?」操曰:「吾將歸鄉里,發矯詔,召天下諸侯興兵共誅
董卓,吾之願也。」
縣令聞言,乃親釋其縛,扶之上坐,再拜曰:「公真天下忠義之士也!」曹操亦拜,問縣令姓名。縣令曰:「吾姓
陳,名宮,字公臺。老母妻子,皆在東郡。今感公忠義,願棄一官,從公而逃。」操甚喜。是夜陳宮收拾盤費,與
曹操更衣易服,各背劍一口,乘馬投故鄉來。
譙 : 꾸짖을 초/누구 수. 꾸짖다. 책망하다. 해지다. 상하다. 문 루, 성의 하나. [수]누구
熟 : 유심히, 곰곰히.
晌 : 정오 상[향] 정오, 때, 향(토지를 세는 단위).
晌 : 한참동안 말이 없음.
吟: 읊을 음/입 다물 금. 입을 다물다.
夜分 : 밤중, 殘夜 : 새벽녘, 暮夜 : 이슥한 밤. 甲夜 : 초저녁.(오경의 하나인 초경; 오후 7시부터 9시까지). 竟夜 : 밤새도록.
罔夜, 達夜 : 밤을 새움. 博夜 : 기나긴 밤.
審 : 살필 심. 자세히, 참으로, 만일, 만약.
覷 : 엿볼 처. 엿보다. 노리다. 보다. 거칠다. 촘촘하지 않다.
盤費 : 먼길을 오가는데 드는 돈. 여비. 易服 : 평상복. 易服微行 : 미복잠행하다. 평상복차림으로 암행하다.
行了三日,至成皋地方,天色向晚。操以鞭指林深處,謂宮曰:「此間有一人姓呂,名伯奢,是吾父結義弟兄;就
往問家中消息,覓一宿,如何?」宮曰:「最好。」二人至莊前下馬,入見伯奢。奢曰:「我聞朝廷遍行文書,捉
汝甚急,汝父已避陳留去了。汝如何得至此?」操告以前事,曰:「若非陳縣令,已粉骨碎身矣。」伯奢拜陳宮曰:
「小姪若非使君,曹氏滅門矣。使君寬懷安坐,今晚便可下榻草舍。」說罷,即起身入內。良久乃出,謂陳宮曰:
「老夫家無好酒,容往西村沽一樽來相待。」言訖,匆匆上驢而去。
皋 : 언덕 고/ 부를 호. 언덕, 못, 늪, 물가, 논. 5월. 후미. 성의 하나. 鼓腹하는 소리, 농락하다. 높다. 느리다. 늦추다. 고을 이름
榻 : 걸상 탑. 걸상, 평상, 책상, 탁자, 침상, 약한 모양, 거칠다. 모사하다.
下榻 : (중어사전). 투숙하다. [지식백과] 달아두었던 평상을 내림. 손님을 극진히 대접함. 懸榻 : 손님이 앉던 평상을 매달아 둠.
匆 : 바쁠 총/총명할 총 바쁘다. 급하다. 서두르다. 총명하다. 슬기롭다. 밝다.
驢 : 당나귀 려(여). 당나귀, 나귀.
操與宮坐久,忽聞莊後有磨刀之聲。操曰:「呂伯奢非吾至親,此去可疑,當竊聽之。」二人潛步入草堂後,但聞
人語曰:「縛而殺之,何如?」操曰:「是矣!今若不先下手,必遭擒獲。」遂與宮拔劍直入,不問男女,皆殺之,
一連殺死八口。搜至廚下,卻見縛一豬欲殺。宮曰:「孟德心多,誤殺好人矣!」急出莊上馬而行。行不到二里,
只見伯奢驢鞍前懸酒二瓶,手攜果菜而來,叫曰:「賢姪與使君何故便去?」操曰:「被罪之人,不敢久住。」
伯奢曰:「吾已分付家人宰一豬相款,賢姪、使君何憎一宿?速請轉騎。」
攜 : 이끌 휴. 이끌다. 끌다. 가지다. 들다. 유대하다. 잇다. 연하다. 떨어지다. 흩어지다.
操不顧,策馬便行。行不數步,忽拔劍復回,叫伯奢曰:「此來者何人?」伯奢回頭看時,操揮劍砍伯奢於驢下。
宮大驚曰:「適纔誤耳,今何為也?」操曰:「伯奢到家,見殺死多人,安肯干休?若率眾來追,必遭其禍矣。」
宮曰:「知而故殺,大不義也!」操曰:「寧教我負天下人,休教天下人負我。」陳宮默然。
當夜行數里,月明中敲開客店門投宿。喂飽了馬,曹操先睡。陳宮尋思:「我將謂曹操是好人,棄官跟他;原來是
個狠心之徒!今日留之,必為後患。」便欲拔劍來殺曹操。
喂 : 두려울 위/부르는 소리 외. 두렵다. 부르는 소리.
狠 : 사나울 한/원한 품을 항/ 물 간. 사납다. 패려궂다. (성질이)거세다. 개가 싸우는 소리. 매우, 심히.
[항]원한을 품다. 원한. [간] 물다. 패려궂다. 매우, 대단히.
正是:
設心狠毒非良士,
操卓原來一路人。
畢竟曹操性命如何,且聽下文分解。
'中國歷史와文學 > 三國志演義'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六回:焚金闕董卓行兇,匿玉璽孫堅背約 (0) | 2016.11.30 |
---|---|
第五回:發矯詔諸鎮應曹公,破關兵三英戰呂布 (0) | 2016.11.29 |
第三回:議溫明董卓叱丁原,餽金珠李肅說呂布 (0) | 2016.11.29 |
第二回:張翼德怒鞭督郵,何國舅謀誅宦豎 (0) | 2016.11.28 |
第一回:宴桃園豪傑三結義,斬黃巾英雄首立功 (0) | 2016.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