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六回:焚金闕董卓行兇,匿玉璽孫堅背約
卻說張飛拍馬趕到關下,關上矢石如雨,不得進而回。八路諸侯,同請玄德、關、張賀功,使人去袁紹寨中報捷。
紹遂移檄孫堅,令其進兵。
堅引程普,黃蓋,至袁術寨中相見。堅以杖畫地曰:「董卓與我,本無讎隙。今我奮不顧身,親冒矢石,來決死戰
者:上為國家討賊,下為將軍家門之私;而將軍卻聽讒言,不發糧草,致堅敗績,將軍何安!」
術惶恐無言,命斬進讒之人,以謝孫堅。忽人報堅曰:「關上有一將,乘馬來寨中,要見將軍。」堅辭袁術,歸到
本寨,喚來問時,乃董卓愛將李傕。堅曰:「汝來何為?」傕曰:「丞相所敬者,惟將軍耳。今特使傕來結親:丞
相有女,欲配將軍之子。」堅大怒,叱曰:「董卓逆天無道,蕩覆王室,吾欲夷其九族,以謝天下,安肯與逆賊結
親耶!吾不斬汝!汝當速去,早早獻關,饒你性命!倘若遲誤,粉骨碎身!」
蕩 : 방탕할 탕. 방탕(방종)하다. 흔들다. 움직이다. 방자하다. 광대하다. 넓고크다. 헌걸차다.용서하다. 씻다. 씻어내다.허물어뜨리다.
찌르다. 호리다. 유혹하다. 흘리다. 흐르게 하다. 큰대나무, 늪.
夷 : 오랑캐 이. 죽이다. 멸하다.
李傕抱頭鼠竄,回見董卓,說孫堅如此無禮。卓怒,問李儒。儒曰:「溫侯新敗,兵無戰心。不若引兵回洛陽,遷
帝於長安,以應童謠。
近日街市童謠曰:
『西頭一個漢,
東頭一個漢。
鹿走入長安,
方可無斯難。』
鼠竄 : (쥐새끼처럼) 허둥지둥 도망치다. 급히 내빼다. (竄 → 窜)
臣思此言,『西頭一個漢』,乃應高祖旺於西都長安,傳一十二帝;『東頭一個漢』,乃應光武旺於東都洛陽,
今亦傳一十二帝。天運合回,丞相遷回長安,方可無虞。」卓大喜曰:「非汝言,吾實不悟。」遂引呂布星夜回
洛陽,商議遷都。聚文武於朝堂,卓曰:「漢東都洛陽,二百餘年,氣數已衰。吾觀旺氣實在長安,吾欲奉駕西
幸。汝等各宜促裝。」
司徒楊彪曰:「關中殘破零落。今無故捐宗廟,棄皇陵,恐百姓驚動。天下動之至易,安之至難:望丞相鋻察。」
卓怒曰:「汝阻國家大計耶?」太尉黃琬曰:「楊司徒之言是也;往者王莽篡逆,更始赤眉之時,焚燒長安,盡為
瓦礫之地;更兼人民流移,百無一二;今棄宮室而就荒地,非所宜也。」卓曰:「關東賊起,天下播亂;長安有崤、
函之險;更近隴右,木石磚瓦,剋日可辦,宮室營造,不須月餘。汝等再休亂言。」司徒荀爽諫曰:「丞相若欲遷
都,百姓騷動不寧矣。」卓大怒曰:「吾為天下計,豈惜小民哉!」即日罷楊彪、黃琬、荀爽為庶民。
鋻 : 강철 견. 강철, 날을 담그다.
赤眉의 亂 : 前漢 末 왕망이 정권을 잡자 찬역하여 제위를 찬탈한후 국호를 新으로 바꾸고 漢의 모든 것을 바꾸려 하였는데 화폐를 바꾼것
이 28가지나 되어 크게 혼란이 일었다. 그후 제반 제도의 변경과 폭정으로 천하의 인심이 흉흉해지자 반란이 속출하였는데
낭야에서 일어난 번숭은 왕망의 군사와 구별하기 위하여 군사의 눈썹을 붉게 물들여 赤眉라 하였다. 이 것이 '적미의 난'이다.
그 후 漢 황실의 후예인 유수가 용릉에서 군사를 일으켜 곤양에서 왕망의 100만대군을 괴멸시킨 후 後漢시대를 열었다.
礫 : 조약돌 력(역)/뛰어날 락(낙). 조약돌, 자갈, 모래, 밝은 모양. 뛰어나다.
瓦礫 : 깨진 기와조각, 또는 기와와 자갈이라는 뜻으로 하찮은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崤 : 산이름 효(호). 산이름, 내이름.
磚 : 벽돌 전. 벽돌.
卓出上車,只見二人望車而揖;視之,乃尚書周毖、城門校尉伍瓊也。卓問有何事,毖曰:「今聞丞相欲遷都長安,
故來諫耳。」卓大怒曰:「我始初聽你兩個,保用袁紹;今紹已反,是汝等一黨!」叱武士推出都門斬首。遂下令
遷都,限來日便行。李儒曰:「今錢糧缺少,洛陽富戶極多,可籍沒入官。但是袁紹等門下,殺其宗黨而抄其家貲,
必得巨萬。」
卓即差鐵騎五千,遍行捉拏洛陽富戶,共數千家,插旗頭上,大書「反臣逆黨」,盡斬於城外,取其金貲。李傕,
郭汜,盡驅洛陽之民數百萬口,前赴長安。每百姓一隊,間軍一隊,互相拖押;死於溝壑者,不可勝數。又縱軍士
淫人妻女,奪人糧食;啼哭之聲,震動天地。如有行得遲者,背後三千軍催督,軍手執白刃,於路殺人。
卓臨行,教諸門放火,焚燒居民房屋,並放火燒宗廟宮府。南北兩宮,火焰相接;洛陽宮庭,盡為焦土。又差呂布
發掘先皇及后妃陵寢,取其金寶。軍士乘勢掘官民墳塚殆盡。董卓裝載金珠緞疋好物數千餘車,劫了天子並后妃等,
竟望長安去了。
驅 : 몰 구. (말을 타고)몰다. 빨리 달리다. 내쫒다. 내보내다. 몰아내다. 축출하다. 내침, 대열, 앞잡이.
焦土 : 불에 타고 그슬린 땅. 불타서 없어진 땅, 또는 그 남은 재.
卻說卓將趙岑,見卓已棄洛陽而去,便獻了汜水關。孫堅驅兵先入,玄德、關、張殺入虎牢關,諸侯各引軍入。
且說孫堅飛奔洛陽,遙望火焰沖天,黑煙鋪地,二三百里,並無雞犬人煙;堅先發兵救滅了火,令眾諸侯各於荒地
上屯住軍馬。曹操來見袁紹曰:「今董賊西去,正可乘勢追襲;本初按兵不動,何也?」紹曰:「諸兵疲困,進恐
無益。」操曰:「董賊焚燒宮室,劫遷天子,海內震動,不知所歸;此天亡之時也,一戰而天下定矣。諸侯何疑而
不進?」眾諸侯皆言不可輕動。操大怒曰:「豎子不足與謀!」遂自引兵萬餘,領夏侯惇,夏侯淵,曹仁,曹洪,
李典,樂進,星夜來趕董卓。
鋪 : 가게 포. 가게, 점포, 역참, 문고리. 펴다. 늘어놓다. 두루미치다. 베풀다. 퍼지다. 앓다.
且說董卓行至滎陽地方,太守徐榮出接。李儒曰:「丞相新棄洛陽,防有追兵。可教徐榮伏軍滎陽城外山塢之旁:
若有兵追來,可竟放過;待我這裏殺敗,然後截住掩殺。令後來者不敢復追。」卓從其計,又令呂布引精兵遏後。
布正行間,曹操一軍趕上。呂布大笑曰:「不出李儒所料也!」將軍馬擺開。曹操出馬,大叫:「逆賊!劫遷天子,
流徙百姓,將欲何往?」呂布罵曰:「背主懦夫,何得妄言!」夏侯惇挺鎗躍馬,直取呂布。戰不數合,李傕引一
軍,從左邊殺來,操急令夏侯淵迎敵。右邊喊聲又起,郭汜引軍殺到,操急令曹仁迎敵。三路軍馬,勢不可當。
夏侯惇抵敵呂布不住,飛馬回陣。布引鐵騎掩殺,操軍大敗,回望滎陽而走。走至一荒山腳下,時約二更,月明如
晝。方纔聚集殘兵。
滎 : 실개천 형. 실개천, 못이름. 물결이 일다.
塢 : 둑 오. 둑, 제방, 마을, 보루, 성채, 후미진 곳.
遏 : 막을 알. 막다. 저지하다. 가리다. 은폐하다. 끊다. 단절하다. 해치다. 손상하다.
擺 : 열 파/열 패. 열다. 벌여놓다. 흔들다. 털다. 옷의 아랫단.
腳 : 다리, 물건의 下部, 토대가 되는 것. 몸둘 곳, 지위. 밟다.
正欲埋鍋造飯, 只聽得四圍喊聲, 徐榮伏兵盡出。曹操慌忙策馬,奪路奔逃,正遇徐榮,轉身便走。榮搭上箭,射
中操肩膊。操帶箭逃命,轉過山坡。兩個軍士伏於草中,見操馬來,二鎗齊發,操馬中鎗而倒。操翻身落馬,被二
卒擒住。只見一將飛馬而來,揮刀砍死兩個步軍,下馬救起曹操。操視之,乃曹洪也。操曰:「吾死於此矣,賢弟
可速去!」洪曰:「公急上馬! 洪願步行。」操曰:「賊兵趕上,汝將奈何?」洪曰:「天下可無洪,不可無公。」
操曰:「吾若再生,汝之力也。」操上馬,洪脫去衣甲,拖刀跟馬而走。約走至四更餘,只見前面一條大河,阻住
去路,後面喊聲漸近。操曰:「命已至此,不得復活矣!」洪急扶操下馬,脫去袍鎧,負操渡水。纔過彼岸,追兵
已到,隔水放箭。操帶水而走。比及天明,又走三十餘里,土岡下少歇。忽然喊聲起處,一彪人馬趕來,卻是徐榮
從上流渡河來追。
鍋 : 노구솥 과. 노구솥(놋쇠로 만든 작은 솥), 냄비, 기름통.
搭 : 탈 탑. 타다. 태우다. 싣다. 치다. 대리다. 걸다. 매달다. 섞다. 박다. 베끼다.
膊 ; 팔뚝 박. 팔뚝, 포, 건육, 地境. 홰치는 소리. 책살하다.
卻是 : 실인즉, 알고본 즉, 그래도, 혹은.
操正慌急間,只見夏侯惇、夏侯淵引十數騎飛至,大喝:「徐榮勿傷吾主!」徐榮便奔夏侯惇,惇挺鎗來迎。交馬
數合,惇刺徐榮於馬下,殺散餘兵。隨後曹仁,李典,樂進,各引兵尋到;見了曹操,憂喜交集;聚集殘兵五百餘
人,同回河內。卓兵自往長安。
卻說眾諸侯分屯洛陽。孫堅救滅宮中餘火,屯兵城內,設帳於建章殿基上。堅令軍士掃除宮殿瓦礫。凡董卓所掘陵
寢,盡皆掩閉。於太廟基上,草創殿屋三間,請眾諸侯立列聖神位,宰太牢祀之。祭畢,皆散。堅歸寨中,是夜星
日交輝,乃按劍露坐,仰觀天文。見紫微垣中白氣漫漫,堅歎曰:「帝星不明,賊臣亂國,萬民塗炭,京城一空!」
言訖,不覺淚下。
太牢 : 大牢, 나라 제사때 소를 통째로 제물로 바치던 일. 처음에는 소, 돼지, 양을 아울러 바쳤음. 宰 : 잡다. 도살하다.
垣 : 담 원. 담, 담장. 울타리. 관아. 별자리. 별이름.
漫 : 질펀할 만. 질펀하다. 흩어지다. 방종하다. 가득차다. 넓다. 넘치다. 더럽(히)다. 멀다. 함부로. 漫漫 : 서리다. 넘치다.
傍有軍士指曰:「殿南有五色豪光起於井中。」堅喚軍士點起火把,下井打撈。撈起一婦人屍首,雖然日久,其屍
不爛,宮樣裝束,項下帶一錦囊。取開看時,內有硃紅小匣,用金鎖鎖著。啟視之,乃一玉璽:方圓四寸。上鑴五
龍交紐;傍缺一角,以黃金鑲之;上有篆文八字云:「受命於天,既壽永昌」。
撈 : 건질 로(노). 건지다. 잡다.
爛 : 문드러질 란/빛날 란. (썩어)문드러지다.(다쳐)피부가 헐다. 마음을 썩이다. 문드러지게하다.
硃 : 주사 주. 朱沙(붉은색 안료와 주묵의 원료로 쓰이는 광물). 붉은 먹.
鎖 : 쇠사슬 쇄. 쇠사슬, 자물쇠, 수갑, 가두다. 잠그다. 찡그리다. 지푸리다. 啟 : 啓의 본자. 열다.
鑴 : 솥 휴/새길 전. 솥, 독, 큰 종. 햇무히, 송곳. [전]새기다.[=鐫]
紐 : 끈 뉴. 끈, 인끈, 매다. 매듭, 근원하다. 주름, 맥, 비틀다. 꼭 쥠.
鑲 : 거푸집속 양. 거푸집 속, 소갈고리, 병기이름, 끼우다. 가선(의복의 가장자리를 딴헝겊으로 가늘게 싸서 돌린 선)두르다.
堅得璽,乃問程普。普曰:「此傳國璽也。此玉是昔日卞和於荊山之下,見鳳凰棲於石上,載而進之楚文王。解之,
果得玉。秦二十六年,令玉工琢為璽,李斯篆此八字於其上。二十八年,始皇巡狩至洞庭湖,風浪大作,舟將覆,
急投玉璽於湖而止。至三十六年,始皇巡狩至華陰,有人持璽遮道,與從者曰:『持此還祖龍。』言訖不見。此璽
復歸於秦。明年,始皇崩。後來子嬰將玉璽獻與漢高祖。後至王莽篡逆,孝元皇太后將璽打王尋,蘇獻,崩其一角,
以金鑲之。光武得此寶於宜陽,傳位至今。近聞十常侍作亂,劫少帝出北邙,回宮失此寶。今天授主公,必有登九
五之分。此處不可久留,宜速回江東,別圖大事。」堅曰:「汝言正合吾意。明日便當託疾辭歸。」商議已定,密
諭軍士勿得洩漏。
琢 : 다듬을 탁. 다듬다. 닦다. 연마하다. (부리로)쪼다. 꾸미다. 선택하다. 골라뽑다.
狩 : 사냥 수. 사냥하다. 정벌하다. 토벌하다. (제왕이)쫒겨나다. 순시하다. 사냥, 짐승, 순행(천자의 순찰). 임지, 임소.
祖龍 : 진시황제를 칭함. 語源은 사마천의 史記 <今年祖龍死>. 祖는 始의 뜻이며 龍은 임금의 상징으로 시황제를 칭하는 은어였다 함.
효원황태후. : 前漢 11대 원제의 황후. 왕망의 고모. 王氏에게는 8형제가 있었는데 그 중 왕만은 일찍죽어서 제후가 되지 못하였고 왕만의
아들은 어려서 고아가 되자 왕망을 매우 아껴 애정을 쏟았는데 12대 성제를 이은 애제가 죽자 왕망을 불러들여 정권을 맡
기고 평제를 즉위시켰다. 왕망은 그 후 인심을 얻어 권세가 커지자 평제를 즉위후 5년만에 독살하고 두살짜리 자영을 황제로
옹립한 후 섭정하다가 3년만에 찬탈하여 국호를 新이라 하였다. 이때 태황태후의 나이가 80이었는데 친정의 일족인 왕망이
찬역한데 대하여 크게 노하여 왕망의 사자가 옥새를 받으러 오자 옥새를 땅바닥에 내동댕이 쳐버렸는데 그 때 옥새의 일부
가 망가졌다.
九五 : 역괘에서 아래로부터 다섯번째 양효의 이름. 건괘의 구오가 임금의 지위를 뜻하는 상이라는 데서 임금의 지위를 일컫는 말.
誰想數中一軍,是袁紹鄉人,欲假此為進身之計,連夜偷出營寨,來報袁紹。紹與之賞賜,暗留軍中。次日,孫堅
來辭袁紹曰:「堅抱小疾,欲歸長沙,特來別公。」
紹笑曰:「吾知公疾乃害傳國璽耳。」堅失色曰:「此言何來?」紹曰:「今興民討賊,為國除害。玉璽乃朝廷之
寶,公既獲得,當對眾留盟主處,候誅了董卓,復歸朝廷。今匿之而去,意欲何為?」堅曰:「玉璽何由在吾處?」
紹曰:「建章殿井中之物何在?」堅曰:「吾本無之,何強相逼?」紹曰:「作速取出,免自生禍。」堅指天為誓
曰:「吾若果得此寶,私自藏匿,異日不得善終,死於刀箭之下!」眾諸侯曰:「文臺如此說誓,想必無之。」紹
喚軍士出曰:「打撈之時,有此人否?」堅大怒,拔所佩之劍,要斬那軍士。
紹亦拔劍曰:「汝斬軍士,乃欺我也。」紹背後顏良、文醜皆拔劍出鞘。堅背後程普,黃蓋,韓當,亦掣刀在手。
眾諸侯一齊勸住。堅隨即上馬,拔寨離洛陽而去。紹大怒,遂寫書一封,差心腹人連夜往荊州,送與刺史劉表,教
就路上截住奪之。
假 : 거짓, 가자, 임시, 일시, 가령, 이를테면, 틈, 틈새, 빌리다. 빌려주다. 용서하다. 너그럽다. 아름답다. 크다. [하]멀다. [격]이르다.
害 : 어찌 할(갈). 어찌 ~ 아니냐. 鞘 : 칼집 초. 칼집, 선후걸이, 말채찍의 끝.
次日,人報曹操追董卓,戰於滎陽,大敗而回。紹令人接至寨中,會眾置酒,與操解悶。飲宴間,操歎曰:「吾始
興大義,為國除賊。諸公既仗義而來,操之初意,欲煩本初引河內之眾,臨孟津,酸棗;諸君固守成皋,據廒倉,
塞轘轅、大谷,制其險要;公路率南陽之軍,駐丹、析,入武關,以震三輔:皆深溝高壘,勿與戰,益為疑兵,
示天下形勢,以順誅逆,可立定也。今遲疑不進,大失天下之望。操竊恥之!」紹等無言可對。
廒 : 곳집 오. 오막살이. 겨우.
轘 : 거열할 환. 거열하다. 거열. 산의 이름.
轅 : 끌채 원. 끌채 원. 끌채. 끌다.
震 : 우레진/임신할 신. 우레, 천둥, 벼락, 지진, 위엄, 위세, 동쪽, 괘의 이름. 나라이름. 벼락치다. (두려워)떨다. 흔들리다. 진동하다. 놀라다.
(위세를)떨치다. 성내다. (마음이)움직이다. 격동하다. 공경하다. 빠르다. [신]임신하다.
既而席散,操見紹等各懷異心,料不能成事,自引軍投揚州去了。公孫瓚謂玄德、關、張曰:「袁紹無能為也,久
必有變。吾等且歸。」遂拔寨北行。至平原,令玄德為平原相,自去守地養軍。兗州太守劉岱,問東郡太守喬瑁借
糧;瑁推辭不與,岱引軍突入瑁營,殺死喬瑁,盡降其眾。袁紹見眾人各自分散,就領兵拔寨,離洛陽,投關東去
了。
卻說荊州刺史劉表,字景升,山陽高平人也:乃漢室宗親;幼好結納,與名士七人為友,時號「江夏八俊」。
那七人:一一汝南陳翔,字仲麟;同郡范滂, 字孟博;魯國孔昱,字世元;渤海范康, 字仲真;山陽檀敷,字文友;
同郡張儉,字元節;南陽岑晊,字公孝。劉表與此七人為友;有延平人蒯良、蒯越,襄陽人蔡瑁為輔。當時看了袁
紹書,隨令蒯越、蔡瑁引兵一萬來截孫堅。
范 : 풀이름 범. 성의 하나, 법, 규범, 본보기, 모범, 거푸집. 고상한 태도. 한계. 풀이름. 법도에 맞다. 본받다. 주조하다.
滂 : 비퍼부을 방. 비가 퍼붓다. 죽죽 퍼붓다. 물흐르는 소리. 물이 질펀하게 흐르는 모양.
晊 : 클 질. 크다. 밝다.
蒯 : 기름새 괴. 기름새(볏과의 여러해살이 풀). 흙덩이. 땅의 이름. 새끼줄로 묶다.
堅軍方到,蒯越將陣擺開,當先出馬。孫堅問曰:「蒯英度何故引兵截吾去路?」越曰:「汝既為漢臣,如何私匿
傳國之寶?可速留下,放汝歸去!」堅大怒,命黃蓋出戰。蔡瑁舞刀來迎。鬥到數合,黃蓋揮鞭打瑁,正中護心鏡。
瑁撥回馬走,孫堅乘勢殺過界口。山背後金鼓齊鳴,乃劉表親自引軍來到。孫堅就馬上施禮曰:「景升何故信袁紹
之書,相逼鄰郡!」表曰:「汝匿傳國璽,將欲反耶?」堅曰:「吾若有此物,死於刀箭之下!」表曰:「汝若要
我聽信,將隨軍行李,任我搜看。」堅怒曰:「汝有何力,敢小覷我!」方欲交兵,劉表便退。堅縱馬趕去,兩山
後伏兵齊起,背後蒯越、蔡瑁趕來,將孫堅困在垓心。
當 : 마땅, 밑바탕, 바닥, 抵當, 갚음, 報酬, 갑자기, 이, 그. 마땅하다. (임무, 책임을)맡다. 당하다. 대하다. 주관하다. 주장하다. 필적하다.
짝하다. 균형되다. 어울리다. (때를)만나다. 당면하다. 막다. 지키다. 방어하다. 비기다. 비교하다. 벌주다. 단죄하다. 마주보다.
곧 ~하려하다.
撥 : 다스릴 발. 다스리다. 제거하다. 휘다. 치켜들다. 가지고 놀다. 파내다. 일으키다. 빚다. 휘저어뒤섞다. 현악기를 타다. 배를 젓다.
방패, 활, 상여줄, 배, 채.
李 : 오얏리. 오얏(나무), 심부름꾼, 벼슬아치, 도리, 별이름, 獄官.
正是:
玉璽得來無用處,
反因此寶動刀兵。
畢竟孫堅怎地脫身,且聽下文分解。
'中國歷史와文學 > 三國志演義'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八回:王司徒巧使連環計,董太師大鬧鳳儀亭 (0) | 2016.11.30 |
---|---|
第七回:袁紹磐河戰公孫,孫堅跨江擊劉表 (0) | 2016.11.30 |
第五回:發矯詔諸鎮應曹公,破關兵三英戰呂布 (0) | 2016.11.29 |
第四回:廢漢帝陳留為皇,謀董賊孟德獻刀 (0) | 2016.11.29 |
第三回:議溫明董卓叱丁原,餽金珠李肅說呂布 (0) | 2016.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