周頌 · 閔予小子之什
桓
綏萬邦,婁豐年, 온 나라가 평안하고 거듭 풍년이 드니,
天命匪解。 천명을 게을리하지 않음이로다.
桓桓武王,保有厥士, 굳세고 위대한 무왕이 그 선비들을 보유하니,
于以四方,克定厥家。 사방에 있어 능히 나라를 안정시키도다.
於昭于天,皇以間之。 오, 하늘에까지 빛이 이르니 황제가 대신케 하셨도다.
[註]
綏萬邦,婁豐年,天命匪解。桓桓武王,保有厥士,于以四方,克定厥家。於昭于天,皇以間之。
수만방, 루풍년, 천명비해。 환환무왕, 보유궐사, 우이사방, 극정궐가。 오소우천, 황이간지。
만방을 편하게 하시니 거듭 풍년이로다. 천명이 게을리하지 않는지라. 굳세고 굳센 무왕이 그 선비들을 보유하사 사방에 써
서 그 집안을 안정시키니 아, 하늘에까지 밝은지라. 황제가 이로써 대신하게 하셨다.
○賦也. 綏 安也. 桓桓 武貌. 大軍之後, 必有凶年, 而武王克商, 則除害以安天下. 故 屢獲豊年之祥, 傳 所謂周饑, 克殷而年豊, 是也. 然 天
命之於周, 久而不厭也. 故 此桓桓之武王, 保有其士而用之於四方, 以定其家, 其德, 上昭于天也. 間字之義, 未詳, 傳 曰間, 代也, 言君天
下, 以代商也. 此亦頌武王之功.
○賦이다. 綏는 편안함이다. 桓桓은 굳센 모양이다. 큰 軍事의 뒤에는 반드시 흉년이 있는데 武王이 상나라를 이기고는 해를 제거하여 천
하를 안정시킨 것이다. 그러므로 거듭하여 풍년의 상서로움을 얻었으니 傳에 이른바 ‘주나라가 흉년이 들었다가 은나라를 이기고 풍년
이 들었다’는 것이 이것이다. 그러나 천명이 주나라에 대하여 오래면서도 싫어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굳세고 굳센 무왕이 그 선비들
을 보유하여서 사방에 써서 그 집안을 안정시키셨으니 그 덕이 위로는 하늘에까지 밝혀진 것이다. 間의 뜻은 자세하지 아니하나 傳에
이르길 ‘間은 대신함이다.’ 했으니, 천하의 인군이 되어 상나라를 대신한 것이다. 이 또한 武王의 功을 칭송한 것이다.
桓一章 九句
春秋傳, 以此 爲大武之六章, 則今之篇次, 蓋已失其舊矣. 又篇內, 已有武王之諡, 則其謂武王時作者, 亦誤矣. 序 以爲講武類禡之詩, 豈後世
取其義, 而用之於其事也歟.
『春秋傳』에 이것을 大武의 6장이라 했으니, 곧 이 지금의 篇次는 이미 그 옛 것을 잃은 것이다. 또 篇內에 이미 武王의 諡號가 있으니,
곧 그 무왕 때에 지었다는 것도 또한 잘못된 것이다. 序에 講武(사냥하면서 무예를 익힘)하고 말에게 제사지낼 때 쓰는 종류의 시라 하였
으니, 아마도 후세에 그 뜻을 취하여 그 일에 썼나보다.
'詩經 > 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周頌 · 閔予小子之什 · 般 (1) | 2019.04.23 |
---|---|
周頌 · 閔予小子之什 · 賚 (0) | 2019.04.23 |
周頌 · 閔予小子之什 · 酌 (0) | 2019.04.23 |
周頌 · 閔予小子之什 · 絲衣 (0) | 2019.04.23 |
周頌 · 閔予小子之什 · 良耜 (0) | 2019.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