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四O. 楚世家[昭王]
昭王元年, 楚衆不説費無忌, 以其讒亡太子建, 殺伍奢子父與郤宛. 宛之宗姓伯氏子嚭及子胥皆奔呉, 呉兵數侵楚, 楚人怨無忌甚. 楚令尹子常1)誅無忌以説衆, 衆乃喜.
소왕 원년(元年), 초 나라 백성들은 모두 비무기를 싫어했다. 그의 모함으로 태자 건이 도망했고, 오사(伍奢) 부자와 극완(郤宛)이 죽었기 때문이었다. 완과 동성동본인 백씨(伯氏)의 아들 비(嚭)와 오자서는 모두 오나라로 도망쳤다. 오나라 군대가 여러 차례 초 나라에 쳐들어오자 초 나라 백성들은 비무기를 몹시 원망했다. 영윤 자상은 백성들의 환심을 사려고 비무기를 죽이니 백성들이 기뻐했다.
四年, 呉三公子2)奔楚, 楚封之以扞呉. 五年, 呉伐取楚之六、潜.3) 七年, 楚使子常伐呉, 呉大敗楚於予章.4)
4년, 오나라 공자 세 사람이 초 나라에 투항했다. 초 나라 왕은 그들에게 토지와 관직을 주고 오나라에 대항하게 했다. 5년, 오나라는 초 나라의 육읍(六邑)과 잠읍(潛邑)을 공격해 점령했다. 7년, 초 나라는 자상을 파견해 오나라를 공격했지만, 오나라 군대가 예장(豫章)에서 초 나라 군대를 크게 격퇴했다.
十年冬, 呉王闔閭、伍子胥、伯嚭與唐、蔡倶伐楚, 楚大敗, 呉兵遂入郢, 辱平王之墓, 以伍子胥故也. 呉兵之來, 楚使子常以兵迎之, 夾漢水陣. 呉伐敗子常, 子常亡奔鄭. 楚兵走, 呉乗勝逐之, 五戦及郢. 己卯, 昭王出奔. 庚辰, 呉人入郢.5)
10년 겨울, 오왕 합려(闔閭), 오자서(伍子胥), 백비(伯嚭)가 당(唐)나라, 채나라와 연합해 초 나라를 공격해 초 나라 군대를 대파하고, 영도(郢都)에 입성했다. 오나라 군사는 평왕의 무덤을 파헤쳐 시체에 채찍을 가하는 모욕을 주었으니, 이것은 오자서가 한 일이다.
오나라 군대가 쳐들어오자 초 나라는 자상을 보내어 응전하게 해 두 나라 군대는 한수(漢水)를 마주하고 진을 쳤다. 오나라 군대가 자상을 격퇴시키니, 자상은 정(鄭)나라로 도망쳤다. 초 나라 군대가 패해 후퇴하니, 오나라 군대는 승기를 타고 줄곧 추격해 다섯 번의 싸움을 거쳐서 영도로 쳐들어갔다. 기묘일(己卯日)에 소왕이 성을 벗어나 도망쳤다. 경진일(庚辰日)에 오나라 군대가 영도에 입성했다.
昭王亡也至雲夢. 雲夢不知其王也, 射傷王. 王走鄖.6) 鄖公之弟懐曰:「平王殺吾父,7) 今我殺其子, 不亦可乎?」鄖公止之, 然恐其弑昭王, 乃與王出奔随.8) 呉王聞昭王往, 即進撃随, 謂随人曰:「周之子孫封於江漢之閒者, 楚尽滅之.」欲殺昭王. 王従臣子綦乃深匿王, 自以為王, 謂随人曰:「以我予呉.」随人卜予呉, 不吉, 乃謝呉王曰:「昭王亡, 不在随.」呉請入自索之, 随不聴, 呉亦罷去.
소왕은 운몽(雲夢)으로 도망쳤다. 운몽 사람들은 그가 국왕인지 모르고 활을 쏘아 상처를 입혔다. 소왕이 운읍(鄖邑)으로 도망치니, 운공(鄖公)의 동생 회(懷)가 말했다. “평왕이 나의 부친을 죽였으니, 이제 우리가 그의 아들을 죽여도 되지 않겠습니까?” 운공은 그를 제지했으나 그가 소왕을 살해할까봐 걱정이 되어 소왕과 함께 수(隨)나라로 도망쳤다. 오나라 왕은 소왕이 도망갔다는 소식을 듣고, 그 즉시 수나라로 쳐들어와서 수나라 사람에게 “주(周)의 자손이 장강(長江)·한강(漢江) 지역의 제후에 봉해졌으나, 초 나라가 그들을 전부 없앴다.”라고 말하면서 소왕을 죽이려고 했다.
소왕의 시종 자기(子綦)가 소왕을 은밀하게 숨기고, 자신이 소왕으로 분장한 다음 수나라 사람에게 말했다. “나를 오나라 군대에 넘겨주시오.” 수나라 사람들이 점괘를 보니, 소왕을 오나라에 넘기는 것이 불길하다는 점괘가 나와 오나라 왕에게 거절하며 말했다. “소왕이 도망치고 수나라에 없습니다.” 오나라 군대가 성에 들어와 직접 수색하겠다고 요구했으나 수나라 사람들이 허락하지 않자, 오나라 군대도 철수했다.
昭王之出郢也, 使申鮑胥9)請救於秦. 秦以車五百乗救楚, 楚亦収余散兵, 與秦撃呉. 十一年六月, 敗呉於稷.10) 会呉王弟夫概見呉王兵傷敗, 乃亡帰, 自立為王. 闔閭聞之, 引兵去楚, 帰撃夫概. 夫概敗, 奔楚, 楚封之堂谿,11) 号為堂谿氏.
소왕은 영도에서 피신할 때, 신포서(申包胥)를 진(秦)나라에 보내어 구원병을 요청했다. 진나라는 전차 5백 대를 초 나라에 지원해 주고, 초 나라도 패잔병을 모아, 진나라 군대와 함께 오나라 군대를 공격했다. 11년 6월, 직(稷)에서 오나라 군대를 물리쳤다. 때마침 오나라 왕의 동생 부개(夫槪)가 오나라 왕의 군사들이 많은 사상자를 내고 패하는 광경을 보고 도망쳐서 스스로 오나라 왕이 되었다. 합려는 이 소식을 듣고 초 나라에서 후퇴해 부개를 공격했다. 부개는 패해 초 나라로 도망치자, 초 나라는 그를 당계(堂谿)에 봉하고 당계씨(堂谿氏)라 했다.
진나라에 병사를 요청하는 신포서(그림의 윗부분)
楚昭王滅唐12)九月, 帰入郢. 十二年, 呉复伐楚, 取番.13) 楚恐, 去郢, 北徙都鄀.14)
초 소왕이 당나라를 멸했다. 9월, 영도로 돌아왔다. 12년, 오나라가 다시 초 나라를 공격해 번읍(番邑)을 빼앗았다. 초 나라는 두려워해 영도를 버리고 북쪽 약읍(鄀邑)으로 천도했다.
十六年, 孔子相魯. 二十年, 楚滅頓,15) 滅胡.16) 二十一年, 呉王闔閭伐越. 越王句践射傷呉王, 遂死. 呉由此怨越而不西伐楚.
16년, 공자(孔子)가 노(魯)나라 국상(國相)에 임명되었다. 20년, 초 나라가 돈(頓)나라와 호(胡)나라를 멸했다. 21년, 오나라 합려가 월나라를 공격했다. 월나라 왕 구천(句踐)이 오나라 왕을 활로 쏘아, 오나라 왕은 부상을 입고 죽었다. 오나라는 이 때문에 월나라를 증오하고 다시는 서쪽으로 초 나라를 공격하지 않았다.
二十七年春, 呉伐陳, 楚昭王救之, 軍城父. 十月, 昭王病於軍中, 有赤雲如鳥, 夾日而蜚.17) 昭王問周太史, 太史曰:「是害於楚王, 然可移於将相.」将相聞是言, 乃請自以身祷於神. 昭王曰:「将相, 孤之股肱也, 今移禍, 庸去是身乎!」弗聴. 卜而河為祟, 大夫請祷河. 昭王曰:「自吾先王受封, 望不過江、漢,18) 而河非所獲罪也.」止不許. 孔子在陳, 聞是言, 曰:「楚昭王通大道矣. 其不失国, 宜哉!」
27년 봄, 오나라가 진(陳)나라를 공격하자, 초 소왕은 진나라에 구원병을 보내 성보에 진을 치게 했다. 10월, 소왕이 진중에서 병으로 쓰러졌는데, 하늘에 빨간 구름이 새처럼 태양을 끼고 날아가는 것 같았다. 소왕이 주 왕실 태사(太史)에게 물으니, 태사가 말했다. “이것은 대왕께 해로운 것입니다. 그러나 재난을 장군과 재상들에게 돌릴 수 있습니다.” 장군과 재상들이 이 말을 듣고 신에게 자신들이 소왕의 재난을 대신하게 해달라고 기도했다. 소왕은 “장군과 재상 여러분, 나의 어깨와 다리를 예로 듭시다. 지금 재난을 어깨와 다리로 옮긴다고 해서 내 몸의 병을 없앨 수 있겠소?”라고 말하면서 장군과 재상들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점괘로 병의 원인을 점쳐보니, 황하를 숭상해야 한다는 점괘가 나오자, 대부들이 하신(河神)에게 제사 지내며 소원을 빌었다. 소왕이 “나의 선조가 제후에 봉해진 이후로 제사를 지낸 강은 장강과 한수이고, 우리는 일찍이 황하 신에게 죄를 범한 적이 없다.”라고 말하면서 기도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공자(孔子)가 진(陳)나라에서 이 말을 듣고 “초 소왕은 대의를 통달하고 있으니, 나라를 잃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라고 말했다.
昭王病甚, 乃召諸公子大夫曰:「孤不佞, 再辱楚国之師, 今乃得以天寿終, 孤之幸也.」譲其弟公子申為王, 不可. 又譲次弟公子結, 亦不可. 乃又譲次弟公子閭, 五譲, 乃後許為王. 将戦, 庚寅, 昭王卒於軍中. 子閭曰:「王病甚, 舎其子譲群臣, 臣所以許王, 以広王意也. 今君王卒, 臣豈敢忘君王之意乎!」乃與子西、子綦謀, 伏師閉19)塗, 迎越女之子章立之,20) 是為恵王. 然後罷兵帰, 葬昭王.
소왕의 병이 더욱 심해지자 여러 공자와 대부들을 불러 말했다. “나는 재능이 없어 두 차례에 걸쳐 초 나라 군대에 굴욕을 당하기는 했지만, 지금 천수를 누리고 죽는 것이니 나의 행운이오.” 그는 큰아들 신(申)에게 왕위를 물려주려고 했으나 신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다시 둘째 아들 결(結)에게 물려주려고 했으나 그도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 다시 셋째 아들 여(閭)에게 다섯 번에 걸쳐 권해 겨우 국왕이 되겠다는 응답 받아냈다.
초 나라가 오나라와 교전하려고 할 때, 경인일(庚寅日)에 소왕이 군영(軍營)에서 죽었다. 공자 여가 말했다. “부왕의 병세가 위중해, 자신의 아들을 버려두고, 왕위를 신하들에게 양위하려고 하는 부왕의 말씀을 당시에 내가 받아들인 이유는 왕의 마음을 위로하고자 함이었습니다. 이제 왕께서 돌아가셨으니 내가 어떻게 감히 왕께서 양위하고자 하는 훌륭한 마음을 잊을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자서(子西)와 자기(子綦)와 상의해 몰래 군대를 파견해 월나라 여자가 낳은 아들 자장(子章)을 영접해 와서 왕위를 계승하게 하니, 이 사람이 혜왕(惠王)이다. 그런 다음 영도로 철수하고 소왕을 안장했다.
각주
1 正義名瓦. 左傳云嚢瓦伐呉.
2 索隠昭三十年, 二父公奔楚, 公子掩余奔徐, 公子燭庸奔鍾離. 此言三公子, 非也.
3 正義故六城在寿州安豊県南百三十二里, 偃姓, 皐陶之後所封也. 潜城, 楚之潜邑, 在霍山県東二百歩.
4 正義今洪州也.
5 集解春秋云十一月庚辰.
6 正義走音奏. 鄖音云. 括地志云:「安州安陸県城, 本春秋時鄖国城也.」
7 集解服虔曰:「父曼成然.」 正義成然立平王, 貪求無厭, 平王殺之.
8 正義括地志云:「随州城外古随国城. 随, 姫姓也.」又云:「楚昭王城在随州県北七里. 左傳云呉師入郢, 王奔随, 随人処之公宮之北, 即此城是也.」
9 集解服虔曰:「楚大夫王孫包胥.」
10 集解賈逵曰:「楚地也.」
11 正義(地理)[括地]志云:「堂谿故城在予州郾城県西八十有五里也.」
12 集解杜預曰:「義陽安昌県東南上唐郷.」 正義括地志云:「上唐郷故城在随州棗陽県東南百五十里, 古之唐国也. 世本云唐, 姫姓之国.」
13 正義片寒反, 又音婆. 括地志云:「饒州鄱陽県, 春秋時為楚東境, 秦為番県, 属九江郡, 漢為鄱陽県也.」
14 正義音若. 括地志云:「楚昭王故城在襄州樂郷県東北三十二里, 在故都城東五里, 即楚国故昭王徙都鄀城也.」
15 集解地理志曰:「汝南南頓県, 故頓子国.」 正義括地志云:「陳州南頓県, 故頓子国. 應劭云古頓子国, 姫姓也, 逼於陳, 後南徙, 故曰南頓也.」
16 集解杜預曰:「汝南県西北胡城.」 正義括地志云:「故胡城在予州郾城県界.」
17 集解杜預曰:「雲在楚上, 惟楚見之.」
18 集解服虔曰:「謂所受王命, 祀其国中山川為望.」 正義按:江, 荊州南大江也, 漢, 江也, 二水楚境内也. 河, 黄河, 非楚境也.
19 集解徐広曰:「一作『壁』.」
20 集解服虔曰:「閉塗, 不通外使也. 越女, 昭王之妾.」 索隠閉塗即攅塗也, 故下云恵王後即罷兵帰葬. 服虔説非. 正義左傳云「謀潜師閉塗」. 按:潜師, 密発往迎也;閉塗, 防断外冦也. 為昭王薨於軍, 嗣子未定, 恐有鄰国及諸公子之変, 故伏師閉塗, 迎越女之子章立為恵王也.
'中國歷史와文學 > 史記世家'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史記 卷四O. 楚世家[簡王] (0) | 2019.06.23 |
---|---|
史記 卷四O. 楚世家[惠王] (0) | 2019.06.23 |
史記 卷四O. 楚世家[平王] (0) | 2019.06.23 |
史記 卷四O. 楚世家[靈王] (0) | 2019.06.22 |
史記 卷四O. 楚世家[莊王] (0) | 2019.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