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中國歷史와文學/史記世家

史記 卷四O. 楚世家[簡王]

by 柳川 2019. 6. 23.

                                   卷四O. 楚世家[簡]



簡王元年, 北伐滅莒.1) 八年, 魏文侯、韓武子、趙桓子始列為諸侯.

 

간왕 원년, 북상해 거(莒)나라를 공격해 멸했다. 8년, 위 문후(魏文侯), 한 무자(韓武子), 조 환자(趙桓子)가 제후가 되었다.

 

二十四年, 簡王卒, 子声王當立.2) 声王六年, 盗殺声王, 子悼王熊疑立. 悼王二年, 三晉來伐楚, 至乗丘而還.3) 四年, 楚伐周. 鄭殺子陽. 九年, 伐韓, 取負黍. 十一年, 三晉伐楚, 敗我大梁、楡関.4) 楚厚賂秦, 與之平. 二十一年, 悼王卒, 子粛王臧立.

 

24년, 간왕이 죽고, 아들 성왕(聲王) 웅당(熊當)이 즉위했다. 성왕 6년, 강도가 성왕을 살해해 아들 도왕(悼王) 웅의(熊疑)가 즉위했다. 도왕 2년, 한 무자, 조 환자, 위 문후가 초 나라를 공격해 승구(乘丘)에까지 이르렀다가 철수했다. 4년, 초 나라가 주나라를 공격하고, 정나라가 자양(子陽)을 죽였다. 9년, 한(韓)나라를 공격해 부서(負黍)를 탈취했다. 11년 3월에 위 문후, 조 환자, 한 무자가 초 나라를 공격해 대량(大梁)과 유관(楡關)에서 초 나라 군대를 물리쳤다. 초 나라가 많은 재물을 진(秦)나라에 보내와서 강화를 맺었다. 21년, 도왕이 죽자 아들 숙왕(肅王) 장(藏)이 즉위했다.

 

粛王四年, 蜀伐楚, 取茲方.5) 於是楚為扞関以距之.6) 十年, 魏取我魯陽.7) 十一年, 粛王卒, 無子, 立其弟熊良夫, 是為宣王.

 

숙왕 4년, 촉(蜀)나라가 초 나라를 공격해 자방(玆方)을 빼앗았다. 이때 초 나라는 한관(扞關)을 보수해 촉나라를 방어했다. 10년, 위(魏)나라가 초 나라의 노양(魯陽)을 빼앗았다. 11년, 숙왕이 죽었으나 아들이 없어서 그의 동생 웅양부(熊良夫)가 왕위를 계승하니, 이 사람이 선왕(宣王)이다.

 

宣王六年, 周天子賀秦献公. 秦始复彊, 而三晉益大, 魏恵王、斉威王尤彊. 三十年, 秦封衛鞅於商, 南侵楚. 是年, 宣王卒, 子威王熊商立.

 

선왕 6년, 주 천자가 진 헌공(秦獻公)을 치하했다. 진(秦)나라가 중흥하고, 위 문후, 조 환자, 한 무자의 세력이 더욱 커지고, 위 혜왕(魏惠王)과 제 위왕(齊威王)이 더욱 강성했다. 30년, 진(秦)나라가 위앙(衛鞅)을 상(商)에 봉하고, 남쪽으로 초 나라를 침략했다. 이해에 선왕이 죽고, 아들 위왕(威王) 웅상(熊商)이 왕위에 올랐다.

 

威王六年, 周顕王致文武胙於秦恵王.

 

위왕 6년, 주 현왕(周顯王)이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에게 제사를 지낸 제육(祭肉)을 진 혜왕(秦惠王)에게 보냈다.

 

七年, 斉孟嘗君父田嬰欺楚, 楚威王伐斉, 敗之於徐州,8) 而令斉必逐田嬰. 田嬰恐, 張丑偽謂楚王曰:「王所以戦勝於徐州者, 田盼子不用也.9) 盼子者, 有功於国, 而百姓為之用. 嬰子弗善而用申紀. 申紀者, 大臣不附, 百姓不為用, 故王勝之也. 今王逐嬰子, 嬰子逐, 盼子必用矣. 复搏其士卒以與王遇,10) 必不便於王矣.」楚王因弗逐也.

 

7년, 제(齊)나라 맹상군(孟嘗君)의 부친 전영(田嬰)이 초 나라를 속였다. 초 위왕은 제나라를 공격해 서주(徐州)에서 제나라 군대를 물리치고 제나라에게 전영을 축출하게 위협했다. 전영이 두려워하자, 장축(張丑)이 거짓으로 초 나라 왕에게 말했다. “대왕이 서주에서 제나라를 이긴 원인은 제나라가 전반자(田盼子)를 등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반자는 제나라에 공이 있어 백성들이 그를 위해서 힘을 다합니다. 전영은 그를 싫어해 신기(申紀)를 등용했습니다. 신기는 대신들이 그를 가까이하지 않고, 백성들도 그를 위해서 애쓰지 않기 때문에 대왕이 제나라를 물리치실 수 있었습니다. 지금 대왕이 제나라에 전영을 축출하라고 한다면 전영이 쫓겨난 후 반자가 틀림없이 중용될 것입니다. 그가 제나라의 군대를 새롭게 정돈해 대왕과 싸운다면 대왕에게 불리할 것입니다!” 이런 까닭에 초 나라 왕은 전영을 축출하라는 요구를 다시는 들먹이지 않았다.

 

十一年, 威王卒, 子懐王熊槐立. 魏聞楚喪, 伐楚, 取我陘山.11)

 

11년, 위왕이 죽자, 아들 회왕(懷王) 웅괴(熊槐)가 왕위에 올랐다. 위나라는 초 나라 왕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초 나라를 공격해 초 나라의 형산(陘山)을 빼앗았다.

 

각주

1 正義括地志云:「密州莒県, 故国也.」言「北伐」者, 莒在徐、泗之北.

2 正義謚法云「不生其国曰声」也.

3 集解徐広曰:「年表三年帰楡関于鄭.」 正義年表云:三晉公子伐我, 至乗丘, 誤也, 已解在年表中. (地理志)[括地志]云「乗丘故城在袞州瑕丘県西北三十五里」是也.

4 索隠此楡関當在大梁之西也.

5 索隠地名, 今闕. 正義古今地名云:「荊州松滋県古鳩茲地, 即楚茲方是也.」

6 集解李熊説公孫述曰:「東守巴郡, 距扞関之口.」 索隠按:郡国志巴郡魚复県有扞関.

7 集解地理志云南陽有魯陽県. 正義括地志云:「汝州魯山本漢魯陽県也. 古魯県以古魯山為名也.」

8 集解徐広曰:「時楚已滅越而伐斉也. 斉説越, 令攻楚, 故云斉欺楚.」

9 索隠盼子, 嬰之同族.

10 索隠搏音膊, 亦有作「附」読. 戦国策作「整」.

11 正義括地志云:「陘山在鄭州新鄭県西南三十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