卷四四. 魏世家[文侯]
桓子之孫曰文侯都.1) 魏文侯元年, 秦霊公之元年也. 與韓武子、2)趙桓子、周威王同時.
환자의 손자는 문후도(文侯都)이다. 위 문후(魏文侯) 원년은 진 영공(秦靈公) 원년이다. 이는 한무자(韓武子), 조환자(趙桓子), 주 위왕(周威王) 등과 같은 시대이다.
六年, 城少梁. 十三年, 使子撃囲繁、龐, 出其民. 十六年, 伐秦, 築臨晉元里.
위 문후 6년에는 소량(少梁)에 성을 축성했다. 13년에는 자격(子擊)으로 하여금 번(繁), 방(龐) 땅을 공격하게 해 그곳 주민들을 몰아냈다. 16년에는 진(秦)나라를 정벌해, 임진(臨晉), 원리(元里)에 성을 축조했다.
十七年, 伐中山, 使子撃守之, 趙倉唐傅之. 子撃逢文侯之師田子方於朝歌, 引車避, 下謁. 田子方不爲禮. 子撃因問曰:「富貴者驕人乎? 且貧賤者驕人乎?」子方曰:「亦貧賤者驕人耳. 夫諸侯而驕人則失其國, 大夫而驕人則失其家. 貧賤者, 行不合, 言不用, 則去之楚、越, 若脫屣然, 柰何其同之哉!」子撃不懌而去. 西攻秦, 至鄭而還, 築雒陰、合陽.3)
17년에는 중산(中山)을 토벌해 자격(子擊)으로 하여금 이를 지키게 했고, 조창당(趙倉唐)으로 하여금 보좌하게 했다. 자격이 조가(朝歌)에서 위 문후의 사부 전자방(田子方)을 만났다. 자격이 수레를 비키게 하고, 수레에서 내려서 그를 배알했다. 전자방이 답례를 하지 않았다.
자격이 그에게 물어 말하기를 “부귀한 사람이 남을 교만하게 대합니까? 아니면 빈천한 사람이 남을 교만하게 대합니까?”라고 물으니, 자방이 말하기를 “원래는 빈천한 사람만이 남을 교만하게 대할 뿐입니다. 대저 제후가 남을 교만하게 대한다면 그 나라를 잃을 것이며, 대부가 남을 교만하게 대한다면 제 집을 잃을 것입니다. 빈천한 사람은 행동함에 그 왕의 뜻에 합치하지 못하며, 진언을 함에 왕의 쓰임을 받지 못하니, 그를 떠나서 초(楚), 월(越) 나라로 가기를 마치 신을 벗듯이 할 것입니다. 그러니 어떻게 이들을 같게 볼 수 있겠습니까!”라 했다.
자격이 불쾌해 하며 그를 떠났다. 이해에 위나라는 서쪽으로 진(秦)나라를 공격해, 정(鄭) 땅에 이르러서 철군했다. 낙음(洛陰), 합양(合陽)에 성을 축조했다.
二十二年, 魏、趙、韓列為諸侯.
위 문후 22년에는 위(魏), 조(趙), 한(韓)이 제후의 대열에 들었다.
二十四年, 秦伐我, 至陽狐.4)
위 문후 24년에는 진(秦)나라가 위(魏)나라를 공격해 양호(陽狐)까지 진격했다.
二十五年, 子撃生子罃.5)
위 문후 25년에는 자격이 자앵(子罃)을 낳았다.
文侯受子夏経藝, 客段干木, 過其閭, 未嘗不軾也.6) 秦嘗欲伐魏, 或曰:「魏君賢人是礼, 国人称仁, 上下和合, 未可図也.」文侯由此得誉於諸侯.
위 문후가 자하(子夏)로부터 경서를 수학했고, 단간목(段干木)을 객(客)으로 대접하면서, 그의 고을을 지날 때면 목례를 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진(秦)나라가 위(魏)나라를 공격하려고 한 적이 있는데, 어떤 이가 말하기를 “위나라의 왕은 예로써 현인(賢人)을 환대해 나라 사람들이 모두 어질다고 하고,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잘 융화되어 침략할 만하지 않습니다.”라 했다. 문후는 이 때문에 제후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었다.
任西門豹守鄴, 而河内7)称治.
위 문후는 서문표(西門豹)로 하여금 업(鄴) 땅을 통치하게 해 하내(河內)가 잘 다스려졌다.
魏文侯謂李克曰:「先生嘗教寡人曰『家貧則思良妻, 国亂則思良相』. 今所置非成則璜,8) 二子何如?」李克対曰:「臣聞之, 卑不謀尊, 疏不謀戚. 臣在闕門之外, 不敢當命.」文侯曰:「先生臨事勿譲.」李克曰:「君不察故也. 居視其所親, 富視其所與, 達視其所挙, 窮視其所不為, 貧視其所不取, 五者足以定之矣, 何待克哉!」文侯曰:「先生就舎, 寡人之相定矣.」李克趨而出, 過翟璜之家. 翟璜曰:「今者聞君召先生而卜相, 果誰為之?」李克曰:「魏成子為相矣.」翟璜忿然作色曰:「以耳目之所睹記, 臣何負於魏成子? 西河之守, 臣之所進也. 君内以鄴爲憂, 臣進西門豹. 君謀欲伐中山, 臣進樂羊. 中山以拔, 無使守之, 臣進先生. 君之子無傅, 臣進屈侯鮒. 臣何以負於魏成子!」李克曰:「且子之言克於子之君者, 豈將比周以求大官哉? 君問而置相『非成則璜, 二子何如』?克対曰:『君不察故也. 居視其所親, 富視其所與, 達視其所挙, 窮視其所不為, 貧視其所不取, 五者足以定之矣, 何待克哉!』是以知魏成子之為相也. 且子安得與魏成子比乎? 魏成子以食祿千鍾, 什九在外, 什一在内, 是以東得卜子夏、田子方、段干木. 此三人者, 君皆師之. 子之所進五人者, 君皆臣之. 子惡得與魏成子比也?」翟璜逡巡再拜曰:「璜, 鄙人也, 失対, 願卒爲弟子.」
위 문후가 이극(李克)에게 말하기를 “선생께서 일찍이 과인을 가르치시며 말씀하시기를 ‘집안이 가난하면 양처를 그리게 되고, 나라가 혼란하면 훌륭한 재상을 그리게 된다.’라고 하셨습니다. 지금 위나라의 재상을 임명함에 성자(成子) 아니면 적황(翟璜)인데, 두 사람이 어떠합니까?”
이극이 대답해 말하기를 “제가 듣기로는 비천한 자가 존귀한 사람을 평하지 않고, 소원한 사람이 가까운 사람을 평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저는 궐문 밖에 있는데, 감히 왕의 명을 받들 수 없습니다.”라고 하니, 문후가 말하기를 “선생께서는 일에 임해서 사양하지 마십시오.”라 했다.
이극이 말하기를 “왕께서 세밀히 관찰하지 않으신 까닭입니다. 평소에 지낼 때에는 그의 가까운 사람들을 살피고, 부귀할 때에는 그와 왕래가 있는 사람을 살피고, 관직에 있을 때에는 그가 천거한 사람을 살피고, 곤궁한 상황에서는 그가 하지 않는 일을 살피고, 어려울 때에는 그가 취하지 않는 것을 살피십시오. 이 다섯 가지만 살피면 족히 인선을 하실 수 있으신데, 어찌 저의 조언을 기다리십니까!”라고 하니, 문후가 말하기를 “선생께서는 관부로 돌아가십시오. 과인의 재상은 정해졌습니다.”라 했다.
이극이 급히 나와서, 적황의 집을 방문했다. 적황이 말하기를 “지금 듣자하니 왕께서 선생을 불러 재상선임 문제를 물었다고 하는데, 도대체 누구를 재상으로 정했습니까?”라고 하니, 이극이 말하기를 “위 성자(魏成子)가 재상이 되었습니다.”라 했다.
이에 적황이 분노한 기색을 하며 말하기를 “귀로 듣고 눈으로 볼 때, 제가 어찌 위 성자보다 못합니까? 서하(西河)의 군수는 제가 천거했습니다. 왕께서 내심 업 땅 때문에 근심하실 때, 제가 서문표를 추천했습니다. 왕께서 중산을 정벌하려고 하실 때, 제가 악양(樂羊)을 천거했습니다. 중산을 토벌한 후에는 이를 지킬 사람을 찾지 못해, 제가 선생을 추천했습니다. 태자가 사부(師傅)가 없어, 제가 굴후부(屈侯鮒)를 추천했습니다. 제가 어찌 위 성자만 못하겠습니까!”라고 하니, 이극이 말하기를 “그대가 그대의 왕에게 나를 진언한 것이 어찌 장차 큰 벼슬을 구하기 위함이었겠습니까? 왕께서 재상 정하는 문제에 대해서 물으시기를 ‘성자(成子) 아니면 적황인데, 두 사람이 어떠합니까?’라고 하셔서 제가 대답해 말하기를 ‘임금께서 세밀히 관찰하지 않으신 까닭입니다.
평소에 지낼 때에는 그의 가까운 사람들을 살피고, 부귀할 때에는 그와 왕래가 있는 사람을 살피고, 관직에 있을 때에는 그가 천거한 사람을 살피고, 곤궁한 상황에서는 그가 하지 않는 일을 살피고, 어려울 때에는 그가 취하지 않는 것을 살피십시오. 이 다섯 가지만 살피면 족히 인선을 하실 수 있으신데, 어찌 저의 조언을 기다리십니까!’라고 했습니다.
이 때문에 위 성자가 재상이 된 것을 알았습니다. 또한 그대가 어찌 위 성자와 견줄 만하다는 말입니까? 위 성자는 식록(食祿)이 천종(千鍾)인데, 그중 10분의 9는 밖에서 쓰고, 10분의 1만을 집에서 사용했기에 동쪽에서 복자하(卜子夏), 전자방(田子方), 단간목(段干木) 등 세 사람을 얻었습니다. 이 세 사람은 모두 왕께서 스승으로 삼았습니다. 그대가 올린 다섯 사람은 왕께서 모두 신하로 삼았습니다. 그대가 어찌 위 성자와 비교할 수 있다는 말입니까?”라 했다. 적황이 멈칫거리다 절을 두 번 올리며 말하기를 “제가 비천한 사람입니다. 선생에 대한 대답이 부당했습니다. 원컨대 평생토록 선생님의 제자가 되겠습니다.”라 했다.
二十六年, 虢山崩, 壅河.9)
26년에는 괵산(虢山)이 무너져서 황하를 막아버렸다.
三十二年, 伐鄭. 城酸棗. 敗秦于注.10) 三十五年, 斉伐取我襄陵.11) 三十六年, 秦侵我陰晉.12)
32년에는 정(鄭)나라를 공격했다. 산조(酸棗)에 성을 축조했다. 주(注) 읍에서는 진(秦)나라 군사를 물리쳤다. 35년에는 제나라 군이 위나라의 양릉(襄陵)을 점령했다. 36년에는 진나라 군사가 위나라의 음진(陰晉)을 침공했다.
각주
1 集解徐広曰:「世本曰斯也.」 索隠系本云「桓子生文侯斯」, 其傳云「孺子■是魏駒之子」, 與此系代亦不同也.
2 索隠系本「武子名啓章, 康子之子桓子名嘉襄子之子.」
3 正義雒, 漆沮水也, 城在水南. 郃陽, 郃水之北. 括地志云:「郃陽故城在同州河西県南三里. 雒陰在同州西也.」
4 正義括地志云:「陽狐郭在魏州元城県東北三十里也.」
5 索隠乙耕反. 撃, 武侯也. 罃, 恵王也.
6 正義過, 光臥反. 文侯軾干木閭也. 皇甫謐高士傳云:「木, 晉人也, 守道不仕. 魏文侯欲見, 造其門, 干木踰牆避之. 文侯以客礼待之, 出過其閭而軾. 其僕曰:『君何軾?』曰:『段干木賢者也, 不趣勢利, 懐君子之道, 隠処窮巷, 声馳千里, 吾安得勿軾! 干木先乎徳, 寡人先乎勢;干木富乎義, 寡人富乎財. 勢不若徳貴, 財不若義高.』又請為相, 不肯. 後卑己固請見, 與語, 文侯立倦不敢息.」淮南子云:「段干木, 晉之大駔, 而為文侯師.」呂氏春秋云:「魏文侯見段干木, 立倦而不敢息. 及見翟璜, 踞於堂而與之言. 翟璜不悦. 文侯曰:『段干木, 官之則不肯, 祿之則不受. 今汝欲官則相至, 欲祿則上卿至, 既受吾賞, 又責吾礼, 無乃難乎?』」
7 索隠按:大河在鄴東, 故名鄴為河内. 正義古帝王之都多在河東、河北, 故呼河北為河内, 河南為河外. 又云河従竜門南至華陰, 東至衛州, 折東北入海, 曲繞冀州, 故言河内云也.
8 集解徐広曰:「文侯弟名成.」
9 集解徐広曰在陝. 駰案:地理志曰弘農陝県故虢国. 北虢在大陽, 東虢在滎陽. 正義括地志云:「虢山在陝州陝県西二里, 臨黄河. 今臨河有岡阜, 似是穨山之余也.」
10 集解司馬彪曰:「河南梁県有注城也.」 正義括地志云:「注城在汝州梁県西十五里. 注, 或作『鋳』也.」
11 集解徐広曰:「今在南平陽県也.」
12 集解徐広曰:「今之華陰.」 索隠按:年表作「斉侵陰晉」. 秦本紀云「恵王六年, 魏納陰晉, 更名曰寧秦」. 徐氏云「今之華陰也」.
'中國歷史와文學 > 史記世家'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史記 卷四四. 魏世家[惠王] (0) | 2019.06.23 |
---|---|
史記 卷四四. 魏世家[武侯] (0) | 2019.06.23 |
史記 卷四四. 魏世家[献子 · 魏侈] (0) | 2019.06.23 |
史記 卷四四. 魏世家[武子 · 魏絳] (0) | 2019.06.23 |
史記 卷四四. 魏世家[魏의 선조와 畢萬] (0) | 2019.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