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11章
子曰, 「富而可求也, 雖執鞭之士, 吾亦爲之。 如不可求, 從吾所好。」
공자가 말씀하셨다.
“만약 부(富)가 추구해서 얻어지는 것이라면 나는 채찍 잡는 천한 일이라도 하겠지만, 만일 추구해도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면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겠다.”
○執鞭 賤者之事. 設言富若可求 則雖身爲賤役以求之, 亦所不辭. 然 有命焉, 非求之可得也, 則安於義理而已矣, 何必徒取辱哉.
○蘇氏曰, 聖人 未嘗有意於求富也, 豈問其可不可哉. 爲此語者 特以明其決不可求爾. 楊氏曰, 君子非惡富貴而不求, 以其在天, 無可求之道也.
○채찍을 잡는다는 것(마부)은 천한 자의 일이라. 가설하여 말하건대 부자를 만약 구할진댄 비록 몸이 천한 일을 하여서 써 구할지라도 또한 사양하지 않을 바이라. 그러나 명에 있고, 구하여 가히 얻지 못할진댄 곧 의리에 편안히 할 뿐이니 어찌 반드시 한갓 욕을 취하리오.
○소씨 가로대 성인이 일찍이 부를 구함에 뜻을 두지 아니하셨으니 어찌 그 가하다 불가하다를 물으시리오. 이 말씀을 하신 것은 특별히 써 그 결코 가히 (부를 욕심으로) 구하지 못함을 밝히심이라. 양씨 가로대 군자가 부귀를 미워하고 구하지 않는 것이 아니오, 그것이 하늘에 있어서 가히 구하는 방도가 없어서 일새니라.
第12章
子之所愼, 齊戰疾。
공자께서 특히 염두에 두신 것은 제계(齊戒)와 전쟁과 질병이었다.
○齊之爲言齊也, 將祭而齊其思慮之不齊者, 以交於神明也. 誠之至與不至, 神之享與不享, 皆決於此, 戰則衆之死生 國之存亡 繫焉, 疾 又吾身之所以死生存亡者, 皆不可以不謹也.
○尹氏曰, 夫子無所不謹, 弟子記其大者耳.
○재계한다 말한 것은 가지런히 함이니 장차 제사를 지내려 함에 그 생각이 가지런하지 아니함을 가지런히 하여 써 신명과 교통함이라. 정성의 지극함과 더불어 지극하지 못함과 신의 흠향과 흠향하지 아니함이 다 이에 결정되고, 전쟁인즉 많은 사람의 사생과 나라의 존망이 매어 있고, 병은 또한 내 몸의 써 사생과 존망인 바이니(달려있으니) 다 가히 써 삼가지 아니치 아니하니라.
○윤씨 가로대 부자가 삼가지 아니한 바가 없으시나 제자가 그 큰 것을 기록함이라.
第13章
子在齊聞韶, 三月不知肉味, 曰, 「不圖爲樂之至於斯也。」
공자께서 제(齊)나라에 계실 때 소(韶 : 순 임금의 음악)를 들으시고 배우는 석달 동안 고기맛을 잊으셨다. 그리고 나서 말씀하셨다.
“순 임금께서 만드신 음악이 이렇게까지 아름다울 줄은 생각도 못했다.”
\
☞史記의 기록
與齊太師語樂, 聞韶音, 學之, 三月不知肉味, 齊人稱之. <史記 孔子世家>
○史記 三月上有學之二字. 不知肉味 蓋心一於是 不及乎他也. 曰不意舜之作樂至於如此之美, 則有以極其情文之備, 而不覺其歎息之深也, 蓋非聖人 不足以及此.
○范氏曰, 韶盡美又盡善, 樂之無以加此也. 故 學之三月 不知肉味, 而歎美之如此, 誠之至, 感之深也.
○사기에 삼월이란 위에 ‘학지’라는 두 글자가 있느니라(그러면 ‘삼 개월을 배우는 동안’으로 해석해야 한다). 고기 맛을 아지 못한다는 것은 대개 마음이 이에 한결 같아서 다른데는 미치지 아니함이라. 가라사대 순임금이 지은 음악이 이와 같이 아름다운 데에 이를 줄은 뜻하지 아니했다 하시니 그 감정과 소리(음악의 문장은 소리 곧 音)의 갖추어짐이 지극하야 그 탄식의 깊음을 깨닫지 못하시니 대개 성인이 아니면 족히 써 이에 미치지 못하느니라.
○범씨 가로대 소는 아름다움을 다하고 또한 선을 다했으니 음악의 써 이에 더할 것이 없느니라. 그러므로 배운 지 석달을 고기맛을 아지 못하고 아름다움을 탄식하심이 이와 같으니 정성의 지극함이오, 감정(감동)의 깊음이라.
第14章
冉有曰, 「夫子爲衛君乎?」 子貢曰, 「諾, 吾將問之。」 入曰, 「伯夷叔齊 何人也?」 曰, 「古之賢人也。」
曰, 「怨乎?」 曰, 「求仁而得仁, 又何怨?」 出曰, 「夫子 不爲也。」
염유가 말하였다. “선생님께서 위(衛) 나라 군주를 도우실까?”
자공이 말하였다. “좋아, 내가 한번 여쭈어 보지.”
들어가서 물었다. “백이와 숙제는 어떤 사람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날 현인(賢人)들이시다.”
다시 물었다.
“나라를 양보한 것을 후회했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인(仁)을 추구하다 인을 얻었는데, 다시 무엇을 후회했겠느냐.”
자공이 나와서 말하였다. “선생님께서는 돕지 않으실 거네.”
○爲 猶助也. 衛君 出公輒也. 靈公 逐其世子蒯聵, 公 薨而國人立蒯聵之子輒. 於是 晉納蒯聵而輒拒之. 時孔子居衛, 衛人以蒯聵得罪於父, 而輒嫡孫當立. 故冉由疑而問之. 諾 應辭也.
聵 : 배냇귀머거리 외
○위는 도움과 같음이라. 위군은 출공 첩이라. 영공(출공의 할아버지)이 그 세자 괴외를 쫓아내더니 공(영공)이 죽음이 나라 사람이 괴외의 아들 첩을 세우도다. 이에 진나라가 괴외를 받아들이려 하니 첩이 막았느니라. 이때에 공자가 위나라에 거하실 때에 위나라 사람이 괴외로써 아버지에게 죄를 얻었다하고 첩으로 적손이라 마땅히 세움이라. 그러므로 염유가 의심을 갖고 물으니라. 낙은 그렇다라는 말이라.
入曰, 「伯夷叔齊 何人也?」 曰, 「古之賢人也。」曰, 「怨乎?」 曰, 「求仁而得仁, 又何怨?」 出曰, 「夫子 不爲也。」
들어가서 물었다. “백이와 숙제는 어떤 사람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날 현인(賢人)들이시다.”
다시 물었다.
“나라를 양보한 것을 후회했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인(仁)을 추구하다 인을 얻었는데, 다시 무엇을 후회했겠느냐.”
자공이 나와서 말하였다. “선생님께서는 돕지 않으실 거네.”
○伯夷叔齊 孤竹君之二子. 其父 將死 遺命立叔齊, 父卒 叔齊遜伯夷, 伯夷曰父命也. 遂逃去, 叔齊亦不立而逃之. 國人立其中子, 其後 武王伐紂, 夷齊扣馬而諫, 武王 滅商夷齊恥食周粟, 去隱于首陽山. 遂餓而死. 怨 猶悔也. 君子居是邦, 不非其大夫 況其君乎, 故 子貢 不斥衛君, 而以夷齊 爲問, 夫子告之如此, 則其不爲衛君 可知矣. 蓋伯夷 以父命爲尊, 叔齊以天倫爲重, 其遜國也 皆求所以合乎天理之正, 而卽乎人心之安. 旣而各得其志焉, 則視棄其國 猶敝蹝爾, 何怨之有. 若衛輒之據國拒父, 而唯恐失之 其不可同年而語 明矣.
○程子曰, 伯夷叔齊 遜國而逃, 諫伐而餓, 終無怨悔, 夫子以爲賢. 故知其不與輒也.
○백이숙제는 고죽군의 두 아들이라. 그 아버지가 장차 죽을 적에 유명함에 숙제를 세우라 하더니 아비가 죽음에 숙제가 백이에게 사양한대, 백이 가로대 아버지 명이라 하고 마침내 도망하니 숙제 또한 서지 아니하고 도망를 간대 나라 사람이 그 가운데 아들을 세우니라. 그 뒤 무왕이 주를 침에 백이 숙제가 말을 붙들고 두들기면서 (以臣伐君하지 못한다고) 간하더니, 무왕이 상나라를 멸함에 백이 숙제가 주나라 곡식을 먹음이 부끄럽다고 하여 떠나가 수양에서 은거하다가 마침내 굶어 죽었다. 원은 뉘우침과 같으니라. 군자가 이 나라에 거하여 그 대부도 그르니 아니하온, 하물며 그 인군이랴. 그러므로 자공이 위군을 배척하지 아니하고 백이 숙제로 묻게 되었거늘(군자가 그 나라에 거함에 정치에 대해 이렇다 저렇다 간섭하지 아니하거늘, 하물며 위나라 임금을 직접 들어 묻겠는가. 그러므로 자공이 백이 숙제로써 넌지시 공자의 의중을 헤아린 것이다), 공자가 이와 같이 가르쳐주시니 곧 그 위군을 위하지 아니함이 가히 알만하니라. 대개 백이는 아버지 명으로써 존귀함을 삼고, 숙제는 천륜으로써 중함을 삼으니, 그 나라를 사양함이 다 써한 바 천리의 바름에 합하고 인심의 편안함에 나아감이오, 이미 각각 그 뜻을 얻어서는 그 나라 버리기를 마치 떨어진 짚신짝처럼 보았으니 어찌 원망이 있으리오. 위나라 첩같이 나라에 웅거하면서 아비를 막고 오직 잃을까 두려워함은 그 가히 동년하여(본래는 同甲이란 뜻으로 同席과 통한다. 곧 한 자리에 두고) 말하지 못함이 밝음이라.
○정자 가라사대 백이 숙제는 나라를 사양하며 도망쳤고, 정벌함을 간하고 굶어 죽었으되 마침내 원망과 후회가 없었으니 부자가 써 어질다고 하시니라. 그러므로 그 첩을 도와주지 않음을 알 수 있음이라.
蹝 : 짚신 사. 천천히 걷다. 서행(徐行)함. 밟다. 신음.
☞ 參考
<述而 第10. 參考>에 衛나라 君主위를 놓고 부자간에 내분이 일어나 그 와중에 子路가 죽은 顚末이 인용되어 있다.
<史記 衛康叔世家>, <雍也 第26. 參照>
第15章
子曰, 「飯疏食飮水, 曲肱而枕之, 樂亦在其中矣。 不義而富且貴, 於我如浮雲。」
공자가 말씀하셨다.
“거친 밥을 먹고 물을 마시며 팔을 베고 잠들더라도 그 안에 즐거움이 있다. 불의로 얻은 부귀는 나에게 뜬구름과 같다.”
○飯 食之也. 疏食 麤飯也. 聖人之心 渾然天理, 雖處困極, 而樂亦無不在焉, 其視不義之富貴, 如浮雲之無有, 漠然無所動於其中也. 程子曰, 非樂疏食飮水也. 雖疏食飮水 不能改其樂也, 不義之富貴 視之輕如浮雲然. 又曰須知所樂者何事.
○반은 먹음이라. 소사는 추한 밥이라. 성인의 마음은 천리가 혼연하여 비록 곤궁에 처하더라도 즐거움이 또한 있지 않음이 없으니 그 불의한 부귀 봄을 뜬구름이 있으면서도 없는 것같이 하여 막연하게 그 속에 동하는 바가 없으심이라.
정자 가라사대 거친 밥과 물 마심을 즐거워함이 아니오, 비록 (처지가) 소사음수를 하게 되었더라도 능히 그 즐거움을 고치지 아니하니 불의한 부귀를 뜬구름처럼 가볍게 보았음이라. 또한 가라사대 모름지기 즐거운 바가 어떤 일인지를 알아야 하니라.
'四書 > 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述而。第21章. 三人行必有我師, ~ 第25章. 聖人 吾不得而見之矣, (0) | 2020.01.07 |
---|---|
述而。第16章. 加我數年 ~ 第20章. 子不語怪力亂神。 (0) | 2020.01.06 |
述而。第 6章. 志於道, ~ 第10章. 用之則行, (0) | 2020.01.05 |
述而。第 1章. 述而不作, ~ 第 5章. 甚矣, 吾衰也 ! (0) | 2020.01.05 |
述而。第七。本文 (0) | 2020.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