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11章
子疾病, 子路使門人爲臣, 病間曰, 「久矣哉. 由之行詐也。無臣而爲有臣, 吾誰欺, 欺天乎! 且予與其死於臣之手也, 無寧死於二三子之手乎。 且予縱不得大葬, 予死於道路乎。」
공자가 병이 심해지자, 자로가 문인을 가신으로 삼아 장례를 준비하고자 했다.
병환이 차도가 있자 말씀하셨다.
“오래되었구나, 유(由)가 거짓을 행한 것이. 가신이 없는 사람을 가신이 있는 것처럼 꾸몄으니, 내가 누구를 속인 것인가? 하늘을 속인 것이다. 그리고 내가 가신의 손에 죽는 것보다는 차라리 너희들 손에 죽는 것이 낫지 않겠느냐. 또 내가 비록 성대한 장례는 못 치른다 할지라도 설마 내가 길에서 죽기야 하겠느냐.”
○夫子時己去位無家臣, 子路欲以家臣, 治其喪, 其意實尊聖人, 而未知所以尊也.
○선생님이 당시 이미 벼슬을 떠나 가신이 없거시늘, 자로가 가신으로써 그 상을 다스리고자 하니, 그 뜻이 실제는 성인을 높인 것이나 써
높이는 바를 아지 못함이라.
○胡氏曰, 此 必夫子失司寇之後, 未致其事之前也. 若夢奠則子路死於衛久矣. 大夫老而致仕後, 得從其列, 無家臣者 無祿
故也.
○호씨 가로대 이것은 반드시 부자께서 사구벼슬을 잃은 뒤이니 그 일을 그만 두기 전은 아니니라. 만약에 몽전(공자의 죽음을 일컫는 말로 『禮記』檀弓上편에 나온다. 참조내용을 보라)이었다면 자로가 위나라에서 죽은 지가 오래되었음이라. 대부가 늙어서 벼슬을 그만 둔 뒤에는 그 서열을 따르니 가신이 없다는 것은 녹이 없기 때문이라.(자로가 신하를 보낸 것으로 보아 노나라에서 재상을 그만 두신 뒤에 衛나라에 계실 때에 벌어진 일인 듯하다.)
[참조] 공자의 죽음을 이르는 말, 몽전(夢奠)
夢奠(몽전)은 『禮記』檀弓上편에 나오는 말로, 공자가 스스로의 죽음을 꿈속에서 예견한 말로, 공자의 죽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孔子蚤作, 負手曳杖, 消搖於門, 歌曰, '泰山其頹乎. 梁木其壞乎. 哲人其萎乎.' 旣歌而入, 當戶而坐. 子貢聞之曰, 「泰山其頹, 則吾將安仰. 梁木其壞, 哲人其萎, 則吾將安放. 夫子殆將病也.」 遂趨而入. 夫子曰, 「賜, 爾來何遲也. 夏后氏 殯於東階之上, 則猶在阼也. 殷人 殯於兩楹之間, 則與賓主夾之也. 周人 殯於西階之上, 則猶賓之也. 而丘也 殷人也. 予疇昔之夜, 夢坐奠於兩楹之間. 夫明王不興, 而天下其孰能宗予. 予殆將死也. 蓋寢疾七日而沒.
공자가 (하루는) 일찍 일어나셔서 뒷짐을 진 채 지팡이를 끌고서 대문 근처를 천천히 걸어다니시면서 노래하시기를, “태산이 무너지려는가? 들보가 허물어지려는가? 철인이 시들어 떨어지려는가?” 노래를 다 부르시더니 들어가 방문을 마주하고 앉으셨다.
자공이 듣고 말하기를, “태산이 무너진다면 나는 장차 무엇을 우러를꼬? 들보가 허물어지고 철인이 시들어 떨어진다면 나는 장차 무엇을 좇을꼬? 부자께서 곧 병이 나실 것 같구나.”라고 하면서 바쁜 걸음으로 들어갔다.
부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사야, 너는 왜 이리 늦게 왔는고? 하후씨는 동쪽 계단 위에 빈소를 차려서 (죽은 이를) 천자의 자리와 같게 하였고, 은나라 사람들은 두 기둥 사이에 빈소를 차려서 (죽은 이를) 손님과 주인과 더불어 가깝게(사이하게) 하였으며, 주나라 사람들은 서쪽 계단 위에 빈소를 차려서 오히려 (죽은 이를) 손님 대접하듯이 하였다. 그런데 나는 은나라 사람이다. 내가 지난밤에 꿈을 꾸었는데 두 기둥 사이에 앉아서 제물을 받더구나. 무릇 밝은 임금이 일어나지 아니하셨으니 천하에 그 누가 나를 높여줄까? 나는 곧 죽을 것이다.”
대략 병상에 누우신지 7일 만에 돌아가셨다.
공자의 夢奠은 당나라 때의 서예가인 구양순(歐陽詢, 557~641)의 몽전첩(夢奠帖, 혹은 仲尼夢奠帖이라고도 함)으로 더욱 유명해진 단어이다. 몽전첩은 구양순의 행서체로 이루어진 서첩으로 모두 78자인데, 삶과 죽음을 다룬 내용으로 다음과 같다.
[그림] 歐陽詢(557~641, 唐)作, 夢奠帖 (中國遼寗省博物舘所藏 34 × 25.5cm) 첨부파일 참조
[그림 내용 설명]
仲尼夢奠 七十有二, 周王九齡, 俱不滿百. 彭祖資以導養, 樊重任性, 裁過盈數, 終歸冥滅, 無有得停住者. 未有生而不老 老而不死. 形歸丘墓, 神還所受, 痛毒辛酸 何可熟念. 善惡報應 如影隨形, 必不差二.
중니(孔子)가 돌아가실 때가 72세이고, 주왕(周文王을 가리킴)은 구령이었으니(97살에 崩하심) 두 분 다 백을 채우지 못하셨다. 팽조(夏나라 때부터 商나라에 걸쳐 8백여 년을 살아 장수의 표상이 됨)는 양생법을 잘 따라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바의 천성을 잘 지켰고, 지나친 수를 쓰는 것은 버렸으나 마침내 명멸하였으니, 한 곳에 머무는 자가 있지 않음이라. 살았으면서 늙지 않는 것과 늙었으면서 죽지 않는 것은 있지 않음이라. 형체는 구릉의 무덤으로 돌아가고 정신은 받은 곳으로 돌아가니 고통과 독과 고생이 어찌 생각을 무르익게 하리오. 선악의 응보는 그림자가 형체를 따르는 것과 같으니 반드시 둘로 가려지지 않는다.
○病間 少差也. 病時 不知, 旣差 乃知其事. 故 言我之不當有家臣 人皆知之, 不可欺也, 而爲有臣, 則是欺天而已. 人而欺天 莫大之罪, 引以自咎, 其責子路 深矣.
○병간은 조금 나음이라. 병을 앓을 때에 아지 못하다가 이미 차도가 있음에 이에 그 일을 앎이라. 그러므로 내가 마땅히 가신을 두지 못함을 사람들이 다 아니 가히 속이지 못하거늘 신하를 두었으니 이는 하늘을 속인 것이라고 말씀함이라. 사람이 하늘을 속임은 막대한 죄이거늘 이끌어서 써 스스로 허물로 하시니 그 자로를 꾸짖으심이 깊으시니라.
○無寧 寧也. 大葬 謂君臣禮葬, 死於道路 謂棄而不葬, 又曉之以不必然之故.
○范氏曰, 曾子將死, 起而易簀曰, 吾得正而斃焉, 斯已矣. 子路欲尊夫子, 而不知無臣之不可爲有臣. 是以 陷於行詐, 罪至欺天, 君子之於言動 雖微 不可不謹. 夫子深懲子路, 所以警學者也. 楊氏曰, 非知至而意誠, 則用智自私 不知行其所無事, 往往 自陷於行詐欺天, 而莫之知也 其子路之謂乎.
,
○무녕은 차라리라. 큰 장사는 군신의 예장을 이름이오, 도로에서 죽는다는 것은 버려두고 장사지내지 않음을 이름이니, 또한 반드시 그렇게 할 까닭이 없다는 것으로써 깨우치심이라.
○범씨 가로대 증자가 장차 돌아가실 적에 일어나 자리를 바꾸어 가라사대 내가 바름을 얻어 죽으면 이것일 뿐이다 하시니, 자로가 부자를 높이고자 했음이로되 신하가 없을 때에 가히 신하를 두어서는 아니됨을 아지 못함이라. 이로써 거짓을 행하는 데에 빠져서 죄가 하늘을 속이는 데에 이르니, 군자의 행동이 비록 미미하나 가히 삼가지 아니치 못하니라. 부자가 자로를 깊이 꾸짖음은 배우는 자를 깨우치는 바라. 양씨 가로대 이를 데를 알아서 뜻을 성실히 하지 않는다면, 지혜를 씀이 스스로 사사로워서 그 일없는 바를 행함을 아지 못하여, 이따금 스스로 하늘을 속이는 데에 빠지면서도 아지 못하니 그 자로를 이름인저.
☞ 증자의 죽음을 이르는 말, 역책(易簀, 자리를 바꾸다)
『禮記』檀弓上을 보면,
曾子寢疾病, 樂正子春 坐於床下, 曾元 曾申 坐於足, 童子 隅坐而執燭. 童子曰, 「華而睆, 大夫之簀與?」 子春曰, 「止。」 曾子聞之, 瞿然曰, 「呼。」 曰, 「華而睆, 大夫之簀與?」 曾子曰, 「然 斯季孫之賜也. 我未之能易也. 元, 起易簀。」 曾元曰, 「夫子之病革矣, 不可以變, 幸而至於旦, 請敬易之。」 曾子曰, 「爾之愛我也, 不如彼. 君子之愛人也以德, 細人之愛人也以姑息, 吾何求哉. 吾得正而斃焉, 斯已矣.」 舉扶而易之. 反席未安而沒.
睆 : 가득찰 환/추파던질 완. 가득찬 모양. 퉁방울 눈. 눈을 깜박이다. 끝까지 보는 모양. 밝은 모양. 옷칠을 하다. 추파를 던지다.
瞿 : 볼 구. : 보다. 노려보다. 두루 살피다. 마음속으로 놀라다. 검소하다. 두려워하다.
증자가 병이 나서 자리에 누웠을 때 (증자 제자인) 악정자 춘이 침상 아래에 앉았고, (증자의 두 아들인) ,증원과 증신은 발치에 앉았으며, 동자가 구석에 앉아서 등불을 잡고 있었다. 동자가 말하기를, “(자리의 그림이) 화려하면서 눈부신데, 대부의 자리입니까?” 자춘이 말하기를 “그치거라.” 증자가 듣고서 놀라 말하기를, “아!”(동자가) 말하기를“화려하면서 눈부신데 대부의 자리입니까?” 증자가 말하기를, “그러나 이것은 계손이 준 것이라, 내가 바꿀 수가 없구나! 원아, 일어나서 자리를 바꾸거라." 증원이 말하기를, “부자의 병이 위급하니, 바꿀 수가 없습니다. 나아지면 아침이 되어 삼가 청컨대 그 때에 바꾸겠습니다.” 증자가 말하기를 “너는 나를 아끼는 것이 저것만 같지 못하구나. 군자가 사람을 아끼는 것은 덕으로써 하는 것이고, 자잘한 사람이 사람을 아끼는 것은 임시방편이니 내가 무엇을 구하겠는가? 나는 바름을 얻어서 죽으면 이뿐이로다.” (모두가 증자를) 들어서 (자리를) 바꾸었다. 오히려 자리(席)는 편치 못했으나 (마음 편히) 돌아가셨다.
第12章
子貢曰, 「有美玉於斯, 韞匵而藏諸? 求善賈而沽諸?」 子曰, 「沽之哉。沽之哉。我待賈者也。」
자공이 말했다.
“아름다운 玉이 여기에 있다면 궤 속에 담아 간직해둬야 합니까, 아니면 좋은 값을 주겠다는 사람을 찾아 팔아야 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팔아야지, 팔아야겠지. 그러나 나는 좋은 값을 기다리는 사람이다.”
韞 : 감출 온, 감추다. 갈무리함. 활집. 주황색 또는 붉은 색. 상자. 작은 상자. 싸다. 둘러서 쌈. 匵 : 궤 독
[본문 해설]
자공이 공자를 세상에 매우 아름다운 옥이라고 비유하면서 묻는 내용이다. 이에 공자가 팔기는 팔아야 하나 헐값에는 팔지 않겠노라고 답변한다.
○韞 藏也. 匵 匱也. 沽 賣也. 子貢 以孔子有道不仕故, 設此二端, 以問也. 孔子言固當賣之, 但當待賈, 而不當求之耳.
○范氏曰, 君子未嘗不欲仕也, 又惡不由其道, 士之待禮 猶玉之待賈也. 若伊允之耕於野, 伯夷太公之居於海濱, 世無成湯文王, 則終焉而已, 必不枉道以從人, 衒玉而求售也.
衒 : 발보일 현. 발보이다. 자기를 선전하다. 팔다. 돌아다니면서 팜. 현기증이 나다. 售 : 팔 수, 값 수
○운은 감춤이오, 독은 궤요, 고는 팖이라. 자공이 공자가 도가 있는데도 벼슬을 하지 않는 까닭으로 이 두 가지 단서를 가설해서 써 물음이라. 공자가 말씀하심은 진실로 마땅히 팔아야 하지만 다만 값을 기다림이 마땅하고 구하는 것은 마땅하지 않느니라.
○범씨 가로대 군자가 일찍이 벼슬을 하고자 않고자 아니하건마는 또한 그 도로 말미암지 않음을 미워하니 선비가 예를 기다림이 옥의 값을 기다림과 같음이라. 이윤이 들에서 농사지을 적과 백이와 태공이 바닷가에 거할 적에 세상에 탕임금과 문왕이 없었던들 (세상을) 마쳤을 뿐이니, 반드시 도를 굽혀서 써 사람을 따라 옥을 팔고 값을 구하지 않음이라.
第13章
子欲居九夷, 或曰, 「陋, 如之何?」 子曰, 「君子居之, 何陋之有。」
공자께서 구이(九夷)에 가서 살고자 하시자, 어떤 사람이 물었다.
“누추할 터인데 어떻게 사시겠습니까?”
그러자 공자가 대답하셨다. “군자가 거처하는데 어찌 누추함이 있겠는가?”
“군자가 살고 있는데 어찌 누추함이 있겠는가?”
○東方之夷 有九種. 欲居之者, 亦乘桴浮海之意.
○君子所居則化, 何陋之有.
○동방의 이족에 아홉 종류가 있음이라. 거하고자 하는 것은 또한 뗏목을 타고 바다에 뜬다는 뜻이라.
○군자가 거한즉 화해지니 어찌 누추함이 있으리오.
[앞주해설]
이족의 아홉 종류는 『後漢書』 東夷傳에 “畎夷 于夷 方夷 黃夷 白夷 赤夷 玄夷 風夷 陽夷”를 열거하고 있다.
第14章
子曰, 「吾自衛反魯然後, 樂正雅頌各得其所。」
공자가 말씀하셨다.
“내가 위(衛)나라에서 노(魯)나라로 돌아온 후에 음악이 바로 잡혀 아(雅)와 송(頌)이 본래의 자리를 찾게 되었다.”
○魯哀公十一年冬, 孔子自衛反魯, 是時 周禮在魯. 然詩樂亦頗殘缺失次, 孔子周流四方, 參互考訂, 以知其說, 晩知道終不行. 故 歸而正之.
○노나라 애공 11년 겨울에 공자가 위나라에서 노나라로 돌아오시니 이때에 주례가 노나라에 있음이라. 그러나 시와 악이 또한 자못 쇠잔하고 이지러져 차례를 잃었거늘 공자가 사방을 떠돌아다니셔서 참여하여 서로 고정하여 써 그 말을 알게 하시더니, 느즈막에 도가 마침에 행해지지 못할 것을 아심이라. 그러므로 돌아와서 바로하심이라(시와 악을 완전히 정리하심이라).
第15章
子曰, 「出則事公卿, 入則事父兄, 喪事不敢不勉, 不爲酒困, 何有於我哉!」
공자가 말씀하셨다.
“나가서는 공경을 섬기고, 들어오면 부형을 섬기며, 상사(喪事)를 정성을 다해 치르며, 술때문에 고생하지 않는 일 중, 어느 것을 내가 제대로 하는가?”
○說見第七篇. 然 此則其事 愈卑而意愈切矣.
○설명이 제7편에 나타나니라. 그러나 이것은 그 일이 더욱 낮으면서 뜻은 더욱 간절함이라.
'四書 > 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子罕。第21章. 苗而不秀者有矣夫, ~ 第25章. 三軍可奪帥也, (0) | 2020.01.08 |
---|---|
子罕。第16章. 逝者如斯夫, ~ 第20章. 惜乎! 吾見其進也. (0) | 2020.01.08 |
子罕。第 6章. 大宰問於子貢曰, ~ 第10章. 仰之彌高, (0) | 2020.01.07 |
子罕。第 1章. 罕言利與命與仁. ~ 第5章. 文王旣沒, (0) | 2020.01.07 |
子罕。第九。本文 (0) | 2020.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