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장 修身齊家
□ 本文
所謂齊其家在修其身者, 人之其所親愛而辟焉, 之其所賤惡而辟焉, 之其所畏敬而辟焉, 之其所哀矜而辟焉,
之其所敖惰而辟焉, 故好而知其惡, 惡而知其美者 天下鮮矣。
故諺有之曰, 「人莫知其子之惡, 莫知其苗之碩。」
好人之所惡 惡人之所好 是謂拂人之性 菑必逮夫身。
此謂身不修, 不可以齊其家。
-------------------------------------------------------------------------------------------
所謂齊其家在修其身者, 人之其所親愛而辟焉, 之其所賤惡而辟焉, 之其所畏敬而辟焉, 之其所哀矜而辟焉,
之其所敖惰而辟焉, 故好而知其惡, 惡而知其美者, 天下鮮矣。
이른바 그 집을 가지런히 함이 그 몸을 닦는데 있다는 것은, 사람이 그 친애하는 바에 치우치며, 그 천히 여기고 미워하는 바에 치우치며, 그 두려워하고 공경하는 바에 치우치며, 그 슬퍼하고 불쌍히 여기는 바에 치우치며, 그 거만하고 게으른 바에 치우치나니, 그러므로 좋아해도 그 악함을 알며, 미워해도 그 아름다움을 아는 자가 천하에 드무니라.
[해설]
본문에 나오는 之자를 鄭玄은 ‘갈 지’로 보고 辟자를 ‘비유할 비(譬)’로 보아 ‘비유할 유(喩)’와 같다 하였는데, 孔潁達도 이에 동의하였다. 주자는 之자를 ‘늘 어(於)’로 보고 辟자를 ‘편벽 편(偏)’으로 해석하였다. 鄭․朱 두 분의 견해차가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親愛․賤惡․畏敬․哀矜․敖惰에서 한쪽으로 치우치면 안 된다는 말을 따름이 옳다고 본다.
전체적으로 이 구절은 인군이 정치하는 데에 대한 내용이다. 한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이 누구를 좋아하더라도 그 사람의 악한 점도 알아야 하고 또 누구를 미워하더라도 그 속에 또 아름다운 면이 잇음을 알아야만 정치가 제대로 되는데, 대개는 그 좋아하는 욕심과 삿된 마음에 가려서 전혀 모른다는 것이다. 이것은 인군된 자로서 전혀 수신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좋아하되 그 가운데 악함이 있음을 알고 미워하되 그 가운데 아름다움이 있음을 아는 것은 중용의 큰 지혜를 갖춘 이가 아니면 달하기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천하에 보기 드물다고 하였다.
이렇게 好而知其惡하고 惡而知其美한 성인의 예로는 순임금을 들 수 있다. 『中庸』에 공자가 大知한 성인으로서 순임금을 칭송하면서, “순임금은 크게 지혜로우시다. 순임금은 묻기를 좋아하시면서도 주변의 가까운 말을 잘 살피시되 악한 허물을 덮고 선한 일을 널리 알려서 그 양끝을 잡아 中道를 백성에게 베푸셨으니, 이로써 순임금이 되신 것이다”(제6장 : 子曰 舜其大知也與! 舜好問而好察邇言 隱惡而揚善 執其兩端 用其中於民 其斯以爲舜乎!) 고 하였다.
故諺有之曰, 「人莫知其子之惡, 莫知其苗之碩。」
그러므로 속담에 말하기를 “모든 사람이 그 자식의 악함을 알지 못하며 그 싹의 큼을 알지 못한다”고 하니라.
[해설]
앞 구절에서 사람들이 편중된 감정에 의해 好惡의 中을 잃고 선악과 미추를 바르게 알아 대처하지 못함을 설명하고, 뒤이어 여기서는 세속에 전해지는 말로써 그 구체적인 예를 들었다. 즉 지나치게 자식을 사랑하면 그 좋아하는 마음에 치우쳐서 자식의 허물을 보지 못하고, 욕심이 지나치면 다른 사람의 밭에 자라는 곡식의 싹은 빨리 자라고 자기 밭에 자라는 싹은 더디게 보이게 마련이라는 것이다.
好人之所惡, 惡人之所好, 是謂拂人之性, 菑必逮夫身。
남이 미워하는 바를 좋아하며 남이 좋아하는 바를 미워하는 것, 이를 일러 ‘사람의 성품을 거스르는 것’이라고 하니, 재앙이 반드시 몸에 미치게 되느니라.
菑 : 재앙 재/묵정밭 치/고목치. 逮 : 미칠 체
[해설]
여러 사람이 한결같이 좋아하는 것은 선이요, 여러 사람이 한결같이 미워하는 것이 악이라면 이것이 인간에게 가장 보편적이고 타당한 본성이요 絜矩之道의 거점인데, 이 본성을 역행하여 악을 좋아하고 선을 미워한다면 모든 이의 노여움을 사서 반드시 스스로 재앙이 몸에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治國平天下장의 秦誓 절목에 말한 “人之有技媢疾以惡之 人之彦聖而違之." 하는 사람이다.
此謂身不修, 不可以齊其家。
이 이르되 몸을 닦지 못하면 가히 써 그 집을 가지런히 못 하느니라.
[해설]
전체적으로 이 수신제가장에는 사람이 好惡의 감정을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中을 덛음이 곧 수신임을 밝히고, 나아가 그 행동하고 말하는 바가 신망을 얻어 여러 사람을 따르게 하므로 자연 집을 가지런히 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中庸』에서 공자는 “도가 사람에게서 멀지 않다. 사람이 도를 하면서 사람을 멀리한다면 가히 도를 함이 아니다”(제13장 : 道不遠人, 人之爲道而遠人 不可以爲道.)고 하였고, 또한 “忠과 恕가 도에 나아감이 멀지 않으니 자기 몸에 베풀기를 원치 않으면 또한 남에게 베풀지 말라”(忠恕違道不遠, 施諸己而不願 亦勿施於人.)고 한 말씀이 있다.
修身齊家장의 경우는 대학장구서에 이른 修己治人의 道와 직접 관련된 곳으로서 문장 가운데 人을 위주로 표현하고 있다. 齊家治國장의 경우는 나라와 연관되므로 民으로써 주로 표현하고 있다.
右 傳之八章, 釋修身齊家。(四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