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二十一章
自誠明謂之性, 自明誠謂之敎, 誠則明矣, 明則誠矣。
정성으로 말미암아 밝아지는 것을 성(性)이라 하고, 밝음으로 말미암아 정성스러워지는 것을 교(敎)라고 하는데, 정성스러우면 밝아지고 밝으면 정성스러워진다.
[해설]
『중용』은 이치가 깊은 글이니 생각을 많이 해야 뜻을 통할 수 있는 글이다. 성실함으로 말미암아 자연스럽게 훤히 밝아지는 것은 하늘로부터 그대로 받은 진실무망의 성품이고, 세상에 나와 배워 알면서 정성스럽게 하는 것은 하늘이 부여해준 본바탕으로 돌아가려는 노력으로 이를 일러 교육이라 한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정성과 밝음은 한 가지이기에 굳이 어떤 것이 더 먼저라고 구분할 문제는 아니다. 정성스러우면 밝아지고 밝으면 자연 정성스러워지기에 ‘生而知之’거나 ‘學而知之’거나 ‘困而知之’거나를 막론하고 그 아는 데 이르러서 성공하는 것은 같다는 점이다.
○自 由也. 德無不實 而明無不照者, 聖人之德所性而有者也, 天道也. 先明乎善而後, 能實其善者, 賢人之學, 由敎而入者也, 人道也. 誠則無不明矣, 明則可以至於誠矣.
○自는 말미암음이라. 덕은 실하지 않음이 없고 밝음은 비추지 않음이 없는 것은 성인의 덕이 성품으로 해서 둔 것이니 하늘의 도요, 먼저 선에 밝은 뒤에 능히 그 선을 실지로 행하는 하는 자는 현인의 배움이 가르침으로 말미암아 들어가는 것이니 사람의 도라. 성실하면 밝지 않음이 없고 밝아지면 가히 성실함에 이르느니라.
○子思承上章, 夫子天道人道之意 而立言也. 自此以下十二章, 皆子思之言, 以反覆推明此章之意.
○자사가 윗글 부자(공자)의 천도 ․ 인도의 뜻을 이어서 말을 세움이라(예전에는 세로로 글을 썼으므로 세운다는 표현을 많이 쓴다). 이로부터 써 아래로(제22장부터) 열두 장은 모두 자사의 말씀으로 이 장의 뜻을 반복하여 미루어 밝힌 것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