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李白

月下獨酌

by 柳川 2020. 4. 14.

                                        月 下  獨  酌

 

                                                                                                   李  白

 

一.

花間一壺酒、                            꽃 사이에 술 한 병을 놓고서

獨酌無相親。                            벗할 이 없이 혼자 술을 마신다.

擧杯邀明月、                            잔 들어 밝은 달 맞으니

對影成三人。                            그림자와 더불어 셋이 되는구나

月旣不解飮、                            달은 술 마실줄 모르거니와

影徒隨我身。                            그림자가 나를 따라 술을 마신다

暫伴月將影、                            잠시나마 달과 그림자를 벗하고

行樂須及春。                            봄에 이르렀으니 모름지기 즐겨야지. 

我歌月徘徊、                            내가 노래하면 달은 노닐고

我舞影零亂。                            내가 춤추면 그림자도 흔들린다

醒時同交歡、                            술이 깨면 함께 기뻐하고

醉後各分散。                            술이 취하면 각각 흩어진다.

永結無情遊、                            무정한 벗들과의 유희를 영원히 이어가

相期邈雲漢。                            아득한 은하에서 다시 만나길. 

 

              

 

二.

天若不愛酒、                            하늘이 술을 사랑하지 않았으면   

酒星不在天。                            주성이라는 별이 없었을 것이고

地若不愛酒、                            땅이 술을 사랑하지 않았으면

地應無酒泉。                            땅에 주천이라는 샘이 없었을 것

天地旣愛酒、                            하늘과 땅이 이미 술을 사랑하였으니

愛酒不天。                            술을 사랑한다 해서 부끄럽지 않다네

已聞淸比聖、                            들으니 맑은 술은 성인에 비하고

復道濁如賢。                            또 탁한 술은 현인과 같다고 하였는데

聖賢旣已飮、                            성현이 이미 술을 마셨거늘

必求神仙。                            하필이면 신선이 되려 하겠는가 

三盃通大道、                            석잔이면 대도에 통하고

一斗合自然。                            한말이면 자연과 하나되느니.

但得醉中趣、                            다만 취중의 정취를 얻고자 하니

勿謂醒者傳。                            술에 취하지 않은 자에게는 전하지 말라

 

 

◆ 이 2首는 <獨酌>이라는 제목의 별도의 시로 올라있다.<李太白集 23卷>

 

☞ 已聞淸比聖、復道濁如賢

《魏書》에 “徐邈의 字는 景山이다. 魏에 벼슬하여 尙書郞이 되었다. 당시에 술을 금하였는데 서막이 몰래 마시고 몹시 취하였다. 趙達이 따져 물으니 서막은 ‘中聖人’이라고 대답하였다. 조달이 이 사실을 아뢰자, 太祖(曹操)는 서막이 성인으로 자처한 것으로 알고 크게 노하였는데, 鮮于輔가 앞으로 나와 ‘취객은 맑은 술을 성인이라 하고 탁한 술을 현인이라고 하니, 서막이 성인(청주)에 취한 것입니다.’라고 했다.” 하였다.

 

 

 

三.

三月咸陽城、                            삼월의 함양성은      

千花晝如錦。                            온갖 꽃피어 비단 같은데

誰能春獨愁、                            누가 이 봄에 홀로 수심에 잠기랴.

對此徑須飮。                            곧 술마시며 봄을 맞으리라.

窮通與修短、                            궁함과 통한 것 길고 짧은 것은

造化夙所稟。                            조물주가 일찌기 부여한 것  

一樽齊死生、                            한 잔 술에 생사를 초월하리라

萬事固難審。                            세상만사 본래 살피기 어려운 것

醉後失天地、                            술취해 세상을 잊고

兀然就孤枕。                            쓰러져 홀로 잠이 들면

不知有吾身、                            내 몸 있는 것도 모르니

此樂最爲甚。                            이 즐거움 으뜸이로다.

 

 

 

四.              

窮愁千萬端、                            수심은 천만갈래요          

美酒三百杯。                            맛 좋은 술은 삼백 잔.

愁多酒雖少、                            수심은 많고 술은 적으나

酒傾愁不來。                            술잔을 기울이면 수심은 사라진다.

所以知酒聖、                            술을 성인에 비유한 까딝을 아노니

酒堪心自開。                            술을 마시면 마음이 절로 열린다

辭粟臥首陽、                            백이숙제는 식량을 사절하고 수양산에 은둔했고

屢空飢顔回。                            안회는 가난에 굶주렸다.

當代不樂飮、                            살아생전 술마시기 즐기지 않고

虛名安用哉。                            헛된 명성 어디에 쓰랴.

蟹敖卽金液、                            게 볶아 맛있는 국 만들고

糟丘是蓬萊。                            술빚어 지게미언덕이 봉래산이로다.

且須飮美酒、                            모름지기 맛 좋은 술 마시고

乘月醉高臺。                            달빛속에 누대에 올라 취해볼거나.
  

'중국의 漢詩 > 李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頭吟  (0) 2021.02.27
秋風詞  (0) 2020.12.12
春思  (0) 2019.03.07
秋浦歌  (0) 2016.09.02
行路難  (0) 2016.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