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四書/孟子

梁惠王 <上> 第 5章

by 柳川 2020. 5. 6.

第 5章

 

梁惠王曰, 「晉國天下莫强焉, 叟之所知也。及寡人之身, 東敗於齊, 長子死焉, 西喪地於秦七百里, 南辱於楚, 寡人恥之, 願比死者, 一洒之, 如之何則可?」  孟子對曰, 「地方百里而可以王。王如施仁政於民, 省刑罰薄稅斂, 深耕易耨, 壯者以暇日修其孝悌忠信, 入以事其父兄, 出以事其長上, 可使制梃, 以撻秦楚之堅甲利兵矣。彼奪其民時, 使不得耕耨, 以養其父母, 父母凍餓, 兄弟妻子離散。彼陷溺其民, 王往而征之, 夫誰與王敵? 故曰, 『仁者無敵。』 王請勿疑。」  

 

 

양혜왕이 말했다.

“진(晉)이 천하에 막강했던 것은 노인장께서도 아시는 바입니다. 그런데 과인의 대에 이르러 동쪽으로는 제(齊) 나라에 패하면서 맏아들이 죽었고, 서쪽으로는 진(秦)나라에 땅을 700리나 잃었으며, 남쪽으로는 초(楚) 나라에게 모욕을 당했습니다. 과인은 이것이 수치스럽기에 죽은 자들을 위해 한번 설욕하고자 하는데, 어떻게 하면 되겠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땅이 사방 100리만 되어도 왕이 될 수 있습니다. 왕께서 만약 백성에게 어진 정사를 베푸시어 형벌을 줄이고 세금을 적게 거두신다면, 백성들은 깊이 밭을 갈고 김을 매게 될 것이며, 장정들은 여가를 이용하여 효제(孝悌)와 충신(忠信)을 닦아서 들어가서는 부형(父兄)을 섬기고 나가서는 어른과 상관을 섬길 것이니, 이들로 하여금 몽둥이를 잡게 하여 진(秦)과 초(楚) 나라의 견고한 갑옷과 예리한 무기와 맞서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 적국들이 자기 백성들에게서 농사철을 빼앗음으로써 밭갈고 김매어 부모를 봉양할 수 없게 만들면, 부모는 추위에 떨고 굶주리게 되며 형제와 처자들은 뿔뿔이 흩어지게 될 것입니다. 저들이 이처럼 자기 백성들을 도탄에 빠뜨릴 때 왕께서 가서 바로잡으시면 누가 왕과 대적하겠습니까. 그래서 옛말에 ‘仁者는 무적(無敵)이다.’ 한 것이니, 왕께서는 제 말을 의심하지 마십시오.”

 

○魏 本晉大夫魏斯, 與韓氏趙氏共分晉地, 號曰三晉. 故 惠王猶自謂晉國. 惠王三十年 齊擊魏破其軍, 虜太子申, 十七年秦取魏少梁, 後 魏又數獻地於秦, 又與楚將昭陽戰敗, 亡其七邑. 比 猶爲也. 言欲爲死者 雪其耻也.

 

○위(魏)는 본래 晉나라 대부 위사가 한씨 조씨와 더불어 함께 晉나라 땅을 나누고는 가로대 三晉이라 이름하니라. 이에 혜왕이 (오히려) 스스로(위나라를 계승한 자신의 양나라를 일컬어) 晉나라라고 이름함이라. 혜왕 30년에 제나라가 위나라를 쳐 위나라 군을 격파하고 태자인 신(申)을 포로로 잡았으며, 17년에는 秦나라가 위나라 소량(지방)을 취했으며, 뒤에는 위나라가 (또) 자주 秦나라에게 땅을 바치고 또한 초나라 장수 소양과 더불어 싸워 패해서 (그) 일곱 개의 읍을 잃음이라. 비(比)는 ‘위하여(爲)’라는 뜻과 같음이라. 죽은 자를 ‘위하고자’라는 말은 그 치욕을 씻어냄이라.

 

 

 

孟子對曰, 「地方百里而可以王。」

 

맹자가 대답했다.

“땅이 사방 100리만 되어도 왕이 될 수 있습니다.

 

 

○百里 小國也. 然 能行仁政 則天下之民 歸之矣.

○孟子對曰 王無患喪敗之難以自振也. 雖地方百里之小 亦可興王業於天下, 況魏堂堂千里乎!

 

○백리는 작은 나라이지만 능히 어진 정치를 행하면 천하의 백성이 돌아오리라.

○맹자 대답하여 말하기를 “왕이 (땅을) 잃고 (전쟁에) 패하는 어려움을 근심치 말고서 (써) 스스로 떨쳐 일어나 보십시오, 비록 지방 백리의 작은 땅이라도 (또한) 가히 왕업을 천하에 흥하게 할 것입니다. 하물며 위나라가 당당히 천리나 되는 땅이 됨에야 (무슨 걱정이 있으십니까?)! 

 

 

王如施仁政於民, 省刑罰薄稅斂, 深耕易耨, 壯者以暇日修其孝悌忠信, 入以事其父兄, 出以事其長上, 可使制梃, 以撻秦楚之堅甲利兵矣。

 

왕께서 만약 백성에게 어진 정사를 베푸시어 형벌을 줄이고 세금을 적게 거두신다면, 백성들은 깊이 밭을 갈고 김을 매게 될 것이며, 장정들은 여가를 이용하여 효제(孝悌)와 충신(忠信)을 닦아서 들어가서는 부형(父兄)을 섬기고 나가서는 어른과 상관을 섬길 것이니, 이들로 하여금 몽둥이를 잡게 하여 진(秦)과 초(楚) 나라의 견고한 갑옷과 예리한 무기와 맞서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耨 : 김맬 누(녹). 김매다. 제초함. 없애다. 나쁜일을 제거하다. 호미, 괭이. 

 

 

○所謂百里可王者, 惟行仁政而已. 王如果施仁政於民, 刑罰則省之不戕民命, 稅斂則薄之 以養民生, 使民得以安業力農, 春深於耕, 夏易於耨,  衣食旣足禮義可興, 而民之壯者又以其閒暇之日, 修明其孝悌忠信之義, 入以此 事其家之父兄, 出以此事其國之長上, 如此則民志孚而忠義奮, 可使吾孝悌忠信之民 斬木爲梃, 以撻秦楚之堅甲利兵矣, 無畏於秦楚, 何齊之足言哉!

 

戕 : 죽일 장. 죽이다. 손상하다. 어지럽히다. 말뚝. 마음이 착하다.

 

○이른바 백리라도 가히 왕노릇 할 수 있다는 것은 오직 어진 정치를 행할 따름이라. 왕이 만일 정말로 백성에게 仁政을 베풀되 형벌은 덜어서 백성의 목숨을 해하지 않게 하고, 세금은 적게 거두어 (써) 백성의 생업을 길러 백성으로 하여금 (얻어 써) 생업에 편안하고 농사에 힘쓰게 하여, 봄에는 깊이 갈고 여름에는 김매는데 다스려하면,

衣食이 이미 족함에 예의가 가히 일어나고 백성중에 장정은 또 (그) 한가한 날로 (그) 효제충신의 義를 닦고 밝혀서, 들어가서는 (이로써 그) 집의 부형을 섬기며, 나가서는 (이로써 그) 나라의 어른과 윗사람을 섬길 것이니, 이와 같은 하면 백성의 마음에 믿음이 있어 충의를 떨치어 (가히) (우리) 효제충신하는 백성으로 하여금 나무를 베다가 몽둥이를 만들어 진나라 초나라의 굳은 갑옷과 예리한 병기를 치더라도 진나라 초나라에 두려움이 없을 것이니 제나라야 족히 말해 무엇하리오.

 

 

 

彼奪其民時, 使不得耕耨, 以養其父母, 父母凍餓, 兄弟妻子離散,

 

저 적국들이 자기 백성들에게서 농사철을 빼앗음으로써 밭갈고 김매어 부모를 봉양할 수 없게 만들면, 부모는 추위에 떨고 굶주리게 되며 형제와 처자들은 뿔뿔이 흩어지게 될 것입니다.

 

 

○彼 謂敵國也.

○楚之堅甲利兵, 最稱雄於天下, 而吾謂制梃可撻者 何哉! 正以彼秦楚之君, 不行仁政而煩刑厚斂, 以奪民耕耨之時, 使民不得深耕易耨 以奉養其父母, 致其父母凍餓而衣食無所仰給, 兄弟妻子 離散而室家不能相保, 此救死 不贍之民, 奚暇 修其孝悌忠信哉!

 

贍 : 넉넉할 섬. 넉넉하다. 많다. 풍부함. 구휼하다. 돕다. 구조함. 보태다. 부족한 것을 채움.

 

 

○彼는 적국을 이름이라.

○진나라 초나라의 견고한 갑옷과 날카로운 병기가 최고인 것을 일러 천하의 웅(雄)이라 일컫는데 내가 이르는 ‘制梃可撻(몽둥이를 만들어 치게할 수 있다)’이란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정히 (저) 진나라 초나라 인군들이 仁政을 행하지 못하여 형벌을 번거롭게 하고 세금을 두터이 거둬들이고 백성이 논밭갈고 김매는 때를 빼앗아 (써) 백성으로 하여금 (深耕易耨하여) (써) 그 부모를 봉양하지 못하게 하면, 그 부모는 얼고 주리는데 이를 것이고  (이에) 衣食이 우러러 주는 바(자식이 되어 춥고 배고픈 부모에게 옷을 드리고 음식을 드리는 바)가 없을 것이고, 형제처자가 갈라지고 흩어져 집안이 서로 보전치 못할 것이니 (이) (나라가) 죽음을 구원해주지 않아 만족하지 못하는 백성들이 어느 여가에 (그) 효제충신을 닦을 것인가?

 

 

彼陷溺其民, 王往而征之, 夫誰與王敵?

 

저들이 이처럼 자기 백성들을 도탄에 빠뜨릴 때 왕께서 가서 바로잡으시면 누가 왕과 대적하겠습니까.

 

 

○陷 陷於阱, 溺 溺於水, 暴虐之意. 征 正也. 以彼暴虐其民, 而率吾尊君親上之民, 往正其罪, 彼民方怨其上, 而樂歸於我, 則誰與我爲敵哉!

 

○함(陷)은 함정에 빠짐이오 익(溺)은 물에 빠짐이니 포학하다는 뜻이라. 정(征)은 바루게 함이라. 저들 나라가 (그) 백성에게 포학함으로써 나는 임금을 높이고 위사람을 친하게 하는 백성을 거느리고 가서 그 죄를 바루게하면(치면) 저들 백성이 바야흐로 그 위정자를 원망해서 기꺼이 내게 돌아온 즉 (그러면) 누가 나와 (더불어) 대적하겠는가?

 

 

 

故曰, 『仁者無敵。』 王請勿疑。

 

그래서 옛말에 ‘仁者는 무적(無敵)이다.’ 한 것이니, 왕께서는 제 말을 의심하지 마십시오.”

 

 

○仁者無敵 蓋古語也. 百里可王 以此而已. 恐王疑其迂闊故 勉使勿疑也.

○孔氏曰, 惠王之志在於報怨, 孟子之論在於救民, 所謂唯天吏則可以伐之, 蓋孟子之本意.

 

○인자무적(仁者無敵)은 대개 옛말이라. 백리에 가히 왕노릇함도 이로써 할 따름이라. 왕이 (그) (맹자의 말이) 오활(迂闊 : 멀고 어두움, 황당무계함)하지 않은가 하고 의심하는 고로 (맹자가) 이를 우려해 (왕으로) 하여금 의심치 말게 권면함이라.

○공문중(孔文中)이 말하기를 혜왕의 뜻은 원한을 갚는데 있고 맹자의 의론은 백성을 구제하는데 있으니 이른바 오직 천리(하늘의 아전, 천사)라야 가히 (써) 친다 하니 대개 맹자의 본뜻이라.

 

 

☞ 唯天吏則可以伐之

 

天吏는 왕이 하늘의 뜻을 받들어 죄가 있는 자를 토벌하고 덕이 있는 자를 높여주는 것으로 이 내용은 『맹자』 공손추 下 8장에 나온다.

 

沈同以其私問曰, 「燕可伐與?」  孟子曰, 「可。子噲不得與人燕, 子之不得受燕於子噲。有仕於此, 而子悅之, 不告於王, 而私與之吾子之祿爵, 夫士也亦無王命, 而私受之於子則可乎? 何以異於是?」齊人伐燕, 或問曰, 「勸齊伐燕, 有諸?」  曰, 「未也。沈同問, 『燕可伐與?』 吾應之曰, 『可。』 彼然而伐之也。彼如曰, 『孰可以伐之?』 則將應之曰, 『爲天吏則可以伐之。』 今有殺人者, 或問之曰, 『人可殺與?』  則將應之曰, 『可。』 彼如曰, 『孰可以殺之?』 則將應之曰, 『爲士師則可以殺之。』  今以燕伐燕, 何爲勸之哉!」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梁惠王 <上> 第 7章  (0) 2020.05.06
梁惠王 <上> 第 6章  (0) 2020.05.06
梁惠王 <上> 第 4章  (0) 2020.05.06
梁惠王 <上> 第 3章  (0) 2020.05.06
梁惠王 <上> 第 2章  (0) 2020.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