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白居易

新豊折臂翁

by 柳川 2020. 5. 8.

                                                                 新豊折臂翁

 

 

 

新豊老翁八十八                              신풍에 사는 여든여덟 살 노인네
頭鬢眉鬚皆似雪                              머리카락 귀밑머리 눈썹 수염이 눈처럼 새하얗네
玄孫扶向店前行                              현손의 부축 받으며 가게 앞을 지나는데
左臂凭肩右臂折                              왼팔은 달려 있지만 오른팔은 부러져 있어
問翁臂折來幾年                              노인에게 팔 부러진 지 얼마나 되었냐고 물었고
兼問致折何因緣                              겸하여 어쩌다가 부러졌는지도 물었네
翁云貫屬新豊縣                              대답하길, 나는 본래 신풍 사람이라오
生逢聖代無征戰                              태평성대에 나서 전쟁이란 없었소
慣聽梨園歌管聲                              이원(梨園)의 풍류 소리에나 익숙했지
不識旗槍與弓箭                              깃발이나 창, 화살은 알지도 못했소
無何天寶大征兵                              난데없이 천보(天寶) 연간에 징집령이 내리니
戶有三丁点一丁                              집안 장정 셋 중 한 사람은 뽑혀 갔소
点得驅將何處去                              뽑아서는 어디로 몰아갔는가
五月萬里雲南行                              5월에 만 리 먼 운남으로 보낸다는데
聞道雲南有瀘水                              운남에는 노수란 강이 있다 하고
椒花落時瘴烟起                              산초 꽃 질 때면 장기(瘴氣)가 인다 하였소
大軍徒涉水如湯                              물이 끓어오르는 듯한 강을 걸어서 건너야 하는데
未過十人二三死                              건너기도 전에 열에 두셋은 죽는다고 하더이다
村南村北哭聲哀                              남촌에도 북촌에도 슬픈 곡소리 배어 나오고
兒別爺娘夫別妻                              자식은 어버이와, 남편은 아내와 작별했소
皆云前後征蠻者                              모두들 말하길, 운남으로 갔던 사람
千萬人行無一回                              천만인데 돌아온 사람 하나 없다네
是時翁年二十四                              그때 내 나이 스물넷
兵部牒中有名字                              병부첩에 이름이 있었소
夜深不敢使人知                              밤 깊어 아무도 모르게
偸將大石捶折臂                              큰 돌로 내 팔을 잘라 버렸소.
張弓簸旗俱不堪                              활 당기고 깃발 드는 일 모두 감당치 못하니
從玆始免征云南                              그제야 운남 원정을 면하게 되었다오
骨碎筋傷非不苦                              뼈가 부서지고 살이 찢어졌으니 어찌 아프지 않겠소만
且圖揀退歸鄕土                              그날로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었지요
此臂折來六十年                              팔 잘린 지 이제 예순 해
一肢雖廢一身全                              팔 하나 없어졌지만 한목숨 부지할 수 있었소
至今風雨陰寒夜                              지금도 비바람에 으스스한 밤이면
直到天明痛不眠                              팔이 아파 날 새도록 잠 못 이루기도 하오
痛不眠 終不悔                                아파서 잠 못 이뤄도 끝내 후회하지는 않는 것은
且喜老身今獨在                              이 늙은이 혼자 살아남은 게 기쁘기 때문이오
不然當時瀘水頭                              그러지 않았다면 그때 노수 가에서
身死魂孤骨不收                              죽어 혼이 떠났어도 뼈를 거두지도 못했을 것이고
應作雲南望鄕鬼                              운남에서 고향을 그리는 귀신이 되어
萬人塚上哭呦呦                              만인총(萬人塚) 위에서 훌쩍훌쩍 울고 있었을 것이오
老人言 君聽取                                이 노인 말 그대는 들으시오
君不聞開元宰相宋開府                      그대 듣지 못했는가 개원(開元) 시대 재상 송개부(宋開府)는
不賞邊功防黷武                              변방에서 공을 세워도 상을 주지 않아 쓸데없는 전쟁을 막았음을
又不聞天寶宰相楊國忠                      또, 듣지 못했는가 천보의 재상 양국충(楊國忠)은
欲求恩幸立邊功                              황제의 은총을 입고자 변경에서 전공을 세웠음을
邊功未立生人怨                              변방의 공을 세우기도 전에 백성들의 원한이 먼저 생겼음을
請問新豊折臂翁                              신풍 팔 끊어진 노인에게 물어보시오

                 

 

이 시는 백거이의 〈신악부(新樂府)〉 50편 가운데 제9편으로, 권력을 가진 자가 공을 세우기 위하여 일으킨 전쟁으로 인해 겪어야 하는 백성들의 고통을 그리고 있다.

이 시의 배경이 되는 전쟁은 당현종(唐玄宗) 때 양귀비(楊貴妃)의 오빠 양국충이 공을 세우기 위해 남조(南詔)와 일으킨 전쟁이다. 당시 양국충은 남조를 토벌하기 위해 8만 군사를 거느리고 원정길에 올랐다. 남조는 중국의 남서부끝 운남성(雲南省)에 있던 백족(白族)이 세운 왕국으로, 9세기에는 미얀마, 타이, 베트남까지 세력을 넓혔던 강력한 왕국이다. 남조의 왕 각라봉(閣羅鳳)은 양국충에게 사죄하고 강화를 요청했으나, 무공을 세우는 데 급급했던 양국충은 이를 무시하고 전쟁을 벌이다가 그만 병력의 4분의 3에 해당하는 6만의 전사자를 내고 참패를 당하고 말았다.

신풍은 당나라의 수도 장안(長安)의 동북쪽에 있는 현이다. 이원은 당현종이 몸소 양성한 가무단의 명칭이다. 송개부는 당현종 때의 재상 송경(宋璟)을 말한다. 개부(開府)는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의 약칭이다. 개원 초년에 돌궐(突闕)이 당나라의 변경을 침입했을 때 아장(牙將)이었던 학령전(郝靈筌)이 돌궐의 왕인 묵철(默啜)의 수급을 현종에게 바쳤는데, 송경은 이를 무용한 전쟁을 일으킨 것이라 하여 상급을 내리지 않았다.

'중국의 漢詩 > 白居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詠拙  (0) 2020.11.09
賣炭翁  (0) 2020.05.11
讀禪經  (0) 2019.04.03
백거이와 그의 시  (0) 2019.03.24
太行路  (0) 2019.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