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其他

浩浩歌 - 馬存

by 柳川 2020. 10. 24.

                                        浩浩歌

                                                                                                             馬 存

 

 

 

浩浩歌。                                                호탕하게 노래하자구나

天地萬物如吾何。                                 천지 만물이 나를 어찌하리오
用之解帶食太倉、                                 나를 등용하면 허리띠 풀어놓고 나라 곡식 먹을 것이요
不用拂枕歸山河。                                  등용되지 않으면 베개 밀쳐버리고 자연으로 돌아가리라

 

君不見,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渭川漁父一竿竹、                                 위천 어부 여상의 한 낚싯대
莘野耕叟數畝禾。                                 유신의 들에서 밭갈던 노인 몇 이랑 벼농사를 지었도다.
喜來起作商家霖、                                  이윤은 기뻐하며 일어나 상나라의 단 비가 되었고
怒後便把周王戈。                                  여상은 화가 난 후 주나라 무왕의 무기를 잡았다네

 

又不見,                                                   또한 보지 못했는가, 

子陵橫足加帝腹、                                 엄자릉이 광무제의 배에 다리를 올려 놓았던 일을
帝不敢動豈敢訶。                                 황제는 감히 움직이지도 않았는데 어찌 감히 꾸짖었겠는가
皇天爲忙逼、                                         천상의 황제는 당황하여
星宿相擊摩。                                         별들이 서로 부딪히며 스치게 지나게했다
可憐相府癡、                                         가련하구나, 제상 후패는 바보스러워
激請先經過。                                         먼저 찾아오라고 심하게 청하였다네

 

 

浩浩 : 광대하다. 한없이 넓고 크다. 넓고 넓은 모양으로 물욕에 물들지 아니하여 깨끗하고 쾌활한 기운.

太倉 : 나라의 곳간

渭川漁父 : 태공망(太公望)을 가리키는 바, 주(周)나라 초기의 현자(賢者)로 성(姓)은 강(姜)이고 씨(氏)는 여(呂)이며 이름은 상(尙), 

      위수(渭水) 가에서 낚시질하다가 문왕(文王)에게 기용되어 (주)周나라의 기초를 닦았다. <史記 齊世家>

莘野耕叟 : 신야(莘野)는 유신국(有莘國)의 들로, 옛날 이윤(伊尹)이 이곳에서 농사짓다가 탕왕(湯王)의 정중한 초빙을 받고 세상에

       나가 하(夏)나라 걸왕(桀王)을 추방하고 상(商)나라 왕조를 건립하였다. <孟子 萬章 上 第7章>

伊尹 :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商家霖 : 상(商)나라의 명재상인 부열(傅說)을 이르니, 부열은 상(商)나라 고종(高宗)인 무정(武丁)의 신하이다. 림(霖)은 3일동안 비가

        내리는 것으로 장마비를 이르는데, 무정은 부열을 재상으로 임명하면서 “만약 쇠라면 너를 숫돌로 삼고, 만약 큰 냇물을 건넌

        다면 너를 배와 노로 삼고, 만약 해가 큰 가뭄이 든다면 너를 장마비로 삼을 것이다."라 하였으니, 이후로 어진 재상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若金 用汝作礪 若濟大川 用汝作舟楫 若歲大旱 用汝作霖雨]”  <書經 說命上>

 傅說(부열) : 은(殷)나라 고종(高宗) 때의 재상, 토목 공사의 일꾼이었는데, 당시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루었음.

 

子陵橫足加帝腹 : 

자릉(子陵)은 후한(後漢) 엄광(嚴光)의 자(字)이다. 엄광은 일찍이 광무제(光武帝) 유수(劉秀)와 동문수학(同門受學)하였는데, 광무제의 부름을 받고 함께 잠을 자다가 잠결에 발을 광무제의 배 위에 올려 놓았다. 다음날 천문(天文)을 보는 태사(太史)가 “어제 저녁 객성(客星)이 제좌성(帝座星)을 범했으니, 이는 큰 변고입니다.” 하고 아뢰자, 광무제는 웃으며 “내가 친구인 엄광과 함께 잤기 때문이다.” 하였다. 옛날 점성가(占星家)들은 천상(天上)의 자미성(紫微星)이나 북극성(北極星)은 황제의 성좌(星座)로 보아 객성이 이들 성좌를 범하면 천자의 신변에 위험이 가해지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可憐相府癡 邀請先經過 : 

상부(相府)는 엄광(嚴光)의 또다른 친구인 사도(司徒) 후패(侯覇)를 가리킨다. 후패는 엄광이 광무제(光武帝)의 간청을 거절하지 못해 북군(北軍)에 이르렀다는 말을 듣고 사람을 보내 광무제를 만나기 전에 자신을 찾아와 달라고 청하였다. 그 말을 들은 엄광은 심부름꾼에게 “평소 어리석은 군방(君房: 후패(侯覇)의 字)이 이제 삼공(三公)의 지위에 이르렀구나.” 하고는 청을 거절하였다.     <後漢書 嚴光傳>

 

 

 

浩浩歌。                                               호탕하게 노래하자구나
天地萬物如吾何。                                 천지 만물이 나를 어찌하리오
屈原枉死汩羅水、                                 굴원은 멱라수에 잘못 죽고
夷齊空餓西山坡。                                 백이숙제는 부질없이 서산 언덕에서 죽었구나
丈夫犖犖不可羈、                                 대장부의 뛰어난 뜻 얽매여서는 안되니
有身何用自滅磨。                                 몸을 건사하는데 어찌 스스로 망치는 방법을 쓰리오
吾觀聖賢心、                                         내가 성현들의 마음을 살펴보건데
自樂豈有他。                                         스스로 즐기는 것이지 어찌 다른 것이 있겠는가
蒼生如命窮、                                         많은 사람 중 운명이 궁색해지면
吾道成蹉跌。                                         나의 도가 어긋나 넘어지게 된다네
直須爲弔天下人、                                 직접 천하의 사람을 위해야 하니
何必嫌恨傷丘軻。                                 어찌 공자와 맹자를 미워하는 것을 한탄하고 상심하리오.

 

 

屈原枉死汨羅水 :

멱라수(汨羅水)는 상강(湘江) 부근의 물 이름인데 굴원(屈原)이 일찍이 충분(忠憤)을 못이겨 이 물에 빠져 죽었다.

夷齊空餓西山坡 : 서산(西山)은 수양산(首陽山)의 별칭인 바, 은(殷)나라 말기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는 주(周)나라 무왕(武王)이 은나라 주왕(紂王)을 정벌하여 황제가 되자, 주나라의 녹(祿)을 먹는 것을 부끄러워하여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 먹었으며〈采薇歌〉를 지어 자신들의 깨끗한 심정을 밝혔다.<史記 伯夷叔齊列傳>  

 

<采薇歌>

登彼西山兮,采其薇矣。                           서산에 올라 고사리를 뜯네.

以暴易暴兮,不知其非矣。                        포학함으로 포학함을 바꾸면서도 그 잘못을 모르는구나. 

神農虞夏忽焉沒兮,我安適歸矣?             신농씨, 우, 하는 이미 죽었으니 나는 어디로 돌아갈거나?

于嗟徂兮,命之衰矣!                               아! 우리는 죽음의 길로 간다. 슬픈 운명이여!

 

犖 : 얼룩소 락. 얼룩소. 밝다. 뛰어나다. 명백함.           犖犖 : 分明한 모양.  뛰어나거나 탁월한 모양

 

何必嫌恨傷丘軻 : 구(丘)는 공자(孔子)의 이름이고 가(軻)는 맹자(孟子)의 이름이다. 이덕홍(李德弘)은 “윗글을 이어 ‘공구(孔丘)와 맹가(孟軻)가 등용되지 못한 것은 천하 백성들의 불행이니, 다만 천하 사람들을 위로할 것이요, 어찌 공자와 맹자를 위해서 한탄하고 상심할 것이 있겠는가.’ 라고 말한 것이다.” 하였다.

 

 

 

浩浩歌。                                                 호탕하게 노래하자구나
天地萬物如吾何。                                 천지 만물이 나를 어찌하리오
玉堂金馬在何處、                                 옥당과 금마문이 어디에 있는가
雲山石室高嵯峨。                                 구름 낀 산의 바위 동굴집은 높고도 높구나
低頭欲耕地雖少、                                 땅은 비록 작아도 머리 숙이고 밭을 갈려하나니
仰面長嘯天何多。                                 얼굴 들어 길게 휘파람 불면 하늘은 어찌하여 후한가?
請君醉我一斗酒、                                 청컨데, 그대는 한 말 술로 나를 취하게 하라,
紅光入面春風和。                                 붉은 술기운 얼굴에 오르면 봄바람과 어울리리라.

                                                                                                                   <古文眞寶 前集 第8卷>

 

玉堂金馬 :

옥당(玉堂)은 한림(翰林)이나 문한(文翰)을 맡은 관서로 송(宋)나라 순화(淳化)연간에 소이간(蘇易簡)에게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제수하면서 황제가 친히 ‘玉堂之署’라는 네 글자를 비백체(飛白體)로 써서 내린 데서 유래하였다. 금마(金馬)는 금마문(金馬門)으로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 대완(大宛)에서 바친 말의 형상을 구리로 주조하여 중관(中官:환관)의 관서 문에 세운 데서 유래하였다.

'중국의 漢詩 >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七哀詩 - 曹植  (0) 2020.11.06
代悲白頭翁 - 劉希夷  (0) 2020.10.24
燕思亭 - 馬存  (0) 2020.10.24
渭川田家 - 王維  (0) 2019.05.13
憫農 - 李紳  (0) 2019.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