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杜甫

偪側行

by 柳川 2020. 10. 26.

                                                 偪側行 - 贈畢曜

 

 

偪側何偪側、                                      궁핍하구나, 어찌 이렇게 궁핍한가?
我居巷南子巷北。                               나는 골목 남쪽에 살고 그대는 북쪽에 산다네
可憐隣里間、                                      가련구나, 이웃 동리에 살면서
十日一不見顔色。                               열흘에 얼굴 한 번도 못보는구나
自從官馬送還官、                               관마(官馬)를 관청으로 돌려 보낸 뒤부터
行路難行澁如棘。                               길 다니기 어려움이 가시밭 길 다니는 것 같도다.
我貧無乘非無足、                               내가 가난하여 탈 것이 없지만 발이 없는 것은 아닌데,
昔者相過今不得。                               지난 날은 서로 찾아다녔지만 지금은 그럴 수 없구나.
實不是愛微軀、                                   사실 미천한 몸 아껴서가 아니고,
又非關足無力。                                   또 다리에 힘이 없어서도 아니네.
徒步翻愁官長怒、                               다만 걸어다니다가 오히려 관장의 노여움 살까 염려되니,
此心炯炯君應識。                               이 마음 분명하니 그대는 응당 알 것이로다.
曉來急雨春風顚、                               새벽에 갑자기 비내리고 봄바람이 세차게 불었지만,
睡美不聞鍾鼓傳。                               깊이 잠들어 시간을 알리는 종소리와 북소리 듣지 못했네.
東家蹇驢許借我、                               동쪽집에서 절름발이 노새 내게 빌려주었으나,
泥滑不敢騎朝天。                               진흙판이 미끄러워 감히 조정에 타고 갈 수 없었다네.
已令請急會通籍、                               이미 급히 청하여 조회를 면제받았으나,
男兒性命絶可憐。                               사나이의 한 목숨이 매우 가련하구나
焉能終日心拳拳、                               어찌 종일토록 마음 졸이며 지내겠는가?
憶君誦詩神凜然。                               그대를 떠올리며 시 읊으니 정신이 늠름해진다.
辛夷始花亦已落、                               목련꽃 처음 피었다가 이미 또 졌는데,
況我與子非壯年。                               하물며 나와 자네는 장년이 아닌가.
街頭酒價常苦貴、                               거리의 술값은 항상 너무 비싸,
方外酒徒稀醉眠。                               세상 밖 술꾼들 취하여 잠든 자 드물다네.
速宜相就飮一斗、                               속히 서로 만나 술 한 말 마셔야지,
恰有三百靑銅錢。                               때마침 내게 삼백 전이 있다네.
                                                                                              <古文眞寶 前集 第11권>

 

 

澁 : 떫을 삽. 떫다. 껄끄럽다. 말하기를 어려워하다. 말을 더듬음. 나아가기가 어렵다. 막히다진척(進陟) 되지 아니함.

請急會通籍 : 籍은 일종의 통행증으로 보인다. 李德弘은 “옛날에 벼슬아치들은 모두 궐 아래에 籍을 두고 출입할 때에 대조하였으니,

        이것을 通籍이라고 한다. 請急은 급한 일이 있으면 通籍이 있는 곳에 요청하여 조회를 면제받는 것이다.” 하였다.

        金隆도 “請急은 오늘날 朝官들이 연고가 있어 入朝하지 않을 경우에는 병의 실상을 올려 조회를 면제받는 것과 같다.” 하였다.

辛夷 : 목련과에 속한 낙엽 교목. 목련꽃의 별칭. 

 

 

 

[賞析]

 

이 시는《杜少陵集》6권에 실려 있는 바, 乾元 元年(758) 봄에 두보가 左拾遺로 있을 때에 지은 것이다. 偪側은 궁핍하다는 뜻인 바, 이 시는 곤궁함을 노래한 것으로 제목 밑의 주에 “贈畢曜[필요에게 주다]” 라는 세 글자가 덧붙여져 있다. 畢曜는 글을 좋아하는 杜甫의 친구로 몹시 곤궁하게 살았는데, 해학적인 필치로 그의 곤궁한 생활을 묘사하고 친구를 그리워하는 간절한 情을 읊은 것이다.

 

'중국의 漢詩 > 杜甫' 카테고리의 다른 글

石壕吏  (0) 2020.12.02
自京赴奉先縣詠懷  (0) 2020.11.20
佳人  (0) 2020.05.27
春夜喜雨  (0) 2020.05.26
登岳陽樓  (0) 2020.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