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杜甫

佳人

by 柳川 2020. 5. 27.

                                              佳  人

 

 

絶代有佳人、                                절세(絶世)의 가인(佳人)이

幽居在空谷。                                빈 계곡에 숨어 사네

自云良家子、                                스스로 말하길 양가집 자식으로

零落依草木。                                몰락하여 초목에 의지해 있다오.

 

關中昔喪敗、                                지난 번 관중에 난리가 있을 때

兄弟遭殺戮。                                형제들은 죽임을 당했어요

官高何足論、                                벼슬이 높은들 무슨 소용 있겠어요

不得收骨肉。                                골육조차 거두지 못했는걸요

 

世情惡衰歇、                                세상 인정이란 몰락한 거 싫어하고

萬事隨轉燭。                                세상만사 바람 따라 촛불 흔들리듯 하지요

夫婿輕薄兒、                                남편은 경박한 사람이었고

新人美如玉。                                새 여자는 옥 같이 아름다웠지요

 

合昏尙知時、                                합혼초도 오히려 때를 알고

鴛鴦不獨宿。                                원앙새도 홀로 잠자지 않건만

但見新人笑、                                새 여자의 웃음만 보고 있으니

那聞舊人哭。                                옛 아내의 울음 어떻게 듣겠어요

 

在山泉水淸、                                산에 있어야 샘물이 맑은 법이지

出山泉水濁。                                산을 나서면 샘물은 탁해진다오

侍婢賣珠回、                                여종이 구슬 팔아 돌아오고

牽蘿補茅屋。                                덩굴 가져와 집을 수리해 산다오

 

摘花不揷發、                                꽃 꺾어 머리에 꽂지 않고

采柏動盈掬。                                측백나무 잎 따면 어느덧 두 손에 가득하다오

天寒翠袖薄、                                날 추워졌지만 푸른 옷 얇은데

日暮倚修竹。                                해 저물녘에 긴 대나무숲에 기대어 있네.

                                                                                      <古文眞寶 前集 第 3卷>

 

關中昔喪亂 : 관중(關中)은 섬서성(陝西省)의 함곡관(函谷關) 이서(以西) 지방으로 長安을 이르는 바, 안록산(安祿山)이 난을 일으켜

         장안을 함락시킨 일을 가리킨 것이다.

萬事隨轉燭 : 세상 일은 마치 바람 따라 흔들리는 촛불과 같이 변화가 심함을 이른다.

合昏 : 꽃 이름으로 合歡(합환)이라고도 한다. 꽃은 색이 붉은 데 새벽에 피었다가 저물녘에 오므라든다.

在山泉水淸 出山泉水濁: 이 구절은 후대에 ‘在山水淸 出山水濁’이라는 성어가 되어 널리 쓰였는데, 여자의 마음을 샘물에 비유한 것

         으로 맑은 물처럼 굳은 마음을 가지고 산에 살 것을 나타낸다.

采柏動盈掬 : 측백나무는 소나무와 함께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고 푸르러 志節이 있는 사람을 비유하므로 남편의 지조와 절개를

         축원하는 뜻에서 측백나무의 잎을 딴 것이다. ‘掬’은 두 손으로 잡는 것.

 

 

 

[通釋]

 

그대는 절세미인인데 산골짜기 속에 숨어 산다. 그대는 말한다.

“저는 양가집 여자인데, 불행을 만나 신세가 영락해 다만 수풀 속에 몸을 맡기고 있어요. 지난 번 관중 일대가 병란(兵難)을 만나, 제 형제들이 모두 피살당했으니 벼슬이 높은 집안이라 한들 또 어찌할 수 있었겠어요. 변고를 만나 골육들조차 수습해 묻을 방도가 없었지요. 인정이란 대체로 쇠퇴해 무너지는 것을 싫어하고, 세상사 변화가 많은 것은 바람 따라 흔들리는 촛불과 같아요. 제 집안의 경박한 남편은 또 새 여자를 데려와 저를 버렸답니다. 합환화도 저녁이 되면 꽃잎을 움츠려 합칠 줄 알고 원앙도 짝을 이루면 혼자 자지 않는데 남편은 새 여자가 웃고 기뻐하는 걸 보고만 있으니 어떻게 제가 울고 있는 것을 듣겠어요?”

 

샘물은 산에 있어야 맑지 산을 나가면 혼탁해져 버리니, 생활을 위해서 여종은 주옥(珠玉)을 전당잡히고 간혹 초가집이 무너지면 푸른 넝쿨을 가져와 고친다.

그대 다시는 꽃 꺾어 머리에 꽂지 못하고 항상 측백나무 이파리만 가득 따온다. 날이 추워 푸른 옷은 홑겹이라 얇을 텐데 해지는 황혼녘 긴 대나무에 기대어 있으니 그대의 곧고 굳은 절개를 알겠다.

 

 

 

[解題]

 

이 시는 숙종 건원 2년(759) 가을, 두보가 관직을 버리고 진주(秦州)로 피난 갔을 때 쓴 것이다. 두보는 전란에 휩쓸려 떠도는 사람들의 사회현실을 형상한 작품을 많이 썼는데, 이 시처럼 여성을 전면에 내세운 작품은 드물다.

 

 

[해설]

 

작자가 자기 자신을 佳人에 기탁하여, 자기의 불우함을 탄식한 시. 安祿山의 亂에 즈음하여, 杜甫는 46세 때인 757년에, 玄宗에게 讓位(양위) 받은 肅宗을 찾아, 遷都(천도)한 鳳翔(봉상)으로 찾아가, 왕을 諫(간)하는 관직인 左拾遺(좌습유)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다음 해인 758년에 肅宗을 간하다가 왕의 노염을 사게 되어, 華州 司空參軍에 좌천되었다. 그리고 또 그 다음 해인 759년에는 심한 가뭄으로 기근이 들어, 녹봉으로는 가족을 부양할 수 없게 되자, 관직을 버리고 이후 극심한 가난 가운데 각 지방을 떠돌게 되었다.

 

                                                                                  <번역및 注는 전통문화연구회의 동양고전종합DB에서  참고및 인용>

'중국의 漢詩 > 杜甫'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自京赴奉先縣詠懷  (0) 2020.11.20
偪側行  (0) 2020.10.26
春夜喜雨  (0) 2020.05.26
登岳陽樓  (0) 2020.05.26
秋興  (0) 2020.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