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八回. 立新君華督行賂, 敗戎兵鄭忽辭婚.
話說宋殤公與夷,自即位以來,屢屢用兵,單說伐鄭,已是三次了。只爲公子馮在鄭,故忌而伐之。太宰華督素與公子馮有交,見殤公用兵於鄭,口中雖不敢諫阻,心上好生不樂。孔父嘉是主兵之官,華督如何不怪他?每思尋端殺害,只爲他是殤公重用之人,掌握兵權,不敢動手。自伐戴一出,全軍覆沒,孔父嘉隻身逃歸,國人頗有怨言,盡說:「宋君不恤百姓,輕師好戰,害得國中妻寡子孤,戶口耗減。」 華督又使心腹人於里巷布散流言,說:「屢次用兵,皆出孔司馬主意。」國人信以爲然,皆怨司馬。華督正中其懷。又聞說孔父嘉繼室魏氏,美艷非常,世無其比,只恨不能一見。忽一日魏氏歸寧,隨外家出郊省墓。時值春月,柳色如煙,花光似錦,正士女踏青之候。魏氏不合揭起車幰,偷覷外邊光景。華督正在郊外游玩,驀然相遇,詢知是孔司馬家眷,大驚曰:「世間有此尤物,名不虛傳矣!」 日夜思想,魂魄俱銷。「若後房得此一位美人,足夠下半世受用!除是殺其夫,方可以奪其妻。」 繇此害嘉之謀益決。
歸寧 :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어버이를 뵘. 幰 : 수레포장 헌. 驀 : 말탈 맥. 말을 타다. 갑자기. 곧장. 쏜살같다. 뛰어넘다.
踏青 : 봄날 淸明節(동지로부터 100일이 되는 날)을 전후하여 교외로 나가 산보하며 즐기는 것. 이 때 青은 青草.
夠 : 모을 구/많을 구. 足夠 : 만족하다. 족하다. 충분하다. 受用 : 누리다. 이익을 얻다. 향유하다.
한편 송나라 상공 여이(與夷)는 즉위한 이래 빈번하게 용병하면서, 오로지 정나라를 친다고 한 것이 이미 세 차례나 되었다. 단지 공자 풍이 정나라에 있기 때문에 그것이 꺼림찍해 정나라를 친 것이었다. 태재 화독과 공자 풍은 평소 서로 교분이 있었는데, 상공이 정나라에 용병하는 것을 보고, 말로는 감히 간하여 막지는 못했어도 마음으로는 매우 편치 못했다. 공보가는 병무를 주관하는 사마 벼슬에 있었는데 화독이 어찌 그를 괴이히 여기지 않았겠는가? 항상 공보가를 죽이려고 기회를 엿보았으나 다만 그가 상공이 중용하는 사람이며 병권을 장악하고 있어 감히 손을 쓰지 못했다. 대나라를 치다가 정나라와 한차례 싸워 전군을 잃고 단신으로 도망쳐 귀국한 이후, 백성들이 원망하는 말이 매우 많았는데 모두 다음과 같이 말했다. "송나라 군주가 백성을 돌보지 않고 경솔하게 군대를 동원하고 전쟁을 좋아하여 나라안의 처자를 과부로 만들고 자식들을 고아로 만들어 인구가 줄었다,"
화독은 게다가 심복인을 시켜 항간에 유언비어를 퍼뜨렸다. "누차의 용병은 모두 공사마의 생각에서 나온 것이다."
백성들이 진실로 그렇다고 여기고 모두 사마를 원망했다. 화독은 바로 그 마음을 꿰뚫은 것이었다. 또 들리는 바로는 공보가의 계실 위씨는 미색이 뛰어나 세상에 비할 바가 없는데 단지 한 번이라도 볼 수 없다는 것이 한이라고 하였다.
어느 날 갑자기 위씨가 부모님께 문안을 드리러 친정에 갔다가 친정집 사람들을 따라 교외에 성묘를 나갔었다. 때는 봄이라 버들가지는 연기같이 하늘거리고 꽃이 핀 광경은 수놓은 비단같아 바로 남녀가 산보 나가기 좋은 계절이었다. 위씨는 넌지시 수레의 포장을 걷어 올리고 외부의 광경을 남몰래 엿보았다.
화독도 때마침 교외에서 산보를 즐기다가 그들과 갑자기 마주쳤는데, 그들이 공사마의 가족이라는 것을 물어 알고 깜짝 놀라 말했다.
"세간에 그녀가 뛰어난 미녀라고 하더니 과연 명불허전이로다!"
그 후 밤낮으로 그리워하며 정신을 차릴 수가 없었다.
"만약 이렇게 뛰어난 미녀를 얻어 곁에 둘 수 있다면, 반 평생을 누리기에 족하다! 그녀의 남편을 죽여 없앤다면 바로 그의 아내를 빼앗을 수 있을 것이다." 이로부터 공보가를 해치려는 음모가 더욱 굳어졌다.
時周桓王十年春蒐之期,孔父嘉簡閱車馬,號令頗嚴。華督又使心腹人在軍中揚言:「司馬又將起兵伐鄭,昨日與太宰會議已定,所以今日治兵。」 軍士人人恐懼,三三兩兩,俱往太宰門上訴苦,求其進言於君,休動干戈。華督故意將門閉緊,但遣閽人於門隙中,以好言撫慰。軍士求見愈切,人越聚得多了,多有帶器械者。看看天晚,不得見太宰,吶喊起來。自古道:「聚人易,散人難。」 華督知軍心已變,衷甲佩劍而出,傳命開門,敎軍士立定,不許喧嘩。自己當門而立,先將一番假慈悲的話,穩住眾心。然後說:「孔司馬主張用兵,殃民毒眾。主君偏於信任,不從吾諫。三日之內,又要大舉伐鄭。宋國百姓何罪,受此勞苦!」 激得眾軍士咬牙切齒,聲聲叫:「殺!」 華督假意解勸:「你們不可造次,若司馬聞知,奏知主公,性命難保!」 眾軍士紛紛都道:「我們父子親戚,連歲爭戰,死亡過半。今又大擧出征,那鄭國將勇兵强,如何敵得他過?左右是死,不如殺卻此賊,與民除害,死而無怨!」 華督又曰:「『投鼠者當忌其器』。司馬雖惡,實主公寵幸之臣,此事決不可行!」
때는 주나라 환왕 십년 봄 사냥을 나가는 시기였는데, 공보가는 거마를 점검하면서 호령이 매우 엄하였다. 화독은 심복인을 시켜 군사들 속에서 말을 퍼뜨렸다. "사마는 또 다시 군대를 일으켜 정나라를 치려고 어제 태재와 만나 의논하여 이미 그 뜻을 정했으며 그 때문에 오늘 군사를 조련하는 것이다."
군사들 모두가 두려워 하여 삼삼오오 모두 태재 화독의 집 문앞으로 가서 고충을 호소하고 군주께 진언하여 전쟁을 멈출 것을 요구하였다. 화독은 일부러 문을 단단히 잠그고 다만 문지기를 문 틈으로 보내 좋은 말로 군사들을 어루만지게 하였다. 군사들이 태재를 만나려고 요구하는 것이 더욱 절박해지고 사람들이 더욱 많이 몰려들며 많은 자들이 병장기를 들고 왔다. 날이 갈수록 어두워지자 태재를 만날 수 없어 함성을 지르며 몰려왔다. 옛부터 이르기를, '사람들이 모이기는 쉬워도 흩어지는 것은 어렵다.'고 하였는데 화독은 군심(軍心)이 이미 변한 것을 알고, 평복 속에 갑옷을 입고 칼을 차고 나가면서 명을 전해 문을 열고 군사들이 정열하도록 하며 시끄럽게 떠드는 것을 금했다. 스스로 문 앞에 나서서 먼저 한바탕 자비로운 말로 군사들의 마음을 진정시켰다.
그리고 말했다. "공사마는 용병을 주장하나 그것은 백성을 해치고 대중을 상하게 하는 것이다. 주군께서는 신임하는 사람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내가 간하는 것을 따르지 않았다. 사흘 이내에 또 대대적으로 정나라를 치려고 한다. 송나라 백성이 무슨 죄를 지어 이렇게 고난과 고통을 받아야 하는 것인가!"
수많은 군사들이 격동되어 이를 갈며 외치는 소리마다 "죽여라!" 하는 소리 뿐이었다.
화독은 말리는체 하며 말했다. "너희들은 잠시라도 그래서는 안된다. 만약 공사마가 알게 되어 주공께 아뢴다면 너희들은 목숨을 보전하기 어려울 것이다."
많은 군사들이 분분히 모두 말했다. "우리들 부자(父子)와 친척들은 매년 전쟁으로 반이 넘게 죽었습니다. 지금 또 대대적으로 출정한다면, 정나라는 장수들은 용맹스럽고 병사들은 강한데 어찌 그들을 대적할 수 있겠습니까? 주변이 모두 죽게 될 것이니 차라리 이 도적을 죽여 백성들에게 해로운 자를 제거하는 것만 같지 못하며 그렇게 되면 죽어도 한이 없을 것입니다."
화독이 또 말했다. "쥐를 잡으려고 돌을 던지려 해도 마땅히 독을 깰까 봐 참는다.'고 하였다. 사마가 비록 악하다 해도 실제로 주공이 총애하는 신하이니 그 일은 결코 행할 수 없는 것이다."
眾軍士曰:「若得太宰做主,便是那無道昏君,吾等也不怕他!」 一頭說,一頭扯住華督袍袖不放。齊曰:「願隨太宰殺害民賊!」 當下眾軍士幫助輿人,駕起車來。華督被眾軍士簇擁登車,車中自有心腹緊隨。一路呼哨,直至孔司馬私宅,將宅子團團圍住。華督吩咐:「且不要聲張,待我叩門,於中取事。」 其時黃昏將盡,孔父在內室飮酒,聞外面叩門聲急,使人傳問。說是:「華太宰親自到門,有機密事相商。」 孔父嘉忙整衣冠,出堂迎接。纔啟大門,外邊一片聲吶喊,軍士蜂擁而入。孔父嘉心慌,卻待轉步。華督早已登堂,大叫:「害民賊在此,何不動手?」 嘉未及開言,頭已落地。華督自引心腹,直入內室,搶了魏氏,登車而去。魏氏在車中計施,暗解束帶,自繫其喉,比及到華氏之門,氣已絕矣。華督歎息不已。吩咐載去郊外藳葬,嚴戒同行人從,不許宣揚其事。嗟乎!不得一夕之歡,徒造萬劫之怨,豈不悔哉!眾軍士乘機將孔氏家私,擄掠罄盡。孔父嘉止一子,名木金父,年尚幼,其家臣抱之奔魯。後來以字爲氏,曰孔氏。孔聖仲尼,即其六世之孫也。
呼哨 : (손가락을 입안에 넣고 부는) 휘파람. 聲張 : 큰 소리를 내다. 소리를 크게 지름. 널리 알리다.
搶 : 닿을 창. 닿다. 부딛침. 이르다. 도달함. 빼앗다. 거절하다. 돛을 올리다. 어지럽다. 그 모양.
罄 : 빌 경. 비다. 공허함. 다하다. 바닥이 남. 모두. 죄다. 보이다. 나타남. 경쇠.
군사들이 말했다. "만약 태재가 주도하신다면 그 무도하며 우매한 군주를 우리는 두려워하지 않을 것입니다!"
한 쪽은 말하고 한 쪽은 화독의 옷깃과 소매를 잡고 놔주지를 않았다.
그러면서 일제히 말했다. "태재의 뒤를 따라 백성의 적을 죽이기를 원합니다." 바로 그 자리에서 군사들은 마부를 도와 수레에 멍에를 매어 왔다. 화독은 군사들에 의해서 빽빽히 옹위되어 수레에 태워졌는데 수레안에서는 심복이 바짝 붙어 수행하게 했다. 도중에 군사들은 휘파람을 불며 바로 공사마의 사택으로 가서 집을 몇 겹으로 포위하였다.
화독이 군사들에게 분부했다. "잠시 큰 소리를 낼 필요가 없다. 내가 문을 두드리기를 기다려 그가 나오면 죽여라."
그 때는 황혼이 지고 어두워질 때다. 공보가는 내실에서 술을 마시고 있다가 밖에서 급히 문 두드리는 소리를 듣고 사람을 시켜 무슨 일인지 물어보게 했는데, "화태재가 친히 문에 와서 기밀사가 있어 상의하고자 한다."고 했다.
공보가가 급히 의관을 갖추고 집을 나가 화독을 맞이했다. 대문을 열자마자 문밖 한쪽에서 함성이 크게 일며 군사들이 벌떼처럼 몰려 들어왔다. 공보가는 당황하여 그들을 막고 발걸음을 돌리려고 하였는데 화독이 재빨리 당에 올라가 큰 소리로 외쳤다.
"백성을 해치는 도적이 여기에 있는데 어찌 손을 쓰지 않는가?"
공보가가 입을 열기도 전에 머리가 이미 땅에 떨어졌다. 화독은 심복을 이끌고 바로 내실로 들어가 위씨를 데리고 나와 수레에 태우고 갔다. 위씨는 수레 안에서 어쩔 수가 없어 은밀히 속대를 풀어 스스로 목을 매었는데, 화씨 집의 문에 이르렀을 때 호흡이 이미 끊어졌었다.
화독은 탄식을 금치 못했다. 그리고 심복에게 분부하여 위씨를 교외로 싣고 나가 짚으로 싸서 장례를 치르도록 하고, 그를 따랐던 종자들을 엄히 단속하여 그 일을 외부에 새나가지 않도록 했다.
아아! 하루 저녁의 환락도 누리지 못하고 헛되이 돌이킬 수 없는 원한만 샀으니 어찌 후회를 하지 않겠는가!
군사들은 그 기회를 틈타 공씨의 가산을 모조리 약탈했다. 공보가에게는 오직 아들 하나만 있었는데 나이가 아직 어려 가신이 그를 안고 노나라로 도주했다. 후에 자를 성씨로 삼아 공(孔)씨라 했다. 공중니(孔子)는 바로 그의 육세손이다.
且說宋殤公聞司馬被殺,手足無措。又聞華督同往,大怒,即遣人召之,欲正其罪。華督稱疾不赴。殤公傳令駕車,欲親臨孔父之喪。華督聞之,急召軍正謂曰:「主公寵信司馬,汝所知也。汝曹擅殺司馬,烏得無罪?先君穆公舍其子而立主公,主公以德爲怨,任用司馬,伐鄭不休。今司馬受戮,天理昭彰。不若並行大事,迎立先君之子,轉禍爲福,豈不美哉?」 軍正曰:「太宰之言,正合眾意。」 於是號召軍士,齊伏孔氏之門,只等宋公一到,鼓譟而起。侍衛驚散,殤公遂死於亂軍之手。華督聞報,衰服而至,擧哀者再。乃鳴鼓以聚群臣,胡亂將軍中一二人坐罪行誅,以掩眾目。倡言:「先君之子馮,見在鄭國,人心不忘先君,合當迎立其子。」 百官唯唯而退。華督遂遣使往鄭報喪,且迎公子馮。一面將宋國寶庫中重器行賂各國,告明立馮之故。
한편 송상공은 사마가 피살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어쩔줄을 몰랐다. 게다가 화독이 군사들과 함께 갔다는 말을 듣고 대로하여 바로 사람을 보내 그를 불러 죄를 물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화독은 병을 핑계대고 오지 않았다. 상공은 영을 내려 수레를 타고 친히 공보의 상가에 가고자 했다.
화독이 그 소식을 듣고 급히 군리들의 장(長)인 군정을 불러 말했다. "주공께서는 사마를 총애하고 믿으신다는 것은 너도 알 것이다. 너희들이 멋대로 사마를 죽였으니 어찌 죄가 없겠느냐? 선군(先君)이신 목공(穆公)은 자신의 아들을 버리고 주공을 세웠는데 주공은 덕을 원한으로 삼고 사마를 임용하여 정나라 치는 일을 그치지 않고 있다. 이제 사마가 죽임을 당한 것은 하늘의 이치를 밝힌 것이라 할 것이다. 대사를 아울러 행하고 선군의 아들을 맞아 군주로 옹립한다면 전화위복이 될 것이니 어찌 아름다운 일이 아니겠느냐?"
군정이 말했다. "태재의 말씀이 바로 저희들의 뜻에 합당합니다."
그리하여 군정은 군사들을 소집하여 모두 공씨 집의 대문 부근에 잠복시켜 송공이 도착하기만을 기다렸다. 북소리를 신호로 모두 일어서니 시위 군사들이 모두 놀라 흩어져버렸고 상공은 마침내 난군의 손에 죽임을 당했다. 화독은 보고를 받자 상복을 입고 도착하여 곡을 하고는 장례를 치렀다. 그리고 북을 울려 신하들을 모은 다음 난군중의 장수 한두 명을 상공을 죽인 죄에 연루시켜 주살하므로써 대중의 이목을 가리려고 했다.
그리고 큰 소리로 외쳤다. "선군의 아들 풍이 현재 정나라에 계십니다. 인심은 선군을 잊지 못하고 있으니 선군의 아들을 모셔와서 군주로 옹립하는 것이 합당합니다."
백관은 모두 예예하고 물러갔다. 화독은 마침내 사자를 보내 정나라에 가서 상공의 죽음을 알리고 공자 풍을 맞이하였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송나라의 보고에 있는 귀중한 기물을 각국에 뇌물로 바치고 공자 풍을 군주로 옹립한 연유를 밝혔다.
且說鄭莊公見了宋使,接了國書,已知來意。便整備法駕,送公子馮歸宋爲君。公子馮臨行,泣拜於地曰:「馮之殘喘,皆君所留。幸而返國,得延先祀。當世爲陪臣,不敢貳心。」 莊公亦爲嗚咽。公子馮回宋,華督奉之爲君,是爲莊公。華督仍爲太宰,分賂各國,無不受納。齊侯、魯侯、鄭伯同會於稷,以定宋公之位,使華督爲相。
한편, 정장공은 송나라 사자를 접견하고 국서를 받아 보고는 이미 사자가 온 뜻을 알았다. 곧 어가를 정비하고 공자 풍을 송나라로 귀국시켜 군주가 되게 하였다.
공자 풍이 떠나게 되자 땅에 엎드려 절하면서 말했다. "제가 목숨을 부지할 수 있언던 것은 모두 준주의 보살핌 덕분입니다. 다행히도 귀국하여 선조들의 제사를 이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마땅히 대를 이어 배신(陪臣)이 될 것이며 감히 뜻을 어기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장공도 역시 목이 메었다. 공자 풍이 송나라로 돌아가자 화독이 받들어 군주로 옹립하였으니 바로 장공(莊公)이다. 화독은 거듭 태재가 되었으며 각 나라에 뇌물을 나누어 보내니 받자 않는 자가 없었다. 제나라, 노나라, 정나라 각 제후들은 직(稷)에서 회동하고 송공의 지위를 인정하고 화독을 재상으로 삼게 했다.
史官有詩嘆曰:
春秋篡弒嘆紛然,
宋魯奇聞只隔年。
列國若能辭賄賂,
亂臣賊子豈安眠!
사관이 시를 지어 탄식했다.
춘추에서는 찬탈과 시해에 분연히 탄식하는데,
송노 두나라의 좋지 못한 소문이 한 해 걸러 들렸도다.
열국(列國)에서 뇌물을 거절할 수 있었다면,
난신적자들이 어찌 편안히 잠잘 수 있겠는가?
又有詩單說宋殤公背義忌馮,今日見弒,乃天也。詩曰:
穆公讓國乃公心,
可恨殤公反忌馮。
今日殤亡馮即位,
九泉羞見父和兄。
또 시를 지어 다만 송나라 상공이 의를 배신하여 공자 풍을 꺼린 일로 금일 시해를 당하였는데 이는 하늘의 뜻이라 하였다.
송 목공이 나라를 양보한 것은 공변된 뜻이었는데,
상공이 오히려 공자 풍을 꺼린 것이 한스러웠도다.
오늘 상공이 죽고 공자 풍이 즉위하였는데,
구천에서 부친과 형을 무슨 면목으로 볼 것인가!
單表齊僖公自會稷回來,中途接得警報:「今有北戎主,遣元帥大良小良,帥戎兵一萬,來犯齊界,已破祝阿,直攻歷下。守臣不能抵當,連連告急。乞主公速回。」 僖公曰:「北戎屢次侵擾,不過鼠竊狗偷而已。今番大擧入犯,若使得利而去,將來北鄙必無寧歲。」 乃分遣人於魯、衛、鄭三處借兵。一面同公子元,公孫戴仲等,前去歷城拒敵。
제나라 희공은 직에서 회의를 마치고 돌아가던 중에 급한 보고를 받았다.
"지금 북융(北戎)의 군주가 원수 대량, 소량을 보내 융병 1만명을 이끌고 제나라 경계에 쳐들어 와 이미 축아(祝阿)를 깨뜨리고 바로 역하(歷下)를 치고 있습니다. 성을 지키고 있는 장수들은 막을 수 없어 연달아 급한 상황을 보고 하고 있습니다. 바라건대 주공께서는 속히 돌아오십시오."
희공이 말했다. "북융이 누차 침범하여 나라를 시끄럽게 하는데, 곡식을 훔쳐먹는 쥐나 먹을 것을 훔치는 개에 불과한 존재들일 뿐이다. 이번에 대대적으로 침입해 들어왔는데 이들이 이득을 취하여 돌아가게 한다면 장래 북쪽 변방은 반드시 편안한 날이 없게 될 것이다."
이리하여 사람을 노나라, 위나라, 정나라에 보내 세나라에 지원군을 요청했다. 한편으로 공자 원과 함께 공손대중등을 보내 먼저 역성으로 가서 적을 막도록 하였다.
卻說鄭莊公聞齊有戎患,乃召世子忽謂曰:「齊與鄭同盟,且鄭每用兵,齊必相從,今來乞師,宜速往救。」 乃選車三百乘,使世子忽爲大將,高渠彌副之,祝聃爲先鋒,星夜望齊國進發。聞齊僖公在歷下,逕來相見。時魯衛二國之師,尙未曾到。僖公感激無已,親自出城犒軍,與世子忽商議退戎之策。世子忽曰:「戎用徒,易進亦易敗;我用車,難敗亦難進。然雖如此,戎性輕而不整,貪而無親,勝不相讓,敗不相救,是可誘而取也。況彼恃勝,必然輕進。若以偏師當敵,詐為敗走,戎必來追。吾預伏兵以待之。追兵遇伏,必駭而奔,奔而逐之,必獲全勝。」 僖公曰:「此計甚妙!齊兵伏於東,以遏其前;鄭兵伏於北,以逐其後。首尾功擊,萬無一失。」 世子忽領命自去北路,分作兩處埋伏去了。僖公召公子元授計:「汝可領兵伏於東門,只等戎軍來追,即忙殺出。」 使公孫戴仲引一軍誘敵:「只要輸不要贏,誘至東門伏兵之處,便算有功。」 分撥已定,公孫戴仲開關搦戰。戎帥小良持刀躍馬,領著戎兵三千,出寨迎敵。
聃 : 귓바퀴 없을 담.
한편, 정장공은 제나라가 융의 침략을 받았다는 소식을 듣고 세자 홀을 불러 말했다.
"제나라와 정나라는 동맹관계이며, 또 정나라에서 용병할 때마다 제나라는 반드시 도왔다. 지금 지원군을 요청하니 속히 가서 구원하는 것이 마땅하다."
이리하여 융거(戎車) 삼백대를 선발하고 세자 홀을 대장으로 삼고, 고거미를 부장으로, 축담(祝聃)을 선봉으로 삼아, 밤새워 제나라로 향하여 진발하였다. 그리고 정나라 군대는 제나라 희공이 역하에 있다는 소식을 듣고 바로 역하로 가서 희공을 만났다. 이 때, 노, 위의 두나라 군대는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 희공은 감격해 마지 않으며, 친히 성을 나가 정나라 군사를 호궤하고 정 세자 홀과 함께 융병을 격퇴시킬 대책을 상의했다.
세자 홀이 말했다. "융은 보군을 쓰는데 쉽게 이기며 또 쉽게 무너집니다. 아군은 병거(兵車)를 사용하여 무너지기 어렵고 이기기도 어렵습니다. 그러나 이렇다 할지라도 융병의 성향(性向)은 경솔하고 정돈되지 못하며 탐욕스럽고 화목하지 못하며 승리해도 서로 사양하지 않고 패하여도 서로 구하지 않으니 이러한 점을 유인하여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물며 그들은 승리를 믿고 반드시 경솔하게 나아갈 것이니 만약 한 쪽의 군대가 대적하다가 거짓 패하여 달아난다면 융병은 반드시 추격해 올 것입니다. 제가 미리 군사들을 매복시켜 그들을 기다리겠습니다. 추격하는 융병이 매복군을 만나면 반드시 놀라 도망칠 것이니 그들을 추격한다면 반드시 전승을 얻을 것입니다."
희공이 말했다. "그 계책이 참으로 묘하도다! 제나라 군사가 동쪽에 매복하여 그들의 앞을 막을 것이니, 정나라 군사는 북쪽에 매복하여 융병의 뒤를 쫒으시오. 그렇게 되면 융병은 수미(首尾)가 공격당할 것이니 우리에게는 전혀 손실이 없을 것이오."
세자 홀이 명령을 받고 북로로 떠나 두곳으로 나누어 군사를 매복하러 떠났다. 희공은 공자 원을 불러 계책을 내렸다.
"너는 군사를 이끌고 동문 부근에 군사를 매복시켰다다 융병이 추격해 오는 것을 기다려 급히 나와 쳐라."
그리고 공손 대중으로 하여금 일단의 군을 이끌고 적군을 유인하도록 했는데, "단지 패하기만 하고 이기지는 말아라. 동문 복병이 있는 곳까지 유인한다면 곧 공을 세우게 될 것이다."
계책을 할당하는 일이 끝나자 공손 대중이 관문을 열고 싸움을 걸었다. 융군에서는 원수 소량이 칼을 들고 말을 달리며 융병 삼천을 거느리고 영채를 나와 대적했다.
兩下交鋒,約二十合。戴仲氣力不加,回車便走,卻不進北關,繞城向東路而去。小良不捨,儘力來追。大良見戎兵得勝,盡起大軍隨後,將近東門,忽然炮聲大震,金鼓喧天,茨葦中都是伏兵,如蜂攢蠅集。小良急叫:「中計!」 撥回馬頭便走,反將大良後隊衝動,立腳不牢,一齊都奔。公孫戴仲與公子元合兵追趕。大良吩咐小良上前開路,自己斷後,且戰且走。落後者俱被齊兵擒斬。戎兵行至鵲山,回顧追軍漸遠,喘息方定。正欲埋鍋造飯,山坳裏喊聲大擧,一枝軍馬衝出,口稱:「鄭國上將高渠彌在此」。大良小良慌忙上馬,無心戀戰,奪路奔逃。高渠彌隨後掩殺。約行數里之程,前面喊聲又起,卻是世子忽引兵殺到,後面公子元率領齊兵亦至。殺得戎兵七零八落,四散逃命。小良被祝聃一箭,正中腦袋,墜馬而死。大良匹馬潰圍而出,正遇著世子忽戎車,措手不及,亦被世子忽斬之。生擒甲首三百,死者無算。世子忽將大良小良首級並甲首,都解到齊侯軍前獻功。
坳 : 우묵할 요.
양쪽이 겨루는 것이 대략 이십합이 되었다. 공손대중은 더이상 기력을 발휘하지 않고 수레를 돌려 곧 도주하였는데 북쪽 관문으로 가지 않고 성을 돌아 동쪽을 향해 달려갔다. 소량이 멈추지 않고 힘을 다해 추격해 왔다. 대량이 바라보니 융병이 승리하고 있다. 이에 대군을 휘몰아 융병을 뒤따라 달리다가 동문 가까이 이르렀다. 갑자기 포성이 크게 울리더니 금고소리가 하늘을 진동하였다. 가시나무와 갈대속에는 모두 복병인데 벌떼같이 달려들었다.
소량이 급히 외쳤다. "적의 계략에 빠졌다!"
급히 말머리를 돌려 도망쳐 돌아가다가 대량이 이끄는 후대와 만났는데 말을 나눌 틈도 없이 일제히 모두 도망쳤다. 공손대중은 공자 원과 군사를 합쳐 추격했다. 대량은 소량에게 분부를 내려 앞에서 길을 열라고 하고 자신은 뒤를 끊었는데 한편으로는 싸우면서 한편으로는 도망쳤다. 뒤에 처진 자들은 모두 제나라 병사에 의해서 생포되거나 참해졌다. 융병은 작산에 이르자 뒤돌아 보니 추격군이 점점 멀어져 가쁜 숨을 돌렸다. 막 솥을 걸어 밥을 지으려고 하는데 산골짜기 안에서 함성이 크게 일며 한 무리의 군마가 몰려나오며 외쳤다.
"정나라 상장 고거미가 여기 있다."
대량과 소량은 급히 말에 올라 싸울 뜻이 없어 길을 열어 도망쳤다. 고거미가 뒤를 쫒으며 엄살하였다. 대략 몇 리쯤 갔을까, 앞에서 함성이 또 크게 일더니 정나라 세자 홀이 군사를 이끌고 쇄도했는데 뒷쪽에서는 공자 원이 제나라 군사를 이끌고 달려왔다. 융병을 치는데 융병은 지리멸렬하여 사방으로 흩어져 도망쳤다. 소량은 축담의 화살 한 발이 머리 가운데에 명중하여 말에서 떨어져 죽었다. 대량은 필마로 포위망을 뚫고 탈출하였으나 바로 세자 홀의 융거와 맞닥뜨려 손한번 쓰지 못하고 세자 홀에 의하여 참해졌다. 갑옷 입은 병사 삼 백명을 사로잡았고 죽은 자는 셀 수가 없었다. 세자 홀은 자량과 소량의 수급을 갑옷 입은 병사의 수급과 함께 모두 제나라 군주에게 압송하여 군전에 바쳤다.
僖公大喜曰:「若非世子如此英雄,戎兵安得便退?今日社稷安靖,皆世子之所賜也!」 世子忽曰:「偶效微勞,何煩過譽?」 於是僖公遣使止住魯衛之兵,免勞跋涉。命大排筵席,專待世子忽。席間又說起:「小女願備箕箒」。世子忽再三謙讓。席散之後,僖公使夷仲年私謂高渠彌曰:「寡君慕世子英雄,願結姻好。前番遣使,未蒙見允。今日寡君親與世子言之,世子執意不從,不知何意。大夫能玉成其事,請以白璧二雙,黃金百鎰爲獻。」 高渠彌領命,來見世子,備道齊侯相慕之意:「若諧婚好,異日得此大國相助,亦是美事。」 世子忽曰:「昔年無事之日,蒙齊侯欲婚我,我尙然不敢仰攀。今奉命救齊,幸而成功,乃受室而歸,外人必謂我挾功求娶,何以自明?」 高渠彌再三攛掇,只是不允。次日,齊僖公又使夷仲年來議婚,世子忽辭曰:「未稟父命,私婚有罪。」 即日辭回本國。齊僖公怒曰:「吾有女如此,何患無夫?」
攛 : 던질 찬. 던지다. 나쁘게 꾀다. 교사함. 섞다. 일을 다그치다.
희공이 크게 기뻐하며 말했다. "세자가 이같은 영웅이 아니었다면 융병이 어찌 편안하게 물러갈 수 있었겠는가? 오늘 사직의 안정은 모두 세자의 덕택이오."
세자 홀이 대답했다. "우연히 작은 공을 세웠을 뿐인데 어찌 과분하게 칭찬하십니까?"
이리하여 희공은 노나라와 위나라 군대가 머물고 있는 곳에 사자를 보내 군대의 행군을 멈추게 했다. 그리고 명을 내려 크게 주연을 베풀어 오로지 세자 홀을 접대하였다.
희공은 술자리에서 다시 말을 꺼냈다. "우리 딸을 출가시켜 세자를 받들게 하고 싶소." 세자 홀은 재삼 사양하였다.
술자리가 끝난 후 희공은 이중년을 시켜 은밀하게 고거미에게 말하게 했다.
"우리 군주께서는 세자의 영웅됨을 흠모하여 혼인으로 좋은 관계를 맺기를 원하십니다. 지난 번에도 사자를 보냈으나 승락을 얻지 못했습니다. 오늘 우리 군주께서 직접 세자에게 그 뜻을 말하였으나 세자는 고집을 부리고 따르지 않는데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대부께서는 그 일을 완벽하게 이루실 수 있다고 보고, 백벽 두 쌍, 황금 백일을 바쳐 힘써 주시기를 청합니다."
고거미는 그 말을 듣고 세자를 만나서 제나라 군주가 세자를 흠모하는 마음을 모두 말했다.
"결혼을 하시게 된다면 훗 날 이 대국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니 이 또한 아름다운 일이 될 것입니다."
세자 홀이 말했다. "옛날 아무 일도 없었을 때, 제후께서 나와 그 딸을 혼인시키려고 한 바 있었으나 나는 여전히 감히 정나라보다 큰 나라와 혼인할 수 없습니다. 지금 부친의 명을 받들어 제나라를 구하러 왔다가 다행히도 공을 세웠는데 아내를 얻어 귀국하면 외부 사람들은 반드시 내가 공을 믿고 아내를 구하였다고 할 것이니 무엇이라고 스스로 변명하겠소?"
고거미가 재삼 설득하였으나 끝내 허락하지 않았다. 다음날 제 희공은 또 이중년을 시켜 혼인을 의논하였으나 세자가 사양하며 말했다.
"부친에게 품하지 않았고 혼인을 승락하는 명이 없었으니 사사로이 혼인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하고는 그날로 하직인사를 드리고 본국으로 돌아갔다.
희공이 노하여 말했다. "내 딸이 이와같은데 어찌 남편감이 없다고 걱정하겠는가?"
再說鄭世子忽回國,將辭婚之事,稟知莊公。莊公曰:「吾兒能自立功業,不患無良姻也。」 祭足私謂高渠彌曰:「君多內寵,公子突、公子儀、公子亹三人,皆有覬覦之志。世子若結婚大國,猶可籍其助援。齊不議婚,猶當請之。奈何自翦羽翼耶?吾子從行,何不諫之?」 高渠彌曰:「吾亦言之,奈不聽何?」 祭足嘆息而去。
亹 : 힘쓸 미. 힘쓰다. 근면한 모양. 눈썹. 문채있는 모양. 覬 : 바랄 기. 바라다. 아래에서 위로 보고 바람. 쳐지다. 드리워짐.
覦 : 넘겨다 볼 유. 넘겨다보다. 분수 밖의 일을 바람. 覬覦 : (분에 넘치는 것을) 바라다. (야심을 품고) 노리다
정 세자 홀이 귀국하여 제나라에서의 혼인에 관한 일을 장공에게 아뢰었다.
장공이 말했다. "우리 아이가 능히 자립하여 공업을 이룰만 하니 좋은 혼처가 없다 해도 근심할 일이 아니다."
제족이 은밀히 고거미에게 말했다. "군주는 첩이 많고, 공자 돌(突), 공자 의(儀), 공자 미(亹) 세사람의 공자가 모두 분에 넘치는 뜻을 가지고 있소. 세자가 만일 큰 나라와 혼사로 맺어진다면 도움을 받을 수 있소. 제나라에서 혼담을 말하지 않아도 오히려 청하는 것이 마땅한데 어찌 스스로 날개를 꺾는단 말이오? 그대는 따라갔으면서도 어찌 간하지 않았소?"
고거미가 대답했다. "저 역시 말을 하였으나 듣지 않는데 어찌합니까?"
제족이 탄식하며 물러갔다.
髯翁有詩,單論子忽辭婚之事。詩曰:
丈夫作事有剛柔,
未必辭婚便失謀。
詩詠《載驅》並《敝笱》,
魯桓可是得長籌?
염옹이 시를 지어 오직 세자 홀의 혼인의 일을 논평하였다.
장부가 일을 함에는 강함과 부드러움이 있는 것,
혼인을 사양했다 해서 반드시 계책을 잃은 것은 아니로다.
시경의 재구(載驅)와 폐구(敝笱)를 읊었더라면,
노나라 환공이 아무래도 장수하지 않았을까.
高渠彌素與公子亹相厚,聞祭足之語,益相交結。世子忽言於莊公曰:「渠彌與子亹私通,往來甚密,其心不可測也。」 莊公以世子忽之言,面責渠彌。渠彌諱言無有,轉背即與子亹言之。子亹曰:「吾父欲用汝爲正卿,爲世子所阻而止,今又欲斷吾兩人之往來。父在日猶然;若父百年之後,豈復能相容乎?」 高渠彌曰:「世子優柔不斷,不能害人,公子勿憂也。」子亹與高渠彌自此與世子忽有隙。後來高渠彌弒忽立亹,蓋本於此。
고거미는 본래 공자 미(亹)와 교분이 두터웠는데, 제족의 말을 들은 후 더욱 가까워졌다.
세자 홀이 장공에게 말했다. "고거미와 미(亹)는 은밀히 통하여 왕래가 매우 많은데 그 마음을 헤아릴 수가 없습니다."
장공이 세자 홀의 말을 듣고 고거미를 면전에서 꾸짖었다. 고거미는 가타부타 말이 없다가 돌아 나와서 바로 공자 미에게 꾸짖음을 당한 일을 말했다.
공자 미가 말했다. "내 부친께서 그대를 정경으로 기용하려고 했다가 세자에 의해서 저지당했는데, 이제 또 우리 두 사람의 왕래를 끊으려고 하였소. 부친이 계신데도 오히려 그러한데 만약 부친이 돌아가신 후에는 어찌 또 용납할 수 있겠소?"
고거미가 말했다. "세자는 우유부단하여 남을 해칠 수 없습니다. 공자는 걱정하지 마십시오."
공자 미와 고거미는 이때부터 세자 홀과 틈이 생겼다. 후에 고거미가 세자 홀을 시해하고 공자 미를 옹립한 것은 아마 여기에 근본이 있을 것이다.
再說祭足爲世子忽畫策,使之結婚於陳,修好於衛:「陳衛二國方睦,若與鄭成鼎足之勢,亦足自固。」 世子忽以爲然。祭足乃言於莊公,遣使如陳求婚。陳侯從之。世子忽至陳,親迎嬀氏以歸。魯桓公亦遣使求婚於齊。只因齊侯將女文姜許婚魯侯,又生出許多事來。
제족은 세자 홀을 위해 계책을 꾸몄는데 세자를 진(陳)나라와 혼사를 맺고 위나라와 친선을 도모하고자 했다.
"진나라와 위나라는 지금 사이가 좋은데 만약 정나라와 더불어 세 나라가 정족지세를 이룬다면 또한 족히 스스로의 지위를 견고하게 할 수 있습니다."
세자 홀도 그렇게 생각했다.
제족은 장공에게 말하여 사자를 진나라에 보내 세자와의 혼사를 추진하였고 진나라에서는 그 말에 따랐다. 세자 홀이 진나라에 진나라에 도착하여 규씨(嬀氏)를 맞이하여 돌아갔다. 노나라 환공도 또한 제나라에 사자를 보내 구혼하였다. 다만 제후는 딸 문강이 노후와 혼인할 것을 허락했으며, 또 이로 인하여 대단히 많은 일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要知後事,且看下回分解。
뒷 일을 알려고 한다면 다음 회를 보라.
'中國歷史와文學 > 列國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十回. 楚熊通僭號稱王, 鄭祭足被脅立庶. (0) | 2021.03.22 |
---|---|
第九回. 齊侯送文姜婚魯, 祝聃射周王中肩. (0) | 2021.03.22 |
第七回. 公孫閼爭車射考叔, 公子翬獻諂賊隱公. (0) | 2021.03.22 |
第六回. 衛石碏大義滅親, 鄭莊公假命伐宋. (0) | 2021.03.22 |
第五回. 寵虢公周鄭交質, 助衛逆魯宋興兵. (0) | 2021.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