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十八回. 曹沫手劍劫齊侯, 桓公擧火爵甯戚.
周釐王元年春正月,齊桓公設朝,群臣拜賀已畢,問管仲曰:「寡人承仲父之敎,更張國政。今國中兵精糧足,百姓皆知禮義,意欲立盟定伯,何如?」 管仲對曰:「當今諸侯,强於齊者甚眾。南有荊楚,西有秦晉。然皆自逞其雄,不知尊奉周王,所以不能成霸。周雖衰微,乃天下之共主。東遷以來,諸侯不朝,不貢方物,故鄭伯射桓王之肩,五國拒莊王之命,遂令列國臣子,不知君父。熊通僭號,宋鄭弑君,習爲故然,莫敢征討。今莊王初崩,新王即位,宋國近遭南宮長萬之亂,賊臣雖戮,宋君未定,君可遣使朝周,請天子之旨,大會諸侯,立定宋君。宋君一定,然後奉天子以令諸侯,內尊王室,外攘四夷。列國之中,衰弱者扶之,强橫者抑之,昏亂不共命者,率諸侯討之。海內諸侯,皆知我之無私,必相率而朝於齊。不動兵車,而霸可成矣。」 桓公大悅。於是遣使至洛陽朝賀釐王,因請奉命爲會,以定宋君。釐王曰:「伯舅不忘周室,朕之幸也。泗上諸侯,惟伯舅左右之,朕豈有愛焉?」 使者回報桓公。桓公遂以王命布告宋、魯、陳、蔡、衛、鄭、曹、邾諸國,約以三月朔日,共會北杏之地。桓公問管仲曰:「此番赴會,用兵車多少?」 管仲曰:「君奉王命,以臨諸侯,安用兵車?請爲衣裳之會。」 桓公曰:「諾。」 乃使軍士先築壇三層,高起三丈。左懸鐘,右設鼓,先陳天子虛位於上,旁設反坫,玉帛器具,加倍整齊。又預備館舍數處,悉要高敞合式。
伯舅 : 통상 가장 나이가 많은 외삼촌을 말하지만, 여기서는 고대(古代)에 천자가 이성(異姓)의 제후를 높여 부르던 말.
주 이왕(釐王) 원년 봄 정월, 제환공은 조회를 열고 신하들의 배하(拜賀)가 끝나자 관중에게 물었다.
"과인이 중부의 가르침을 받들어 국정을 쇄신하였습니다. 지금 나라의 병사들은 정예화 되고 식량은 풍족해져 백성들이 모두 예의를 알게 되었습니다. 이제 제후들과 맹약을 맺고 패자를 정하고 싶은데 어떻습니까?"
관중이 대답했다. "지금 제후들중 제나라보다 강한 나라들이 매우 많습니다. 남쪽에는 초나라가 있고, 서쪽에는 진(秦), 진(晉)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두 그들이 스스로 영웅임을 즐길 뿐, 주나라 왕을 존중하고 받들 줄 몰라 패업을 이룰 수 없는 것입니다. 주 왕실이 비록 쇠약해졌다 할지라도 천하 모두의 종주국입니다. 낙양으로 동천한 이후 제후들이 조회하지 않고 공물도 바치지 않으며, 옛 정백 오생이 환왕의 어깨에 화살을 쏘고 다섯 나라가 장왕의 명을 거역하여, 마침내 열국이 주 왕실의 신하와 아들이면서도 군왕과 아비를 모르게 되었습니다.
초나라 웅통이 왕을 참칭하고 송나라와 정나라에서 군주를 시해한 일도 익숙해져 감히 죄를 묻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제 장왕이 죽고 새로운 왕이 즉위하였으며, 근래 송나라가 남궁장만의 난을 당해 적신이 주륙을 당했다고 하여도 송나라 군주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니 주군께서는 사자를 보내 주나라에 조회하고 천자의 교지를 청하여 제후들과 크게 회합하고 송나라 군주를 정하셔야 합니다.
송군이 정해지면 천자를 받들어 제후들에게 영을 내려 안으로는 왕실을 존중하고 밖으로는 사방의 이민족을 다스립니다. 열국가운데 쇠약한 나라가 있으면 도와주고 강하고 무례한 나라는 억누르며 어리석고 난잡하여 명을 받들지 않는 자는 제후들을 이끌고 다스립니다. 천하의 제후들이 모두 우리에게 사사로움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반드시 잇따라 제나라에 조회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병거를 움직이지 않고도 패업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환공이 크게 기뻐했다. 그리하여 낙양에 사자를 보내 이왕(釐王)을 조회하여 경하드리고 명을 내려주시기를 청하여 제후들과 회합하고 송나라 군주를 정하겠다고 하였다.
이왕이 말했다. "백구(伯舅)가 주 왕실을 잊지 않고 있는 것은 짐의 행운이로다. 사수(泗水)주변의 제후들이 오직 백구의 주변에 있으니 짐이 어찌 기쁘지 않겠는가."
사자가 돌아가 환공에게 보고 했다. 환공은 마침내 송(宋), 노(魯)、진(陳)、채(蔡)、위(衛)、정(鄭)、조(曹)、주(邾)등 여러 나라에 왕명을 널리 알리고, 삼월 초하룻날에 북행(北杏)이라는 곳에서 회맹한다고 하였다.
환공이 관중에게 물었다. "이번 모임에 갈 때 병거는 얼마나 따라가야 합니까?"
관중이 대답했다. "주군께서 왕명을 받들어 제후들에게 가는데 어찌 병거를 씁니까? 의장용의 병거만을 데리고 모임에 가십시오."
환공이 말했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그리하여 군사들을 먼저 보내 단을 삼층으로 쌓고 높이를 삼 장으로 하였다. 왼 쪽에는 종을 매달고, 오른 쪽에는 북을 설치하며, 위에는 먼저 천자의 자리를 비워둔채로 설치하고 그 옆에 헌수한 술잔을 되돌려 놓는 대인 반점을 설치하여, 옥과 비단, 제기등속을 각별히 정동해 놓았다. 또 미리 객사 여러 곳을 준비하고 모두 크기와 넓이가 격식에 맞도록 하였다.
至期,宋桓公御說先到,與齊桓公相見,謝其定位之意。次日,陳宣公杵臼,邾子克二君繼到。蔡哀侯獻舞,恨楚見執,亦來赴會。四國見齊無兵車,相顧曰:「齊侯推誠待人,一至於此。」 乃各將兵車退在二十里之外。時二月將盡,桓公謂管仲曰:「諸侯未集,改期待之,如何?」 管仲曰:「語云:『三人成眾。』 今至者四國,不爲不眾矣。若改期,是無信也。待而不至,是辱王命也。初合諸侯,而以不信聞,且辱王命,何以圖霸?」 桓公曰:「盟乎,會乎?」 管仲曰:「人心未一,俟會而不散,乃可盟耳。」桓公曰:「善。」
약속한 날이 되자 송 환공 어열이 먼저 도착하여 제환공과 만나 자신의 지위를 인정해주는 일에 감사의 뜻을 표했다. 다음 날, 진(陳) 선공 저구와 주자(邾子) 극(克)의 두 군주가 이어 도착했다. 채나라 애후 헌무는 초나라에 잡혔던 일에 한을 품고 역시 모임에 이르렀다.
네 나라 제후들은 제나라의 병거가 없는 광경을 보고 서로 돌아보며 말했다.
"제나라 환공이 진심으로 사람을 대하려고 홀로 이곳에 온 것 같습니다."
그리하여 각 병거를 거느리고 물러나 이십리 밖에서 머물렀다.
때는 2월이 끝날 때라 환공이 관중에게 물었다. "제후들이 아직 모이지 않았는데 날짜를 변경하고 기다리는 것이 어떻습니까?"
관중이 대답했다. "'세 사람이면 모임이 성립된다.' 고 하였습니다. 지금 네 나라 군주가 도착했으니 모임이 성립되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모임의 날짜를 변경하면 이야말로 신의가 없는 것입니다. 기다려도 오지 않는다면 이것은 왕명을 욕되게 하는 것입니다. 첫 제후의 회합에서 불신의 소문이 돌면 또 다시 왕명을 욕되게 하는 것인데 어떻게 패업을 이룰 수 있겠습니까?"
환공이 물었다. "맹으로 합니까? 모임(會)으로 합니까?"
관중이 대답했다. "인심이 아직 하나가 되지 못하였으니 모이기를 기다리고 해산하자 않았으니 맹으로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환공이 말했다. "좋습니다."
三月朔,昧爽,五國諸侯,俱集於壇下。相見禮畢,桓公拱手告諸侯曰:「王政久廢,叛亂相尋。孤奉周天子之命,會群公以匡王室。今日之事,必推一人爲主,然後權有所屬,而政令可施於天下。」 諸侯紛紛私議:欲推齊,則宋爵上公,齊止稱侯,尊卑有序;欲推宋,則宋公新立,賴齊定位,未敢自尊。事在兩難。陳宣公杵臼越席言曰:「天子以糾合之命,屬諸齊侯,誰敢代之?宜推齊侯爲盟會之主。」 諸侯皆曰:「非齊侯不堪此任,陳侯之言是也。」 桓公再三謙讓,然後登壇。齊侯爲主,次宋公,次陳侯,次蔡侯,次邾子。排列已定,鳴鐘擊鼓,先於天子位前行禮,然後交拜,敍兄弟之情。仲孫湫捧約簡一函,跪而讀之曰:「某年月日,齊小白,宋御說、陳杵臼、蔡獻舞、邾克,以天子命,會於北杏,共獎王室,濟弱扶傾。有敗約者,列國共征之!」諸侯拱手受命。
3월 초하룻날 동이 틀 무렵 다섯 나라의 제후들은 모두 제단 아래에 모였다. 서로 상견례를 마치자 환공이 공수하며 제후들에게 말했다.
"왕명이 추락하고 반란이 잇따라 일어난지 오래 되었습니다. 고는 주 천자의 명을 받들어 공들을 만나 왕실을 바로 잡으려고 합니다.
오늘의 일은 반드시 한 사람을 추천하여 맹주로 삼고 그 후에 권한을 위임하여 천자의 정령을 천하에 널리 베풀고자 하는 것입니다."
제후들이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제환공을 추천하자니, 송나라의 작위가 제일 위인 공(公)이고 제나라는 후(侯)에 불과하여, 서열을 따져 송군을 추천하려 하자, 송공은 새로 즉위하였고 제나라의 덕택으로 지위가 인정을 받게 되었으니 감히 받을 수 없다고 하여 일이 난처하게 되었다.
그때 진 선공 저구가 자리에서 일어나 말했다. "천자의 제후들을 규합하라는 명은 제후(齊侯)에게 내려졌는데 누가 감히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겠습니까? 마땅히 제후를 추천하여 맹주로 삼아야 합니다."
제후들이 모두 말했다. "제후가 아니면 그 일을 감당하지 못할 것입니다. 진후의 말이 옳습니다."
환공이 재삼 사양하다가 단에 올랐다. 제후가 맹주가 되고, 그 다음이 송공, 그 다음이 진후, 그 다음이 채후, 그 다음이 주자(邾子)로 하였다. 서열이 정해지자 종을 울리고 북을 쳐 먼저 천자의 자리앞에서 예를 행한 후 서로 절하여 형제의 정을 베풀었다.
중손추(仲孫湫)가 묶인 죽간이 담긴 함을 받들어 무릎을 꿇고 꺼내어 읽었다.
"모년 모월 모일 제나라의 소백, 송나라의 어열, 진나라의 저구, 재나라의 헌무, 주나라의 극은 천자의 명을 받들어 북행에서 모여 함께 왕실을 돕고, 약자를 구제하며 위태로운 자를 돕기로 하였다. 맹약을 저버리는 자가 있으면 열국이 연합하여 정벌할 것이다!"
제후들이 공수하고 명을 받았다.
《論語》稱桓公九合諸侯,此其第一會也。髯翁有詩云:
濟濟冠裳集五君,
臨淄事業赫然新。
局中先著誰能識?
只爲推尊第一人。
논어에서 환공이 제후들과 아홉 번 만난 것을 칭찬했는데 이 모임은 그 첫번째 모임이었다. 염옹이 시를 지어 남겼다.
당당한 모습으로 다섯 군주가 모이니,
임치(齊의 도읍)의 패업이 새롭게 빛나는구나.
그 판을 먼저 만든 자가 있는데 누가 맡을 수 있겠는가?
오직 추천받아 맹주로 오를 사람은 제후(齊侯)뿐이었도다.
諸候獻酬甫畢,管仲歷階而上曰:「魯、衛、鄭、曹,故違王命,不來赴會,不可不討。」 齊桓公擧手向四君曰:「敝邑兵車不足,願諸君同事!」 陳、蔡、邾三君齊聲應曰:「敢不率敝賦以從。」 惟宋桓公嘿然。
是晚,宋公回館,謂大夫戴叔皮曰:「齊侯妄自尊大,越次主會,便欲調遣各國之兵。將來吾國且疲於奔命矣!」 叔皮曰:「諸侯從違相半,齊勢未集。若征服魯鄭,霸業成矣。齊之霸,非宋福也。與會四國,惟宋爲大,宋不從兵,三國亦將解體。況吾今日之來,止欲得王命,以定位耳。已列於會,又何俟焉?不如先歸。」 宋公從其言,遂於五更登車而去。
尊大 : 함부로 잘난 체하다. 무턱대고 거만하게 행동하다.
제후들이 술잔을 주고 받기를 마치자 관중이 계단에 올라 아뢰었다.
"노(魯)、위(衛)、정(鄭)、조(曹) 나라들은 왕명을 어기고 모임에 오지 않았으니 다스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제환공이 손을 들고 네 나라 군주들을 향해 말했다. "저희 나라의 병거로는 부족하니 군주들께서 함께 해주시기 바랍니다."
진, 채, 주의 세나라 군주들이 일제히 대답했다. "감히 저희 군대를 인솔하여 따르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그러나 오직 송환공은 말이 없었다.
이날 밤 송공이 관사로 돌아가자 대부 대숙피(戴叔皮)에게 말했다. "제후가 함부로 주제넘은 행동으로 서열을 뛰어넘어 맹주가 되더니 바로 각 나라의 군대를 징발하려고 하고 있소. 앞으로 우리나라는 명을 받들기에 바빠 곤경에 처해질 것이오."
대숙피가 말했다. "제후들이 따르고 거스르는 자가 반반이라 제나라의 형세가 아직 집결되지 못했습니다. 만약 노나라와 정나라를 쳐서 복종시킨다면 패업을 이루게 됩니다. 제나라에서 패업을 이루게 되면 송나라의 복이 아닙니다. 네 나라 중에서 오직 송나라만이 대국인데 송나라가 출병시키는 일을 따르지 않으면 세나라도 해체될 것입니다. 하물며 우리가 오늘 모임에 참가한 것은 단지 왕명에 따라 군주의 지위를 인정받은 것 뿐이었습니다. 이미 군주의 반열에 올랐는데 또 무엇을 바라겠습니까? 먼저 돌아가는 것이 낫습니다."
송공이 그 말에 따라 마침내 이날 오경에 수레에 올라 떠나버렸다.
齊桓公聞宋公背會逃歸,大怒,欲遣仲孫湫追之。管仲曰:「追之非義,可請王師伐之,乃爲有名。然事更有急於此者。」桓公曰:「何事更急於此?」 管仲曰:「宋遠而魯近,且王室宗盟,不先服魯,何以服宋?」 桓公曰:「伐魯當從何路?」 管仲曰:「濟之東北有遂者,乃魯之附庸,國小而弱,纔四姓耳。若以重兵壓之,可不崇朝而下。遂下,魯必悚懼。然後遣一介之使,責其不會。再遣人通信於魯夫人。魯夫人欲其子親厚於外家,自當極力慫恿。魯侯內迫母命,外怵兵威,必將求盟。俟其來求,因而許之。平魯之後,移兵於宋,臨以王臣,此破竹之勢也。」 桓公曰:「善。」 乃親自率師至遂城,一鼓而下。因駐兵於濟水。魯莊公果懼,大集群臣問計。公子慶父曰:「齊兵兩至吾國,未嘗得利,臣願出兵拒之。」 班中一人出曰:「不可!不可!」 莊公視之,乃施伯也。莊公曰:「汝計將安出?」 施伯曰:「臣嘗言之:管子天下奇才,今得齊政,兵有節制,其不可一也;北杏之會,以奉命尊王爲名,今責違命,理曲在我,其不可二也;子糾之戮,君有功焉,王姬之嫁,君有勞焉,棄往日之功勞,結將來之仇怨,其不可三也。爲今之計,不若修和請盟,齊可不戰而退。」 曹劌曰:「臣意亦如此。」 正議論間,報道:「齊侯有書至。」
莊公視之,大意曰:
寡人與君並事周室,情同昆弟,且婚姻也。北杏之會,君不與焉。寡人敢請其故?若有二心,亦惟命。
慫恿 : 慫慂. 怵 : 두려워할 출/꾈 술. 두려워하다. 슬퍼하다. 달리다. 분주함. 꾀다. 유혹함.
제환공은 송공이 회맹을 배신하고 도망치듯 돌아갔다는 보고를 받고 크게 노하여 중손추로 하여금 추격하게 하려고 하였다.
관중이 말했다. "그를 추격하는 것은 의롭지 않습니다. 천자의 군대를 청하여 치는 것이 좋으며 그래야 명분이 있게 됩니다. 그러나 이보다 더 급한 일을 처리해야 합니다."
환공이 물었다. "이보다 더 급한 일이 무엇입니까?"
관중이 대답했다. "송나라는 멀리 떨어져 있으나 정나라는 가까이 있습니다. 또 왕실의 종친이니 먼저 노나라를 굴복시키지 않고 어떻게 송나라를 굴복시키겠습니까?"
환공이 물었다. "노나라를 치려면 어느 경로로 가야 합니까?"
관중이 대답했다. "제나라의 동북쪽에 수(遂)나라가 있는데 노나라의 부용국으로 나라는 작고 약하며 겨우 네 성씨가 있을 뿐입니다. 대 병력으로 수를 압박하여 조정을 받들지 않는다면 점령해버립니다. 수가 점령되면 노나라에서는 반드시 두려워 할 것입니다. 그런 후에 한 사람을 사자로 보내 모임에 참석하지 않은 것을 책하십시오. 다시 사람을 보내 노부인(魯夫人)에게 연락하십시오. 노부인은 그 아들이 외가와 친밀하게 지내기를 바랄 것이므로 스스로 힘을 다하여 권하게 될 것입니다. 노후는 안으로 모친의 명으로 압박을 받고 밖으로는 제나라 군대의 위세를 두려워하여 반드시 맹약을 요청할 것입니다. 노후가 맹약을 청해 오기를 기다려 허락하십시오. 노나라를 평정한 후 병력을 송나라로 이동시켜 천자의 신하로서 친다면 이는 파죽지세와 같을 것입니다."
환공이 말했다. "좋소."
그리하여 스스로 군사를 이끌고 수나라 성에 이르러 한번 북쳐서 점령하고 제수(濟水)가에 병력을 주둔시켰다.
노장공이 과연 두려워하여 신하들을 모두 모아 계책을 물었다.
공자 경보가 말했다. "제나라 군대가 두차례에 걸쳐 우리나라에 이르렀으나 승리한 적이 없습니다. 신이 군사들을 출진시켜 제나라 군사를 막겠습니다."
반열에서 한 사람이 나와 말했다. "불가합니다. 불가합니다."
장공이 보니 시백이라 장공이 물었다. "그대는 어떤 계책을 내놓으려 하는가?"
시백이 말했다. "신이 일찌기 말씀드린 바와 같이 관중은 천하의 뛰어난 인재인데, 지금 그가 정권을 잡아 군사들은 절제되어 있으니 그 불가함의 하나이며, 북행의 모임은 황명을 받들었음을 명분으로 한 것이라 지금 황명을 어긴 것을 책하는 것이며, 우리의 잘못을 다스리는 것이니 그 불가함의 두번째이며, 공자 규를 죽인 일로 주군께서는 공이 있으며, 왕희가 제나라에 출가할 때 혼사를 주관한 노고가 있는데도, 지난 날의 공로를 버리고 원한을 맺으려 하시는 것이니 그 불가함의 세번째입니다. 지금의 계책으로는 제나라와 강화하여 맹약을 체결하기를 청하는 것만 같지 못하니 그러면 제나라는 싸울 수가 없어 물러갈 것입니다."
조귀가 말했다. "신의 뜻도 이와 같습니다."
논의가 한창인데 보고가 들어왔다. "제후가 보낸 서찰이 도착했습니다."
장공이 보니 대략 뜻은 다음과 같았다.
"과인은 군주와 더불어 주 왕실을 섬기고 있으니 정으로는 형제이며, 또 혼인으로 인척이 됩니다. 북행의 모임에 군주는 참여를 하지 않았습니다. 과인은 감히 그 까닭을 묻습니다. 만일 다른 마음이 있다면 오직 명을 따를 뿐입니다."
齊侯另有書通信於文姜,文姜召莊公語之曰:「齊魯世爲甥舅,使其惡我,猶將乞好,況取平乎?」 莊公唯唯。乃使施伯答書,略曰:
孤有犬馬之疾,未獲奔命。君以大義責之,孤知罪矣!然城下之盟,孤實恥之!若退舍於君之境上,孤敢不捧玉帛以從。
齊侯得書大悅,傳令退兵於柯。
魯莊公將往會齊侯,問:「群臣誰能從者?」 將軍曹沫請往。莊公曰:「汝三敗於齊,不慮齊人笑耶?」 曹沫曰:「惟恥三敗,是以願往,將一朝而雪之。」 莊公曰:「雪之何如?」 曹沫曰:「君當其君,臣當其臣。」 莊公曰:「寡人越境求盟,猶再敗也。若能雪恥,寡人聽子矣!」 遂偕曹沫而行,至於柯地。齊侯預築土爲壇以待。魯侯先使人謝罪請盟,齊侯亦使人訂期。
제후는 별도로 문강에게 서찰을 보냈는데 문강이 장공을 불러 말했다. "제나라와 노나라는 대대로 사위와 장인의 관계가 되어 왔는데 제나라로 하여금 우리를 싫어하게 하였다가 장차 우호관계가 필요할 때 무슨 방법을 쓰겠느냐?"
장공이 예예 하고 물러나 시백에게 답서를 쓰게 하였다. 답서의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고(孤)가 병이 있어 달려가 명을 받지 못했습니다. 군주께서 대의를 밝혀 꾸짖으시니 고의 죄를 알겠습니다. 그러나 도성 아래에서 맹약을 맺는 것은 진실로 고의 치욕이라 할 것입니다. 군주께서 국경으로 물러나신다면 고가 감히 예물을 받들고 따르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제후는 서찰을 받고 대단히 기뻐하며 영을 내려 가(柯)로 병사들을 물리게 했다.
노장공이 제후와 만나기 위해 가려고 하면서 물었다. "신하들 중 누가 호종할 수 있겠는가?"
장군 조말(曹沫)이 가겠다고 하자 장공이 물었다. "그대는 제나라에 세번이나 패했는데 제나라 사람들이 비웃을까 염려되지 않소?"
조말이 대답했다. "오직 세번 패한 것을 수치로 여기기 때문에 가려고 하는 것이며 하루 아침에 설욕하겠습니다."
장공이 물었다. "어떻게 설욕한다는 것이오?"
조말이 대답했다. "군주는 마땅히 군주다워야 하며 신하는 마땅히 신하다워야 합니다."
장공이 말했다. "과인이 국경을 넘어 맹약을 청하는 것은 다시 패한 것이나 같소. 치욕을 씻을 수 있다면 과인은 그대의 말을 듣겠노라!"
마침내 조말과 함께 가서 가(柯)라는 곳에 도착했다.
제후는 미리 흙으로 단을 쌓고 기다렸다. 노후가 먼저 사람을 시켜 죄를 사과하고 맹약을 청했고 제후 또한 사람을 시켜 기일을 약속했다.
是日,齊侯將雄兵布列壇下,靑紅黑白旗,按東南西北四方,各自分隊,各有將官統領,仲孫湫掌之。階級七層,每層俱有壯士,執著黃旗把守。壇上建大黃旗一面,繡出「方伯」二字。旁置大鼓,王子成父掌之。壇中間設香案,排列著朱盤玉盂盛牲歃盟之器,隰朋掌之。兩旁反坫設有金尊玉斝,寺人貂掌之。壇西立石柱二根,繫著烏牛白馬,屠人準備宰殺,司庖易牙掌之。東郭牙爲儐,立於階下迎賓。管仲爲相。氣象十分整肅。齊侯傳令:「魯君若到,止許一君一臣登壇,餘人息屏壇下。」 曹沫衷甲,手提利劍,緊隨著魯莊公。莊公一步一戰,曹沫全無懼色。將次升階,東郭牙進曰:「今日兩君好會,兩相贊禮,安用凶器?請去劍!」 曹沫睜目視之,兩盡裂。東郭牙倒退幾步。莊公君臣歷階而上。兩君相見,各敍通好之意。三通鼓畢,對香案行禮。隰朋將玉盂盛血,跪而請歃。曹沫右手按劍,左手攬桓公之袖,怒形於色。管仲急以身蔽桓公,問曰:「大夫何爲者?」 曹沫曰:「魯連次受兵,國將亡矣。君以濟弱扶傾爲會,獨不爲敝邑念乎?」 管仲曰:「然則大夫何求?」 曹沫曰:「齊恃强欺弱,奪我汶陽之田,今日請還,吾君乃就歃耳!」 管仲顧桓公曰:「君可許之。」 桓公曰:「大夫休矣,寡人許子!」 曹沫乃釋劍,代隰朋捧盂以進。兩君俱已歃訖。曹沫曰:「仲主齊國之政,臣願與仲歃。」 桓公曰:「何必仲父?寡人與子立誓。」 乃向天指日曰:「所不反汶陽田於魯者,有如此日!」 曹沫受歃,再拜稱謝。獻酬甚歡。
斝 : 옥잔 가. 옥잔. 하(夏)에서는 잔(醆), 은(殷)에서는 가(斝), 주(周)에서는 작(爵)이라 함. 빌다. 신에게 복을 빎.
이 날, 제후는 정예군사들을 단 아래에 늘어서게 하고 푸른 색, 붉은 색, 흰 색, 검은 색의 네 깃발을 동서남북의 네 방향에 세운 다음, 각 부대를 나누어 배치하고 각 관장하는 통령을 두며 중손추가 관장하게 하였다. 계단은 7층으로 하고 층마다 장사를 배치하여 황색 기를 들고 지키게 하였다. 단상에는 큰 황색 기를 세웠는데 그 한 면에 '方伯(방백)'의 두 글자를 수놓았다. 옆에 큰 북을 비치하고 왕자 성보가 관장하게 하였다. 단의 중간에는 향안을 설치하여, 붉은 소반에 옥으로 만든 주발과 희생(犧牲)으로 바친 짐승의 피를 담아 삽혈하며 맹세할 그릇을 벌려 놓고 습붕으로 하여금 관장토록 하였다. 양 옆에는 제후들이 회맹(會盟)할 때 헌수(獻酬)의 예를 행하고 나서 빈 잔을 엎어두는 받침대를 설치하고 금 술통과 옥잔을 두어 시인(寺人) 수초(豎貂)가 관장하도록 했다. 단의 서쪽에 돌기둥 2개를 세우고 희생인 검은 소와 백마를 매어 놓고 도축자를 대기시켜 희생을 죽여 요리하도록 하고 궁의 요리사인 역아가 관장하게 하였다.
동곽아를 접객인으로 삼아 계단 아래에서 서있다가 손님을 맞이하게 하였다. 관중은 의식을 주관하는 상(相)이 되었는데 기상이 매우 엄숙하였다.
제후가 영을 내렸다. "노군이 도착하게 되면 한 사람의 군주와 한 사람의 신하만 단에 오를 수 있을 뿐이며 나머지 사람들은 모두 단 아래로 물러나도록 하라."
조말은 갑옷을 속에 받쳐 입고 손에 예리한 검을 들고 노장공에 바짝 붙어 수행했다. 장공은 한 발자국 내딛을 때마다 한 번씩 전율하였으나 조말은 전혀 두려워하는 기색이 없었다.
막 계단을 올라가려고 하는데 동곽아가 나아가 말했다. "오늘은 두 분 군주께서 우호적으로 만나시는 날이라 양쪽이 서로 예로써 도와야 하는데 흉기는 무엇에 쓰려고 하십니까? 검을 두고 오르십시오."
조말이 눈을 부릅뜨고 바라보는데 두 눈이 모두 찢길 듯 하였다. 동곽아가 멈칫 하며 몇걸음 물러났다.
장공은 군신이 모두 계단을 올라갔다. 두 군주가 상견례를 마치고 각 우호관계를 맺자는 뜻을 표명했다.
북소리가 게차례 울리자 향안을 마주하여 예를 행하였다. 습붕이 옥그릇에 희생의 피를 담아 무릎을 꿇고 삽혈하기를 청했다. 그때 조말이 오른 손으로 칼을 들고 왼 손으로는 환공의 옷 소매를 잡았는데 안색에 노기가 가득했다.
관중이 급히 자신의 몸으로 환공을 가리며 물었다. "대부는 무엇을 하려는 것이오?"
조말이 말했다. "노나라는 연이어 제나라의 침략을 받아 나라가 망하게 생겼습니다. 군주께서는 약자를 구제하고 위급한 자를 돕겠다고 회맹을 주관 하셨는데 어찌 저희 나라는 생각하지 않으십니까?"
관중이 물었다. "그렇다면 대부는 무엇을 바라는 것입니까?"
조말이 대답했다. "제나라는 강함을 믿고 약소국을 업신여겨 우리 나라의 문양(汶陽)의 땅을 빼앗았는데, 오늘 돌려주시기를 청하며 그렇게 되어야 우리 주군께서는 바로 삽혈의식을 행하실 것입니다."
관중이 환공을 돌아보며 말했다. "주군께서는 허락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환공이 말했다. "대부는 그만 하시오. 과인이 그대의 요구를 받아들이겠소."
조말이 비로소 칼을 버리고 습붕을 대신하여 그릇을 받들어 올렸다. 두 군주가 모두 삽혈을 마쳤다.
조말이 말했다. "관중은 제나라의 정치를 주관하는 자이니 신은 관중과 더불어 삽혈의식을 행하기를 원합니다."
환공이 말했다. "하필이면 중부와 하려 하는 것이오? 과인이 그대와 삽혈의식을 행하여 맹세하겠소."
그리하여 하늘을 향해 태양을 가리키며 말했다. "문양의 땅을 노나라에 돌려주지 않는다면 이 태양이 증명할 것이오."
조말이 삽혈을 받아들여 의식을 행하고 재배하며 사례하고는 술을 바치며 매우 기뻐했다.
旣畢事,王子成父諸人,俱憤憤不平,請於桓公,欲劫魯侯,以報曹沫之辱。桓公曰:「寡人已許曹沫矣!匹夫約言,尙不失信,況君乎?」 眾人乃止。明日,桓公復置酒公館,與莊公歡飮而別。即命南鄙邑宰,將原侵汶陽田,盡數交割還魯。昔人論要盟可犯,而桓公不欺,曹子可仇,而桓公不怨,此所以服諸侯霸天下也。
有詩云:
巍巍霸氣呑東魯,
尺劍如何能用武?
要將信義服群雄,
不吝汶陽一片土。
又有詩單道曹沫劫齊桓公一事,此乃後世俠客之祖。詩云:
森森戈甲擁如潮,
仗劍登壇意氣豪,
三敗羞顏一日洗,
千秋俠客首稱曹。
행사를 마치자 왕자 성보를 비롯하여 신하들이 모두 분개하여 불만을 품고, 환공에게 노후를 겁박하여 조말에게 당한 치욕을 갚자고 청하였다.
환공이 말했다. "과인이 이미 조말에게 허락하였소, 필부가 한 약속도 믿음을 잃지 않으려고 하는데 하물며 군주가 약속한 것이 아니오?"
사람들이 마침내 잠잠해졌다. 다음 날, 환공은 다시 공관에서 주연을 베풀어 장공과 기분 좋게 술을 마시고 작별했다.
그리고 남쪽 변방 마을의 관리에게 명하여 원래 침탈했던 문양 땅을 모두 노나라에 돌려주었다.
옛 사람이 논하기를 제환공이 맹약을 위해서 노나라를 침공하였으나 환공은 속이지 않았으며, 조말이 원수가 될 수 있었지만 환공은 원한을 품지 않았는데, 이 일로 제후들을 복종시켜 제환공이 천하의 패자가 되었다고 하였다.
이에 대한 시가 있다.
드높은 패왕의 기세가 노나라의 동쪽을 삼켰는데,
한 척의 검으로 어찌 무용을 펼칠 수 있겠는가?
신의로 뭇 영웅들을 복종시켰던 것은,
문양의 한조각 땅을 아끼지 않았기 때문이었네.
또 오직 조말이 환공을 겁박했던 일을 말해 주는 시가 있는데, 이야말로 후세 협객의 시조라 할만 하였다. 그 시는 다음과 같다.
밀물처럼 밀려와 삼엄하게 둘러싼 갑사들 속에서,
오직 한 자루 검에 의지하여 단에 올라 호기를 부렸도다.
세번 패했던 부끄러운 모습을 한 순간에 씻고,
천추에 협객의 우두머리로 조말을 꼽았도다.
諸侯聞盟柯之事,皆服桓公之信義。於是衛曹二國,皆遣人謝罪請盟。桓公約以伐宋之後,相訂二會。乃再遣使如周,告以宋公不尊王命,不來赴會,請王師下臨,同往問罪。周釐王使大夫單蔑,率師會齊伐宋。諜報陳曹二國引兵從征,願爲前部。桓公使管仲先率一軍,前會陳曹,自引隰朋、王子成父、東郭牙等,統領大軍繼進,於商邱取齊。時周釐王二年之春也。
제후들은 가(柯)에서 제나라가 노나라와 맹약을 맺은 일을 듣고 모두 환공의 신의에 감복하였다. 이리하여 위(衛), 조(曹) 두나라에서는 사람을 보내 북행의 모임에 참석하지 않은 잘못을 사과하고 맹약을 체결하자고 청했다.
환공은 송나라를 친 후에 두번째 모임의 날짜를 정하기로 약속했다.
그리고 재차 주나라에 사자를 보내, 송공이 황제의 명을 존중하지 않아 모임에 참석하지 않았음을 고하고 황제의 군대를 청하여 함께 가서 죄를 묻고자 하였다. 주 이왕은 대부 선멸(單蔑)로 하여금 부대를 이끌고 제후와 함께 송을 치도록 하였다. 또 알려온 바에 의하면 진(陳), 조(曹) 두 나라에서 군사를 이끌고 정벌에 참가하겠다 하며 전위부대가 되기를 원한다고 하였다.
환공은 관중으로 하여금 먼저 일 군을 인솔하여 진, 조의 군대와 먼저 만나게 하고, 스스로 습붕, 왕자 성보, 동곽아등을 거느리고 대군을 모두 통령하여 관중에 이어 진군하여 상구(商邱)에서 집합하기로 하였다.
때는 주 이왕 2년 봄이었다.
卻說管仲有愛妾名婧,鐘離人,通文有智。桓公好色,每出行,必以姬嬪自隨。管仲亦以婧從行。是日,管仲軍出南門,約行三十餘里,至峱山,見一野夫,短褐單衣,破笠赤腳,放牛於山下。此人叩牛角而歌。管仲在車上,察其人不凡,使人以酒食勞之。野夫食畢,言:「欲見相君仲父。」 使者曰:「相國車已過去矣。」 野夫曰:「某有一語,幸傳於相君:『浩浩乎白水!』」 使者追及管仲之車,以其語述之。管仲茫然,不解所謂,以問妾婧。婧曰:「妾聞古有《白水》之詩云:『浩浩白水,儵儵之魚,君來召我,我將安居?』 此人殆欲仕也。」 管仲即命停車,使人召之。野夫將牛寄於村家,隨使者來見管仲,長揖不拜。管仲問其姓名,曰:「衛之野人也,姓寧名戚。慕相君好賢禮士,不憚跋涉至此。無由自達,爲村人牧牛耳。」 管仲叩其所學,應對如流。嘆曰:「豪傑辱於泥塗,不遇汲引,何以自顯?吾君大軍在後,不日當過此。吾當作書,子持以謁吾君,必當重用。」 管仲即作書緘,就交付甯戚,彼此各別。甯戚仍牧牛於峱山之下。齊桓公大軍三日後方到,甯戚依前短褐單衣,破笠赤腳,立於路旁,全不畏避。
桓公乘輿將近,甯戚遂叩牛角而歌之曰:
南山燦,白石爛,
中有鯉魚長尺半。
生不逢堯與舜禪,
短褐單衣纔至骭。
從昏飯牛至夜半,
長夜漫漫何時旦?
峱 : 산이름 노. 鯈 : 피라미 조,/곤이 주.
한편 관중에게는 이름을 정(婧)이라고 하는 애첩이 있었는데 종리(鐘離) 사람으로 문리(文理)에 통달하고 또 지혜로웠다. 환공이 호색하여 항상 출행(出行)할 때에는 희빈들이 따르게 하였다. 관중 또한 정으로 하여금 따르게 하였다.
이 날 관중이 인솔한 부대가 남문을 나서서 대략 30여리를 행군하여 노산에 이르렀을 때, 한 농부(野夫)가 보였는데 짧은 베옷에 홑적삼을 입고 헤어진 갓에 맨발로 산 아래에서 소를 먹이고 있었다. 그 사람은 소뿔울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관중은 수레 위에서 그 사람을 살펴 보았는데 예삿 사람이 아니어서 사람을 시켜 술과 음식으로 그 사람을 위로했다.
그 농부는 음식을 먹고 나서 말했다. "나는 재상인 중부를 만나고 싶습니다."
사자가 말했다. "상국께서 탄 수레는 이미 지나갔습니다."
농부가 말했다. "부디 재상께 나의 한 마디 말을 전해주시기 바랍니다. '넓고도 넓구나, 백수여!(浩浩乎白水)'"
사자가 관중이 탄 수레를 뒤쫒아 가서 그의 말을 전했다. 관중이 그 말을 듣고 막막하여 무슨 말인지 이해하지 못하고 정(婧)에게 물었다.
정이 대답하였다. "제가 들은 바에 의하면 '백수(白水)'라는 시가 있는데, '넓고 넓은 맑은 물에서 사는 피라미들이여! 그대가 와서 나를 부르니 나는 어디에서 살아야 할거나?'라는 내용입니다. 이 사람은 반드시 벼슬을 구하는 자일 것입니다."
관중은 즉시 수레를 멈추게 하고 그 사람을 불러오게 하였다. 농부는 소를 촌가에 맡기고 사자를 따라와서 관중을 만났으나 길게 읍만 할 뿐 절을 하지 않았다.
관중이 그의 이름을 묻자 그가 대답했다. "저는 위나라의 야인(野人)입니다. 성은 녕(寧), 이름은 척(戚)이라고 합니다. 상군께서 어진자를 좋아하고 선비를 예로 대하는 것을 사모하여, 멀고 먼 길을 개의치 않고 이곳에 왔습니다. 그러나 연줄이 없어 스스로 만날 수 없어 시골 사람이 되어 소를 먹이고 있었을 뿐입니다."
관중이 그가 공부한 바를 묻자 응대가 물 흐르듯 막힘이 없었다.
관중이 탄식하며 말했다. "호걸이 역경에 처해 욕을 당하며 발탁되지 못하고 있는데 어찌 자신을 드러낼 수 있겠는가? 우리 주군의 대군이 뒤따라 오는데 머지않아 이곳을 지나시게 될 것이오. 내가 서찰을 써 드릴터이니 그대가 가지고 있다가 우리 주군을 알현하십시오. 반드시 중히 쓰실 것입니다."
관중이 바로 서찰을 작성하여 봉한 다음 영척에게 가서 주고 헤어졌다. 영척은 노산 밑에서 소를 먹이며 기다렸다. 제환공의 대군이 3일 후에 도착하자 전과 같이 짧은 베옷에 홑적삼을 입고 헤어진 갓에 맨발로 길 가에 서 있으면서 전혀 두려워하거나 피하지도 않았다.
환공이 탄 수레가 가까워지자 영척은 소 뿔을 두드리며 노래했다.
남산은 찬란하고 백석은 빛나는데,
잉어는 커서 길이가 한 자 반이나 되네.
살아 오면서 요순시대를 만나지 못해,
짧은 갈옷에 핫옷으로 겨우 정강이만 가렸다네.
저녁부터 소먹이느라 한밤중인데,
긴긴 밤 지루한데 언제 아침을 맞을까?
桓公聞而異之,命左右擁至車前,問其姓名居處。戚以實對曰:「姓寧名戚。」 桓公曰:「汝牧夫,何得譏刺時政?」 甯戚曰:「臣小人,安敢譏刺?」 桓公曰:「當今天子在上,寡人率諸侯賓服於下,百姓樂業,草木沾春,舜日堯天,不過如此。汝謂『不逢堯舜』,又曰:『長夜不旦』,非譏刺而何?」 甯戚曰:「臣雖村夫,不睹先王之政。然嘗聞堯舜之世,十日一風,五日一雨,百姓耕田而食,鑿井而飮,所謂 『不識不知,順帝之則』 是也。今值紀綱不振,敎化不行之世,而曰舜日堯天,誠小人所不解也。且又聞堯舜之世,正百官而諸侯服,去四兇而天下安,不言而信,不怒而威。今明公一擧而宋背會,再擧而魯劫盟,用兵不息,民勞財敝,而曰 『百姓樂業,草木沾春』,又小人所未解也。小人又聞堯棄其子丹朱,而讓天下於舜,舜又避於南河,百姓趨而奉之,不得已即帝位。今君殺兄得國,假天子以令諸侯,小人又不知於唐虞揖讓何如也!」 桓公大怒曰:「匹夫出言不遜!」 喝令斬之。左右縛甯戚去,將行刑。戚顔色不變,了無懼意,仰天嘆曰:「桀殺龍逢,紂殺比於,今甯戚與之爲三矣!」 隰朋奏曰:「此人見勢不趨,見威不惕,非尋常牧夫也。君其赦之!」 桓公念頭一轉,怒氣頓平,遂命釋甯戚之縛,謂戚曰:「寡人聊以試子,子誠佳士。」 甯戚因探懷中,出管仲之書。桓公拆而觀之。
환공이 그 노래를 듣고 괴이하게 여기고 좌우에 명하여 수레 앞으로 데려오도록 하여 그 성명과 사는 곳을 물었다.
영척이 사실대로 대답했다. "성은 녕(寧)이고 이름은 척(戚)입니다.
환공이 말했다. "그대는 목부(牧夫 ;짐승을 키우는 사내)로서 어찌 시정(時政)을 풍자할 수 있는가?"
영척이 말했다. "신은 소인(小人)인데 어찌 감히 풍자할 수 있겠습니까?"
환공이 말했다. "지금 천자가 위에 계시고, 과인은 제후들을 통솔하여 아래에서 천자를 받들고 있으며, 백성들은 즐겁게 생업에 종사하고 있고, 초목은 봄을 만난 듯 생기가 돌고 있어 순임금은 해와 같고 요임금은 하늘과 같다 해도 이보다 더 좋지 않을 것인데 그대는 '요순시대를 만나지 못했다.' 하고, 또 '밤이 길어 아침이 오지 않는다.' 고 하는데 풍자한 것이 아니면 무엇이란 말인가?"
영척이 말했다. "신은 비록 시골뜨기이지만 선왕들의 정치를 보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요순 시대에는 10일마다 바람이 불고 5일마다 비가내려 백성들이 밭을 갈아서 밥을 지어 먹고, 우물을 파서 물을 마시니 이른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황제의 법을 따른다.' 는 것이었습니다. 지금은 기강이 바로잡히지 못하고 교화가 행해지지 않는 시대라 순임금을 태양에 비유하고 요임금을 하늘에 비유하는 것인데 진실로 소인은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또 요순시대에는 백관이 올바르고 제후가 복종하였으며 네 명의 흉적을 제거하자 천하가 안정되었고 말하지 않아도 믿었고 노하지 않았어도 위엄이 있었습니다. 지금 명공께서 한번 거동하였으나 송나라가 회맹을 배반했고, 두번 거동하여 노나라를 겁박하여 맹약을 체결하므로써 병사들을 쉬지 못하게 하고 백성들은 피곤하고 재물은 피폐해졌는데도, '백성들은 즐겁게 생업에 종사하고 있고 초목은 봄을 만난 듯 생기가 돈다.'고 하니 소인은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소인은 또 요임금은 그 아들 단주(丹朱)를 버리고 천하를 순임금에게 넘겨주었으며 순임금은 또 남하로 도피하였으나 백성들이 뒤쫒아 가서 받들어 부득이 제위에 올랐습니다. 지금 군주께서는 형을 죽이고 나라를 취하셨으며 천자의 권위를 빌어 제후를 호령하고 계시는데 소인은 또 요순이 천하를 양보한 까닭을 알지 못하겠습니다."
환공이 크게 노하여 말했다. "필부의 말이 매우 불손하구나!"
그리고 큰 소리로 영을 내려 참하라고 하였다. 좌우에서 영척을 묶어 끌고 가서 죽이려고 하였는데도 안색이 전혀 변하지 않고 두려워하는 모습도 없었으며 하늘을 우러러 탄식했다. "하나라 걸왕은 용봉을 죽였고, 은나라 주왕은 비간을 죽였으니 나는 그들과 더불어 세번째가 되겠구나!"
습붕이 아뢰었다. "그 사람이 권세를 보고도 쫒지 않고, 위력을 보고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을 보면 평범한 목부가 아닙니다. 주군께서는 그를 용서하소서!"
환공은 생각을 바꿔 노기를 거두고 명을 내려 영척의 포박을 풀게 하고 명척을 향해 말했다.
"과인이 그대를 시험해 봤을 뿐이오. 그대는 참으로 훌륭한 선비요."
그러자 영척은 품속에서 관중이 써준 서찰을 꺼내어 바쳤다.
환공이 뜯어 보니 서찰의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았다.
"신이 명을 받들어 군대를 출동하여 노산에 이르렀을 때 위나라 사람인 영척을 만났습니다. 이 사람은 평범한 목동의 부류가 아니며 당세에 유용하게 써야 할 인재이오니 주군께서는 그를 거두시어 보필하도록 하시는 것이 마땅합니다. 그를 버리시어 이웃 나라에서 기용하게 한다면 제나라로서는 후회막급한 일이 될 것입니다."
桓公曰:「子旣有仲父之書,何不遂呈寡人?」 甯戚曰:「臣聞 『賢君擇人爲佐,賢臣亦擇主而輔。』 君如惡直好諛,以怒色加臣,臣寧死,必不出相國之書矣。」 桓公大悅,命以後車載之。是晚,下寨休軍,桓公命擧火,索衣冠甚急。寺人貂曰:「君索衣冠,爲爵甯戚乎?」 桓公曰:「然。」 寺人貂曰:「衛去齊不遠,何不使人訪之?使其人果賢,爵之未晚。」 桓公曰:「此人廓達之才,不拘小節。恐其在衛,或有細過, 訪得其過,爵之則不光,棄之則可惜!」 即於燈燭之下,拜甯戚爲大夫,使與管仲同參國政。甯戚改換衣冠,謝恩而出。
환공이 물었다. "그대는 중부의 서찰을 가지고 있으면서 어찌 과인에게 보이지 않았소?"
영척이 대답했다. "신이 듣건대, '현명한 군주는 사람을 골라 도움을 받으며, 현명한 신하는 주인을 가려 돕는다.'고 하였습니다. 군주께서 직언을 싫어하고 아첨하는 말을 좋아하시어 신을 노여워 하신다면 신은 죽을지언정 반드시 상국의 서찰을 내놓지 않으려고 하였습니다."
환공이 크게 기뻐하고 명을 내려 그를 뒷 수레에 태우도록 하였다. 이날 밤 하채하여 군사를 쉬게하였는데, 환공은 명을 내려 불을 밝히고 매우 급하게 의관을 찾아오도록 하였다.
옆에 모시고 있던 수초가 물었다. "주군께서 의관을 찾으시는 것은 영척에게 벼슬을 내리려고 하시기 때문입니까?"
환공이 대답했다. "그렇다."
시인(寺人) 수초가 말했다. "위나라와 제나라의 거리는 멀지 않습니다. 어찌 사람을 위나라에 보내지 않으십니까? 그 사람이 과연 현명한지 알아보게 한 후 벼슬을 내려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
환공이 말했다. "그 사람은 크게 통달한 인재라 소소한 예절에 구애받지 않는다. 그가 위나라에서 혹 작은 잘못이라도 저질렀을까 두려워 위나라를 방문하여 그 잘못을 알아 오게 한다면, 그에게 벼슬을 내린다 해도 빛이 나지 않을 것이며, 그를 버린다면 애석하지 않겠는가!"
즉시 등불 아래에서 영척을 대부로 삼고 관중과 더불어 국정에 참여하게 하였다. 영척은 의관을 바꿔 입고 은혜를 사례하고 물러갔다.
髯翁有詩曰:
短褐單衣牧豎窮,
不逢堯舜遇桓公。
自從叩角歌聲歇,
無復飛熊入夢中。
飛熊 : 강태공의 아호. 성은 강(姜), 씨는 여(呂), 이름은 상(尙), 자는 자아(子牙), 주 문왕이 꿈속에서 계시를 받아 등용하였으며
무왕을 도와 은나라 주왕(紂王)을 쳐 승리한 후 제나라에 봉해졌다. 육도삼략의 저자.
염옹이 시를 지었다.
짧은 베옷에 홑적삼의 목동이 어렵게 지내다가,
요순은 만나지 못하고 환공을 만났구나.
스스로 소뿔을 두드리며 부르던 노래도 그쳤으나,
다시 강태공이 꿈속에 들어왔겠는가.
桓公兵至宋界,陳宣公杵臼,曹莊公射姑先在。隨後周單子兵亦至。相見已畢,商議攻宋之策。甯戚進曰:「明公奉天子之命,糾合諸侯,以威勝,不如以德勝。依臣愚見,且不必進兵。臣雖不才,請掉三寸之舌,前去說宋公行成。」 桓公大悅,傳令紮寨於界上,命甯戚入宋。戚乃乘一小車,與從者數人,直至睢陽,來見宋公。宋公問於戴叔皮曰:「甯戚何人也?」 叔皮曰:「臣聞此人乃牧牛村夫,齊侯新拔之於位。必其口才過人,此來乃使其遊說也。」 宋公曰:「何以待之?」 叔皮曰:「主公召入,勿以禮待之,觀其動靜。若開口一不當,臣請引紳爲號,便令武士擒而囚之。則齊侯之計沮矣。」 宋公點首,吩咐武士伺候。甯戚寬衣大帶,昻然而入,向宋公長揖。宋公端坐不答。戚乃仰面長嘆曰:「危哉乎,宋國也!」宋公駭然曰:「孤位備上公,忝爲諸侯之首,危何從至?」 戚曰:「明公自比與周公孰賢?」 宋公曰:「周公聖人也,孤焉敢比之?」
掉 : 흔들 도. 흔들(리)다. 요동하다. 바로잡다. 상앗대. 잣대.
환공의 군대가 송나라와의 경계에 도착하자, 진(陳) 선공 저구, 조(曹) 장공 사고(射姑)가 먼저 와 있고. 뒤따라 주 선자(單蔑)의 병력이 도착했다. 상견례를 마치자 송나라를 공격할 계책을 상의했다.
그때 영척이 진언했다. "명공께서 전자의 명을 받들어 제후들을 규합하셨으나 위력으로 이기는 것은 덕으로 이기는 것만 같지 못합니다. 신의 어리석은 견해로는 당장 진병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신이 비록 재주는 없지만 세치의 혀를 놀려 먼저 송공을 설득하여 화친을 청하겠습니다."
환공이 크게 기뻐하며 영을 내려 경계주변에서 주둔하도록 하고 영척에게 명하여 송나라에 들어가게 하였다.
영척은 작은 수레에 올라 종자 몇 명만을 데리고 바로 수양(睢陽)에 도착하여 송공을 알현하려고 했다.
송공이 대숙피에게 물었다. "영척은 어떤 사랍이오?"
숙피가 대답했다. "신이 듣기로 그 사람은 소를 먹이는 촌부였는데 제후가 새로 발탁한 자라고 합니다. 반드시 구변이 뛰어난 자일 것이오니 그가 오면 그가 하는 말을 들어보시지요."
송공이 물었다. "그를 어떻게 대하는 것이 좋겠소?"
대숙피가 말했다. "주공께서는 그를 불러 들이시고는 예로써 대하지 마시고 그의 동정을 살피십시오. 그의 말이 부당하다면 신이 띠를 당겨 신호를 할 것이니 바로 무사들에게 명하여 사로잡아 가두십시오. 그러면 제후의 계책을 저지하게 될 것입니다."
송공이 고개를 끄덕이고 무사들에게 분부를 내려 기회를 노리며 기다리게 하였다.
영척은 크기가 넉넉한 옷을 입고 큰 띠를 매고는 당당하게 들어와 송공을 향해 길게 읍하였다. 송공은 자리에 단정히 앉아 답이 없었다.
그러자 영척은 얼굴을 들고 길게 탄식하며 말했다. "송나라가 위태롭구나!"
송공이 놀라 물었다. "고의 지위가 공(公)의 반열에 올라 제후의 우두머리인데 어찌 위태롭다고 하시오?"
영척이 물었다. "명공께서는 스스로 주공과 비교할 때 누가 더 현명하다고 보십니까?"
송공이 말했다. "주공은 성인이신데 고가 어찌 감히 주공과 비교되겠소?"
戚曰:「周公在周盛時,天下太平,四夷賓服,猶且吐哺握髮,以納天下賢士。明公以亡國之餘,處群雄角力之秋,繼兩世弑逆之後,即效法周公,卑躬下士,猶恐士之不至。乃妄自矜大,簡賢慢客,雖有忠言,安能至明公之前乎? 不危何待!」 宋公愕然,離坐曰:「孤嗣位日淺,未聞君子之訓,先生勿罪!」 叔皮在旁,見宋公爲甯戚所動,連連擧其帶紳。宋公不顧,乃謂甯戚曰:「先生此來,何以敎我?」 戚曰:「天子失權,諸侯星散,君臣無等,篡弒日聞。齊侯不忍天下之亂,恭承王命,以主夏盟。明公列名於會,以定位也。若又背之,猶不定也。今天子赫然震怒,特遣王臣,驅率諸侯,以討於宋。明公旣叛王命於前,又抗王師於後,不待交兵,臣已卜勝負之有在矣。」
吐哺握髮 : 먹던 것을 뱉고, 머리카락을 움켜쥐다. 어진 선비를 얻기 위해 정성을 다하는 자세를 비유하는 말.
周公戒伯禽曰, 我文王之子, 武王之弟, 成王之叔父, 我於天下亦不賤矣. 然我一沐三握髮, 一飯三吐哺, 起以待士, 猶恐失天下之
賢人. 子之魯, 愼勿以國驕人. <史記 魯周公世家>
待 : 때.
영척이 말했다. "주공이 계실 때에는 주나라가 융성할 때라 천하가 태평하고 사방이 복속하였으나, 오히려 밥을 먹다가 입 안의 음식을 뱉어내고, 목욕하다가 머리를 움켜 쥐고 나가면서까지 천하의 어진 선비를 받아들였습니다. 명공께서는 망한 나라의 후손으로 영웅들이 힘을 다투는 시대에, 2대에 걸쳐 군주가 시해를 당했던 송나라 군주로 계시므로, 스스로 선비들에게 몸을 낮추고 선비들이 이르지 않을까 두려워하셔야 할 것입니다. 이러함에도 망령되이 대국이라고 자만하여, 현인을 업신여기고 손님을 함부로 대하니, 비록 충심으로 할 말이 있다고 하여도 어찌 명공의 앞에 갈 수 있겠습니까? 그러니 어느 때인들 위험하지 않겠습니까?"
송공이 깜짝 놀라 자리에서 일어나며 말했다. "고가 자리를 물려 받은지 얼마 되지 않아 군자의 가르침을 듣지 못했습니다. 선생은 탓하지 마십시오."
대숙피가 옆에 있다가 송공이 영척의 말에 동요되는 모습을 보고 계속해서 허리띠를 들어 올렸다.
송공은 쳐다보지도 않고 영척에게 말했다. "선생이 이렇게 오셨는데 나에게 무엇을 가르치겠습니까?"
영척이 말했다. "천자가 권력을 잃고 제후들이 흩어지니 군신의 서열이 없어져 찬역과 시해의 소식이 나날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제후(齊侯)께서는 천하가 어지러운 것을 참지 못하고 황명을 받들어 회맹을 주관하셨습니다. 명공께서는 회맹에 이름을 올리셨으므로 지위가 정해져 있습니다. 만약 또 그 맹약을 배반하신다면 그 지위가 정해진 것이 아니게 됩니다. 이번에 천자께서는 대단히 진노하시어 특별히 신하를 파견하시고 제후들을 통솔하여 송나라를 치게 하셨습니다. 명공께서는 전에 이미 황명을 거역하셨는데, 또 그 후의 황군에 저항하신다면 전쟁을 기다릴 것도 없이 이미 승부가 났다고 봅니다."
송공이 물었다. "선생의 견해는 어떻습니까?"
영척이 대답했다. "신의 어리석은 계책으로는 한 다발의 예물을 아끼지 마시고 제나라와 만나 맹약을 체결하시는 것입니다. 그러면 위로는 주나라의 신하로서 예를 잃지 않으며 아래로는 맹약을 체결하여 맹주의 기쁨을 누릴 수 있으니, 군대를 움직이지 않고도 송나라는 태산처럼 안정될 것입니다."
송공이 말했다. "고가 한 때의 잘못된 생각으로, 지난 회맹을 좋게 끝내지 못했기 때문에 지금 제나라에서 우리나라를 치고 있습니다. 어찌 하면 우리의 예물을 받도록 하겠습니까?"
영척이 말했다. "제후는 너그럽고 도량이 큰 분이라 남의 허물을 새기지 않으시니, 옛 잘못도 생각하지 않으실 것입니다. 노나라에서는 회맹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가(柯)에서 한번 만나 맹약을 체결하였고 마침내 빼앗았던 땅도 돌려주었습니다. 하물며 명공께서는 회맹에 참석하셨던 분인데 어찌 용납하지 않으시겠습니까?"
송공이 물었다. "예물은 무엇으로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
영척이 말했다. "제후께서는 예로써 이웃나라와 화목하게 지내려 하시며 후하게 보내고 박하게 받으십니다. 바로 포 한 묶음으로도 예물이 될 수 있는데 어찌 꼭 부고에 저장해 둔 물품이어야 하겠습니까?"
송공이 크게 기뻐하고 사자를 영척과 함께 딸려보내 제나라 군중에 이르러 강화를 청했다. 대숙피는 만면에 부끄러움을 느끼고 물러났다.
卻說宋使見了齊侯,言謝罪請盟之事。獻白玉十玨,黃金千鎰。齊桓公曰:「天子有命,寡人安敢自專?必須煩王臣轉奏於王方可。」 桓公即以所獻金玉,轉送單子,致宋公取成之意。單子曰:「苟君侯赦宥,有所藉手,以復於天王,敢不如命。」 桓公乃使宋公修聘於周,然後再訂會期。單子辭齊侯而歸。齊與陳曹二君各回本國。
송나라 사자가 제후를 알현하여 지난 잘못을 사과하고 맹약을 청했다. 그리고 예물로 백옥 10쌍, 황금 일천 일을 바쳤다.
제환공이 말했다. "천자의 명이 있는데 과인이 어찌 감히 마음대로 하겠는가? 반드시 번거롭더라도 황제의 신하를 통하여 황제께 아뢰는 것이 좋을 것이오."
환공은 즉시 송나라에서 바친 금옥을 선자에게 보내며, 송공이 강화를 청한 뜻을 전했다.
선자가 말했다. "군후께서 용서하신다면 천자께 다시 가는 것은 핑계일 뿐인데, 어찌 말씀대로 하지 않겠습니까?"
이에 환공은 송공으로 하여금 주 황제께 조공을 바치고 조회하도록 한 다음 다시 모임의 날짜를 정하기로 하였다.
선자는 제후를 작별하고 돌아갔다. 제나라와 진, 조 두나라 군주는 각 본국으로 돌아갔다.
要知後事如何,且看下回分解。
그 후의 일이 어찌 되는가를 알려고 한다면 다음 회를 보라.
'中國歷史와文學 > 列國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二十回. 晉獻公違卜立驪姬, 楚成王平亂相子文. (0) | 2021.03.22 |
---|---|
第十九回. 擒傅瑕厲公復國, 殺子頹惠王反正. (0) | 2021.03.22 |
第十七回. 宋國納賂誅長萬, 楚王杯酒虜息嬀. (0) | 2021.03.22 |
第十六回. 釋檻囚鮑叔薦仲, 戰長勺曹劌敗齊. (0) | 2021.03.22 |
第十五回. 雍大夫計殺無知, 魯莊公乾時大戰. (0) | 2021.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