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三二回. 晏蛾兒踰牆殉節, 群公子大鬧朝堂.
話說齊桓公背了管仲遺言,復用豎刁、雍巫、開方三人,鮑叔牙諫諍不從,發病而死。三人益無忌憚,欺桓公老耄無能,遂專權用事。順三人者,不貴亦富。逆三人者,不死亦逐。這話且擱過一邊。
제환공이 관중의 유언을 어기고 수조, 옹무, 개방 세 사람을 다시 기용하였는데, 이에 포숙아가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울화병이 생겨 죽고 말았다. 세 사람은 더욱 거리낌이 없어졌고 환공이 연로하여 무능한 것을 업신여기고 국사를 마음대로 휘둘렀다.
세 사람을 따르는 자는 부귀를 누렸고 세 사람을 거스르는 자는 죽거나 쫒겨났다. 이 이야기는 잠시 미룬다.
且說是時有鄭國名醫,姓秦名緩,字越人,寓於齊之盧村,因號盧醫。少時開邸舍,有長桑君來寓,秦緩知其異人,厚待之,不責其直。長桑君感之,授以神藥,以上池水服之,眼目如鏡,暗中能見鬼物,雖人在隔牆,亦能見之,以此視人病症,五臟六腑,無不洞燭,特以診脈爲名耳。古時有個扁鵲,與軒轅黃帝同時,精於醫藥。人見盧醫手段高强,遂比之古人,亦號爲扁鵲。先年扁鵲曾遊虢國,適値虢太子暴蹶而死,扁鵲過其宮中,自言能醫。內侍曰:「太子已死矣,安能復生?」 扁鵲曰:「請試之。」 內侍報知虢公,虢公流淚沾襟,延扁鵲入視。扁鵲教其弟子陽厲,用砭石針之。須臾,太子甦,更進以湯藥,過二旬復故。世人共稱扁鵲有回生起死之術。扁鵲周遊天下,救人無數。一日,遊至臨淄,謁見齊桓公,奏曰:「君有病在腠理,不治將深?」 桓公曰:「寡人不曾有疾。」 扁鵲出。後五日復見,奏曰:「君病在血脈,不可不治。」 桓公不應。後五日又見,奏曰:「君之病已在腸胃矣。宜速治也!」 桓公復不應。扁鵲退,桓公嘆曰:「甚矣,醫人之喜於見功也!無疾而謂之有疾。」 過五日,扁鵲又求見,望見桓公之色,退而卻走。桓公使人問其故。曰:「君之病在骨髓矣!夫腠理,湯熨之所及也。血脈,針砭之所及也。腸胃,酒醪之所及也。今在骨髓,雖司命其奈之何!臣是以不言而退也。」 又過五日,桓公果病,使人召扁鵲。其館人曰:「秦先生五日前已束裝而去矣。」 桓公懊悔無已。
邸舍 : 여관. 여인숙. 甦 : 穌와 同字. 腠 : 살결 주. 熨 : 다리미 위. 다리미. 따뜻이 하다.
한편 그 때 정(鄭)나라에 유명한 의원이 있었는데, 성은 진(秦), 이름을 완(緩)이라 하였고 자를 월인(越人)이라 하였으며 제(齊)나라의 노촌(盧村)에서 살았기 때문에 노의(盧醫)라 불렀다. 젊었을 때 여관을 운영했는데 장상군(長桑君)이란 사람이 와서 묵게 되자 진완은 그 사람이 이인(異人)임을 알아보고 그를 후대하며 여관비도 요구하지 않았다. 장상군이 감동하여 그에게 신약을 주며 위 연못의 물과 함께 복용하게 하였다. 그 약을 복용하고 나자 눈이 거울처럼 맑아졌고 어둠 속에서도 귀신을 볼 수 있게 되었으며 담장 너머에 사람이 있어도 그를 볼 수 있었다. 그가 사람의 병의 증세를 볼 때면 오장육부를 훤히 들여다 봤으며 특히 진맥으로 이름이 났다.
옛날에 편작(扁鵲)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헌원(軒轅) 황제(黃帝)와 같은 시대의 사람으로 의술과 약에 정통했었다. 사람들이 노의의 의술이 매우 뛰어난 것을 보고 마침내 옛날 사람에 비유하여 편작(扁鵲)이라고 불렀다. 지난 날 편작은 괵(虢)나라를 여행한 적이 있었는데 때마침 괵나라의 태자가 갑자기 쓰러져 죽었다. 편작이 궁에 가서 스스로 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내시가 말했다.
"태자께서는 이미 돌아가셨는데 어찌 다시 살릴 수 있겠습니까?"
편작이 말했다.
"환자를 보고 싶습니다."
내시가 괵공에게 알리자 괵공은 슬픔으로 눈물이 흘러 소매가 다 젖었던 참이라 편작을 들이게 해 만났다.
편작이 그 제자 양려(陽厲)에게 돌침을 쓰도록 하였다. 잠시 후 태자가 살아나자 다시 탕약을 올렸는데 20일이 지나자 옛날의 모습으로 회복했다. 세상사람들이 모두 편작은 죽은 사람도 살리는 재주를 가졌다고 하였다.
편작이 세상을 두루 다니면서 구한 사람은 셀 수 없을정도로 많았다.
어느날 제나라 도성인 임치에 갔다가 제환공을 알현하고 아뢰었다.
"군주께서는 병이 살결 있는데 다스리지 않고 깊이 들어가게 하시겠습니까?"
환공이 대답했다.
"과인은 병을 앓은 적이 없노라."
편작이 나갔다가 5일 후에 다시 환공을 알현하고 아뢰었다.
"군주의 병은 혈맥에 있으니 치료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환공이 불응하여 물러갔다가 5일 후에 다시 알현하고 아뢰였다.
"군주의 병은 이미 장(腸)과 위(胃)에 침투했습니다. 속히 치료해야 합니다."
환공이 불응하여 편작이 물러가자 환공이 탄식하며 말했다.
"심하다. 의원들은 공을 세우는 것을 좋아하는구나. 병이 없는데도 병이 있다고 하는구나."
5일이 지나 편작이 알현을 청했다가 환공의 모습을 바라보고는 물러나 달려나갔다.
환공이 사람을 시켜 그 까닭을 물으니 편작이 대답했다.
"군주의 병은 이제 골수(骨髓)에 미쳤습니다. 병이 살결에 있을 때에는 탕약으로 따뜻하게 하면 효험이 미쳤을 것입니다. 병이 혈맥에 있응 때에는 침으로 다스릴 수 있었으며, 장과 위에 머물렀을 때에는 술(酒醪)로 다스릴 수 있었습니다. 이제 병이 골수에까지 침범하였으니 사람의 목숨을 다루는 귀신인들 어찌하겠습니까? 신은 그래서 말없이 물러난 것입니다."
또 5일이 지났을 때 환공이 과연 병이 들어 사람을 시켜 편작을 불렀다.
그러자 객관을 지키는 관리가 말했다.
"진선생은 5일전에 이미 짐을 꾸려 떠났습니다."
환공은 후회막급이었다.
桓公先有三位夫人,曰王姬、徐姬、蔡姬,皆無子。王姬徐姬相繼先卒。蔡姬退回蔡國。以下又有如夫人六位,俱因他得君寵愛,禮數與夫人無別,故謂之如夫人。六位各生一子。第一位長衛姬,生公子無虧。第二位少衛姬,生公子元。第三位鄭姬,生公子昭。第四位葛嬴,生公子潘。第五位密姬,生公子商人。第六位宋華子,生公子雍。其余妾媵,有子者尙多,不在六位如夫人之數。那六位如夫人中,惟長衛姬事桓公最久。六位公子中,亦惟無虧年齒最長。桓公嬖臣雍巫豎刁,俱與衛姬相善,巫刁因請於桓公,許立無虧爲嗣。後又愛公子昭之賢,與管仲商議,在葵邱會上,囑咐宋襄公,以昭爲太子。衛公子開方,獨與公子潘相善,亦爲潘謀嗣立。公子商人性喜施予,頗得民心,因母密姬有寵,未免萌覬覦之心。內中只公子雍出身微賤,安分守己。其他五位公子,各樹黨羽,互相猜忌,如五隻大蟲,各藏牙爪,專等人來搏噬。桓公雖然是個英主,卻不道劍老無芒,人老無剛,他做了多年的侯伯,志足意滿,且是耽於酒色之人,不是個淸心寡慾的,到今日衰耄之年,志氣自然昏惰了。況又小人用事,蒙蔽耳目,但知樂境無憂境,不聽忠言聽諛言。那五位公子,各使其母求爲太子,桓公也一味含糊答應,全沒個處分的道理。正所謂「人無遠慮,必有近憂。」
忽然桓公疾病,臥於寢室。雍巫見扁鵲不辭而去,料也難治了。遂與豎刁商議出一條計策,懸牌宮門,假傳桓公之語。
牌上寫道:
寡人有怔忡之疾,惡聞人聲,不論群臣子姓,一概不許入宮,著寺貂緊守宮門,雍巫率領宮甲巡邏。一應國政,俱俟寡人病痊日奏聞。
覬 : 바랄 기. 바라다. 아래에서 위로 보고 바람. 쳐지다. 드리워짐. 覦 : 넘겨다 볼 유, 넘겨다보다. 분수 밖의 일을 바람.
含糊 : 모호하다. 소홀히 하다. 두려워하다. 명확하지 않다. 怔 : 두려워할 정. 두려워하다. 신경쇠약증. 사물의 형용.
忡 : 근심할 충. 怔忡 : 가슴이 몹시 두근거리는 증상. 邏 : 돌 라. 돌다. 순행(巡行)함. 감돌다. 안개 따위가 낌. 순찰원. 기슭. 가로막다.
환공은 앞서 세 부인을 두어 왕희(王姬)、서희(徐姬)、채희(蔡姬)라 하였는데 모두 자식이 없었다. 왕희와 서희는 앞서 연이어 죽었고 채희는 채나라로 돌아갔었다. 그 아래로 부인과 같은 취급을 받는 자로 6명이 있었는데 모두 환공의 총애를 받아 정부인과 차별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을 부인이라 불렀다. 여섯 부인은 각 아들을 하나씩 낳았다. 첫째 부인은 큰 위희(長衛姬)로 공자 무휴(無虧)를, 둘째 부인은 작은 위희(少衛姬)로 공자 원(元)을, 셋째 부인은 정희(鄭姬)로 공자 소(昭)를, 넷째 부인은 갈영(葛嬴)으로 공자 반(潘)을, 다섯째 부인은 밀희(密姬)로 공자 상인(商人)을, 여섯째 부인은 송화자(宋華子)로 공자 옹(雍)을 낳았다.
그 나머지 첩들과 시녀들에게서도 역시 아들들이 많았으나 여섯 부인과 같은 부인의 등급에 있지 않아 논외로 하였다.
그 여섯 부인들 중 오직 큰 위희가 환공을 가장 오래 섬겼기 때문에 여섯 공자 중 무휴의 나이가 가장 많았다. 환공의 총신(寵臣)인 옹무와 수조가 모두 위희와 친하게 지냈기 때문에 옹무와 수조는 수시로 환공에게 청하여 무휴를 후계자로 삼을 것을 허락받았다.
후에 환공은 공자 소(昭)의 현명함을 사랑하여 중이와 상의 끝에 규구(葵邱)에서 제후들과 회맹할 때 송양공(宋襄公)에게 공자 소를 부탁하고 태자로 삼았다. 위(衛) 공자 개방(開方)은 홀로 공자 반(潘)과 친하여 역시 반을 후사로 삼으려고 모략을 꾸몄다. 공자 상인(商人)은 성품이 남에게 베풀기를 좋아하여 민심을 얻었는데 그 모친이 환공의 총애를 받자 분수에 넘는 마음이 싹텄다. 내전에서는 단지 공자 옹(雍)만이 출신이 비천하여 분수를 지켰다. 다른 다섯 공자는 각자 무리를 이뤄 서로 시기하는 모습이 마치 다섯 마리의 큰 벌레가 날카로운 이빨과 손톱을 숨기고 오로지 남이 다가오기만을 기다려 치고 물어뜯을 기세였다.
환공이 비록 뛰어난 영주였다 할지라도 검이 오래되면 날이 무디어지 듯 늙어 왕성함도 사라진데다가, 다년간 제후들의 패자가 되어 스스로 만족하고 주색에 탐닉한 사람이 되어, 마음을 깨끗하게 하지도 못하고 욕심을 자제하지 못하니 이제 쇠약해져 80세가 넘은 나이가 되어서는 자연히 기개가 혼미해지고 게을러졌다. 하물며 또 소인들이 기용되어 환공의 이목을 가려 단지 안락한 경지만을 알게 하고 근심스러운 경지를 모르게 하며 충언을 듣지 못하게 하고 아첨하는 말만을 듣도록 함에 있어서는 어찌 되었겠는가! 그 다섯 공자들은 각각 그 모친으로 하여금 태자로 삼도록 환공에게 요구하게 하였으나 환공은 죽 안술을 머금은 듯 모호하기만 하였으며 전혀 처리할 방도를 말하지 않았다. 이야 말로 바로 '사람이 먼 앞날을 대비하지 않으면 반드시 걱정이 눈앞에 닥친다.'는 것이다.
갑자기 환공이 병이 들어 자리에 눕게 되었다. 옹무는 편작이 말도 없이 떠난 것을 보고 환공의 병이 낫기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마침내 수조와 상의하고 하나의 계책을 내어 궁문에 거짓으로 환공의 말을 적은 패를 만들어 걸었다.
그 패에 적은 말은 다음과 같았다.
"과인은 가슴이 두근거리는 병을 얻어 사람들의 소리기 듣기 싫어하니, 군신이나 공자들 모두 입궁을 불허하노라. 시인 수초는 궁문에 밀착하여 지키고 옹무는 궁안의 갑사들을 거느리고 순찰을 돌지어다. 모든 나라의 정사는 과인의 병이 낫기를 기다려 아뢰도록 할지어다."
巫刁二人,假寫懸牌,把住宮門。單留公子無虧,住長衛姬宮中,他公子問安,不容入宮相見。過三日,桓公未死,巫刁將他左右侍衛之人,不問男女,盡行逐出,把宮門塞斷。又於寢室周圍,築起高牆三丈,內外隔絶,風縫不通。止存牆下一穴,如狗竇一般,早晚使小內侍鑽入,打探生死消息。一面整頓宮甲,以防群公子之變。不在話下。
옹무와 수조 두 사람은 환공의 명을 조작하여 기록한 패를 걸고는 궁문을 지켰다. 다만 공자 무휴는 예외로 하여 큰 위희(長衛姬)가 있는 궁중에 들어가게 하고, 다른 공자들은 문안드리기 위해 궁안으로 들어가 환공을 알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3일이 지나자 환공이 아직 죽지 않았는데도 옹무와 수조는 좌우에서 모시는 다른 시비들과 호위군들을 남녀를 불문하고 모두 내쫒고 궁문을 차단했다. 또 환공의 침실 주위에 3장이나 되는 높이의 담장을 쌓고 외부와 단절하여 바람 한 점도 통하지 못하게 했다. 다만 담장 밑에 하나의 구멍을 두어 개구멍같이 만들어 두고 아침 저녁으로 어린 내시가 들어가서 환공의 생사를 탐지하여 알리게 했다.
또 한편으로 궁안의 갑사들을 정돈하여 공자들이 변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게 하였음은 말할 것도 없다.
再說桓公伏於牀上,起身不得,呼喚左右,不聽得一人答應,光著兩眼,呆呆而看。只見撲蹋一聲,似有人自上而墜,須臾推窗入來。桓公睜目視之,乃賤妾晏蛾兒也。桓公曰:「我腹中覺餓,正思粥飮,爲我取之!」 蛾兒對曰:「無處覓粥飮。」 桓公曰:「得熱水亦可救渴。」 蛾兒對曰:「熱水亦不可得。」 桓公曰:「何故?」 蛾兒對曰:「易牙與豎刁作亂,守禁宮門,築起三丈高牆,隔絶內外,不許人通,飮食從何處而來?」 桓公曰:「汝如何得至於此?」 蛾兒對曰:「妾曾受主公一幸之恩,是以不顧性命,踰牆而至,欲以視君之瞑也。」 桓公曰:「太子昭安在?」 蛾兒對曰:「被二人阻擋在外,不得入宮。」 桓公嘆曰:「仲父不亦聖乎?聖人所見,豈不遠哉!寡人不明,宜有今日。」 乃奮氣大呼曰:「天乎,天乎!小白乃如此終乎?」 連叫數聲,吐血數口,謂蛾兒曰:「我有寵妾六人,子十餘人,無一人在目前者。單只你一人送終,深愧平日未曾厚汝。」 蛾兒對曰:「主公請自保重,萬一不幸,妾情願以死送君!」 桓公嘆曰:「我死若無知則已,若有知,何面目見仲父於地下?」 乃以衣袂自掩其面,連嘆數聲而絶。
計桓公即位於周莊王十二年之夏五月,死於周襄王九年之冬十月,在位共四十有三年,壽七十三歲。
潛淵先生有詩單讚桓公好處:
姬轍東遷綱紀亡,
首倡列國共尊王。
南徵僭楚包茅貢,
北啟頑戎朔漠疆。
立衛存邢仁德著,
定儲明禁義聲揚。
正而不譎春秋許,
五伯之中業最强。
髯仙又有一絶,嘆桓公一生英雄,到頭沒些結果。詩云:
四十餘年號方伯,
南摧西抑雄無敵。
一朝疾臥牙刁狂,
仲父原來死不得!
呆 : 어리석을 매(태)/지킬 보. 어리석다. 미련하다. 어리둥절하다.
瞑 : 감을 명/잠잘 면. 눈을 감다. 눈이 어둡다. 눈멀다. 먼눈. 맹인. [면]잠자다. 아찔하다. 중독되다.
한편 환공은 침상에 엎드려 있었는데 몸을 일으킬 수가 없어 좌우의 시신들을 불렀으나 누구 하나 대답하는 소리를 들을 수 없었다. 두눈의 광채도 사라져 흐릿하게 보일 뿐이었다. 그때 발자국 소리가 들리다가 사람이 위에서 떨어진 것 같더니 잠시 후 창문을 밀고 들어왔다. 환공이 눈을 부릅뜨고 바라보니 바로 시첩인 안아아(晏蛾兒)였다.
환공이 말했다.
"내가 배가 고파 죽 생각이 나는구나. 나에게 가져다 다오."
안아아가 대답했다.
"죽을 구할 곳이 없습니다."
환공이 말했다.
"따뜻한 물을 마시면 갈증이 가시겠구나."
안아아가 대답했다.
"따뜻한 물도 구할 수 없습니다."
환공이 물었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안아아가 대답했다.
"역아와 수조가 난을 일으켜 궁문을 지키며 주군의 침실에 삼 장 높이의 담장을 쌓고 안팎을 차단하여 사람의 왕래를 금하고 있는데 음식을 어디에서 가져옵니까?"
환공이 물었다.
"너는 어떻게 여기에 들어올 수 있었느냐?"
안아아가 대답했다.
"첩은 일찌기 주군의 은총을 입은 일이 있어 목숨을 무릅쓰고 담을 넘어왔는데 주군의 임종을 지키려고 합니다."
환공이 물었다.
"태자 소는 어디에 있느냐?"
안아아가 대답했다.
"그들 두 사람이 밖에서 막고 있어 궁에 들어올 수 없습니다."
환공이 탄식했다.
"중부는 역시 성인이 아닌가? 성인이 앞을 내다 보는 것이 참으로 멀지 않은가? 과인이 현명하지 못했으니 오늘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는 것은 마땅하다."
그리고 분기탱천하여 큰 소리로 외쳤다.
"하늘이여! 하늘이여! 소백이 이렇게 생을 마쳐야 합니까?"
연달아 몇마디 외치며 입에서 몇차례 피를 토하고는 안아아에게 말했다.
"나에게는 총애하는 첩이 여섯 명이며 아들이 십여 명인데 한 사람도 눈 앞에 없구나. 단지 너 한 사람만이 나의 임종을 지키는데 평소 너에게 후히 대하지 못한 것이 부끄럽구나."
안아아가 대답했다.
"주공께서는 보중하십시오. 만일 돌아가신다면 첩은 죽음으로 주군을 보내드리고자 합니다."
환공이 탄식했다.
"내가 죽어 아무 것도 알 수 없다면 그만이지만, 알게 된다면 무슨 면목으로 지하에서 중부를 볼 것인가?"
마침내 옷소매로 자신의 얼굴을 가리고 연이어 몇마디 탄식을 하고는 생을 마쳤다.
헤아려 보니 환공이 주장왕(周莊王) 12년 여름 5월에 즉위하여 주양왕(周襄王) 9년 겨울 10월에 죽었으니 재위 총 43년이며 나이는 73세였다.
잠연선생이 시를 지어 환공이 잘한 부분만을 칭찬했다.
주왕실이 동천하였을 때 기강이 무너졌었는데,
열국을 이끌어 함께 주 왕실을 높였도다.
남으로는 왕호를 참칭한 초나라를 쳐서 공물을 바치게 했고,
북으로는 탐욕스러운 융을 쳐 삭막한 땅을 개척했도다.
위(衛)나라를 일으키고 형(邢)나라를 보존시켜 어진 덕을 드러냈고,
태자의 지위를 안정시키고 금기사항을 밝혀 의를 드높였도다.
정의를 행하여 춘추시대를 그르치게 하지 않았으니,
춘추오패중 제환공의 업적이 가장 강했도다.
염선이 절구 한 수를 지어, 환공이 한평생을 영웅으로 살았는데 비참하게 세상을 마친 것을 탄식했다.
환공은 40여년간 사방을 호령한 패자로서,
남으로는 초(楚)를 치고 서로는 융(戎)을 눌러 영웅으로 대적할 자가 없었도다.
하루아침에 병으로 눕게 되자 역아와 수조가 광분하였는데,
중부가 원래 이를 염려하여 죽을 수 없었도다.
晏蛾兒見桓公命絶,痛哭一場。欲待叫喚外人,奈牆高聲不得達,欲待踰牆而出,奈牆內沒有襯腳之物,左思右想,嘆口氣曰:「吾曾有言:『以死送君』。若殯殮之事,非婦人所知也!」 乃解衣以覆桓公之屍,復肩負窗槅二扇以蓋之,權當掩覆之意。向牀下叩頭曰:「君魂且勿遠去,待妾相隨!」遂以頭觸柱,腦裂而死。賢哉此婦也!
襯 : 속옷 친(츤). 속옷. 가까이하다. 접근함. 베풀다. 드러내다. 노출함. 돕다. 곁에서 도움.
槅 : 멍에 격(혁)/씨 핵. 멍에. 선반. 시렁.
안아아는 환공이 절명한 것을 보고 한바탕 통곡을 하였다. 밖에 사람이 오기를 기다려 부르려다가 담장이 높은데 어찌 소리가 들리겠는가 생각하고 담장을 넘어가려고 하였으나 담장 안에 딛고 넘어갈만한 것이 없었다.
이리저리 궁리하다가 탄식하며 중얼거렸다.
"내가 이미 말한 것이 있다. '죽음으로 주군을 보내드리리라!' 시신을 염하는 일은 아녀자가 알 바 아니다!"
웃옷을 벗어 환공의 시신을 덮고는 다시 창가에 있는 부채 2개를 메고 가져다가 시신을 덮었는데 잠시라도 시신을 보이지 않게 하려는 뜻이었다.
그리고 침상 아래로 내려가 머리를 숙여 절하며 말했다.
"주군의 혼령은 멀리 떠나지 마시고 첩이 따라가기를 기다리소서!"
마침내 기둥에 머리를 부딛치니 뇌가 깨져 죽었다. 어질도다, 여인이여!
是夜,小內侍鑽牆穴而入,見寢室堂柱之下,血泊中挺著一個屍首,驚忙而出,報與巫刁二人曰:「主公已觸柱自盡矣!」巫刁二人不信,使內侍輩掘開牆垣,二人親自來看,見是個婦人屍首,大驚。內侍中有認得者,指曰:「此晏蛾兒也。」 再看牙牀之上,兩扇窗槅,掩蓋著個不言不動,無知無覺的齊桓公。嗚呼哀哉,正不知幾時氣絶的。
豎刁便商議發喪之事。雍巫曰:「且慢,且慢,必須先定了長公子的君位,然後發喪,庶免爭競。」 豎刁以爲然。當下二人同到長衛姬宮中,密奏曰:「先公已薨逝矣!以長幼爲序,合當夫人之子。但先公存日,曾將公子昭囑託宋公,立爲太子,群臣多有知者;倘聞先公之變,必然輔助太子。依臣等之計,莫若乘今夜倉卒之際,即率本宮甲士,逐殺太子,而奉長公子即位,則大事定矣!」 長衛姬曰:「我婦人也,惟卿等好爲之!」 於是雍巫豎刁各率宮甲數百,殺入東宮,來擒世子。
이날 밤, 어린 내시가 담장에 뚫린 구멍으로 들어가 보니 침실 기둥 아래 피가 흥건한데 그 안에 하나의 시신이 있었다.
깜짝 놀라 밖으로 나가서 옹무, 수조 두 사람에게 알렸다.
"주공께서 이미 기둥에 머리를 부딛쳐 자진하셨습니다!"
옹무, 수조 두 사람은 믿지 못하고 내시들로 하여금 담장을 열게 하여 직접 들어가 보니 여인의 시신 하나가 보여 크게 놀랐다.
내시 중에 알아보는 자가 있어 가리키며 말했다.
"이 여인은 안아아입니다."
다시 상아로 장식된 침상 위를 보니 창가의 부채 두개로 덮어놓은 것이 있는데 아무런 소리도 움직임도 없었다. 무의식중에 제환공이라는 것을 알았다. 오호라, 슬프도다! 언제 숨이 끊어졌는지 아는 자가 없었다.
수조가 바로 발상할 일을 상의 하려고 하자 옹무가 말했다.
"서두르지 마시고 잠시 기다리시오. 반드시 먼저 큰 공자가 군위를 계승하도록 결정한 뒤에 발상하여야 공자들 간의 다툼을 면하게 됩니다."
수조도 옳게 여겼다.
두 사람은 바로 큰 위희(長衛姬)의 궁으로 가서 은밀히 말했다.
"선공께서 이미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장유의 순서대로 한다면 부인의 아들이 후사를 잇는 것이 합당합니다. 다만 선공이 살아계실 때 일찍이 공자 소(昭)를 송공(宋公)에게 부탁하시고 태자로 세우셨는데 많은 신하들이 알고 있습니다. 선공이 돌아가신 줄 알게 되면 반드시 태자를 도우려고 할 것입니다. 신들의 계책은 오늘밤 순식간에 본궁의 갑사들을 인솔하여 태자를 죽이고 장공자를 받들어 즉위시킨다면 대사는 결정되는 것입니다."
큰위희가 말했다. "나는 아녀자라 오로지 경들이 하는대로 따르겠소."
이리하여 옹무와 수조는 각 위희 궁의 갑사 수백명을 거느리고 동궁으로 달려들어가 세자를 사로잡으려고 하였다.
且說世子昭不得入宮問疾,悶悶不悅。是夕方挑燈獨坐,恍惚之間,似夢非夢,見一婦人前來謂曰:「太子還不速走,禍立至矣!妾乃晏蛾兒也,奉先公之命,特來相報。」 昭方欲叩之,婦人把昭一推,如墜萬丈深淵。忽然驚醒,不見了婦人。此兆甚奇,不可不信。忙呼侍者取行燈相隨,開了便門,步至上卿高虎之家,急扣其門。高虎迎入,問其來意,公子昭訴稱如此。高虎曰:「主公抱病半月,被奸臣隔絶內外,聲息不通。世子此夢,凶多吉少。夢中口稱先公,主公必已薨逝了。寧可信其有,不可信其無,世子且宜暫出境外,以防不測。」 昭曰:「何處可以安身?」 高虎曰:「主公曾將世子囑咐宋公,今宜適宋,宋公必能相助。虎乃守國之臣,不敢同世子出奔。吾有門下士崔夭,見管東門鎖鑰。吾使人吩咐開門,世子可乘夜出城也。」 言之未已,閽人傳報:「宮甲圍了東宮。」 嚇得世子昭面如土色。高虎使昭變服,與從人一般,差心腹人相隨,至於東門,傳諭崔夭,令開鑰放出世子。崔夭曰:「主公存亡未知,吾私放太子,罪亦不免。太子無人侍從,如不棄崔夭,願一同奔宋。」 世子昭大喜曰:「汝若同行,吾之願也!」 當下開了城門,崔夭見有隨身車仗,讓世子登車,自己執轡,望宋國急急而去。
鑰 : 자물쇠 약. 자물쇠. 빗장. 문에 빗장을 걸어 단속하는 일. 마음의 단속(團束). 진수(鎭守)하는 일. 닫다. 잠금. 들어가다. 깨닫다.
한편 세자 소는 입궁하여 환공을 문병할 수 없자 울적한 마음으로 지냈다.
그날 밤 등불의 심지를 돋우고 홀로 앉아 있었는데 갑자기 정신이 황홀해지며 비몽사몽간에 한 부인이 앞에 나타나 말했다.
"태자는 빨리 도망치십시오. 화가 눈앞에 닥쳤습니다. 첩은 안아아인데 선공의 명을 받들어 특별히 와서 알려드립니다."
소가 머리를 숙여 인사를 하려고 하는데 부인이 소를 밀치자 만장의 깊은 연못에 떨어지는 것 같았다. 홀연히 놀라 깨었는데 그 부인은 사라져 보이지 않았다. 그 조짐이 매우 기이하여 믿지 않을 수 없었다. 급히 시자를 불러 등을 들고 따르게 하고는 문을 열고 걸어서 상경(上卿) 고호(高虎)의 집으로 가서 급하게 문을 두드렸다. 고호가 맞아 들여 태자 소에게 온 뜻을 물으니 소가 상세하게 말했다.
고호가 말했다.
"주공께서 병이 든지 반 달이 되었는데 간신들이 내외를 단절하여 소식이 끊겼습니다. 세자가 꾸신 그 꿈은 흉한 일이 많고 길한 일이 적을 것입니다. 꿈에 선공(先公)이라 했으니 주공께서는 반드시 이미 돌아가셨을 것입니다. 돌아가셨다고 믿을 수는 있어도 돌아가시지 않았다고 믿을 수는 없으니 세자께서는 잠시 나라 밖으로 나가시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야 합니다."
소가 물었다.
"어디로 가야 몸이 안전할 수 있습니까?"
고호가 대답했다.
"주공께서는 일찍이 세자를 송공(宋公)에게 부탁하신 적이 있으니 지금 마땅히 송나라로 가셔야 송공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바로 나라를 지켜야 하는 신하된 몸이라 감히 세자를 모시고 출국하지 못합니다. 제 문하에 최요(崔夭)라는 자가 있는데 동문의 출입을 관장하고 있습니다. 제가 사람을 시켜 문을 열어주도록 분부할 것이니 세자께서는 야음을 틈타 성을 나가십시오."
말이 끝나기도 전에 문지기가 알려왔다.
"궁의 갑사들이 동궁을 포위했습니다."
그 말을 듣고 태자 소는 두려움에 얼굴이 흙빛으로 변했다. 고호는 태자 소를 변복시키고 심복인을 뽑아 세자를 따르도록 하여 동문으로 보냈는데 미리 명을 전달받은 최요가 영을 내려 자물쇠를 풀어 세자를 나가게 하였다.
최요가 말했다.
"주공의 존망을 알지 못하면서 제가 사사로이 태자를 보내드리는 것이라 죄를 면할 수 없습니다. 태자께 시종하는 자가 없으니 제가 함께 송나라로 가겠습니다."
세자 소가 크게 기뻐하며 말했다.
"그대가 함께 간다니 내가 바로 원하는 바이오."
즉각 성문을 열고 최요는 자신의 수레를 세자에게 양보하여 수레에 오르게 하고는 스스로 고삐를 잡아 송나라를 향해 나는 듯이 달려갔다.
話分兩頭。卻說巫刁二人,率領宮甲,圍了東宮,遍處搜尋,不見世子昭的蹤影。看看鼓打四更,雍巫曰:「吾等擅圍東宮,不過出其不意。若還遲至天明,被他公子知覺,先據朝堂,大事去矣。不如且歸宮擁立長公子,看群情如何,再作道理。」 豎刁曰:「此言正合吾意。」 二人收甲,未及還宮,但見朝門大開,百官紛紛而集。不過是高氏、國氏、管氏、鮑氏、陳氏、隰氏、南郭氏、北郭氏、閭邱氏這一班子孫臣庶,其名也不可盡述。這些眾官員聞說巫刁二人,率領許多甲士出宮,料必宮中有變,都到朝房打聽消息。宮內已漏出齊侯凶信了。又聞東宮被圍,不消說得,是奸臣乘機作亂。「那世子是先公所立,若世子有失,吾等何面目爲齊臣?」 三三兩兩,正商議去救護世子。恰好巫刁二人兵轉。眾官員一擁而前,七嘴八張的,都問道:「世子何在?」 雍巫拱手答曰:「世子無虧,今在宮中。」 眾人曰:「無虧未曾受命冊立,非吾主也,還我世子昭來!」 豎刁仗劍大言曰:「昭已逐去了!今奉先公臨終遺命,立長子無虧爲君,有不從者,劍下誅之。」 眾人憤憤不平,亂嚷亂罵:「都是你這班奸佞,欺死蔑生,擅權廢置。你若立了無虧,吾等誓不爲臣!」 大夫管平挺身出曰:「今日先打死這兩個奸臣,除卻禍根,再作商議。」 手挺牙笏,望豎刁頂門便打。豎刁用劍架住。眾官員卻待上前相助,只見雍巫大喝曰:「甲士們,今番還不動手,平日養你每何幹?」 數百名甲士,各挺器械,一齊發作,將眾官員亂砍。眾人手無兵器,況且寡不敵眾,弱不敵强,如何支架得來?正是:「白玉階前爲戰地,金鑾殿上見閻王。」 百官死於亂軍之手者,十分之三。其餘帶傷者甚多,俱亂竄出朝門去了。
嘴 : 부리 취. 부리, 새의 주둥이. 물건의 뾰족한 끝. 嚷 : 외칠 양. 외치다. 아우성치다. 떠들다.
朝房 : 조신들이 조회를 기다려 모이던 방.
七嘴八張 : 七嘴八說. 여러 사람이 왁자지껄 떠들썩하게 이야기하다. 제각기 떠들다. 말이 많다. 수다스럽다.
憤憤不平 : (분노·번민 때문에) 마음이 평온치 않다.
鑾 : 방울 란/보습 거. 방울. 어가(御駕)를 끄는 말의 고삐에 다는 방울. 임금이 타는 수레. 또는, 임금. [거] 보습.
閻 : 이문 염. 이문(里門). 마을. 한길. 번화한 거리. 열다. 문을 염. 권하다. 강요함. 예쁘다. 아름다움. 옷이 긴 모양.
한편 옹무와 수조 두 사람은 궁안의 갑사들을 거느리고 동궁을 포위하여 샅샅이 찾았으나 세자 소의 그림자도 찾을 수가 없었다.
계속 찾다가 4경을 알리자 옹무가 말했다.
"우리가 임의로 동궁을 포위한 것은 순식간에 대사를 결정짓고자 한 것이었소. 만약 일이 지체 되어 날이 밝아지고 다른 공자들에게 알려져 먼저 조당을 점거당한다면 대사는 우리 손을 떠나게 되는 것이오. 일단 궁으로 돌아가 큰 공자를 옹립하고 공자들의 동정이 어떠한지 보면서 다시 방법을 찾는 것이 좋겠소."
수조가 대답했다.
"그 말씀이 내 뜻과 같습니다."
두 사람이 갑사들을 거두어 미처 궁으로 돌아가지도 못했는데 조정으로 들어가는 문이 크게 열려있고 백관들이 분분히 몰려들고 있는 것이 보였다. 바로 고씨(高氏), 국씨(國氏), 관씨(管氏), 포씨(鮑氏), 진씨(陳氏), 습씨(隰氏), 남곽씨(南郭氏), 북곽씨(北郭氏), 여구씨(閭邱氏)등 이 일반 자손들로 벼슬을 하고 있던 벼슬을 하고 있지 않던 자들이 다 모여 그 이름을 다 거론할 수 없을 정도였다. 이 관원들은 옹무와 수조 두 사람이 수많은 궁안의 갑사들을 거느리고 궁을 나갔다는 말을 듣고, 반드시 궁안에 변이 생겼다고 판단하여 모두 조방에 나가 소식을 알아보고 있던 중이었다. 궁안에는 이미 제환공의 사망소식이 새 나왔었다. 또 동궁이 포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이것은 간신들이 환공의 사망을 틈타 난을 일으킨 것이라고 하였다.
"세자는 선공이 세우신 일인데 만일 세자가 죽었다면 우리가 무슨 면목으로 제나라 신하라 하겠습니까?"
삼삼오오 모여서 세자를 구하러 가야 한다고 상의하고 있는데, 때마침 옹무와 수조가 군사를 이끌고 돌아왔다.
관원들이 일제히 그들 앞으로 몰려가 왁자지껄하며 물었다.
"세자는 어디에 계시는가?"
옹무가 공수하며 대답했다.
"세자인 무휴는 지금 궁안에 계십니다."
관원들이 말했다.
"무휴는 세자로 책봉한다는 명을 받은 적이 없으니 우리 주군이 아니오. 우리의 세자 소를 돌아오게 하시오."
수조가 칼을 잡고 큰 소리로 말했다.
"소는 이미 쫒겨났습니다. 지금 선공께서 임종시에 내리신 유명을 받들어 장자이신 무휴를 군주로 세우니 따르지 않는 자는 검 아래 죽게 될 것이오."
관원들은 분노가 치솟아 어지러이 아우성치며 꾸짖었다.
"도대체 너희는 간교한 무리라 죽은 자를 속이고 산자를 능멸하여 권력을 함부로 휘둘러 세자를 폐하고자 하는 것이다. 너희가 무휴를 군주로 세운다 해도 우리는 맹세코 무휴의 신하가 되지 않을 것이다."
대부 관평(管平)이 앞으로 나와 말했다.
"오늘 먼저 이 두 간신을 때려 죽여 화근을 제거한 다음 다시 상의합시다."
그리고 손에 든 상아로 장식한 홀을 들어 수조의 이마를 향하여 내리쳤다. 수조는 검을 들어 가로막았다.
관원들이 앞으로 나가 관평을 도우려 하자 옹무가 나서서 큰 소리로 외쳤다.
"갑사들은 지금 손을 쓰지 않는데 내가 평소 너희들을 키운 것은 무엇 때문이었는가?"
수백 명의 갑사들이 각자 무기를 들고 일제히 달려들어 관원들을 어지러이 베려고 하였다. 관원들은 손에 병기를 들고 있지 않았는데 하물며 적은 수로 많은 갑사들을 대적할 수도 없거니와 약한 힘으로 강한 힘을 대적할 수도 없는데 어찌 견딜 수 있겠는가? 바로 '백옥으로 만든 계단 앞에서 싸우고, 금으로 만든 옥좌 위에서 염라대왕은 본 격.'이었다. 백관들 중 난군의 손에 죽은 자들이 열에 셋이나 되었다. 그 나머지 중에서도 다친 자들이 매우 많았는데 모두 어지러이 도망쳐 조문을 나갔다.
再說巫刁二人,殺散了眾百官,天已大明,遂於宮中扶出公子無虧,至朝堂即位。內侍們鳴鐘擊鼓,甲士環列兩邊,階下拜舞稱賀者,剛剛只有雍巫豎刁二人。無虧又慚又怒。雍巫奏曰:「大喪未發,群臣尙未知送舊,安知迎新乎?此事必須召國高二老入朝,方可號召百官,壓服人眾。」 無虧准奏,即遣內侍分頭宣召右卿國懿仲,左卿高虎。這兩位是周天子所命監國之臣,世爲上卿,群僚欽服,所以召之。國懿仲與高虎聞內侍將命,知齊侯已死,且不具朝服,即時披麻帶孝,入朝奔喪。巫刁二人,急忙迎住於門外,謂曰:「今日新君御殿,老大夫權且從吉。」 國高二老齊聲答曰:「未殯舊君,先拜新君,非禮也。誰非先公之子,老夫何擇,惟能主喪者,則從之。」 巫刁語塞。國高乃就門外,望空再拜,大哭而出。無虧曰:「大喪未殯,群臣又不服,如之奈何?」 豎刁曰:「今日之事,譬如搏虎,有力者勝。主上但據住正殿,臣等列兵兩廡,俟公子有入朝者,即以兵劫之。」 無虧從其言。長衛姬盡出本宮之甲,凡內侍悉令軍裝,宮女長大有力者,亦湊甲士之數,巫刁各統一半,分布兩廡。不在話下。
剛剛 : 겨우. 가까스로. 간신히. 방금. 금방. 막. 지금. 딱. 꼭. 마침맞게. 공교롭게. 孝 : 상복. 상복을 입다. 제사(지내다).
從吉 : 복상(服喪) 중 경사 때문에 잠시 상복을 벗고 길복(吉服)으로 갈아입다. 거상(居喪)을 마치고 상복을 벗고 길복(吉服)을 입다.
또는 입는 것.
옹무와 수조 두 사람은 백관들을 죽이거나 쫒아버린 후 날이 밝자, 마침내 궁안에서 공자 무휴를 부축하고 나와 조당에 도착하여 즉위시켰다. 내시들은 종을 울리고 북을 쳤으며 갑사들은 양쪽에 늘어선 가운데 계단 아래에서 절하며 축하하는 자는 겨우 옹무와 수조 두 사람 뿐이었다. 무휴는 부끄럽고 분노가 일었다.
옹무가 아뢰었다.
"대상을 아직 발하지 않아 신하들이 아직 선공의 장례일을 모르고 있는데 어찌 새 군주를 맞이할 줄 알겠습니까? 이 일은 반드시 국씨(國氏)와 고씨(高氏)의 두 원로 대신을 불러 입조케 하고 바로 백관들을 호령하여 부르게 한다면 사람들을 복종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무휴가 그 의견을 받아들여 즉각 내시를 나누어 보내 우경(右卿) 국의중(國懿仲),좌경(左卿) 고호(高虎)를 불렀다.
이들 두 사람은 주(周) 천자의 명을 받아 감국(監國)의 임무를 맡고 있는 자들로 대대로 상경이 되었으며 뭇 신료들이 존경하고 복종하는 자들이었기 때문에 먼저 부른 것이다.
국의중과 고호는 내시가 명을 전하러 왔다는 보고를 받고 제환공이 이미 사망한 것을 알았으므로 조복을 입지 않고 즉시 상복을 입고 조정으로 급히 달려갔다.
옹무와 수조 두 사람이 문 밖에서 황망히 맞이하며 말했다.
"금일 새로운 군주가 즉위하여 어전에 계십니다. 노대부들께서는 잠시 길복(吉服 : 행사 때 입는 옷)으로 갈아입고 새로운 군주를 배알(拜謁)하십시오."
두 원로가 한 목소리로 대답했다.
"선군의 빈소도 아직 보지 못했는데 새로운 군주를 배알하는 것은 예가 아니오. 선공의 아들이 아니라면 노부들이 어찌 택하겠소? 누구던지 오직 선공의 상을 주관할 수 있는 자를 따를 것이오."
옹무와 수조는 말문이 막혔다. 국, 고 두 원로는 문밖으로 나가 허공을 향해 두 번 절하며 크게 곡하고는 물러갔다.
무휴가 말했다.
"대상에 빈소가 마련되지 않아 신하들이 또 불복하니 어찌 합니까?"
수조가 말했다.
"오늘의 일은 비유컨대 범을 때려잡는 것과 같으며 힘이 있는 자가 이깁니다. 주상께서는 정전에 머물고만 계십시오. 신들이 병사들을 복도 양쪽에 늘어놓고 공자들이 조정에 들어오기를 기다려 그들을 겁박하겠습니다."
무휴는 그 말에 따랐다. 큰 위희(長衛姬)는 그 궁의 갑사들을 모두 내보내고 내시들에게 영을 내려 모두 무장시키고 궁녀들 중 체격이 크고 힘이 좋은 자들을 갑사의 무리에 가담시켜 옹무와 수조가 각 반씩 거느리고 복도 양쪽에 포진하게 했다.
且說衛公子開方,聞巫刁擁立無虧,謂葛嬴之子潘曰:「太子昭不知何往,若無虧可立,公子獨不可立乎?」 乃悉起家丁死士,列營於右殿。密姬之子商人,與少衛姬之子元共議:「同是先公骨血,江山莫不有分。公子潘已據右殿,吾等同據左殿。世子昭若到,大家讓位,若其不來,把齊國四分均分。」 元以爲然,亦各起家甲,及平素所養門下之士,成隊而來。公子元列營於左殿,公子商人列營於朝門,相約爲犄角之勢。巫刁畏三公子之眾,牢把正殿,不敢出攻。三公子又畏巫刁之强,各守軍營,謹防衝突。正是:「朝中成敵國,路上絶行人。」
有詩爲證:
鳳閣龍樓虎豹嘶,
紛紛戈甲滿丹墀。
分明四虎爭殘肉,
那個降心肯伏低?
其時只有公子雍怕事,出奔秦國去訖,秦穆公用爲大夫。不在話下。
犄角之勢 : 掎各之勢. 양쪽에서 잡아당겨서 찢으려는 것과 같은 양면 작전의 태세. 「달아나는 사슴을 잡을 때, 뒷발을 잡고, 뿔을 잡는
다는 뜻」으로, 앞뒤에서 적(敵)을 몰아칠 수 있는 양면(兩面) 작전(作戰)의 형세(形勢)를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丹墀 : 붉은 칠을 한 궁전 앞의 섬돌. 墀 : 섬돌위 뜰 지. 섬돌 위 뜰. 섬돌.
한편 위(衛) 공자(公子) 개방(開方)은 옹무와 수조가 무휴를 옹립했다는 것을 알고 갈영(葛嬴)의 아들 반(潘)에게 말했다.
"태자 소가 어디로 갔는지 모르는데 무휴를 군주로 옹립할 수 있다면 공자도 어찌 군주로 옹립될 수 없겠습니까?"
마침내 집안의 장정들과 결사대를 모두 일으켜 어전의 오른 쪽에 벌려 세웠다.
밀희(密姬)의 아들 상인(商人)도 작은 위희(少衛姬)의 아들 원(元)과 함께 상의했다.
"다 같은 선공의 혈육이니 강산(江山)도 나누어 갖지 않으면 안됩니다. 공자 반은 이미 어전의 오른 쪽을 점거하였으니 우리도 함께 어전의 좌측을 점거해야 합니다. 세자 소가 돌아오면 모두 넘겨주면 되지만 세자가 돌아오지 않으면 제나라를 공평하게 4등분해야 할 것입니다."
공자 원도 그렇게 여기고 각 집안의 갑사들과 평소 길러 온 문하의 용사들을 일으켜 대오를 이뤄 어전으로 갔다.
공자 원은 어전의 좌측에 도열하고 공자 상인은 조문에 도열하여 서로 약속한대로 의각지세(犄角之勢)를 이루었다. 옹무와 수조는 세 공자가 이끌고 있는 갑사들이 두려워 정전에 갖힌 채 감히 치고 나갈 수가 없었다. 세 공자도 옹무와 수조의 무리가 강한 것을 두려워해 각 군영을 지키며 충돌을 삼가했다. 이는 바로 '조정 안에서 적국이 대치하고 있어 거리에 인적이 끊어졌다.'는 것이었다.
이 상황을 말해주는 시가 있다.
봉과 용을 새긴 누각에서 범과 표범이 울부짖는데,
섬돌위 뜰에 갑사들이 가득 몰려 있어 분분하다.
네 마리 범이 고기를 놓고 다투는 것은 분명한데,
누가 뜻을 굽혀 굴복하려고 할까?
그때 공자 옹(雍)은 그러한 사태에 두려움을 느끼고 섬진으로 망명하였는데 섬짐의 목공은 그를 대부로 삼았다. 그 다음은 말할 것도 없다.
且說眾官知世子出奔,無所朝宗,皆閉門不出。惟有老臣國懿仲高虎,心如刀刺,只想解結,未得其策。如此相持,不覺兩月有餘。高虎曰:「諸公子但知奪位,不思治喪,吾今日當以死爭。」 國懿仲曰:「子先入言,我則繼之,同捨一命,以報累朝爵祿之恩可也。」 高虎曰:「只我兩人開口,濟得甚事?凡食齊祿者,莫非臣子,吾等沿門喚集,同至朝堂,且奉公子無虧主喪何如?」 懿仲曰:「立子以長,立無虧不爲無名。」 於是分頭四下,招呼群臣,同去哭臨。眾官員見兩位老大夫做主,放著膽各具喪服,相率入朝。寺貂攔住問曰:「老大夫此來何意?」 高虎曰:「彼此相持,無有了期。吾等專請公子主喪而來,無他意也。」 貂乃揖虎而進。虎將手一招,國懿仲同群臣俱入,直至朝堂,告無虧曰:「臣等聞『父母之恩,猶天地也。』 故爲人子者,生則致敬,死則殯葬。未聞父死不殮,而爭富貴者。且君者臣之表,君旣不孝,臣何忠焉?今先君已死六十七日矣,尙未入棺。公子雖御正殿,於心安乎?」 言罷,群臣皆伏地痛哭。無虧亦泣下曰:「孤之不孝,罪通於天。孤非不欲成喪禮,其如元等之見逼何?」 國懿仲曰:「太子已外奔,惟公子最長。公子若能主喪事,收殮先君,大位自屬。公子元等,雖分據殿門,老臣當以義責之,誰敢與公子爭者!」 無虧收淚下拜曰:「此孤之願也。」 高虎吩咐雍巫,仍守殿廡,群公子但衰麻入臨者,便放入宮,如帶挾兵仗者,即時拿住正罪。寺貂先至寢宮,安排殯殮。
沿 : 따를 연. 물을 따라가다. 따르다. 좇다. 가장자리. 언저리. 물이름. 相率 : 잇따라, 연이어.
殯葬 : 숨진 즉시 시신을 매장하지 않고 안치해두는 의례. (中國) 출관(出棺)과 매장(埋葬). 매장하다. 장사를 지내다.
한편 관료들은 세자가 국외로 망명했음을 알고 조정에 근본이 없다고 여겨 모두 문을 걸어 잠그고 나오지 않았다. 오직 노신 국의중과 고호만이 마음이 칼로 찔리는 듯 고통을 겪으며 해결책을 생각해 보았지만 마땅한 대책을 찾지 못했다. 이렇게 서로 대치하는 동안 어느덧 두 달 여가 지나갔다.
고호가 말했다.
"공자들이 군주의 지위만 노리고 상을 치를 생각을 하지 않고 있는데, 우리가 오늘 죽음을 무릅쓰고 결론을 냅시다."
국의중도 말했다.
"공이 먼저 들어가 말씀하시면 나도 이어서 말할 것이니 함께 한 목숨 바쳐 누대에 걸쳐 작록을 받아온 은혜를 갚아야 할 것입니다."
고호가 말했다.
"단지 우리 두 사람이 입을 연다고 해서 무슨 일을 이룰 수 있겠습니까? 제나라의 녹을 먹는 자들은 모두 같은 신하이니 우리가 조문에서 불러 모은 다음 함께 조당에 들어가 공자 무휴를 받들어 상을 주도하여 치르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국의중이 대답했다.
"아들 중에 장자를 세우는 것이니 무휴를 세운다면 명분이 없는 것은 아니지요."
마침내 두 사람은 따로 사방을 돌아다니며 신하들을 불러모은 다음 함께 조문에 가서 곡했다. 관원들은 두 사람의 노대부가 일을 주도하는 것을 보자 마음이 놓여 각 상복을 입고 잇따라 조정으로 들어갔다.
내시 수초가 가로 막으며 물었다.
"노대부들께서 이렇게 오신 것은 무슨 뜻입니까?"
고호가 대답했다.
"피차 이렇게 대치하고 있으니 언제 끝날지 기다릴 수 없네. 우리는 오로지 공자께 상을 주관하여 치르게 하려고 온 것이며 다른 뜻은 없네."
수초가 고호에게 읍하며 들어가게 하였다.
고호가 손을 들어 들어오라고 하자 국의중이 신하들과 함께 들어가 바로 조당으로 가서 무휴에게 말했다.
"신들이 듣기로, '부모의 은혜는 하늘과 땅처럼 무한하다.' 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자식된 자는 살아계실 때에는 공경하고 돌아가시면 빈소를 설치하고 장례를 치릅니다. 부친이 돌아가셨으나 시신을 염도 하지 않은 채 부귀를 다투는 일은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또 군주란 신하에게 모범을 보여야 하는데 군주가 불효하면서 신하들이 어찌 충성을 바치기를 기대할 수 있겠습니까? 지금 선군께서 돌아가신지 벌써 67일이 지났는데도 아직 입관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공자께서 비록 정전에 계신다 해도 어찌 마음을 놓으실 수 있겠습니까?"
말을 마치자 신하들은 모두 엎드려 통곡했다.
무휴도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
"고(孤 : 나)가 저지른 불효의 죄는 하늘에 닿아 있습니다. 고가 상을 치르려고 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공자 원(元)등이 핍박을 하고 있으니 어찌 합니까?"
국의중이 말했다.
"태자께서는 이미 망명중이시고 오직 공자만이 최연장자이십니다. 공자께서 선공의 상을 주도하시어 선군의 시신을 거두어 염하실 수 있다면 대위는 저절로 공자께 돌아갈 것입니다. 공자 원등이 비록 어전과 조문을 나누어 점거하고 있다 해도 노신들이 마땅히 의(義)로써 그들을 꾸짖을 것이니 누가 감히 공자와 더불어 다툴 수 있겠습니까?"
무휴가 눈물을 거두고 절하며 말했다.
"그것은 고가 바라던 것입니다."
고호는 옹무에게 분부하여 어전과 복도를 지키게 하고 공자들 중에서 오직 상복을 입은 자만 바로 궁에 들어가게 하며, 병장기를 가지고 있는 자는 즉시 사로잡아 죄를 다스리게 하였다. 내시 수초는 먼저 침실로 들어가 빈소를 차리고 시신을 염하도록 안배했다.
卻說桓公屍在牀上,日久無人照顧,雖則冬天,血肉狼藉,屍氣所蒸,生蟲如蟻,直散出於牆外。起初眾人尙不知蟲從何來,及入寢室,發開窗槅,見蟲攢屍骨,無不悽慘。無虧放聲大哭,群臣皆哭。即日取梓棺盛殮,皮肉皆腐,僅以袍帶裹之,草草而已。惟晏蛾兒面色如生,形體不變,高虎等知爲忠烈之婦,嘆息不已,亦命取棺殮之。高虎等率群臣奉無虧居主喪之位,眾人各依次哭臨。是夜,同宿於柩側。卻說公子元、公子潘、公子商人,列營在外,見高國老臣,率群臣喪服入內,不知何事。後聞桓公已殯,群臣俱奉無虧主喪,戴以爲君,各相傳語,言:「高國爲主,吾等不能與爭矣!」 及各散去兵眾,俱衰麻入宮奔喪,兄弟相見,各各大哭。當時若無高國說下無虧,此事不知如何結局也!
胡曾先生有詩嘆曰:
違背忠臣寵佞臣,
致令骨肉肆紛爭。
若非高國行和局,
白骨堆牀葬不成。
한편 환공의 시신은 침상 위에 있었는데 오랫동안 살피는 자가 없다보니 겨울철인데도 혈육이 낭자하고 시신의 냄새가 진동하였으며 벌레가 생겨 개미떼처럼 우글거리며 담장밖으로 흩어져 기어 나왔다. 처음에 사람들은 미처 벌레들이 어디에서 나오는지도 모르고 침실로 들어가 창문을 열자 벌레가 시신에 수북이 쌓여있어 처참하기 이를데 없었다.
무휴가 소리높여 통곡했고 신하들도 모두 울었다. 즉일로 관을 짜서 입관하려고 했으나 피부가 모두 부패하여 가까스로 포대 속에 허둥지둥 담아 마쳤다. 오직 안아아의 안색은 살아있을 때와 같았고 시신도 온전했는데, 고호등은 그녀가 충렬(忠烈)의 여인이었음을 알고 탄식을 금치 못했으며 관을 짜 입관하도록 했다.
고호등은 신하들을 거느리고 무휴를 받들어 상을 주관하게 하였고 모두 각 순서에 따라 곡하게 하였다. 그날 밤 모두 관 옆에서 밤을 새웠다.
한편 공자 원과 공자 반, 공자 상인은 밖에서 진을 치고 있다가 고호와 국의중등 노대부들이 상복을 입은 신하들을 이끌고 궁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았으나 무슨 일을 하는지 알지 못했다. 후에 환공의 빈소가 차려졌고 신하들이 무휴를 받들어 상을 주관하게 하고 군주로 추대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각 말을 전하게 했다.
"고호와 국의중의 두 노대부가 군주로 삼았다면 우리들은 그들과 다툴 수 없다."
각 병사들을 해산한 후 모두 상복을 입고 궁에 들어가 빈소에서 형제간에 상면하고는 각각 큰 소리로 곡했다."
당시 고호와 국의중 두 노신이 무휴를 설득하지 않았다면 그 일은 어떻게 끝날지 알 수 없었다.
호증선생이 시를 지어 탄식했다.
충신의 말을 거스르고 간신을 총애하였다가,
마침내 골육간에 분쟁을 일으키게 하였도다.
고호와 국의중이 국면을 조정하지 않았다면,
백골이 침상위에 놓인채 장례도 치르지 못했으리라.
卻說齊世子昭逃奔宋國,見了宋襄公,哭拜於地,訴以雍巫豎刁作亂之事。其時宋襄公乃集群臣問曰:「昔齊桓公曾以公子昭囑託寡人,立爲太子,屈指十年矣。寡人中心藏之,不敢忘也。今巫刁內亂,太子見逐,寡人欲約會諸侯,共討齊罪,納昭於齊,定其君位而返。此擧若遂,名動諸侯,便可倡率會盟,以紹桓公之伯業,卿等以爲何如?」 忽有一大臣出班奏曰:「宋國有三不如齊,焉能伯諸侯乎?」 襄公視之,其人乃桓公之長子,襄公之庶兄,因先年讓國不立,襄公以爲上卿,公子目夷字子魚也。襄公曰:「子魚言『三不如齊』,其故安在?」 目夷曰:「齊有泰山渤海之險,瑯琊即墨之饒,我國小土薄,兵少糧稀,一不如也。齊有高國世卿,以幹其國,有管仲、甯戚、隰朋、鮑叔牙以謀其事,我文武不具,賢才不登,二不如也。桓公北伐山戎,『俞兒』開道,獵於郊外,『委蛇』現形。我今年春正月,五星隕地,俱化爲石,二月又有大風之異,六鷁退飛,此乃上而降下,求進反退之象,三不如也。有此三不如齊,自保且不暇,何暇顧他人乎?」 襄公曰:「寡人以仁義爲主,不救遺孤,非仁也。受人囑而棄之,非義也。」 遂以納太子昭傳檄諸侯,約以來年春正月,共集齊郊。檄至衛國,衛大夫寧速進曰:「立子以嫡,無嫡立長,禮之常也。無虧年長,且有戍衛之勞,於我有恩,願君勿與。」 衛文公曰:「昭已立爲世子,天下莫不知之。夫戍衛,私恩也,立世子,公義也。以私廢公,寡人不爲也。」 檄至魯國,魯僖公曰:「齊侯托昭於宋,不託寡人,寡人惟知長幼之序矣。若宋伐無虧,寡人當救之。」
鷁鳥 : 새 이름. 백로 비슷한 물새. 풍파에 잘 견디어 내므로 뱃머리에 이 새의 모양을 그리는데 주로 천자가 타는 배에 그렸음.
한편 제(齊)나라 태자 소(昭)는 송(宋)나라로 망명하여 송(宋)나라 양공(襄公)을 알현하고, 울면서 절하며 옹무와 수조가 난을 일으킨 일을 하소연했다.
그때 송양공은 마침내 신하들을 모아놓고 물었다.
"옛날 제환공은 일찍이 공자 소를 과인에게 부탁하고 태자로 삼았는데 헤아려보니 10년이 되었소. 과인은 마음 속에 간직해 오면서 감히 잊을 수가 없었소. 지금 옹무와 수조가 내란을 일으켜 태자가 쫒겨났으니 과인은 제후들과 회맹하여 함께 제나라의 죄를 성토하고 태자 소를 제나라에 돌려보내 군주의 지위로 돌아가게 할 생각이오. 이 일을 행하게 된다면 제후들을 움직일 수 있는 명분이 되고 곧 앞장서서 제후들의 회맹을 이끌 수 있으니 제환공의 패업을 이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경들은 어찌 생각하시오?"
홀연히 한 대신이 출반하여 아뢰었다.
"송나라에는 제나라만 못한 것이 셋이 있는데 어찌 제후들의 패자가 될 수 있겠습니까?"
양공이 바라보니 그 사람은 바로 환공(桓公)의 장자이며 양공의 서형(庶兄)으로 지난 날 양공이 나라를 그에게 양보했으나 받아들이지 않아 양공이 즉위한 후 그를 상경으로 삼았으니 바로 공자 목이(目夷)이며 자는 자어(子魚)였다.
양공이 물었다.
"자어가 '제나라만 못한 것이 세 가지.'라고 하였는데 그 까닭은 무엇입니까?"
공자 목이가 말했다.
"제나라에는 태산(泰山)과 발해(渤海)의 험이 있고 낭야(瑯琊)와 즉묵(即墨)의 풍요로운 땅이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나라가 작고 땅이 척박하여 군사 수가 적고 양식이 모자라니 부족한 것이 하나입니다. 제나라에는 고씨와 국씨같은 대를 이은 경(卿)이 있어 나라의 근간이 되고 있으며 관중, 영척, 습붕, 포숙아등이 있어 국사를 도모하였으나 우리나라에는 문무가 갖추어져 있지 않으며 현명한 인재를 등용치 않았으니 부족한 것의 둘입니다. 제환공이 북쪽으로 산융을 칠 때 유아(兪兒)가 길을 열었고 교외에서 사냥할 때 위사(委蛇)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금년 봄 정월에 다섯 개의 별이 땅에 떨어져 모두 돌로 변했고, 2월에는 또 큰 바람이 이는 이변이 일었고 여섯 마리의 익조가 날아 물러갔으니 이야말로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것이며 나아가려고 하다가 오히려 물러나는 형상이니 부족한 것의 셋입니다.
이 세 가지가 제나라만 못하고 스스로 보전할 겨들도 없는데 어느 틈에 남을 돌볼 틈이 있겠습니까?"
양공이 말했다.
"과인은 인의(仁義)를 근본으로 삼고 있는데 외롭게 버려진 자를 구하지 않는 것은 인이 아니며, 남으로부터 부탁을 받고도 그것을 저버리면 의가 아닙니다."
마침내 태자 소를 제나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제후들에게 격문을 돌려 다음해 봄 정월에 제나라 교외에서 함께 모이자고 하였다.
격문이 위(衛)나라에 도착하자 위나라 대부 영속(寧速)이 진언했다.
"아들을 세우려면 적자를 세워야 하고 적자가 없으면 큰 아들을 세우는 것이 예의 법도입니다. 무휴가 큰 아들이고 위나라를 지켜준 공로가 있어 우리에게 은혜를 끼친 바 있으니 주군께서는 참여하지 마십시오."
위문공이 말했다.
"소가 이미 세자로 세워진 일은 천하에서 모르는 자가 없소. 위를 지켜준 일은 사사로운 일이며 세자가 된 것은 공의(公義)인 것이오. 사사로움으로 공적인 일을 폐하는 일은 과인은 하지 않겠소."
격문이 노나라에 도착하자 노 희공(魯僖公)이 말했다.
"제후(齊侯)가 세자 소를 부탁한 것은 송나라이며 과인에게 부탁한 것이 아니오. 과인은 오직 장유(長幼)의 순서만 알고 있을 뿐이오. 만약 송나라에서 무휴를 친다면 과인은 무휴를 구원할 것이오."
周襄王十年,齊公子無虧元年三月,宋襄公親合衛、曹、邾三國之師,奉世子昭伐齊,屯兵於郊。時雍巫已進位中大夫,爲司馬,掌兵權矣。無虧使統兵出城禦敵,寺貂居中調度。高國二卿分守城池。高虎謂國懿仲曰:「吾之立無虧,爲先君之未殯,非奉之也。今世子已至,又得宋助,論理則彼順,較勢則彼强。且巫刁戕殺百官,專權亂政,必爲齊患。不若乘此除之,迎世子奉以爲君。則諸公子絶覬覦之望,而齊有泰山之安矣。」 懿仲曰:「易牙統兵駐郊,吾召豎刁,託以議事,因而殺之,率百官奉迎世子,以代無虧之位。吾諒易牙無能爲也。」 高虎曰:「此計大妙!」 乃伏壯士於城樓,託言機密重事,使人請豎刁相會。正是:「做就機關擒猛虎,安排香餌釣鰲魚。」
주양왕 10년, 제나라 공자 무휴 원년 3월, 송양공은 친히 위(衛), 조(曹), 주(邾)의 세 나라 군대와 연합하여 세자 소를 받들고 제나라를 치기 위해 제나라 도읍성의 교외에 주둔했다. 그때 옹무는 이미 중대부로 지위가 올라갔고 사마가 되어 병권을 장악했다. 무휴는 옹무로 하여금 병사들을 통솔하여 성울 나가 적을 막도록 하고, 내시 수초에게는 가운데에서 조달을 담당하게 하였다.
고씨와 국씨 두 노대부는 나누어 성지를 지키게 하였는데 고호가 국의중에게 말했다.
"우리가 무휴를 세운 것은 선군의 장례가 치러지지 않았기 때문이었으며 그를 받들고자 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지금 세자가 이곳에 도착하였고 또 송나라의 도움을 받고 있으니 이치상으로 논한다면 저쪽을 따라야 하고, 세를 비교해 봐도 저쪽이 강합니다. 또 옹무와 수조는 백관들을 죽이고 권력을 함부로 하고 정사를 어지럽혔으니 반드시 제나라의 재안이 될 것입니다. 이 틈을 타서 그들을 제거하고 세자를 맞이하여 군주로 삼는 것이 낫습니다. 그렇게 한다면 공자들의 분수에 넘치는 기대를 끊어버릴 수 있으며 제나라는 태산처럼 안정을 되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국의중이 말했다.
"역아가 군대를 통솔하여 교외에 주둔하고 있으니, 내가 상의할 일이 있다고 핑계대고 수조를 불러 그를 죽인 후 관료들을 거느리고 세자를 받들어 맞이하여 무휴의 자리를 교체하겠습니다. 내가 헤아리건대 역아는 아무 것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고호가 말했다.
"그 계책이 참으로 훌륭합니다!"
마침내 성루에 장사들을 매복시키고 중요한 일로 은밀히 말할 것이 있다고 핑계대고 사람을 보내 수조에게 만나기를 청했다.
이야 말로 '덫을 놓아 맹호를 잡고, 향기로운 미끼로 자라와 물고기를 낚으려고 안배하는 것이다.'라 하는 격이다.
不知豎刁性命如何,且看下回分解。
수조의 목숨은 어떻데 될까? 다음 회를 보면 알게 될 것이다.
'中國歷史와文學 > 列國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三四回. 宋襄公假仁失眾, 齊姜氏乘醉遣夫. (0) | 2021.03.22 |
---|---|
第三三回. 宋公伐齊納子昭, 楚人伏兵劫盟主. (0) | 2021.03.22 |
第三一回. 晉惠公怒殺慶鄭, 介子推割股啖君. (0) | 2021.03.22 |
第三十回. 秦晉大戰龍門山, 穆姬登臺要大赦. (0) | 2021.03.22 |
第二九回. 晉惠公大誅群臣, 管夷吾病榻論相. (0) | 2021.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