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漢詩/其他

子規詩 - 端宗

by 柳川 2021. 11. 22.

                                                    子規詩

 

                                                                                                    端宗

 

 

一自怨禽出帝宮、                           한 마리 원한 맺힌 새가 궁을 나와

孤身雙影碧山中。                           외로운 몸 그림자와 짝을 이뤄  푸른 산속을 헤맨다.

暇眠夜夜眠無假、                           밤마다 잠을 청해도 잠도 못 이루고

窮限年年恨不窮。                           해가 갈수록 한은 끝이 없구나.

 

聲斷曉岑殘月白、                           두견새 소리 끊어진 새벽 봉우리엔 달빛만 비치고

血淚春谷落花紅。                           피눈물 흘러 봄 골짜기를 꽃잎으로 붉게 물들였구나.

天聾尙未聞哀訴、                           하늘은 귀머거리인가 슬픈 하소연을 듣지도 못하는데,

何柰愁人耳獨聰。                           어찌 수심 많은 사람의 귀만 밝은가. 

 

 

 

 

端宗 御製子規詞

月白夜蜀魂啾、                              달 밝은 밤 자규새 울면,
含愁情倚樓頭。                              시름에 겨워 다락에 기대었네.
爾啼悲我聞苦、                              네 울음소리 슬퍼 내 듣기 힘들구나.
無爾聲無我愁。                              네 울음소리 없으면 내 시름도 없을 것을
寄語世上苦勞、                              이 세상 힘든 사람에게 말을 부치나니,
愼莫登春三月子規樓。                  부디 춘삼월에는 자규루에 오르지 마소.

 

 

☞ 端宗

 

조선 제6대 (1441~1457재위 1452~1455). 이름은 홍위(弘暐)이다문종의 아들로12살에 왕위에 으나 숙부인 수양 대군(首陽大君)의 찬탈로 왕위에서 물러나 상왕(上王) 되었다

이후사육신(死六臣등이 상왕의 복위를 꾀하다가 실패하여 처형되자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降封)되어 강원도 영월(寧越) 유배되었다가이어 금성 대군(錦城大君) 그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죽음을 당하자, 또 다시 서인(庶人)으로 강등되었다가 결국 죽음을 당했다1698(숙종 24) 왕위가 추복(追復)되었다능은 장릉(莊陵)이다.

'우리 漢詩 >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鹽谷七歌 - 洪世泰  (0) 2021.11.24
雜興 二首 - 洪世泰  (0) 2021.11.24
登全州望景臺 - 鄭夢周  (0) 2021.11.22
鷺 - 金安老  (0) 2021.04.09
雪後 - 李恒福  (0) 2020.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