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白居易

上陽白髮人

by 柳川 2022. 1. 7.

                                                            上陽白髮人

 

 

上陽人, 上陽人。                            상양궁의 궁녀여, 상양궁의 궁녀여!

紅顔暗老白髮新。                           고왔던 얼굴이 어느새 늙어 백발이 되었소.        

綠衣監使守宮門、                           녹의감사가 궁문을 지키니,

一閉上陽多少春。                           상양궁 문이 닫힌 후 많은 세월이 흘렀도다.

玄宗末歲初選入、                           당 현종 말년에 뽑혀 궁에 들어가,

入時十六今六十。                           들어갈 때 16살이 지금 60살이 되었네.        

同時采擇百餘人、                           함께 뽑혔던 백 여명의 궁녀들,

零落年深殘此身。                           시들고 늙어죽어 겨우 그 몸만 남았도다.   

憶昔呑悲別親族、                           옛날 슬픔을 삼키며 가족과 헤어질 때,

扶入車中不敎哭。                           부축해 수레에 태우며 울지말라 하였소.

皆云入內便承恩、                           모두 궁안에 들어가면 곧 승은을 입으리라 한 것은,

臉似芙蓉胸似玉。                           얼굴은 부용같고 가슴은 옥으로 빚은 것 같아서였네.

未容君王得見面、                           황제를 만날 수 있는 기회도 얻지 못했는데,

已被楊妃遙側目。                           이미 양귀비가 멀리서 눈을 흘겼다네.

妬令潜配上陽宮、                           그녀의 질투로 은밀히 상양궁으로 보내져,    

一生遂向空房宿。                           일생을 독수공방으로 보내게 되었네.      

宿空房、秋夜長、                           빈 방에서 자자니 가을 밤은 길었고,   

夜長無寐天不明。                           밤이 길어 잠을 못이루는데 날도 밝아오지 않았다네.

耿耿殘燈背壁影、                           가물거리는 등불에 벽에 그림자 비치는데,           

蕭蕭暗雨打窗聲。                           쓸쓸하게도 밤비가 창문을 두드리는구나.                

春日遲、                                          봄날은 긴데,

日遲獨坐天難暮。                           혼자 앉아 있으니 더딘 해는 저물지도 않네. 

宮鶯百囀愁厭聞、                           궁안의 꾀꼬리 온갖 지저귀는 소리 듣기도 지겹고,       

梁燕雙栖老休妬。                           들보에 둥지 튼 제비 한쌍 시샘하기도 지쳤네.                  

鶯歸燕去長悄然、                           꾀꼬리, 제비가 떠나니 오랫동안 조용하고,

春往秋來不記年。                           봄이 가고 가을이 와도 세월 가는 것 기억에도 없네.

唯向深宮望明月、                           오직 구중 궁궐에서 밝은 달을 바라볼 뿐인데,

東西四五百廻圓。                           동쪽에서 서쪽으로 사오백 번은 돌았다네.

今日宮中年最老、                           이제는 궁안에서 나이가 제일 많아,

大家遙賜尙書號。                           멀리 황제께서 상서의 호칭을 내리셨네.                

小頭鞵履窄衣裳、                           뾰족한 신발에 꽉 끼는 의상,

靑黛點眉眉細長。                           푸른 먹으로 눈썹을 그렸는데 눈썹은 가늘고 길었으니,         

外人不見見應笑、                           외부인들이 보지 않았지만 보았다면 응당 웃었으리라.

天寶末年時世粧。                           천보 말년 때의 화장법이었도다.

上陽人、苦最多、                           상양궁의 궁녀는 고통이 제일 심했으리라.

少亦苦、老亦苦、                           젊어서도 고생이었는데 늙어서도 고생이니,

少苦老苦兩如何。                           젊었을 때의 고생, 늙어서의 고생을 모두 어찌할거나.           

君不見、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昔時呂尙美人賦。                           옛날 여상이 간(諫)했던 미인부를.

又不見、                                          또 보지 못했는가?

今日上陽白髮歌。                           오늘 날 상양궁 궁녀의 슬픈 백발가(白髮歌)를!

 

上陽 : 上陽宮. 당대(唐代) 낙양(洛陽)에 있던 궁전(宮殿).

綠衣監使 : 태감(太監), 즉 환관. 당조(唐朝)에서 태감은 짙은 녹색 또는 옅은 녹색 관복을 착용했다. 

大家 : 天子. 천자 주변인들이 천자를 친근하게 부르는 호칭.    鞵 : 생가죽신 혜(해).     小頭鞵 : 끝이 뾰족한 신발. 

黛 : 눈썹그릴 대. 눈썹을 그리다. 눈썹먹. 그린 눈썹. 여자의 눈썹. 검푸르다.

天寶 : 당현종 말기(742 ~ 756)의 년호. (재위기간 685 ~ 762)

呂尙 : 字는 子開. 開元 10년에 부름을 받아 한림에 들어가 집현원 교리를 겸임하였음. 당시 많은 미인을 무차별하게 뽑아 궁중에 들이는

        것이 옳지 않다고 美人賦를 지어 바쳤다.

'중국의 漢詩 > 白居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勸酒  (0) 2022.01.13
松齋自題  (0) 2022.01.13
王昭君 - 白居易  (0) 2021.04.05
雪夜  (0) 2021.01.07
訪陶公舊宅  (0) 2020.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