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漢詩/丁若鏞

過全州

by 柳川 2022. 3. 15.

                                                               過全州

 

 

 

 

大國昭王跡、名城壯客眸。                대국 왕 자취 드러나고, 이름있는 성의 웅장함이 나그네 눈길을 끈다. 

野從居拔遠、山接帶方幽。                들판은 거발에서 아득히 넓고,  산은 아득히 대방에 닿았도다.

樓闕移京邑、衣冠擬士流。                누각과 궁궐 서울을 옮겨 놓았고, 의관은 유림(儒林)과 다름 없도다. 

天威驚萬衆、廟貌肅千秋。                임금의 신위는 만백성이 두려워할만 하고,  사당은 천년이 지났어도 엄숙하구나 

玉躞生雲氣、彤弓想月遊。                옥 신발 아래에 구름이 이는데,  붉은 활 들고 달빛 속에 노니셨는가.

洵哉豐沛號、輝赫二門頭。                아득하도다, 제왕의 고향 이름. 두개의 문 머리위에 찬란히 빛나도다.

 

                                                                                             <茶山詩文集 第1卷>

 

 

居拔 : 거발은 백제의 성이름인데 그 위치는 확실치 않다.  居拔百濟城名。

        宋書言:所治謂之,晉平郡晉平縣,都城號居拔城則百濟郡。即晉平而居拔城,即晉平城也。<北史>其都曰居拔城, 亦曰固麻城.

帶方 : 당나라 장수 유인궤(劉仁軌)가 대방주자사(帶方州刺史)로 남원(南原)에 머물러 다스렸는데 그 뒤로 남원을 대방이라 불렀다.

        劉仁軌以帶方州刺史留鎭南原。自此以後以南原爲帶方。

躞 : 걸을 섭. 걷다. 걸어가는 모양. 족자(簇子)의 마구리.

廟貌肅千秋 : 전주에 조경묘와 경기전이 있다.  全州有肇慶廟慶基殿。

彤弓 : 태조는 항상 붉은 활과 깃화살을 차고 계셨다.   太祖常御彤弓羽箭。

豐沛 : 풍패는 중국의 풍현(豐縣) 패읍(沛邑)인데 한 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의 고향이라 하여 제왕의 고향을 가리킨다.

        전주는 조선 이 태조의 선대 고향이다. 두 문은 조경묘와 경기전 두 문으로서 문 위에 조경묘와 경기전이라 쓰여진 현판이 빛난

        다는 뜻으로 보이나 자세치 않다.

洵 : 참으로 순/멀 현. 참으로, 진실로. 눈물 흘리다. 소리없이 욺. 고르다. 같음. 멀다. 

'우리 漢詩 > 丁若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過舟橋  (0) 2022.03.18
枘鑿行  (0) 2022.03.18
嘆貧 - 丁若鏞  (0) 2022.03.09
醉歌行 - 丁若鏞  (0) 2022.03.09
肩輿歎 - 丁若鏞  (0) 2020.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