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漢詩/丁若鏞

醉歌行 - 丁若鏞

by 柳川 2022. 3. 9.

                                                                   醉歌行 

 

 

                                                                                                                               丁若鏞

 

 

 

君不見、                                                    그대 보지 못했는가?  

澤國高飛鴻。                                             강변 마을 하늘 높이 날아가는 기러기를.
飢來啄稻野田中。                                      배고프면 들로 내려앉아 벼를 쪼아먹는다.

又不見、                                                     또한 보지 않았는가?

長楸逸奔馬。                                             긴 숲 속을 거침없이 달려가는 저 말을.
回思棧豆嘶悲風。                                      마굿간의 콩을 생각하며 찬바람에 울부짖는다.

太倉之米如可得、                                      태창의 쌀을 얻을 수만 있다면
何人更願畊田食、                                      누가 또 밭갈아 밥먹기를 원할 것인가? 
金華玉堂如可登、                                      금화와 옥당에 오를 수만 있다면
肯向林樊取棲息。                                      어찌 숲을 향해 구차하게 살아가겠는가?
客游十年不稱意、                                      객지를 떠돈지 10년이 되도록 뜻을 이루지 못하고,
恐汝才高被物忌。                                      재주 높아 남의 시기 받을까 두렵구나.
快讀劉生廣絶交、                                      유생의 광절교론 통쾌하게 읽은 뒤에
痛飮一斗徑取醉。                                      말술을 실컷 들이마시고 바로 취해 버렸도다.
眼前百物如秋毫、                                      눈앞의 온갖 사람들이 가을 털처럼 하찮게 여겨져 
高枕大笑看兒曹。                                      베개 높이 베고서 애들 보듯 크게 웃었노라.
起來遠遯龍門北、                                      몸 일으켜 멀리 용문산 북쪽으로 숨으려 하는데,
兒曹悵望心徒勞。                                      아이들 멍하여 바라보는데 부질없이 마음만 힘들구나. 

 

                                                                                     <茶山詩文集 第 1卷>

 

楸 : 개오동나무 추. 개오동나무. 가래나무. 호두나무. 바둑판.              棧 : 마판(馬板). 우리의 바닥에 깔아 놓은 판자. 즉, 마굿간.

太倉 : 양곡을 저장하는 도성의 큰 창고.                  畊 : 耕.

金華玉堂 : 금화는 신선 적송자(赤松子)가 도를 얻었다는 산 이름이고 옥당은 옥으로 꾸민 집으로 신선이 산다는 집인데, 여기서는

         대궐, 卽 벼슬길을 뜻한 듯하다.

劉生 : 유생은 양(梁) 나라 유준(劉峻)이고, 광절교론은 그가, 한때 황문시랑(黃門侍郞)을 지냈고 당대의 대문장가였던 임방(任昉)의

        아들들이 몰락하여 떠돌아다녀도 평소의 친지들이 거들떠보지도 않는 것을 보고 한탄하여 지은 글이다.

        한(漢) 나라 주목(朱穆)이 절교론을 지었는데 그것을 부연한다는 뜻에서 광절교론이라 이름한 것이다. 《文選 卷55 廣絶交論》

'우리 漢詩 > 丁若鏞' 카테고리의 다른 글

枘鑿行  (0) 2022.03.18
過全州  (0) 2022.03.15
嘆貧 - 丁若鏞  (0) 2022.03.09
肩輿歎 - 丁若鏞  (0) 2020.05.29
哀絶陽 - 丁若鏞  (0) 2020.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