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白居易

放言五首

by 柳川 2022. 4. 22.

                                                                放言五首

 

 

序。  

元九在江陵時,有《放言》長詩五首,韻高而體律,意古而詞新。予每詠之,甚覺有味,雖前輩深於詩者,未有此作。唯李頎有云, 「濟水自淸河自濁,周公大聖接輿狂。」 斯句近之矣。予出佐潯陽,未屆所任,舟中多暇,江上獨吟,因綴五首,以續其意耳。

 

 

원진이 강릉에 있을 때 방언(放言)이라는 긴 시 5수(首)를 지었는데 그 운이 고상하고 체계가 가락에 맞았으먀 의미는 고풍(古風)스러웠으나 문장은 새로웠다. 내가 항상 읊조리면서 깊이 음미했는데 비록 선배들이 시에 깊은 조예가 있었다 해도 이만한 작품은 없었다. 

오직 이기(李頎)만이 "때로는 맑은 제수(濟水)에 가고 때로는 탁한 황하(黃河)에 가기도 하며 주공같은 큰 성인도 접여(接輿)같은 미치광이를 만난다네." 라 하여 그 문구가 원진의 시에 가까웠을 뿐이었다.  내가 심양에 가서 맡은 일이 없다보니 배 안에서 보내는 때가 많아 강위에서 홀로 읊조리다가 시 다섯 수를 지어 그 뜻을 이어가고자 한다. 

 

 

 

一。

朝眞暮僞何人辨,                          아침의 진실이 저녁에는 허위라고 누가 분별했으며,

古往今來底事無。                          예로부터 그런 일이 어찌 없었겠는가?

但愛臧生能詐聖,                          단지 아끼던 장생이 성인인척 속일 수 있었고,        

可知甯子解佯愚。                          영무자는 어리석은척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을 뿐이다.            

 

草螢有耀終非火,                          풀밭의 반딧불이 빛을 내도 끝내 불이 되지는 못하며,

荷露雖團豈是珠。                          연꽃에 맺힌 이슬이 둥글다 해도 어찌 진주라 하겠는가? 

不取燔柴兼照乘,                          번시(燔柴)도 조승주(照乘珠)도 가지고 있지 않지만,

可憐光彩亦何殊。                          가련하다, 광채가 또 어찌 다르겠는가?

 

放言 : 거리낄 게 없어 하고 싶은 대로 말하는 것을 가리킨다.     底 :  啥(무엇 사). 무엇, 어찌.  

臧生 : 論語 憲文 第13章에 지혜로운 자로 언급되었으나 憲文 第15章에서는 믿지 않는다고 배척했다.  

        노(魯)나라의 정치가 臧武仲. 성은 희(姬)고, 씨는 장손(臧孫) 혹 장(臧)이며, 이름은 흘(紇)이다. 그러므로 장손흘(臧孫紇)이나

        장흘(臧紇)이라고도 한다. 무중(武仲)은 시호다. 슬기롭기로 이름이 높아 성인(聖人)으로 불렸으나, 삼환의 후계자 분쟁에 개

        입했다가 제나라로 망명했다.

寧子 : 寧武子. 춘추 시대 위(衛)나라 사람. 위문공(衛文公)과 성공(成公) 때 대부(大夫)를 지냈다. 이름은 유(兪)고, 무자는 시호(諡號)다.

        성공이 무도하여 진(晉)나라가 공격해오자 나라를 잃고 초()나라와 진()나라로 달아났다가 결국 진후()에게 사로잡혔다.

        그가 어려움을 무릅쓰고 여러 가지로 주선하여 목숨을 보전할 수 있었다. 나라에 도()가 행해질 때는 지혜()를 발휘하고,

        어지러울 때는 어리석은 체하여 몸을 잘 보전했다고 공자()가 평했다.  <論語 公冶長 第20章>

燔柴 : 고대 제천의식 때 옥백(玉帛)과 희생물(犧牲物) 등을 장작 위에 쌓고 태우는 것을 말하며 화광(火光)을 가리킨다.

照乘 : 빛이 수레를 환히 비출 만큼 환한 구슬.  전국시대에 위(魏)나라 혜왕(惠王)이 자기 나라에는 앞뒤 수레 열두 채를 비출 수 있는

        구슬이 있다고 제(齊)나라 위왕(威王)에게 자랑했는데  제나라 위왕은 자신은 구슬을 보배로 여기지 않으며 훌륭한 신하를 보배

        로 여긴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二。

世途倚伏都無定,                          세상사에 길흉화복이 정해진 것이 없지만,

塵網牽纏卒未休。                          속세에 얽매어 평생 쉬지도 못하네.

禍福回還車轉轂,                          화와 복이 돌고 도는 것은 수레바퀴같고, 

榮枯反復手藏鉤。                          영고성쇠가 반복되는 것은 손장난과 같도다.        

 

龜靈未免刳腸患,                          거북이 신령스럽다 해도 요리가 되는 환난을 면하지 못하고,

馬失應無折足憂。                          말을 잃어버리면 다리 부러질 근심도 없다네.

不信君看弈棋者,                          그대가 바둑 두는 자를 보고도 승부를 믿지 않는 것은,

輸贏須待局終頭。                          승부는 모름지기 판이 끝나기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네.

 

倚伏 : 화복(禍福)·길흉(吉凶)·성패(成敗) 따위가 서로 맞물려 돌고 도는 것.  老子 道德經 第58章에 나오는 문구에서 왔다.

        禍兮福之所倚, 福兮禍之所伏。孰知其極? 其無正!  正復爲奇, 善復爲妖。人之迷, 其日固久。

        화 속에 복이 깃들어 있고, 복 안에 화가 숨어있다. 누가 그 끝을 알 수 있겠는가? 그 끝은 정해진 것이 없다. 바른 것은 다시 부

        정으로 변하고 착한 것이 다시 악한 것이 된다. 사람들이 미혹된채 너무 오랜 세월이 지났다.

藏鉤 : 손 안에 물건을 숨겨서 그것을 알아맞히게 하는 놀이.  送鉤라고도 한다.

刳 : 가를 고. 가르다. 쪼갬. 뻐갬. 파다파냄덜어 .                   

贏 : 남을 영. 남다. 나머지. 잉여(剩餘). 벌다돈을 이득. 지나치다과도함. 나아가다. 자라다. 성장함. 성하다. 풀다. 받다. 자리잡음. 싸다.

       지다. 짊어짐. 이기다. 나음. 넘치다 가득참.

 

 

 

三。

贈君一法決狐疑,                          그대에게 의심을 풀 방법을 알려 줄 것이니,

不用鑽龜與祝蓍。                          거북점이나 산가지 점을 치지 말게나.

試玉要燒三日滿,                          옥을 시험해 보려면 3일간을 태워 봐야 하고,

辨材須待七年期。                          인재를 판별하려면 모름지기 7년을 기다려 봐야 하네.

周公恐懼流言後,                          주공(周公)은 유언비어의 해악을 두려워 했고,

王莽謙恭未篡時。                          왕망은 찬역하기 전 겸손하고 공경했다네.

向使當初身便死,                          처음에 그들이 죽어버렸었다면,

一生眞僞復誰知。                          그들의 일생의 참모습과 거짓을 누가 일았으랴?

 

狐疑:여우의 성질이 의심이 많으므로 매사에 의심이 많다는 말.  向使:假如,如果,假使。  便:就。   

周公 : 周 武王의 동생으로 성왕의  숙부. 성왕이 어려 주공이 섭정했는데 그들의 아우들인 관숙(管叔)과 채숙(蔡叔)이 주공이 성왕을 해치

          려 한다고 유언비어를 퍼뜨렸다. 이리하여 주공이 잠시 피했었다. 후에 성왕이 유언비어가 거짓임을 알고 주공을 영접해 왔으며, 

          주공은 관숙등의 반란을 평정했다.<史記 卷4. 周本記>

王莽:한(漢) 원제(元帝) 황후의 조카。왕망이 정권을 찬탈하기 전 인심을 얻었는데 항상 겸손하고 양보심이 많았다. 후에 찬역하여 한나라

           를멸망시키고 스스로 황제 위에 올라 국호(國號)를 신(新)나라로 바꾸었다.  그 후 왕망의 대내외적 정책이 모두 실패로 돌아가자 각

           지에서 왕망에게 불만을 가진 집단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여 나라가 어지러워졌는데, 마침내 한(漢) 왕실의 후예인 유수(劉秀)에게 패

           한 후 살해당했다.  결국 왕망의 신나라는 8 ~ 23년까지 15년간 지속하다가 멸망하고  광무제(光武帝 劉秀)의 후한(後漢)시대가 열렸

           다. <다음, 위키백과>

 

 

 

四。

誰家第宅成還破,                          누구의 가문에서 집을 지었다가 부수고,

何處親賓哭復歌。                          어느 곳의 친척과 빈객이 울다가 노래하는가?

昨日屋頭堪炙手,                          어제는 집안에서 권세를 부리다가,

今朝門外好張羅。                          오늘은 문 밖에 그물을 치려고 하네.

北邙未省留閑地,                          북망산에 비어 있는 땅 본 적이 없고,

東海何曾有定波。                          동해에 언제 파도가 안정된 적 있었던가?

莫笑賤貧誇富貴,                          천하고 가난하다고 비웃지 말고 부귀를 자랑하지 말라.

共成枯骨兩如何。                          죽어 백골이 된 후 그 둘은 어떠한가?

 

屋頭 : 집. 방안. 실내.                                炙手 : 炙手可熱. 손을 델 만큼 뜨겁다. 권세가 대단하다.

張羅: 雀羅를 말함. 漢 翟公이 正尉가 되었을 때 빈객이 문전성시를 이루었으나 파직되자 문에 참새 그물을 칠 만큼 한산했음.   

         始翟公爲廷尉,賓客闐門;及廢,門外可設雀羅。翟公復爲廷尉,賓客欲往,翟公乃人署其門曰:「一死一生,乃知交情。

         一貧一富,乃知交態。一貴一賤,交情乃見。」 汲、鄭亦云,悲夫!            <史記 汲鄭列傳>

         처음에 책공이 정위()가 되었을 때에는 왕래하고자 하는 빈객들로 대문 밖이 가득 메워질 정도였다. 그가 벼슬에서 

         물러나자 대문 밖에서 참새 그물을 쳐도 될 정도로 한가했었다. 책공이 다시 정위가 되자 빈객들이 다시 왕래하려고 했는

         데  이에 책공은 대문에다 다음과 같은 글을 크게 써 붙였다.

         ‘한 번 죽고 한 번 살아나니, 비로소 사귀는 정을 알게 되고, 한번 가난하고 한 번 부유해지니 비로소 사귀는 태도를 알게 

         되었으며, 한 번 귀해지고, 한 번 천해지니 비로소 사귀는 정이 드러났네.’  급암과 정당시도 그러했으니 슬픈 일이다.

         ☞ 이 문구는 고려 중기의 문신 李仁老가 도연명의 귀거래사에 화답한 시 「和歸去來辭」에 인용되었다.

 

 

 

五。

泰山不要欺毫末,                          태산은 티끌도 가볍게 여기지 않으며,

顔子無心羨老彭。                          안자는 요절했어도 오래 산 팽조를 부러워 하지 않았다.

松樹千年終是朽,                          소나무는 천년을 산다지만 끝내는 썩고,

槿花一日自爲榮。                          무궁화 꽃은 하루를 살아도 스스로 영화를 누린다.

何須戀世常憂死,                          하필이면 속세에 연연하여 죽는 것을 걱정하는가? 

亦莫嫌身漫厭生。                          그렇다고 자신을 혐오하거나 함부로 삶을 싫어하지 말라.

生去死來都是幻,                          삶과 죽음, 오고 가는 것은 모두 환상이니,

幻人哀樂系何情。                          환상속에 사는 사람이 어찌 정에 매어 슬퍼하고 즐거워 하는가?

                                                                                                                                               <全唐詩 卷438>

 

顔子 : 공자의 제자인 顔淵(BC521 ~ BC490) 

老彭 : 800 여년을 살았다는 전설 속의 彭祖를 말함.

'중국의 漢詩 > 白居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商山路有感  (0) 2022.02.18
詠懷  (0) 2022.01.15
勸酒  (0) 2022.01.13
松齋自題  (0) 2022.01.13
上陽白髮人  (0) 2022.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