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漢詩/鄭知常

無題 - 鄭知常

by 柳川 2022. 5. 31.
                                                            無題 
 
 
                                                                                                                              鄭知常

 

 
 
白日當天中、                         해가 중천에 오니
 
浮雲自作峰。                         뜬 구름이 절로 봉우리를 이루네
 
僧看疑有寺、                         중이 보고 절이 있나 의심하고 
 
鶴見恨無松。                         학이 보고 소나무 없는 것을 한한다
 
電影樵童斧、                         번개는 초동이 도끼를 휘두를 때 나는 광채요,
 
雷聲隱士鍾。                         우레 소리는 은사가 종치는 소리로다.
 
誰云山不動、                         누가 산이 움직이지 않는다 하는가?
 
飛去夕陽風。                         석양에 부는 바람에 날아갔도다.

 

 
 

[해설]

 
우연히 '한국고전종합DB'에 들어가 동국이상국집을 훑어보다가 <後集 부록 (白雲小說)>안에서 이 시를 발견하고 인용해 올렸다.  그 내용을 요약해 올리며 해설에 갈음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 시로 중국을 울린 것은 최치원, 學士 朴仁範, 參政 朴寅亮의 세 사람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나라를 빛낸 것이 이와 같다.
 
세속에서 전한 바에 의하면, 학사(學士) 정지상(鄭知常)이 일찍이 산사(山寺)에서 공부할 적에 달 밝은 어느 날 밤 혼자 절에 앉아 있노라니, 갑자기 시 읊는 소리가 들렸는데 그 시에
 
僧看疑有刹、
鶴見恨無松。
 
하니, 그는 귀신이 알려 준 것이라고 생각했다.
뒤에 시원(試院)에 들어가니, 고관(考官)이 ‘여름 구름은 기이한 봉우리가 많다.’라는 것으로 글제를 삼고 봉(峯) 자 운(韻)을 냈다. 지상은 갑자기 그 글귀가 기억나서 이내 시를 잇달아 지어서 써 올렸는데, 그 시는 다음과 같다."
 

그리하여 올린 시가 위에 소개한 시이다.

 

☞ 여름 구름은 기이한 봉우리가 많다 : 이 구절은 도연명(?)의 시 '四時'에 나오는 한 구절 '' 이다. 

 

                                                 

                                                                                                                    <東國李相國後集 부록>

'우리 漢詩 > 鄭知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邊山蘇來寺  (0) 2021.12.29
無題  (0) 2021.12.14
長源亭  (0) 2021.11.24
送人  (0) 2021.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