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漢詩/白居易

琵琶行

by 柳川 2016. 9. 21.

                                               琵琶行 序文

 

 

元和十年, 予左遷九江郡司馬. 明年秋, 送客湓浦口.聞舟中夜彈琵琶者, 聽其音錚錚然有京都聲. 問其人, 本長安倡女.嘗學琵琶於穆曹二善才, 年長色衰, 委身爲賈人婦. 遂命酒, 使快彈數曲. 曲罷憫然. 自敍少小時歡樂事, 今漂淪憔悴, 轉徒於江湖間. 予出官二年, 恬然自安, 感斯人言, 是夕始覺有遷謫意. 因爲長句, 歌以贈之, 凡六百一十二言, 命曰 <琵琶行>.

 

 

원화 10 년에 나는 구강군 사마로 좌천되었다. 다음해 가을 손님을  배웅하러 분포강(湓浦江) 포구에 나갔다가, 배 위에서 밤에 비파 타는 소리를 들었다. 그 소리가 뛰어나게 아름다웠는데  전에 서울(京都)에서 듣던 소리였다. 그 사람을 찾아보니 원래 장안에서 노래하던 여자였는데, 일찍이 유명한  穆, 曹 두 선생으로부터 비파를 배웠다 했다. 

나이 들어 자색이 쇠퇴하게 되자 장사꾼에게 의탁하여 부인이 되었다 했다. 이윽고 술을 주문하고 몇 곡 청했는데,

연주를 끝내고 서글퍼하며 스스로 젊은 시절 즐거웠던 일, 이젠 신세가 기박하여 떠돌며 볼품없어져 강호에 떠돌게 된 것을 털어 놓았다.

나(백거이)도 벼슬을 떠난지 2년,  개의치 않고 스스로 편안하게 지내려 했지만, 이 여인의 말에 느낀바 있고 오늘밤 비로소 멀리 귀양왔다는 사실을 깨닳았다. 그리하여 긴 長句의 노래를 지어 이 여인에게 보낸다.

모두 612자인데, 이름을 <琵琶行> 이라 한다.

 

 

                                     

 

 

 

 

 

                                     비파소리에 접함

 

深陽江頭夜送客     [심양강두야송객]                      심양강 나루에서 밤에 손님을 보내는데

楓葉荻花秋瑟瑟     [풍엽적화추슬슬]                      단풍잎 갈대꽃에 가을 바람 쓸쓸하다.

主人下馬客在船     [주인하마객재선]                      말에서 내려 손님이 있는 배에 올라서

擧酒欲飮無管絃     [거주욕음무관현]                      술을 들어 마시려니 음악이 없구나

醉不成歡慘將別     [취불성환참장별]                      취해도 작별을 앞두니 감흥이 일지 않고

別時茫茫江浸月     [별시망망강침월]                      작별하려니 망망한 강에 달빛이 스며드네

忽聞水上琵琶聲     [홀문수상비파성]                      그 때 강 위로 비파 소리 들려와 

主人忘歸客不發     [주인망귀객불발]                      주객이 자리를 뜨지 못하네 

尋聲暗問彈者誰     [심성암문탄자수]                      소리 찾아 조용히 누구인지 물으니 

琵琶聲停欲語遲     [비파성정욕어지]                      비파소리 그치고 좀처럼 대답이 없구나 

移船相近邀相見     [이선상근요상견]                      배를 가까이 옮겨 만나보려 

添酒回燈重開宴     [첨주회등중개연]                      술 시키고 등 밝혀 자리를 다시 마련해서 

千呼萬喚始出來     [천호만환시출래]                      부르고 또 불러 겨우 나타났는데 

猶抱琵琶半遮面     [유포비파반차면]                      비파 안고 얼굴을 반쯤 가리 웠다 

轉軸撥絃三兩聲     [전축발현삼양성]                      줄을 당겨 현을 골라 두 세 번 소리 내니 

未成曲調先有情     [미성곡조선유정]                      곡조도 이루기 전 정이 먼저 흐르네 

絃絃掩抑聲聲思     [현현엄억성성사]                      줄 당겨 은근히 소리 내니 소리마다 사무친다 

似訴平生不得志     [사소평생부득지]                      평생에 못다한 마음속 한 호소하듯 

低眉信手續續彈     [저미신수속속탄]                      눈을 내리깔고 손을 들어 비파 타니 

說盡心中無限事     [설진심중무한사]                      마음속 숱한 사연 모두 털어 놓는 듯

慢撚撥復挑     [경롱만연발부조]                      가벼이 누르고 비벼 뜯고 다시 퉁기니

初爲霓裳後六幺     [초위예상후육요]                      처음곡은 예상이요 나중곡은 육요로다

大絃嘈嘈如急雨     [대현조조여급우]                      큰 현줄은 급하기가 소나기가 내리붓듯

小絃切切如私語     [소현절절여사어]                      작은 현은 애절하게 귀엣말로 속삭인다.

嘈嘈切切錯雜彈     [조조절절착잡탄]                      급한소리 애절함을 어지럽게 팅겨내니

大珠小珠落玉盤     [대주소주낙옥반]                      큰 구슬과 작은 구슬 옥쟁반에 구르는듯

關鶯語花底滑     [한관앵어화저활]                      간주하듯 꾀꼴소리 꽃꽃마다 흘러가고

幽咽流泉氷下灘     [유열류천빙하탄]                      흐느끼는 냇물소리 얼음되어 사라진다.

水泉冷澁絃凝絶     [수천냉삽현응절]                      시냇물이 얼어붙듯 현을막아 멈춰드니

凝絶不通聲漸歇     [응절불통성잠헐]                      멈춰붙듯 안 통해서 소리 점차 스러지자

別有幽愁闇恨生     [별유유수암한생]                      깊은 시름과  깊은 한이 모두 일어나

此時無聲勝有聲     [차시무성승유성]                      적막한 이때가 비파를 탈 때보다 더하구나.

銀甁乍破水漿迸     [은병사파수장병]                      술병이 갑작스레 깨져 술이 튀듯

鐵騎突出刀槍鳴     [철기돌출도창명]                      철기병이 돌진하여 창검소리 울려나듯

曲終收撥當心畵     [곡종수발당심화]                      곡을끝내 거두려고 마음 한끗 그어내니

四絃一聲如裂帛     [사현일성여열백]                      네 줄 함께 우는 소리 비단 찢는 소리같네.

東船西舫悄無言     [동선서방초무언]                      동쪽배도 서쪽배도 소리없이 고요하고

唯見江心秋月白     [유견강심추월백]                      보이나니 강가운데 가을달만 밝았구나.

 

 

                                 늙은 창부의 회상

 

沈吟放撥揷絃中       [침음방발삽현중]                    깊은한숨 뱉어내고 비파거둬 비켜두며

整頓衣裳起斂容       [정돈의상기염용]                    차림새를 정돈하여 감춘 얼굴 보여주네.

自言本是京城女       [자언본시경성녀]                    스스로 말하기를 본시 경성살던 여자인데

家在蝦蟇陵下住       [가재하마능하주]                    사는 집은 하마능아래에 있었다.

十三學得琵琶成       [십삼학득비파성]                    십삼년간 공부하여 비파소리 얻게 되니

自言本是京城女      [자언본시경성녀]                     스스로 말하기를 본시 경성살던 여자인데

家在蝦蟇陵下住       [가재하마능하주]                    사는 집은 하마능아래에 있었다.

十三學得琵琶成      [십삼학득비파성]                     십삼년간 공부하여 비파소리 얻게 되니

名屬敎坊第一部       [명속교방제일부]                    이름이 교방중의 제일부에 속했다네.

曲罷常敎善才服       [곡파상교선재복]                    비파곡을 마치면 선재로다 감복하고

妝成每被秋娘妒       [장성매피추랑투]                    화장하고 갈 때마다 기녀들도 질투하며

五陵年少爭纏頭       [오릉년소쟁전두]                    오릉마을 젊은이들 경쟁하듯 돈뿌리니

一曲紅綃不知數       [일곡홍초부지수]                    한 곡마다 붉은 비단 헤아릴 길 없었다오.

頭銀擊節碎       [전두은비격절쇄]                    금비녀 은장식은 박자 두드리다 깨어지고

血色羅裙飜酒汚       [혈색라군번주오]                    피빛 같은 비단치마 술이 튀어 얼룩졌네

今年歡笑復明年       [금년환소복명년]                    그렇게 웃고 즐기며 달이 가고 해가 가고

秋月春風等閑度       [추월춘풍등한도]                    세월 가는 줄 모르고 지냈다오.

弟徒從軍阿姨死       [제도종군옥이사]                    동생들은 군에가고 양어미는 돌아가며

暮去朝來顔色故       [모거조래안색고]                    아침저녁 오고가듯 얼굴빛이 바래지자

門前冷落車馬稀       [문전냉락차마희]                    문전조차 적막하여 마차가마 거의없어

老大嫁作商人婦       [노대가작상인부]                    늙은이에 시집와서 상인 아내 되었노라.

商人重利輕別離       [상인중리경별이]                    장사꾼은 이익을 중시해 너무쉽게 이별하니

前月浮梁買茶去       [전월부양매차거]                    지난 달 부양으로 차를 사러 떠나가서

去來江口守空船       [거래강구수공선]                    강어귀를 오고가며 헛된 배만 지키거니

繞船明月江水寒       [요선명월강수한]                    배를 비춘 밝은 달도 강물처럼 싸늘하리.

夜深忽夢少年事       [야심홀몽소년사]                    한밤 홀연 젊은 시절 꿈을 꾸었는데

夢啼妝淚紅欄干       [몽제장루홍난간]                    꿈에 울어 화장한 얼굴에 눈물 흘렀지요.

 

 

 

                               백낙천의 좌천 생활 하소연

 


我聞琵琶已歎息      [아문비파이탄식]                       내가 비파소리 듣고 이미 탄식하였는데

又聞此語重唧唧      [우문차어중즉즉]                      이런 말을 듣고나서 거듭하여 탄식한다.

同是天涯淪落人      [동시천애윤락인]                      우리는 천길 낭떠러지로 버려진 외로운 사람들

相逢何必曾相識      [상봉하필증상식]                      서로 만나 어쩌자고 알게 되었는가

我從去年辭帝京      [아종거년사재경]                     나도 또한 지난해에 황제 계신 경성 떠나

謫去臥病潯陽城      [적거와병심양성]                      심양성에 귀양 와서 병이 들어 누었다네. 

潯陽地僻無音樂      [심양지벽무음악]                      심양땅이 궁벽하여 음악소리 전혀 없고

終歲不聞絲竹聲      [종세불문사죽성]                      일년내내 악기소리 못 들었네

住近湓江地低濕      [주근분강지저습]                      분강 근처에 살고 있는데 저지대라 습기 많고

黃蘆苦竹繞宅生      [황로고죽요택생]                      바랜 갈대 거친 대를 얽은 집에 살고 있네.

其間旦暮聞何物      [기간단모문하물]                      그 동안에 아침저녁 어떤 소리 들으리오

杜鵑啼血猿哀聲      [두견제혈원애성]                      두견새 피토하듯 울고 구슬픈 원숭이 우는 소리뿐

春江花朝秋月夜      [춘강화조추월야]                      봄날 아침 강에서 꽃 보고 가을밤엔 달을 보며

往往取酒還獨傾      [왕왕취주환독경]                      가끔 술을 사가지고 돌아와 외롭게 마셨네.

豈無山歌與村笛      [개무산가여촌적]                      어찌 나무꾼의 노래, 목동의 피리소리 없겠냐만

嘔啞嘲難如聽      [구아조찰난여청]                      서투르고 조잡하여 듣기에도 민망타가

今夜聞君琵琶語      [금야문군비파어]                      오늘밤 그대의 비파소리 듣게 되니

如聽仙樂耳暫明      [여청선악이잠명]                      신선 음악 들은 듯이 잠간 귀가 밝아졌다.

莫辭更坐彈一曲      [막사갱좌탄일곡]                      사양 말고 다시 앉아 한 곡조를 탄주하오

爲君飜作琵琶行      [위군번작비파행]                      그대 위해 비파행을 지으리다

 

 

 

                                  동병상련의 눈물

 

 


感我此言良久立      [감아차언양구립]                        나의 이말 듣고 감동한 듯 한참 서 있다가

卻坐促絃絃轉急      [각좌촉현현전급]                        물러앉아 비파를 타더니 곡조 급변하는데

凄凄不似向前聲      [처처불사향전성]                        처량함이 앞의 소리에 견줄 수 없다

滿座重聞皆掩泣      [만좌중문개엄읍]                        자리를 가득 메운 사람들 모두 눈물 감춘다

座中泣下誰最多      [좌중읍하수최다]                        좌중 모두 눈물 흐르니 어느 뉘가 최고인가

江州司馬靑衫濕      [강주사마청삼습]                        강주사마인 내 푸른 적삼 다 젖었네.

 

 

[註]

淪落형편이 아주 어려운 상황에 처함.  瑟瑟 : 가을바람이 설렁설렁 소리내며 부는 모양.     欲語遲 : 말이 더디려 하다, 바로 대답하지 못하고 머뭇거리다.

轉軸 : 비파 목 끝의 조리개를 돌려 줄을 팽팽히 조이는 것.    撥鉉 : 줄을 아무렇게나 뜯어보는 것, 소리를 시험하는 것.

絃絃掩抑 : 줄줄이 감정을 가리고 억누르듯 은근한 소리를 내는 것.    聲聲思 : 소리마다 슬픔이 실리다, 소리마다 그리움이 실리다.
輕攏 : 가벼이 누르다. 롱(攏)은 비파를 연주할 때 왼손가락으로 줄을 가벼이 누르는 것.    攏 : 持也 가질 롱, 掠也 노략질할 롱, 다스릴 롱,  

撚 : 執也 잡을 연, 以手撚物손으로비틀 연,又비빌 연, 蹂也밟을 연, 從也좇을 연, 끊일 연, 撥也탈 연

挑 : 撓也 긁을 조, 칠 조, 야박할 조, 멜 조, 뽑을 조, 가릴 조, 흔들 조, 어지러울 조, 빠를 조,  뛸 도, 절구 도.

霓裳 : 霓裳羽衣曲.  幺 : 당시의 曲名.      : 지꺼리는 소리 조, 지꺼릴 조.    澁 : 깔깔할 삽, 껄끄러울 삽, 대이름 삽, 담 물무늬놓아 쌓을 삽, 떫을 삽

闇 : 문닫을 암, 어둘 암, 빛이흐릴 암, 어리석을 암, 그윽히 암, 몰래 암, 어둠 암, 밤 암, 일식및 월식 암, 숨는 모양 암, 여막 암, 상제가 거처하는 움집 암, 큰물날 음, 홍수날 음, 잠잠할 음, 

漿 : 초 장, 미음 장, 물이름 장, 꽈리 장, 조개 장. 迸 : 솟아나올 병   悄 :근심할 초, 급할 초

蝦 : 두꺼비 하, 청개구리 하,새이름 하, 수레이름 하, 짐승이름 하, 새우 하.     蟇 : 개구리 마, 두꺼비 마,  妝 : 꾸밀 장, 단장할 장, 분바를 장.

纏 : 둘릴 전, 동일 전, 묶을 전, 얽을 전       綃 : 생실 초, 날실 초, 얇은 비단 초, 가는 비단 초, 돛줄 초.   

箆 : 비치개 비, 대그릇 비, 인도할 비, 빗 비, 참빗 비, 통채 비, 새우잡는 대체 비.    裙 : 치마 군, 속옷 군, 

妝淚紅欄干 : 화장한 후 울어 흐르는 눈물이 (화장이 눈물에 섞여 흘러)붉었다.   湓 : 물이름 분, 물용솟음칠 분, 물소리 분, 적실 분, 물넘칠 분. 

蘆 : 갈대로, 무우 노, 누려 려, 두서너 려.   哳 ; 새울 찰, 새지저귈 찰.

 

 

 

 

原文翻譯:

元和十年,我被貶官,做了九江郡司馬。第二年秋天,我在湓浦口送別朋友。夜晚忽然聽見有人在彈奏琵琶,聽那聲音,鏗鏗鏘鏘的,有京師長安的風格。我好奇地問這人的情形,才知道她本來是長安的樂妓,曾向穆、曹二位有名的琵琶師傅學藝過。如今年紀老邁、姿色衰褪,只好下嫁給商人作太太了。於是我吩咐準備酒席,請她痛快地彈奏幾隻歌曲。歌曲彈完,她憂傷可憐地說起年輕時歡樂的種種事情;如今漂泊沈淪、姿色憔悴,在三江五湖間到處流浪。我被外放當官兩年,一直過得安逸自適、逍遙自在,有感於她所說的這一番話,這一晚我才開始感到有被貶謫的那種淒涼味道。因此我就寫下了這首詩,唱著贈送給她。共有六百一十六個字,把它命名叫做

《琵琶行》。

 
夜晚,我在潯陽江頭送別我的朋友,正是秋風瑟瑟,吹拂著楓葉,荻花的時候。主人、客人下了馬、坐上船,想舉杯喝酒來話別,欲沒有音樂來配合。我們沈悶地喝得有些醉了,對於即將離別、倍覺淒慘;離別時,只見江頭上是白茫茫的一片,月色浸在廣大的江水中。忽然間,水上傳來了聲聲琵琶的音符,使得主人忘了回轉,客人忘了啟程。
於是,尋著聲音,暗暗地問:「彈奏的人是誰呢?」琵琶聲音停止,那人似乎想說什麼,又遲疑不語。我們把船移向她那兒靠近,邀她前來見面;添上酒菜、移來燈火,重新安排酒宴。她在我們千聲呼請、萬聲求喚之後才出來,出來時仍抱著琵琶害羞地遮住了半邊的臉。她轉了轉、撥了撥弦軸,試彈三、兩聲,還沒彈出曲調,就已經充滿著感情了。每根琴弦都低沈哀怨、聲聲充滿著憂思,好像是在傾訴著平生是如何的失意、不得志。她低下眉頭,繼續隨手彈撥,(音符)說盡了內心無限傷悲的往事。她輕輕地按捺,慢慢地拈弄,時而下撥,時而上挑,先彈那〈霓裳羽衣曲〉,接著又彈那〈綠腰曲〉。大弦嘈嘈的聲音好像陣陣急雨,小弦切切的聲音好像情人私下的話語。大弦嘈嘈、小弦切切交錯夾雜地彈奏,好像那大珠、小珠紛紛掉落玉盤的清脆聲音。音符流動,好像花底下黃鶯兒滑動的聲音;音符阻塞,好像流水遇到了沙灘,哽咽而不通了。最後泉水又冷又澀,琴音也中止斷掉;琴音斷掉,暫時歇息。就在這時,另外有著幽幽的愁緒,暗暗的憾恨產生了出來;雖然是沒有聲音,境界卻更勝過有聲音的時候。突然間,音樂又起,就像銀瓶猛然破裂,水漿噴湧而出;又像那披甲的騎兵想突破重圍而刀槍齊鳴。樂曲終了,她用弦撥在中心用力一掃,四根琴弦發出一聲好像布帛斷裂的聲音。這時左右所有的船隻都靜悄悄地說不出半句話來,只見皎潔的秋月正映照在江水的中心上面。
她一邊沈思嘆息,一邊放開撥子、插入絃中:整理整理衣裳、出現了嚴肅的面容。她自己說:「我本來就是京城女孩子,家就住在蝦蟆陵的附近。十三歲時,我就把琵琶學會了,名字還排在教坊的第一隊呢!樂曲彈完,能夠讓琵琶高手佩服不已;梳好了妝容,常常惹得姐妹們嫉妒不已。五陵一帶的豪貴子弟爭著送我纏頭禮物,彈完一曲,得到的紅綃不知其數。鑲著花鈿的髮拿來打拍子都打碎掉了,鮮血般的羅裙被潑翻的酒弄髒了,也不覺得怎麼樣。歡笑快樂的日子,今年過了明年又是;秋月春風,良辰美景就這樣隨便地度過了。弟弟遠走從軍,阿姨又已死去;日子一天天地過去,我的容顏也逐漸衰老下去了。門前冷冷清清地,車馬也逐漸稀少了;年紀老了,只有嫁給商人作老婆。商人看重利益,隨意地就別離遠去,上個月又前往浮梁去買賣茶葉。他走後,留我一人在江口獨守空船,而圍繞在船四周圍的,就只有那明亮的秋月和寒冷的江水罷了。深夜裡,忽然夢到了年輕時歡樂的種種事情,夢中哭醒,淚水縱橫交錯,密佈在我塗有脂粉的臉上。」
我聽到她琵琶的音樂已經嘆息不已了,又聽了她的這番話,更是一再地感傷嘆氣!唉!我和她都同樣是淪落在天涯裡的失意人,偶然相逢,又何必曾經認識呢!我自從去年離別了京城,就被貶謫,而且臥病在潯陽城裡。潯陽這個地方十分偏僻,實在沒有什麼好的音樂。一整年來,我都不曾聽過佳妙的絲竹樂音呢!我所位的地方靠近湓江,又低又濕,房子的周圍繞著黃蘆和苦竹。在這兒早晚能夠聽到些什麼呢?唉!只有杜鵑聲聲啼血和猿猴哀哀鳴叫罷了。在春江花開的早晨,秋月皎潔的夜晚,我往往一個人拿起酒,自傾自酌了起來。這兒那裡會沒有山歌和村笛呢?只是嘈雜吵鬧,聽不入耳罷了。今晚聽了你彈琵琶的音樂,有如聽到仙樂,兩耳都暫時清爽了許多。就請不要推辭,再坐下來吧!也讓我來為你做一首《琵琶行》的詩歌吧!
她有感於我所說的一番話,站立了許久,隨後退入座位、弄緊弦軸,琵琶彈得更加地急切了。曲調淒淒哀怨,不像先前的音樂,滿座所有人聽到後,都掩面哭了出來。座中是誰掉下的眼淚最多呢?就是那整幅青衫都已被淚水浸濕了的江州司馬(白居易我)啊!

 

'중국의 漢詩 > 白居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遊悟眞寺詩  (0) 2019.03.05
菊花  (0) 2019.03.05
贈內  (0) 2016.07.22
不倒翁  (0) 2016.06.21
花非花  (0) 2016.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