遊悟眞寺詩
元和九年秋 (원화구년추) 때는 원화 9년 가을
八月月上弦 (팔월월상현) 팔월이라, 달은 상현달.
我遊悟眞寺 (아유오진사) 나는 오진사를 유람했는데
寺在王順山 (사재왕순산) 절은 왕순산에 있었다.
去山四五里 (거산사오리) 산을 떠나, 사오 리 쯤 되는 곳
先聞水潺湲 (선문수잔원) 먼저 졸졸 흐르는 물소리 들린다.
自茲捨車馬 (자자사거마) 여기서 말과 수레를 두고
始涉藍溪灣 (시섭남계만) 푸른 개울 굽이를 걸어 건넌다.
手拄靑竹杖 (수주청죽장) 손에 푸른 대지팡이 짚고
足蹋白石灘 (족답백석탄) 여울의 깨끗한 돌을 밟고 지난다.
漸怪耳目曠 (점괴이목광) 점점 이상하게도, 눈과 귀 환해지고
不聞人世喧 (부문인세훤) 세속의 시끄런 소리 들리지 않는다.
山下望山上 (산하망산상) 산 아래서 산 위를 바라보니
初疑不可攀 (초의부가반) 처음에는 오를 수 없으리라 생각했다.
誰知中有路 (수지중유노) 안에 길이 있을 줄을 그 누가 알았으랴
盤折通巖巓 (반절통암전) 편평한 바닥길이 꺾여 바위 위까지 통했다.
一息幡竿下 (일식번간하) 번간 아래에서 한 번 쉬었다가
再休石龕邊 (재휴석감변) 돌 감실 곁에서 다시 한번 쉬었다.
龕間長丈餘 (감간장장여) 감실 간격은 길이가 한 길이 넘었고
門戶無扃關 (문호무경관) 문에는 빗장이 전혀 없었다.
俯窺不見人 (부규부견인) 내려다보니 사람은 보이지 않고
石髮垂若鬟 (석발수야환) 돌에는 풀이 귀밑머리처럼 늘어져 있다.
驚出白蝙蝠 (경출백편복) 흰 박쥐들이 놀라 나오는데
雙飛如雪翻 (쌍비여설번) 쌍쌍이 나는 것이 눈 흩날리듯 했다.
回首寺門望 (회수사문망) 고개 돌려 절문을 바라보니
靑崖夾朱軒 (청애협주헌) 푸른 언덕에 끼어있는 붉은 집이 있다.
如擘山腹開 (여벽산복개) 손톱 같이 산 중턱이 열렸는데
置寺於其間 (치사어기간) 그 사이에 절이 위치해 있었다.
入門無平地 (입문무평지) 절문에 드니 평지는 없었고
地窄虛空寬 (지착허공관) 땅이 좁아 빈 곳도 거의 없었다.
房廊與臺殿 (방낭여대전) 방의 회랑과 누대의 전각이
高下隨峯巒 (고하수봉만) 산봉우리 따라 높아지고 낮아진다.
巖崿無撮土 (암악무촬토) 바위와 낭떠러지에 흙은 조금도 없었다.
樹木多瘦堅 (수목다수견) 나무은 마르고 단단한 것이 많았고
根株抱石長 (근주포석장) 나무뿌리는 길게 돌을 감싸고 있었다.
屈曲蟲蛇蟠 (굴곡충사반) 울룩불룩한 뿌리는 뱀처럼 서리어 있다.
松桂亂無行 (송계난무항) 소나무가 어지러워 다닐 길 없고
四時鬱芊芊 (사시울천천) 사시사철 울창하고 무성했다.
枝梢嫋淸翠 (지초뇨청취) 가지는 늘어져 하늘거리고 빛은 푸르고
韻若風中絃 (운야풍중현) 그 운치는 바람 속의 음악소리 같았다.
日月光不透 (일월광부투) 햇빛과 달빛이 들지 못하여
綠陰相交延 (녹음상교연) 푸른 나무그늘이 섞이고 이어져있다.
幽鳥時一聲 (유조시일성) 그윽한 새소리 때때로 한 번씩 들리니
聞之似寒蟬 (문지사한선) 들으면 마치 가을매미 소리 같았다.
首憩賓位亭 (수게빈위정) 처음에는 빈위정에서 쉬면서
就坐未及安 (취좌미급안) 자리에 앉았으나 편안하지 않았다.
須臾開北戶 (수유개배호) 잠시 북쪽 문을 열어보니
萬里明豁然 (만리명활연) 만 리 먼 곳까지 환하게 밝았다.
拂簷虹霏微 (불첨홍비미) 처마 걸쳐 가랑비에 무지개 서고
遶棟雲回旋 (요동운회선) 마룻대를 둘러 구름이 돌아 흐른다.
赤日間白雨 (적일간백우) 붉은 해가 소나기 사이에 보이는데
陰晴同一川 (음청동일천) 흐리고 개는 것이 한 내에 같이 있다.
野綠蔟草樹 (야녹족초수) 들판의 푸른 기운이 초목에 모이고
眼界呑秦原 (안계탄진원) 내 시야는 중국 벌판을 삼킨다.
渭水細不見 (위수세부견) 위수는 가늘어 보이지 않고
漢陵小於拳 (한능소어권) 한나라 언덕은 주먹보다도 작다.
却顧來時路 (각고내시노) 물러나 지나온 길을 돌아보니
縈紆映朱欄 (영우영주난) 얽히고 굽은 것이 붉은 난간에 비친다.
歷歷上山人 (력력상산인) 산 위의 사람들도 뚜렷하여
一一遙可觀 (일일요가관) 하나하나 멀리서도 볼 수 있었다.
前對多寶塔 (전대다보탑) 앞에 마주보이는 다보탑
風鐸鳴四端 (풍탁명사단) 바람에 풍경소리는 사단을 울린다.
欒櫨與戶牖 (란로여호유) 난 두공과 지게 창
恰恰金碧繁 (흡흡금벽번) 부드러운 장식이 금벽처럼 번화롭다.
云昔伽葉佛 (운석가섭불) 이러기를, 옛날 가섭 부처가
此地坐涅槃 (차지좌열반) 이 땅에 앉아서 열반하였다고 한다.
至今鐵鉢在 (지금철발재) 지금까지 쇠 바리때가 남아있어
當底手跡穿 (당저수적천) 아래에는 손자취가 뚫려있단다.
西開玉像殿 (서개옥상전) 서쪽으로 옥상전이 열려있고
白佛森比肩 (백불삼비견) 흰 부처가 삼엄하게 늘어서 있다.
抖擻塵埃衣 (두수진애의) 흙먼지 붙은 옷을 털고
禮拜永雪顔 (례배영설안) 영설안에 예배하였다.
疊霜爲袈裟 (첩상위가사) 겹겹이 쌓인 눈을 가사로 삼고
貫雹爲華鬘 (관박위화만) 우박을 꿰어 흰 머리로 삼았다.
逼觀疑鬼功 (핍관의귀공) 핍진히 보고 귀신의 공인가 했는데
其跡非雕鐫 (기적비조전) 그 자취는 결코 꾸민 것이 아니었다.
次登觀音堂 (차등관음당) 다음으로 관음당에 오르는데
未到聞栴檀 (미도문전단) 미처 이르지도 않아 전단 향기가 난다.
上階脫雙履 (상계탈쌍리) 계단에 올라 두 신을 벗고
斂足升瑤筵 (염족승요연) 발을 거두어 예배하는 자리에 올랐다.
六楹排玉鏡 (륙영배옥경) 여섯 기둥에 거울은 없고
四座敷金鈿 (사좌부금전) 사방 자리에는 금 세공품을 놓아두었다.
黑夜自光明 (흑야자광명) 칠흑 같은 밤에 절로 빛이 밝아지고
不待燈燭燃 (부대등촉연) 등촉 타는 것 기다리지 않아도 되었다.
衆寶互低昂 (중보호저앙) 여러 보석들이 번들거리고
碧珮珊瑚幡 (벽패산호번) 푸른 구슬과 산호가 번쩍이었다.
風來似天樂 (풍내사천낙) 하늘 음악처럼 바람이 불어오고
相觸聲珊珊 (상촉성산산) 서로 부딪쳐 그 소리가 쟁쟁거린다.
白珠垂露凝 (백주수노응) 흰 구슬은 늘어진 이슬이 맺힌 듯
赤珠滴血殷 (적주적혈은) 붉은 구슬은 떨어지는 핏방울 같았다.
點綴佛髻上 (점철불계상) 부처 머리 위에 점철되어
合爲七寶冠 (합위칠보관) 합하여 칠보관이 되었다.
雙甁白琉璃 (쌍병백류리) 한 쌍의 병은 흰 유리이고
色若秋水寒 (색야추수한) 색은 가을 물의 차가움과 같았다.
隔甁見舍利 (격병견사리) 병 너머로 사리가 보이는데
圓轉如金丹 (원전여금단) 둥글게 구르는 것이 금단 같았다.
玉笛何代物 (옥적하대물) 옥피리는 어느 시대의 물건인가
天人施祗園 (천인시지원) 천인이 지원에 시주하였다.
吹如秋鶴聲 (취여추학성) 부는 소리는 가을 학의 소리 같아
可以降靈仙 (가이강령선) 신령한 신선을 내려오게 할 수 있었다.
是時秋方中 (시시추방중) 이 때는 마침 가을이었는데
三五月正圓 (삼오월정원) 보름달이 한참 둥글었다.
寶堂豁三門 (보당활삼문) 보당에 확 뚫린 세 개의 문
金魄當其前 (금백당기전) 달이 그 앞에 와있었다.
月與寶相射 (월여보상사) 달과 보당이 마주 보여.
晶光爭鮮姸 (정광쟁선연) 수정 빛이 선명함을 다투었다.
照人心骨冷 (조인심골냉) 사람을 비춰 마음과 뼈가 차가운데
竟夕不欲眠 (경석부욕면) 저녁이 다하도록 잠이 오지 않았다.
曉尋南塔路 (효심남탑노) 새벽에 남탑로를 찾으니
亂竹低嬋娟 (난죽저선연) 어지러운 대나무 선연히 늘어져있다.
林幽不逢人 (림유부봉인) 숲이 깊어 사람을 만나지 못하는데
寒蝶飛翾翾 (한접비현현) 가을나비가 파뜩파뜩 날아다닌다.
山果不識名 (산과부식명) 산속 과일은 이름도 모르는데
離離夾道蕃 (리리협도번) 길게 뻗혀 길을 끼고 무성하였다.
足以療飢乏 (족이료기핍) 배고픈 것을 족히 면할 수 있어서
摘賞味甘酸 (적상미감산) 따다가 그 맛을 보니 달콤새콤하였다.
??上不得 (경령상부득) 올라가려 해도 갈 수가 없으니
豈我能攀援 (개아능반원) 어찌 내가 능히 잡아당겨 갈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