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詩經/國風

王風 · 葛藟

by 柳川 2019. 2. 26.

                                                                王風




葛藟


綿綿葛藟,在河之滸。                       칡넝쿨이 뻗고 뻗어 물가에 이르렀네.

終遠兄弟,謂他人父。                       마침내 형제와 멀어져 타인을 아비라 일컫네.

謂他人父,亦莫我顧。                       타인을 아비라 일컬으니 나를 돌보지도 않네.


滸 : 물가 호(허).  물가. 물의 이름. 물가의 평지.



綿綿葛藟,在河之涘。                       칡넝쿨이 뻗고 뻗어 물가에 이르렀네.

終遠兄弟,謂他人母。                       마침내 형제와 멀어져 타인을 어미라 일컫네.

謂他人母,亦莫我有。                       타인을 어미라 일컬으니 나를 기억하지도 않네.


涘 : 물가 사. 물가. 강가.


綿綿葛藟,在河之。                       칡넝쿨이 뻗고 뻗어 물가에 이르렀네.

終遠兄弟,謂他人昆。                       마침내 형제와 멀어져 타인을 형이라 일컫네.

謂他人昆,亦莫我聞。                       타인을 형이라 일컬으니 내말을 듣지도 않네.


漘 : 물가 순. 물가.



[註]


綿綿葛藟,在河之滸。終遠兄弟,謂他人父。謂他人父,亦莫我顧。

면면갈류, 재하지호。 종원형제, 위타인부。 위타인부, 역막아고。


면면히 이어진 칡넝쿨이여, 하수 물가에 있도다. 끝내 형제를 멀리한지라 다른 사람을 아비라 하노라. 다른 사람을 아비라 하나 

또한 나를 돌아보지 않도다.


○興也.  綿綿 長而不絶之貌.  岸上曰滸. 

○世衰民散, 有去其鄕里家族, 而流離失所者 作此詩, 以自歎. 言綿綿葛藟, 則在河之滸矣, 今乃終遠兄弟, 而謂他人爲己父.  己雖謂彼爲父,

  而彼亦不我顧, 則其窮也甚矣.


○흥이라. 면면은 길고 끊어지지 않은 모양이라. 언덕 위를 가로대 호라 하니라. 

○세상은 쇠퇴하고 백성은 흩어져 그 향리 가족을 버리게 되고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면서 있을 곳을 잃은 자가 이 시를 지어서 써 스스로 

  탄식함이라. 면면히 이어진 칡넝쿨이 하수 물가에 있거늘 이제 이에 마침내 형제를 멀리하고 다른 사람을 일러 자기 아비로 삼았느니라. 

  내 비록 저를 일러 아비라 하나 저이는 또한 나를 돌아보지 않는다 하니 곧 그 궁함이 심함이라.


綿綿葛藟,在河之涘。終遠兄弟,謂他人母。謂他人母,亦莫我有。

면면갈류, 재하지사。 종원형제, 위타인모。 위타인모, 역막아유。


면면히 이어진 칡넝쿨이여, 하수 물가에 있도다. 마침내 형제를 멀리한지라 다른 사람을 어미라 하노라. 다른 사람을 어미라 하나 

또한 나를 기억해주지 않도다.


○興也.  水涯曰涘.  謂他人父者, 其妻則母也.  有 識有也.  春秋傳, 曰不有寡君.


○흥이라. 물가를 가로대 사라 하니라. 다른 사람을 아비라 하는 것은 그 처는 곧 어미라. 유는 기록해두는 것이니 『춘추전』에 가로대 

  과군은 기억하지 않는다라 하니라.



綿綿葛藟,在河之漘。終遠兄弟,謂他人昆。謂他人昆,亦莫我聞。

면면갈류, 재하지순。 종원형제, 위타인곤。 위타인곤, 역막아문。


면면히 이어진 칡넝쿨이여, 하수 물가에 있도다. 마침내 형제를 멀리한지 다른 사람을 형이라 하노라. 다른 사람을 형이라 하나 

또한 나에게 말하지 않도다.


○興也.  夷上洒下曰漘, 漘之爲言 脣也.  昆 兄也.  聞 相聞也. (葛藟三章)


○흥이라. 위는 평평하고 아래는 깎인 곳을 일러 순이라 하니, 순이라는 것은 입술과 같음이라. 곤은 형이라. 문은 서로 들음이라. 
  (갈류3장이라)


'詩經 > 國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王風 · 大車  (0) 2019.02.26
王風 · 采葛  (0) 2019.02.26
王風 · 兎爰  (0) 2019.02.26
王風 · 中穀有蓷  (0) 2019.02.26
王風 · 揚之水  (0) 2019.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