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詩經/小雅

鹿鳴之什 · 出車

by 柳川 2019. 3. 18.

                                     鹿鳴之什




出車


我出我車,于彼牧矣!                내 병거타고  牧에서 출정하노라 !        

自天子所,謂我來矣!                천자 계신 곳에서 내 왔도다 !

召彼仆夫,謂之載矣!                마부 불러 싣고 가라 이르라.

王事多難,維其棘矣!                왕사가 다난하니 서둘러라 !



我出我車,于彼郊矣!                내 병거 타고 저 들에서 출정하노라 !

設此旐矣,建彼旄矣!                이 조(旐)기를 세우고  저 모(旄)도 세워라 !

彼旟旐斯,胡不旆旆?                저 깃발들 어찌 펄럭이지 않으랴?

憂心悄悄,仆夫況瘁。                근심으로 초조하니  마부가 수고롭도다.            



王命南仲,往城于方;                왕이 남중에게 명을 내려, 북방에 가 성을 쌓으라 하니

出車彭彭,旗旐央央。                출정하는 거마 성대하고, 기치가 선명하구나.

天子命我,城彼朔方。                천자께서 내게 명을 내려 북방에서 성을 쌓으라 하셨도다.

赫赫南仲,玁狁于襄。                혁혁한 남중,  흉노를 멸하리라.    



昔我往矣,黍稷方華;                옛날 우리 갈 땐  기장 꽃 피었는데 

今我來思,雨雪載塗。                이제 우리 돌아올 땐  눈 녹아 질퍽대네.

王事多難,不遑啟居。                왕사 다난하니 쉴 틈이 없구나.

豈不懷歸?畏此簡書。                어찌 돌아가고 싶지 않으랴?  간서가 두렵다네.



喓喓草蟲,趯趯阜螽。                풀벌레 울고  메뚜기 뛰노는구나.

未見君子,憂心忡忡;                군자를 뵙지 못해 마음이 초조하였는데

既見君子,我心則降。                군자를 뵈오니  마음이 가라앉네.

赫赫南仲,薄伐西戎。                혁혁한 남중,  잠깐사이 서융을 정벌했네.



春日遲遲,卉木萋萋;                긴긴 봄날, 초목이 무성하고,

倉庚喈喈,采蘩祁祁。                꾀꼬리 지저귀는데  쑥을 많이도 뜯었네. 

執訊獲醜,薄言還歸。                포로들 붙잡아  잠깐사이에 돌아오니,

赫赫南仲,玁狁于夷。                혁혁한 남중  흉노를 평정하였노라.


卉 : 풀 훼/빠를 훌. 풀, 초목. 많다.  [훌] 빠르다. 서아다. 성한 모양.



[註]


我出我車,于彼牧矣!自天子所,謂我來矣!召彼仆夫,謂之載矣!王事多難,維其棘矣!

아출아거, 우피목의호 ! 자천자소, 위아래의 ! 소피복부, 위지재의 ! 왕사다난, 유기극의 !


내가 내 수레를 타고 출정함을 저 목에서 하노라.  천자가 있는 곳에서부터 내가 왔다 이르노라.  저 마부를 불러서 실어라 

이르고 왕사가 어려움이 많은지라 오직 급하다 하노라.


[참고] 

毛箋에서는 西伯 殷王의 명을 받고 출정하는 내용으로 보았다.  왜냐하면 목땅은 은나라의 도읍지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주자는  

로 해석하고 天子 周王으로 보고 있다.  또한 제2장의 주석에서 在牧內라 하여 다소 무리한 해석을 붙이고 있는데,  이 편 전체 내

용의 다급하면서도  몹시 고단한 형편상 毛箋의 해석이 옳지 않을까 한다.  西伯昌과 그 뒤를 이은 아들인 의 경우 천하의 3분의 2가 그들

을 따랐음에도  아직은 때가 아니라고 하여 의 천자인 紂王 忠敬으로 섬기면서 西伯으로서의 역할을 다했기 때문이다 武王 의 경

 在位 13년만에야 紂王을 치고 를 세웠기 때문에 毛箋의 해석에 따라 는 은나라 말기의 西伯으로 보아야 할 듯하다.

 

賦也.   郊外也.   從也. 天子 周王也. 僕夫 御夫也. 

 勞還率之詩, 追言其始受命出征之時, 出車於郊外而語其人, 曰我受命於天子之所而來, 於是乎召僕夫, 使之載其車以行, 而戒之曰王事

  多難, 是行也不可以緩矣.


부라. 목은 교외라. 자는 좇음이라. 천자는 주왕이라. 복부는 마부라. 

이는 돌아오는 장수를 위로하는 시이니, 뒤따라 말하되, ‘그 처음 출정하는 명을 받을 때에 수레를 타고 교외에 나가 그 사람에게 말하기를 

  내가 천자가 계신 곳에서 명을 받아 왔으니 이에 마부를 불러서 그 수레에 싣고서 가라하고, 경계하여 말하기를 왕사에 어려움이 많으니 이

 길은 느긋하게 할 수 없다고 하니라. 

 率 거느릴 솔, ‘장수 수



我出我車,于彼郊矣!設此旐矣,建彼旄矣!彼旟旐斯,胡不旆旆?憂心悄悄,仆夫況瘁。

아출아거, 우피교의 ! 설차조의, 건피모의 ! 피여조사, 호불패패 ! 우심초초, 복부황췌。


내가 내 수레를 타고 저 교외로 나가 이 조를 설치하며 저 깃대를 세우니 저 여와 조가 어찌 펄럭이지 않으리오.근심하는 마음

이 두근두근하니 마부는 멍히 초췌하도다.


 기 조, 거북과 뱀을 그린 폭이 넓은 검은 깃발  기 여, 붉은 깃발에 송골매를 그려 넣은 기.  기가 펄럭일 패


賦也.  在牧內. 蓋前軍 已至牧而後軍 猶在郊也.   陳也. 龜蛇曰旐.   立也.   注旄於旗干之首也. 鳥隼曰旟, 鳥隼龜蛇,  曲禮 

  所謂前朱雀而後玄武也.  楊氏曰師行之法  四方之星 各隨其方 以爲左右前後 進退有度 各司其局, 則士無失伍離次矣. 旆旆 飛揚之貌. 

  悄悄 憂貌.   玆也 或云當作怳. 

言出車在郊 建設旗幟,  彼旗幟者 豈不旆旆而飛揚乎. 但將帥方以任大責重 爲憂, 而僕夫亦爲之恐懼而憔悴耳.  東萊呂氏曰古者  出師以

  喪禮處之,  命下之日 士皆泣涕, 夫子之言行三軍 亦曰臨事而懼, 皆此意也.


부라. 교는 목땅의 안에 있음이라(도성 밖 오십 리를 近郊라 하고, 백 리를 遠郊라 함). 대개 앞의 군대가 이미 목에 이르고 뒤의 군대가 아직 

  교에 있음이라.  설은 베풂이라.  거북과 뱀을 그린 것을 조라 하니라.  건은 세움이라.  모는 기를 깃대 머리에 꽂음이라.  새매를 그린 것을 

  여라 하니, 새매와 거북과 뱀은 (예기) 곡례편에 이른바, 앞에는 주작이고 뒤는 현무라. 양씨는 군사를 행하는 법은 사방의 별이 각각 

  그 방소를 따라서 좌우전후로 나아가고 물러감에 법도가 있어서 각각 그 국을 맡으니, 곧 군사가 대오를 잃거나 주둔지를 떠남이 없다.”고 

  하니라.패패는 펄럭이는 모양이고, 초초는 근심하는 모양이고, 황은 이에이니, 혹자는 마땅히 (멍할 황, 自失한 모양)이라 지어야 한다.”

  고 하니라. 

출정하는 수레가 교외에 있음에 기치를 세우니 저 기치가 어찌 펄럭이며 나부끼지 않을 것인가? 다만 장수가 바야흐로 임무는 크고 책임은 

  무거워서 근심하게 되고,  마부 또한 두렵고 두려워 초췌해짐이라.  동래 여씨는 옛날에 군사들이 출정함에 상례(喪禮)로써 처하여 명을 내

  리는 날에 군사들이 모두 눈물을 흘리니,  부자 말씀에 삼군을 행함에  또한 일러 일에 임해 두려워해야 한다고 하셨으니(논어 술이편 

  제10장에 자로가 공자에서 삼군을 지휘한다면 누구와 더불어 하시겠습니까?’ 하고 묻자 다음과 같이 답변하셨다. 子曰暴虎憑河 死而無悔者

 吾不與也. 必也臨事而懼 好謀而成者也. (공자 가라사대 범을 때려잡고  하수를 걸어  건너서 죽어도 후회가 없는 자를  나는 더불어 하지 아

  니하니, 반드시 일에 임해서 두려워하며 도모하여 이루는 자를 좋아하니라.”라 하셨다.) 다 이런 뜻이라.

 


王命南仲,往城于方;出車彭彭,旗旐央央。天子命我,城彼朔方。赫赫南仲,玁狁于襄。

왕명남중, 왕성우방;  출거방방,  기조앙앙。 천자명아, 성피삭방。 혁혁남중, 험윤우양。


왕이 남중에게 명을 내리셔서 가서 북방에 성을 쌓으라 하시니 수레를 냄이 성대하며, 깃발은 선명하도다. 천자가 나에게 명하

사 저 북방에 성을 쌓으라 하시니, 혁혁한 남중이여, 험윤을 쓸어내리로다.

 

賦也.   周王也.  南仲 此時大將也.   朔方, 今靈夏等州之地.  彭彭 衆盛貌.  交龍爲旂,  此所謂左靑龍也.  央央 鮮明也.  赫赫 威名 

  顯也.   除也.  或曰上也, 與懷山襄陵之襄  言勝之也. 

東萊呂氏曰大將 傳天子之命,  以令軍衆,  於是 車馬衆盛,  旂旐鮮明,  威靈氣焰,  赫然動人矣.  兵事 以哀敬 爲本,  而所尙則威,  二章之

  戒懼, 三章之奮揚,  竝行而不相悖也. 程子曰城朔方而玁狁之難  除  禦戎狄之道  守備爲本.  不以攻戰爲先也.


부라. 왕은 주나라 왕이라. 남중은 이때의 대장이라. 방은 삭방(북방)이니 지금의 영하 등의 고을 땅이라. 방방은 많고 성한 모양이라. 용을 

  교차하여 그린 것이 기이니, 이것이 이른바 좌청룡이라. 앙앙은 선명함이라. 혁혁은 위엄과 명성이 빛나고 드러남이라. 양은 제거함이라. 

  혹자는 오름이라고 하니, 회산양릉(산을 에워싸고 구릉을 오른다는 뜻인데 요임금 때 9년 홍수가 나서 온 세상이 물에 잠긴 형국을 표현한 말

  이다. 서경 虞書 요전편에 帝曰咨 四岳이여 湯湯洪水 方割하여 蕩蕩懷山襄陵하고 浩浩滔天이라 下民其咨하나니 有能俾乂 : 임금이 가라

  사대 아, 슬프도다. 사악이여. 넘실거리는 홍수가 널리 해를 끼치고, 질펀한 물이 산을 에워싸고 구릉을 잠기게 하여 넓고 넓은 물이 하늘에 닿을 

  듯하노라. 아래 백성들이 탄식하니 능히 다스릴 사람이 있는가?) 과 같으니, 이김을 말한다고 하니라. 

동래 여씨는 대장이 천자의 명을 전하여 군사들에게 명령할 때에 이에 거마가 많고 성하고 기조가 선명하고 위엄은 신령스럽고 기운은 

  불타는 듯하여 빛나게 사람을 움직임이라. 전쟁하는 일은 슬픔과 공경으로 근본을 삼고, 숭상하는 바는 곧 위엄이니, 2장의 경계하고 두려

  워함과 3장의 떨쳐 일어남은 아울러 행하면서 서로 어긋나서는 아니 된다.”고 하니라.  정자는 북방에 성을 쌓음에 험윤의 난이 제거되니, 

  융적을 막는 도는 지키고 대비함을 근본으로 삼고, 치고 싸우는 것으로 우선을 삼지 않는다.”고 하니라.



昔我往矣,黍稷方華;今我來思,雨雪載塗。王事多難,不遑啟居。豈不懷歸?畏此簡書。

석아왕의, 서직방화;  금아래사, 우설재도。 왕사다난, 불황계거。 기불회귀? 외차간서。


옛날에 내가 갈 때에는 기장과 피에 바야흐로 꽃이 피더니 이제 내가 돌아가려니 함박눈이 가득 쌓였도다.  왕사가 어려움이 

많은지라 쭈그리고 앉아 쉴 겨를조차 없으니, 어찌 귀향할 생각이 없으리오마는 이 간서를 두려워하니라.


 

賦也.  盛也.   凍釋而泥塗也.  簡書 戒命也.  隣國有急, 則以簡書 相戒命也.  或曰簡書 策命臨遣之詞也. 

 言其旣歸在塗而本其往時所見, 與今還時所遭,  以見其出之久也.  東萊呂氏曰采薇之所謂往 遣戍時也, 此詩之所謂往 在道時也, 采薇

  之所謂來, 戍畢時也. 此詩之所謂來 歸而在道時也.


부라. 화는 성함이라. 도는 얼음이 풀려 진흙길이라. 간서는 경계하는 명이라. 이웃 나라가 급하게 되었으니 간서로 서로 경계하고 명함이라. 

  혹자는 간서는 (장수를) 보낼 때에 임하여 책명(策文이라고도 하며, 임금이 신하에게 내려서 명령하던 글)하는 말이라.”고 하니라. 

이는 그 이윽고 돌아옴에 길에서 원래 그 갈 때 본 것과 지금 돌아올 때에 만난다는 것을 말했으니 그 나간 지가 오래되었음을 나타냄이라. 

  동래여씨는 채미편에서 이른바 은 수자리를 보내는 때이고, 이 시의 이른바  (수자리에 가는) 길에 있는 때이며, 채미편의 이른바 

  來는 수자리를 마친 때이고, 이 시의 이른바 는 돌아오는데 길에 있는 때라.”고 하니라.



喓喓草蟲,趯趯阜螽。未見君子,憂心忡忡;既見君子,我心則降。赫赫南仲,薄伐西戎。

요요초충, 척척부종。 미견군자, 우심충충; 기견군자, 아심즉항。 혁혁남중, 박벌서융。


찍찍하는 풀벌레며 이리저리 뛰는 메뚜기로다. 군자를 보지 못한지라 근심하는 마음이 두근두근하니 이윽고 군자를 보아야 내 

마음이 가라앉으리로다. 혁혁한 남중이여, 잠깐 서융을 정벌했도다. 

 

賦也.  言將帥之出征也. 其室家 感時物之變而念之, 以爲未見而憂之如此, 必旣見然後, 心可降耳.  此南仲 今何在乎. 方往伐西戎而

  未歸也, 豈旣却玁狁而還師, 以伐昆夷也與. 薄之爲言 聊也, 蓋不勞餘力矣.


부라. 이는 장수가 출정함을 말함이라. 그 아내가 때와 물건의 변함을 느껴서 생각하여 말하기를, ‘보지 못하여 근심함이 이와 같다가 반드

  시 이미 본 뒤에야 마음이 가히 가라앉으리로다. 그러나 이 남중이 지금 어디에 있을까. 바야흐로 서융을 치러 가서 아직 돌아오지 않도다.’

  고 했으니 아마도 이미 험윤을 물리치고 군사를 돌려서 곤이를 치는 것이리라. 이라고 말한 것은 애오라지이니 대개 남은 힘을 수고롭게 

  여기지 않음이라.



春日遲遲,卉木萋萋;倉庚喈喈,采蘩祁祁。執訊獲醜,薄言還歸。赫赫南仲,玁狁于夷。

춘일지지, 훼목처처;  창경개개, 채번기기。 집신획추, 박언선귀。 혁혁남중, 험윤우이。


봄날이 길고 기니라. 풀과 나무가 무성하며, 꾀꼬리가 개개하게 울며 쑥을 캠이 많고 많거늘 신문할 자를 잡고 무리를 붙잡아 

잠깐 돌아오니 혁혁한 남중이여, 험윤을 평정했도다.


賦也.   草也.  萋萋 盛貌.  倉庚 黃鸝也.  喈喈 聲之和也.   其魁首,  當訊問者也.   徒衆也.   平也. 

歐陽氏曰述其歸時  春日暄姸,  草木榮茂,  而禽鳥和鳴, 於此之時, 執訊獲醜而歸豈不樂哉.  鄭氏曰此詩亦伐西戎, 獨言平玁狁者 玁狁大故 

  以爲始以爲終.


부라. 훼는 풀이라. 처처는 성한 모양이라. 창경은 누런 꾀꼬리라. 개개는 소리의 화함이라. 신문함은 그 괴수이니 마땅히 (난의 책임을 물어) 

  신문해야 하는 자라. 추는 따르는 무리라(주역 重火離괘에 上九 王用出征이면 有嘉折首 獲匪其醜 无咎리라하였듯이 괴수는 신문

  하여 그 죄를 물어 머리를 베고 나머지 적극 가담자 외에는 처벌하지 않는다). 이는 평정함이라. 구양씨는 그 돌아올 때에 봄날이 따뜻하고 

  곱고, 초목이 무성하며 금수가 즐겁게 울거늘 이때에 괴수를 잡고 무리를 잡아 돌아오니 어찌 즐겁지 아니하리오.”라고 하고, 정씨는 이 시

  는 또한 서융을 정벌한 것이거늘 홀로 험윤을 평정한 것만 말한 것은 험윤이 큰 이유이기 때문에 시작도 되고 마침도 된다.”고 하니라. 

   

出車六章 八句



'詩經 > 小雅' 카테고리의 다른 글

鹿鳴之什 · 南陔 [笙詩]  (0) 2019.03.18
鹿鳴之什 · 杕杜  (0) 2019.03.18
鹿鳴之什 · 采薇  (0) 2019.03.18
鹿鳴之什 · 天保  (0) 2019.03.17
鹿鳴之什 · 伐木  (0) 2019.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