史記 卷四 周本記 Ⅲ
平王立, 東遷于雒邑,286) 辟戎寇. 平王之時, 周室衰微, 諸侯彊幷弱, 齊、楚、秦、晉始大, 政由方伯.287)
평왕은 즉위하자 융적을 피해 동쪽 낙읍(洛邑)으로 도읍을 옮겼다. 평왕 때 주 왕실은 쇠약해졌고, 제후들 가운데는 강자가 약자를 항병했다. 제(齊), 초(楚), 진(秦), 진(晉)이 강대해지기 시작했고, 정권은 방백(方伯, 패주)에 의해 좌우되었다.
四十九年, 魯隱公卽位.
五十一年, 平王崩, 太子洩父288)蚤死, 立其子林, 是爲桓王. 桓王, 平王孫也.
49년, 노(魯) 은공(隱公)이 즉위했다.
51년, 평왕이 세상을 뜨고 태자 예보(洩父)가 일찍 죽어서 그 아들 임(林)이 즉위하니, 이가 환왕(桓王)이다. 환왕은 평왕의 손자이다.
桓王三年, 鄭莊公朝, 桓王不禮.289) 五年, 鄭怨, 與魯易許田. 許田, 天子之用事太山田也.290) 八年, 魯殺隱公,291) 立桓公. 十三年, 伐鄭,292) 鄭射傷桓王, 桓王去歸.293)
환왕 3년, 정(鄭) 장공(莊公)이 조현했으나 환왕이 예로 대하지 않자, 5년에 정 장공이 원망해 노(魯)와 허전(許田)을 바꾸었다. 허전은 천자가 태산에서 제사 드리는 데 쓰는 밭이었다.
8년, 노는 은공을 죽이고 환공(桓公)을 옹립했다.
13년, 정을 정벌하자 정이 환왕을 쏘아 다치게 했다. 환왕이 돌아갔다.
二十三年, 桓王崩, 子莊王佗立. 莊王四年, 周公黑肩欲殺莊王而立王子克.294) 辛伯告王,295) 王殺周公.296) 王子克奔燕.297)
23년, 환왕이 세상을 뜨고 아들 장왕(莊王) 타(佗)가 섰다.
장왕 4년, 주공(周公) 흑견(黑肩)이 장왕을 죽이고 왕자 극(克)을 세우고자 했다. 신백(辛伯)이 장왕에게 고하자 장왕은 주공을 죽였다. 왕자 극이 연(燕)으로 달아났다.
十五年, 莊王崩, 子釐王298)胡齊立. 釐王三年, 齊桓公始霸.
15년, 장왕이 세상을 뜨자 아들 희왕(釐王) 호제(胡齊)가 즉위했다. 희왕 3년에 제 환공이 처음으로 패자가 되었다.
五年, 釐王崩, 子惠王閬立.299) 惠王二年. 初, 莊王嬖姬姚,300) 生子穨,301) 穨有寵. 及惠王卽位, 奪其大臣園以爲囿,302) 故大夫邊伯等五人作亂,303) 謀召燕、衛師,304) 伐惠王. 惠王奔溫,305) 已居鄭之櫟.306) 立釐王弟穨爲王. 樂及遍舞,307) 鄭、虢君怒. 四年, 鄭與虢君伐殺王穨,308) 復入惠王. 惠王十年, 賜齊桓公爲伯.
5년, 희왕이 세상을 뜨고 아들 혜왕(惠王) 낭(閬)이 즉위했다. 당초 장왕(莊王)이 예뻐하던 요(姚)가 아들 퇴(頹)를 낳았는데, 퇴 역시 장왕의 총애를 받았다.
혜왕이 즉위하고 2년 되던 해 대신의 정원을 빼앗아서 사냥터를 만들었다. 이 때문에 대부 변백(邊伯) 등 다섯 사람이 난을 일으켜, 연(燕)과 위(衛)의 군대를 소집해 혜왕을 공격하려고 모의했다. 혜왕은 온(溫)으로 달아났고 얼마 후 정의 역(櫟) 지역으로 옮겼다. 희왕의 동생 퇴를 왕으로 옹립하고, 갖가지 음악과 춤으로 이를 경축했다. 정과 괵이 노했다.
4년, 정과 괵의 국군이 주왕 퇴를 공격해 죽이고 다시 혜왕을 옹립했다. 혜왕 10년, 제 환공을 백(伯)으로 삼았다.
二十五年, 惠王崩, 子襄王鄭立. 襄王母蚤死, 後母曰惠后.309) 惠后生叔帶,310) 有寵於惠王, 襄王畏之. 三年, 叔帶與戎、翟謀伐襄王, 襄王欲誅叔帶, 叔帶奔齊. 齊桓公使管仲平戎于周, 使隰朋平戎于晉.311) 王以上卿禮管仲. 管仲辭曰:「臣賤有司也, 有天子之二守國、高在.312) 若節春秋來承王命, 何以禮焉.313) 陪臣敢辭.」314)王曰:「舅氏, 余嘉乃勳,315) 毋逆朕命.」管仲卒受下卿之禮而還.316) 九年, 齊桓公卒. 十二年, 叔帶復歸于周.317)
25년, 혜왕이 세상을 뜨고 아들 양왕(襄王) 정(鄭)이 섰다. 양왕의 어머니가 일찍 죽어 계모를 혜후(惠后)라 했다. 혜후가 숙대(叔帶)를 낳아 혜왕의 총애를 받자, 양왕이 두려워했다. 3년, 숙대가 융, 적(翟)과 함께 양왕을 공격할 것을 꾀하자 양왕이 숙대를 죽이려고 했고, 숙대는 제로 달아났다. 제 환공은 관중에게 주에서 융을 평정하게 했고, 습붕(隰朋)에게 진(晉)에서 융을 평정하게 했다. 왕이 상경(上卿)의 예로 관중을 대했다. 관중은 “신은 지위가 낮은 관리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천자께서 임명한 두 제후 국씨(國氏)와 고씨(高氏)가 있습니다. 그들이 봄과 가을에 인사드리러 왔을 때 왕께서는 어떤 예로 그들을 대하시겠습니까? 제후의 신하는 감히 사양하옵니다”라고 사양했다. 왕은 “그대는 외숙부 나라의 사신이오. 공적이 가상해서 그러니 짐의 명을 거역하지 마시오”라고 말했다. 이에 관중은 결국 하경(下卿)의 대접을 받고 돌아갔다.
9년, 제 환공이 세상을 떠났다.
12년, 숙대가 다시 주로 돌아갔다.
十三年, 鄭伐滑,318) 王使游孫、伯服請滑,319) 鄭人囚之. 鄭文公怨惠王之入不與厲公爵,320) 又怨襄王之與衛滑,321) 故囚伯服. 王怒, 將以翟伐鄭. 富辰諫曰:322)「凡我周之東徙, 晉、鄭焉依. 子穨之亂, 又鄭之由定, 今以小怨棄之!」王不聽. 十五年, 王降翟師以伐鄭. 王德翟人, 將以其女爲后. 富辰諫曰:「平、桓、莊、惠皆受鄭勞, 王棄親親翟, 不可從.」王不聽. 十六年, 王絀翟后, 翟人來誅, 殺譚伯.323) 富辰曰:「吾數諫不從. 如是不出, 王以我爲懟乎?」乃以其屬死之.
13년, 정이 활(滑)을 공격하자 양왕은 유손(游孫)과 백복(伯服)을 보내어 활을 위해서 사정하게 했으나 정은 이들을 가두어버렸다. 정 문공은 혜왕이 복위한 후 정 여공(勵公)에게 옥으로 된 술잔을 보내지 않은 것을 원망하고 있었으며, 또 양왕이 활을 비호하는 것이 싫어서 백복을 가둔 것이다. 양왕이 노하여 적(翟)의 힘을 빌려 정을 공격하려고 했다. 부신(富辰)이 “우리 주 왕실이 동천할 때 진(晉)과 정의 힘을 빌렸고, 왕자 퇴가 난을 일으켰을 때도 정이 평정해주었습니다. 지금 사소한 원한 때문에 정을 버리시다니요?”라고 충고했다. 왕은 듣지 않았다.
15년, 왕은 적의 군사를 이끌고 정을 공격했다. 왕은 적에게 고마워하며 그 딸을 왕후로 맞이하려 했다. 부신은 “평왕(平王), 환왕(桓王), 장왕(莊王), 혜왕(惠王)이 모두 정에 은혜를 입었는데, 천자께서 가까운 나라를 버리고 적을 가까이 하려는 것은 따를 수 없습니다”라고 간했다. 왕은 듣지 않았다.
16년, 양왕이 적후(翟后)를 내치하자 적의 사람들이 와서 질책하고는 담백(譚伯)을 죽였다. 부신은 “내가 몇 차례나 간했으나 따르지 않았데, 만일 내가 나가서 싸우지 않는다면 왕은 내가 자기를 원망해서 그렇다고 생각하겠지?”라 하고는 부하를 이끌고 나가 전사했다.
初, 惠后欲立王子帶, 故以黨開翟人, 翟人遂入周. 襄王出奔鄭,324) 鄭居王于氾.325) 子帶立爲王, 取襄王所絀翟后與居溫.326) 十七年, 襄王告急于晉, 晉文公納王而誅叔帶. 襄王乃賜晉文公珪鬯弓矢, 爲伯, 以河內地與晉.327) 二十年, 晉文公召襄王, 襄王會之河陽、踐土,328) 諸侯畢朝, 書諱曰「天王狩于河陽」.329)
당초 혜후는 왕자 숙대를 세우고자 무리들과 함께 적(翟)에게 길을 열어주어 적의 군사가 주로 들어오게 했다. 양왕은 정으로 달아났고, 정은 그를 범(氾)에 머무르게 했다. 왕자 숙대는 왕이 되자 양왕이 내쳤던 적후를 아내로 맞이해 온에서 살았다.
17년, 양왕이 진(晉)에 도움을 청하자 진 문공은 양왕을 조정으로 돌아가게 하고 숙대를 죽였다. 양왕은 이에 홀, 활집, 활과 화살을 진 문공에게 하사하고 백으로 삼았으며, 하내(河內)의 땅을 진에 주었다.
20년, 진 문공이 양왕을 부르자 양왕은 하양(河陽)과 천토(踐土)에서 회맹했고, 제후들이 모두 인사를 드렸다. 역사서에는 이 일을 꺼려서 “천왕이 하양에 순수하러 갔다”라고만 기록했다.
二十四年, 晉文公卒.
三十一年, 秦穆公卒.
三十二年, 襄王崩, 子頃王壬臣立. 頃王六年, 崩, 子匡王班立. 匡王六年, 崩, 弟瑜立, 是爲定王.
定王元年, 楚莊王伐陸渾之戎,330) 次洛, 使人問九鼎. 王使王孫滿應設以辭,331) 楚兵乃去. 十年, 楚莊王圍鄭, 鄭伯降, 已而復之. 十六年, 楚莊王卒.
24년, 진 문공이 세상을 떠났다.
31년, 진(秦) 목공(穆公)이 죽었다.
32년, 양왕이 세상을 뜨고 아들 경왕(頃王) 임신(壬臣)이 즉위했다. 경왕이 6년 만에 세상을 뜨니 아들 광왕(匡王) 반(班)이 즉위했다. 광왕이 6년만에 세상을 뜨고 동생 유(瑜)가 즉위하니 이가 정왕(定王)이다.
정왕 원년에 초(楚) 장왕(莊王)은 육혼(陸渾)의 오랑캐를 정벌하고 낙읍에 주둔하며 사람을 보내 구정(九鼎)에 관해서 물었다. 정왕이 왕손만(王孫滿)을 보내 말로 대응하게 하자 초의 군대가 물러갔다.
10년, 초 장왕이 정을 포위하자 정백이 항복했다. 얼마 뒤 다시 나라를 회복했다.
16년, 초 장왕이 죽었다.
二十一年, 定王崩, 子簡王夷立. 簡王十三年, 晉殺其君厲公, 迎子周於周, 立爲悼公.
十四年, 簡王崩, 子靈王泄心立. 靈王二十四年, 齊崔杼弑其君莊公.
二十七年, 靈王崩,332) 子景王貴立.333) 景王十八年, 后太子聖而蚤卒. 二十年, 景王愛子朝,334) 欲立之,335) 會崩,336) 子丐之黨與爭立, 國人立長子猛爲王, 子朝攻殺猛. 猛爲悼王. 晉人攻子朝而立丐, 是爲敬王.337)
21년, 정왕(定王)이 붕어하고 아들 간왕(簡王) 이(夷)가 즉위했다. 간왕 13년, 진(晉)은 자신들의 군주인 여공(厲公)을 죽이고 주나라에서 공자 주(周)를 모셔와서 도공(悼公)으로 옹립했다.
14년, 간왕이 붕어하고 아들 영왕(靈王) 설심(泄心)이 즉위했다. 영왕 24년, 제(齊)의 최서(崔杼)가 장공(莊公)을 죽였다.
27년, 영왕이 붕어하고 아들 경왕(景王) 귀(貴)가 즉위했다. 경왕 18년, 왕후가 낳은 태자가 총명했으나 일찍 죽었다. 20년, 경왕은 아들 조(朝)를 사랑해 태자로 세우려고 했다. 그런 때에 경왕이 붕어하자 왕자 개(丐)의 무리가 왕자 조와 왕위를 놓고 다투었다. 백성들은 경왕의 큰아들 맹(猛)을 왕으로 옹립했으나 왕자 조가 맹을 죽였으므로, 맹을 도왕(悼王)이라고 한다. 진(晉)은 왕자 조를 공격하고 왕자 개를 옹립하니, 이가 경왕(敬王)이다.
敬王元年, 晉人入敬王, 子朝自立, 敬王不得入, 居澤.338) 四年, 晉率諸侯入敬王于周, 子朝爲臣,339) 諸侯城周. 十六年, 子朝之徒復作亂, 敬王奔于晉. 十七年, 晉定公遂入敬王于周.
경왕 원년, 진(晉) 사람들이 경왕을 입국시키려고 했으나 왕자 조가 스스로 즉위하는 바람에 경왕은 들어가지 못하고 택(澤)에 머물렀다.
경왕 4년, 진(晉)이 제후를 이끌고 경왕을 주로 보내니 왕자 조는 신하의 자리로 물러났다. 제후들이 주에 성을 쌓아주었다.
16년, 왕자 조의 무리가 다시 난을 일으키자 경왕은 진(晉)으로 달아났다.
17년, 진(晉) 정공(定公)이 마침내 경왕을 주로 들어가게 했다
三十九年, 齊田常殺其君簡公.
四十一年, 楚滅陳. 孔子卒.
四十二年, 敬王崩,340) 子元王仁立.341) 元王八年, 崩, 子定王介立.342)
39년, 제의 전상(田常)이 그 군주 간공(簡公)을 죽였다.
41년, 초가 진(陳)을 멸했다. 공자가 세상을 떠났다.
42년, 경왕이 세상을 뜨고 아들 원왕(元王) 인(仁)이 즉위했다. 원왕은 8년 만에 세상을 뜨고 아들 정왕(定王) 개(介)가 즉위했다.
定王十六年, 三晉滅智伯, 分有其地.
二十八年, 定王崩,343) 長子去疾立, 是爲哀王. 哀王立三月, 弟叔襲殺哀王而自立, 是爲思王. 思王立五月, 少弟嵬攻殺思王而自立, 是爲考王. 此三王皆定王之子.
정왕 16년, 삼진(三晉, 한·조·위)이 지백을 멸하고 그의 땅을 나누어 가졌다.
28년, 정왕이 세상을 뜨고 장자 거질(去疾)이 즉위하니 그가 애왕(哀王)이다. 애왕은 석 달 재위했는데, 동생 숙(叔)이 애왕을 죽이고 스스로 왕이 되니 이가 사왕(思王)이다. 사왕은 5개월 재위했는데, 동생 외(嵬)가 다시 사왕을 죽이고 스스로 왕이 되니 이가 고왕(考王)이다. 이 세 왕은 모두 정왕의 아들들이다.
考王十五年, 崩,344) 子威烈王午立.
考王封其弟于河南,345) 是爲桓公, 以續周公之官職. 桓公卒, 子威公代立. 威公卒, 子惠公代立, 乃封其少子於鞏346)以奉王, 號東周惠公.347)
고왕은 재위 15년 만에 붕어하고 아들 위열왕(威烈王) 오(午)가 즉위했다.
고왕은 그의 동생을 하남(河南)에 봉하니, 그가 환공(桓公)인데, 그는 주공(周公)의 관직을 계승했다. 환공이 죽고 아들 위공(威公)이 이어서 즉위했다. 위공이 죽고 아들 혜공이 이어서 즉위했으며, 혜공은 그의 막내아들을 공(鞏)에 왕으로 봉하고 동주(東周) 혜공(惠公)이라 했다.
고왕은 재위 15년 만에 붕어하고 아들 위열왕(威烈王) 오(午)가 즉위했다.
威烈王二十三年, 九鼎震. 命韓、魏、趙爲諸侯.
二十四年, 崩,348) 子安王驕立. 是歲盜殺楚聲王.
위열왕 23년에 구정(九鼎)이 진동했다. 한(韓), 위(魏), 조(趙)를 제후국으로 명했다.
24년, 위열왕이 붕어하자 아들 안왕(安王) 교(驕)가 즉위했다. 이해에 도적이 초 성왕(楚聲王)을 죽였다.
安王立二十六年, 崩,349) 子烈王喜立. 烈王二年, 周太史儋350)見秦獻公曰:351)「始周與秦國合而別, 別五百載復合,352) 合十七歲而霸王者出焉.」353)
안왕이 재위 26년 만에 붕어하자 왕자 열왕(烈王) 희(喜)가 즉위했다. 열왕 2년에 주의 태사(太史) 담(儋)이 진(秦)의 헌공(獻公)을 알현하고 “주와 진나라는 하나였다가 나뉘고, 나뉜 지 5백년 후 다시 합해질 것이며, 합친 지 17년 후에는 패왕자(覇王者)가 출현할 것입니다”라고 예언했다.
十年, 烈王崩, 弟扁立,354) 是爲顯王. 顯王五年, 賀秦獻公, 獻公稱伯. 九年, 致文武胙於秦孝公.355) 二十五年, 秦會諸侯於周. 二十六年, 周致伯於秦孝公. 三十三年, 賀秦惠王. 三十五年, 致文武胙於秦惠王. 四十四年, 秦惠王稱王.356) 其後諸侯皆爲王.357)
10년, 열왕이 붕어하고 동생 편(扁)이 즉위하니 그가 현왕(顯王)이다. 현왕 5년, 진 헌공을 치하하고 그에게 방백(方伯)의 칭호를 내렸다. 9년, 현왕은 진 효공(秦孝公)에게 문왕, 무왕에 제사 드린 고기를 보냈다. 25년, 진나라가 주나라 땅에서 제후를 소집했다. 26년, 주는 진효공에게 방백의 칭호를 내렸다. 33년, 진 혜왕을 치하했다. 35년에는 진 혜왕에게 문왕, 무왕에 제사 드린 고기를 보냈다. 44년, 진 혜왕이 왕이라고 칭하자, 그 후 제후들도 모두 왕이라고 자칭했다.
四十八年, 顯王崩, 子愼靚王定立. 愼靚王立六年, 崩, 子赧王延立.358) 王赧時東西周分治.359) 王赧徙都西周.360)
48년, 현왕이 붕어하고 아들 신정왕(愼靚王) 정(定)이 즉위했다. 신정왕은 재위 6년 만에 붕어하고 아들 난왕(赧王) 연(延)이 즉위했다. 난왕 때 주는 동서로 나뉘어 다스려졌다. 난왕은 도읍을 서주로 옮겼다.
西周武公361)之共太子死, 有五庶子, 毋適立. 司馬翦362)謂楚王曰:「不如以地資公子咎, 爲請太子.」左成曰:363)「不可. 周不聽, 是公之知困而交疏於周也.364) 不如請周君孰欲立, 以微告翦, 翦請令楚(賀)[資]之以地.」果立公子咎爲太子.365)
서주 무공(西周武公)의 태자 공(共)이 죽자 다섯 서자가 있었으나 옹립할 적자가 없었다. 사마전(司馬翦)이 초왕에게 “차라리 땅을 주고 공자 구(咎)를 도와서 태자가 되도록 청하는 것이 나을 것입니다”라고 하니, 좌성(左成)이 “안 됩니다. 주가 만일 듣지 않는다면 공(公)의 지략은 물거품이 되고 주와는 더욱 멀어질 것입니다. 주왕(周王)이 누구를 옹립하려는지 잘 살펴서 사마전에게 암시하게 하고, 그러면 사마전이 초 나라에게 태자에게 땅을 주어 도우라고 청하게 하는 형식이 좋겠습니다”라 했다. 과연 서주는 공자 구를 태자로 옹립했다.
八年, 秦攻宜陽,366) 楚救之. 而楚以周爲秦故, 將伐之.367) 蘇代爲周說楚王曰:「何以周爲秦之禍也?368) 言周之爲秦甚於楚者, 欲令周入秦也, 故謂『周秦』也.369) 周知其不可解, 必入於秦, 此爲秦取周之精者也.370) 爲王計者, 周於秦因善之, 不於秦亦言善之, 以疏之於秦.371) 周絶於秦, 必入於郢矣.」372)
8년, 진나라가 의양(宜陽)을 공격하자 초나라는 의양을 도왔다. 초는 주가 진을 도와서 출병했다고 생각해 주를 공격하려고 했다. 그러자 소대(蘇代)는 주를 위해서 초왕에게 이렇게 말했다. “어찌해 주나라가 진(秦)나라를 위해 출병했다고 생각하십니까? 주가 진을 위해서 출병한 군대가 초를 위해 출병했을 때보다 많다는 것은, 바로 주가 진의 품으로 들어가게 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세상에서는 ‘주진(周秦)’이라 부르는 것이지요. 주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면 분명 진에 투항할 것이니, 이것이 진이 주를 취하는 묘책인 것입니다. 임금을 위해서 묘책을 낸다면, 주가 진에 기울어도 잘 대하시고, 기울어지지 않더라도 잘 대해주어 주와 진이 소원해지게 하십시오. 주는 진과의 관계가 단절되면 분명 영(郢)에 투항할 것입니다.”
秦借道兩周之閒,373) 將以伐韓, 周恐借之畏於韓, 不借畏於秦. 史厭374)謂周君曰:375)「何不令人謂韓376)公叔曰『秦之敢絶周而伐韓者, 信東周也. 公何不與周地, 發質使之楚』?377) 秦必疑楚不信周, 是韓不伐也. 又謂秦曰『韓彊與周地, 將以疑周於秦也, 周不敢不受』. 秦必無辭而令周不受,378) 是受地於韓而聽於秦.」379)
진(秦)나라는 동주와 서주 사이의 길을 빌려서 한(韓)나라를 공격하려고 했다. 주는 길을 빌려주자니 한이 두려웠고, 빌려주지 않자니 진나라가 두려웠다. 이에 사염(史厭)은 주왕에게 다음과 같이 아뢰었다. “어찌해 사람을 보내 한공숙(韓公叔)에게 말하지 않으십니까? 그에게 ‘진이 감히 주의 땅을 넘어 한을 공격하는 것은 동주를 믿기 때문이다. 당신은 어찌해 주에 땅을 주지 않고 인질을 초 나라에 보내지 않느냐? 그렇게 하면 진은 반드시 초를 의심하고 주를 믿지 않게 될 것이니, 한나라는 정벌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씀하십시오. 또 진나라에는 ‘한이 억지로 주에 땅을 주는 것은 장차 진나라가 주를 의심하게 하려는 속셈이다. 주가 땅을 받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하십시오. 진나라는 한나라가 주는 토지를 주가 받지 말아야 할 명분을 찾지 못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한에서는 땅을 받고, 진에서는 양해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秦召西周君, 西周君惡往, 故令人謂韓王380)曰:「秦召西周君, 將以使攻王之南陽也, 王何不出兵於南陽? 周君將以爲辭於秦.381) 周君不入秦, 秦必不敢踰河而攻南陽矣.」382)
진이 서주의 왕을 부르자 서주 왕은 가고 싶지 않았으므로 한왕에게 사람을 보내 “진이 서주 왕을 부른 것은 한나라의 남양(南陽)을 공격하려는 것입니다. 왕은 어찌해 남양에 군대를 파병하지 않습니까? 그러면 주왕은 이것을 구실로 진에게 가지 않겠다고 거절할 수 있습니다. 주왕이 진에 가지 않으면 진은 결코 황하를 넘어서 남양을 치지 못할 것입니다”라 했다.
東周與西周戰, 韓救西周. 或爲東周說韓王曰:383)「西周故天子之國, 多名器重寶. 王案兵毋出, 可以德東周,384) 而西周之寶必可以盡矣.」385)
동주와 서주의 싸움에서 한은 서주를 도왔다. 그러자 동주를 위해서 어떤 이가 한왕에게 “서주는 원래 천자의 나라로 유명한 그릇과 귀중한 보배가 많습니다. 임금께서 군대를 멈추고 나가지 않는다면 동주를 감격시킬 것이며, 또한 서주는 도와달라고 부탁할 테니 서주의 보물은 모두 한으로 들어올 것입니다”라고 아뢰었다.
王赧謂成君. 楚圍雍氏,386) 韓徵甲與粟於東周, 東周君恐, 召蘇代而告之. 代曰:「君何患於是. 臣能使韓毋徵甲與粟於周, 又能爲君得高都.」387)周君曰:「子苟能, 請以國聽子.」代見韓相國曰:388)「楚圍雍氏, 期三月也, 今五月不能拔, 是楚病也.389) 今相國乃徵甲與粟於周, 是告楚病也.」韓相國曰:「善. 使者已行矣.」390)代曰:「何不與周高都?」韓相國大怒曰:「吾毋徵甲與粟於周亦已多矣,391) 何故與周高都也?」代曰:「與周高都, 是周折而入於韓也, 秦聞之必大怒忿周, 卽不通周使, 是以獘高都得完周也. 曷爲不與?」相國曰:「善.」果與周高都.392)
그 당시 주 난왕은 명칭만 왕이었다. 초가 한나라의 옹지(雍氏)를 포위하자 한은 동주에서 갑옷과 식량을 징발했다. 동주 왕은 두려워서 소대를 불러 이 사실을 알렸다. 소대는 말하기를 “천자께서는 무슨 걱정을 하십니까? 신이 한에게 주에서 갑옷과 곡식을 징발하지 못하게 하겠으며, 또 천자께서 고도(高都)를 얻으시도록 하겠습니다”라 했다. 그러자 주왕은 “그대가 그렇게 할 수 있다면 그대의 말에 따라서 국사를 처리하겠소”라고 대답했다.
이에 소대는 한나라의 상국(相國)을 만나서 말했다. “초 나라가 옹지를 포위하며 석 달을 기한으로 삼았는데, 지금 5개월이 지나도 함락시키지 못하는 것은 초가 지쳤다는 뜻입니다. 지금 상국께서 주나라에서 갑옷과 식량을 징발하는 것은 초에게 당신들이 지쳤다는 것을 알려주는 일입니다”라 했다. 그러자 한나라의 상국은 “그 말에 일리가 있소”라고 하고 사자(使者)의 출발을 멈추게 했다. 소대가 또 “어찌해 고도를 주에 주지 않습니까?”라고 묻자 한의 상국은 크게 노하여 말하기를 “내가 주에서 갑옷과 곡식을 징발하지 않는 것으로도 이미 충분하오. 무슨 이유로 주에게 고도를 주어야 하는 것이오?”라 했다.
이에 소대가 말했다. “고도를 주에게 주면 주는 굽혀서 한나라에 의탁할 것입니다. 진이 이 소문을 들으면 분명 주에게 크게 분노하여 주와 내왕을 하지 않을 것이니, 이렇게 되면 이미 파괴된 고도로써 완전한 동주를 얻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주지 않으시렵니까?” 그러자 상국은 좋다고 하고 고도를 주에게 주었다.
三十四年, 蘇厲謂周君曰:「秦破韓、魏, 扑師武,393) 北取趙藺、離石者,394) 皆白起也. 是善用兵, 又有天命. 今又將兵出塞攻梁,395) 梁破則周危矣. 君何不令人說白起乎? 曰『楚有養由基者, 善射者也. 去柳葉百步而射之, 百發而百中之. 左右觀者數千人, 皆曰善射. 有一夫立其旁, 曰「善, 可敎射矣」. 養由基怒, 釋弓搤劍, 曰「客安能敎我射乎」? 客曰「非吾能敎子支左詘右也.396) 夫去柳葉百步而射之, 百發而百中之, 不以善息,397) 少焉氣衰力倦, 弓撥矢鉤, 一發不中者, 百發盡息」.398) 今破韓、魏, 扑師武, 北取趙藺、離石者, 公之功多矣. 今又將兵出塞, 過兩周, 倍韓, 攻梁, 一擧不得, 前功盡棄. 公不如稱病而無出』.」399)
34년, 소려(蘇厲)가 주군에게 아뢰었다.
진(秦)이 한(韓), 위(魏), 사무(師武)를 격파하고 북으로 조나라의 인(藺)과 이석(離石)을 빼앗은 것은 모두 백기(白起)가 지휘한 것입니다. 그는 용병에 능하고 하늘의 뜻도 받았습니다. 그는 지금 또 병사를 새(塞)로 출동시켜서 양(梁)을 공격하려고 하는데, 양이 파괴되면 주가 위험해집니다. 천자께서는 어찌해 사람을 백기에게 보내 말하지 않으시는지요? 이렇게 말하게 하십시오. “초에 양유기(養由基)란 자가 있는데 활을 잘 쏜다. 버들잎에서 백 걸음이나 떨어져서 화살을 쏘아도 백발백중이므로 좌우에서 지켜보던 수천명의 사람들이 모두 참으로 잘 쏜다고 입을 모으곤 했다.
그때 어떤 자가 그 옆에 서서 ‘훌륭하다. 내가 활쏘기를 가르칠 수는 있겠구나’라고 하자, 양유기가 노하여 활을 놓고 검을 집어들고서 ‘당신이 어떻게 내게 활쏘기를 가르칠 수 있소?’라고 물었다. 그러자 그는 ‘나는 그대에게 왼손으로 버티고 오른손을 구부리는 활 쏘는 자세를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이 아니오. 버들잎에서 백 걸음 떨어져서 활을 쏘아 백발백중한다고 해도, 가장 좋은 때 멈추지 않는다면 기력이 쇠해져서 활은 휘고 화살이 구부러지게 되오. 한 발이라도 맞지 않는다면 백발백중이라는 이전의 성적은 다 취소되는 것이오’라고 말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지금 한, 위, 사무를 격파하고, 북으로 조의 인읍과 이석읍을 빼앗았으니 그대의 공이 대단히 크다. 지금 또 병사를 새(塞)로 출동시켜서 동서의 두 주나라 사이를 지나 한을 등지고 양을 공격하려고 하는데, 이번에 승리하지 못하면 앞에서 세운 공이 모두 사라질 것이다. 따라서 병이 났다고 핑계대고 출전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라고 말입니다.
四十二年, 秦破華陽約.400) 馬犯謂周君曰:「請令梁城周.」401)乃謂梁王曰:「周王病若死, 則犯必死矣.402) 犯請以九鼎自入於王, 王受九鼎而圖犯.」403)梁王曰:「善.」遂與之卒, 言戍周.404) 因謂秦王曰:「梁非戍周也, 將伐周也. 王試出兵境以觀之.」405)秦果出兵. 又謂梁王曰:406)「周王病甚矣, 犯請後可而復之.407) 今王使卒之周, 諸侯皆生心, 後擧事且不信. 不若令卒爲周城, 以匿事端.」408)梁王曰:「善.」遂使城周.409)
42년, 진은 화양(華陽)의 조약을 어겼다. 주의 신하 마범(馬犯)은 주왕에게 “양(梁)에게 주(周)에 성을 쌓으라고 하십시오”라고 말했다. 그리고 양왕에게는 “주왕께서 진이 쳐들어올까 걱정하다가 병이 나서 돌아가시면 신하인 이몸 또한 분명 죽임을 당할 것입니다. 신은 주왕의 구정을 임금께 바치려고 하는데, 임금께서 구정을 받으시거든 신을 살려주십시오”라고 말했다. 그러자 양왕은 좋다고 대답했다. 양왕은 그에게 군대를 주어 주를 지키게 했다. 마범은 정세를 살펴 진왕에게 “양(梁)나라가 주에 와 있는 것은 주의 변경을 지키려는 것이 아니라, 실은 토벌하려는 것입니다. 못 믿으시겠다면 병사를 국경에 보내어 한번 살펴보십시오.”라고 하니 진은 과연 파병했다.
마범은 다시 양왕에게 말했다. “주왕의 병이 심한지라 구정을 보내드리는 것은 주왕의 허락을 받은 후에 신이 다시 회답을 드렸으면 합니다. 지금 임금께서 병사를 주(周)에 보내셔서 제후들이 모두 의심을 하므로 앞으로 어떤 일을 하시더라도 신용이 없을 듯합니다. 병사들에게 주나라에 성을 쌓게 해 사건의 발단을 감추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에 양왕은 좋다고 하고서 주나라에 성을 쌓도록 했다.
四十五年, 周君之秦客謂周(最)[聚]曰:410)「公不若譽秦王之孝, 因以應爲太后養地,411) 秦王必喜, 是公有秦交. 交善, 周君必以爲公功. 交惡, 勸周君入秦者必有罪矣.」412)秦攻周, 而周聚謂秦王曰:「爲王計者不攻周. 攻周, 實不足以利, 聲畏天下. 天下以聲畏秦, 必東合於齊. 兵獘於周. 合天下於齊, 則秦不王矣. 天下欲獘秦, 勸王攻周. 秦與天下獘, 則令不行矣.」413)
45년, 주나라에 와 있는 진나라 빈객이 주취(周冣)에게 말했다. “공께서 진나라 왕의 효성을 칭송하며 응(應) 땅을 진나라 태후(太后)의 식읍으로 보내는 것이 좋을 것이오. 그렇게 하면 진왕은 분명 기뻐할 것이고, 진나라와 교분을 가지게 될 것이오. 양국의 관계가 좋게 되면 주왕은 필시 공의 공적이라 생각할 것이지만, 관계가 나쁘면 진나라에 의탁하게 주왕에게 권한 사람이 유죄가 될 것이오”라 했다.
진이 주를 공격하니 주취가 진왕에게 말했다. “임금을 위해서 계책을 말씀드린다면, 주를 공격하지 마시라는 것입니다. 주를 공격하는 것은 실로 이롭지 않으며 천하를 두렵게 할 뿐입니다. 천하가 진을 두려워하면 틀림없이 동쪽으로 제(齊)와 연합할 것입니다. 진의 병사들이 주를 공격하다가 지치면 천하가 제와 연합할 것이고, 그러면 진은 천하를 통일하지 못합니다. 천하가 진을 지치게 하려고 임금께 주를 치도록 권한 것입니다. 진이 세상 사람들의 계획대로 지쳐버린다면 모든 정령(政令)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
五十八年, 三晉距秦. 周令其相國之秦, 以秦之輕也, 還其行.414) 客謂相國曰:「秦之輕重未可知也.415) 秦欲知三國之情. 公不如急見秦王曰『請爲王聽東方之變』, 秦王必重公. 重公, 是秦重周, 周以取秦也;齊重, 則固有周聚416)以收齊:是周常不失重國之交也.」417)秦信周, 發兵攻三晉.418)
58년, 3진(三晉)이 진(秦)에 저항했다. 주는 상국을 진(秦)으로 보냈으나 진이 무시했기에 도중에 되돌아갔다. 그러자 빈객이 상국에게 말했다. “진이 그대를 무시하는 것인지 중시하는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소. 진은 지금 3국(三國)의 사정을 가장 알고 싶어하니, 공께서 어서 진왕을 알현하고 ‘임금께 동방의 사정을 들려드리고자 합니다’라고 말하는 것이 좋을 것이오. 그러면 진왕은 필시 공을 중시할 것이오. 공을 중시한다는 것은 바로 진이 주나라를 중시한다는 것이니, 주가 진에게 중시되는 것이오. 제가 주를 중시하게 된 것은 주취(周聚)가 일찍이 제에서 신임을 얻었기 때문이오. 이렇게 되면 주는 항상 강국과의 우호관계를 잃지 않을 수 있소.” 과연 진은 주를 믿고 군대를 파견해 3진을 공격했다.
五十九年, 秦取韓陽城負黍,419) 西周恐, 倍秦, 與諸侯約從,420) 將天下銳師出伊闕攻秦,421) 令秦無得通陽城. 秦昭王怒, 使將軍摎422)攻西周. 西周君奔秦,423) 頓首受罪, 盡獻其邑三十六, 口三萬.424) 秦受其獻, 歸其君於周.
59년, 진이 한나라의 양성(陽城)과 부서(負黍)를 빼앗았다. 이에 서주는 두려워 진을 배반하고 제후들과 합종(合從)해 천하의 정예부대를 이궐(伊闕)로 보내 진을 공격해 진군이 양성을 통과할 수 없게 했다. 진 소왕(秦昭王)이 노하여 장군 규(摎)로 하여금 서주를 공격하게 했다. 그러자 서주 왕은 진으로 달려가서 머리를 조아리고 죄를 인정하며 주나라의 36개 읍과 주민 30,000명을 바쳤다. 진은 그의 헌상물을 받아들이고 서주 왕을 돌려보냈다.
周君、王赧卒,425) 周民遂東亡. 秦取九鼎寶器, 而遷西周公於憚狐.426) 後七歲, 秦莊襄王滅東(西)周.427) 東西周皆入于秦, 周旣不祀.428)
주왕 난(赧)이 죽자 주의 백성은 동쪽으로 도망갔다. 진은 구정 등 귀중한 그릇을 빼앗고 서주공(西周公)을 탄호(憚狐)로 내쫓았다. 그 후 7년 진(秦)의 장양왕(莊襄王)이 동주를 멸했다. 이리하여 동주와 서주는 모두 진에 속하게 되었고, 주는 결국 제사를 이을 수 없게 되었다.
太史公曰:學者皆稱周伐紂, 居洛邑, 綜其實不然. 武王營之, 成王使召公卜居, 居九鼎焉, 而周復都豐、鎬. 至犬戎敗幽王, 周乃東徙于洛邑. 所謂「周公葬(我)[於]畢」, 畢在鎬東南杜中.429) 秦滅周. 漢興九十有餘載, 天子將封泰山, 東巡狩至河南, 求周苗裔, 封其後嘉三十里地, 號曰周子南君,430) 比列侯, 以奉其先祭祀.431)
태사공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학자들은 모두 주(周)가 주(紂)를 정벌한 후 낙읍에 도읍을 세웠다고 하지만 그 실상을 종합해보면 그렇지 않다. 무왕이 낙읍에 도읍을 건설하고 성왕이 소공에게 살기에 적당한가를 점치게 한 후 그곳에 구정을 옮겨 왔으나 주는 다시 풍(豐)과 호(鎬)에 도읍을 정했다. 견융이 유왕을 물리치자 주는 비로소 낙읍으로 동천했다. ‘주공이 필(畢)에서 장사 지내다’에 나오는 ‘필’은 호경의 동남쪽에 있는 두중(杜中)이다. 진(秦)이 주를 멸했다. 한이 창건하고 90여 년 후, 천자가 태산에서 제사 지내려고 동으로 순수(巡狩)하며 하남에 이르러 주의 후손을 찾아서 그 후 손 가(嘉)에게 사방 30리 땅을 봉해 그를 ‘주 자남군(周子南君)’이라고 칭하니, 그는 열후(烈侯)의 지위에 비견되었으며, 선조의 제사를 받들게 되었다.”
각주
286 正義卽王城也. 平王以前號東都, 至敬王以後及戰國爲西周也. 287 集解周禮曰:「九命作伯.」鄭衆云:「長諸侯爲方伯.」 288 正義音甫. 289 索隱在魯隱公六年. 290 索隱左傳鄭伯以璧仮許田, 卒易祊. 祊是鄭祀太山之田, 許是魯朝京師之湯沐邑, 有周公廟, 鄭以其近, 故易取之. 此云「許田天子用事太山田」, 誤. 正義杜預云:「成王營王城, 有遷都之志, 故賜周公許田, 以爲魯國朝宿之邑, 後世因而立周公別廟焉. 鄭桓公友, 周宣王之母弟, 封鄭, 有助祭泰山湯沐邑在祊. 鄭以天子不能復巡狩, 故欲以祊易許田, 各從本國所近之宜也. 恐魯以周公別廟爲疑, 故云已廢泰山之祀, 而欲爲魯祀周公, 遜辭以求也.」括地志云:「許田在許州許昌縣南四十里, 有魯城, 周公廟在城中. 祊田在沂州費縣東南.」按:宛, 鄭大夫. 291 正義子允令公子翬殺隱公也. 292 索隱在魯桓五年. 293 索隱左傳繻葛之役, 祝聃射王中肩是也. 294 集解賈逵曰:「莊王弟子儀也.」 295 集解賈逵曰:「辛伯, 周大夫也.」 296 索隱左傳曰:「初, 子儀有寵於桓王, 桓王屬諸周公. 辛伯諫曰:『並后匹嫡, 兩政耦國, 亂之本也.』周公不從, 故及於難.」然周公阿先王旨, 自取誅夷, 辛伯正君臣之義, 卒安王業, 二卿優劣誠可識也. 297 正義杜預云:「南燕, 姞姓也.」 298 正義釐音僖. 299 索隱系本名毋凉. 正義謐作「毋凉」也. 300 正義杜預云:「姚姓也.」 301 索隱莊王子, 釐王弟, 惠王之叔父也. 302 集解左傳曰大臣, 蔿國也. 303 集解左傳曰五人者, 蔿國, 邊伯、詹父、子禽、祝跪也. 304 正義南燕, 滑州胙城. 衛, 澶州衛南也. 305 正義左傳云蘇忿生十二邑, 桓王奪蘇子十二邑與鄭, 故蘇子同五大夫伐惠王. 溫, 十二邑之一也. 杜預云河內溫縣也. 306 集解服虔曰:「櫟, 鄭大都.」正義杜預云:「櫟, 今河南陽翟縣也.」 307 集解賈逵曰:「遍舞, 皆舞六代之樂也.」 308 正義賈逵云:「鄭厲公突、虢公林父也.」 309 集解左傳曰:「陳嬀歸于京師, 實惠后也.」正義按:陳國, 舜後, 嬀姓也. 310 索隱惠王子, 襄王弟, 封於甘, 故左傳稱甘昭公. 正義惠王子, 襄王弟, 封之於甘. 括地志云:「故甘城在洛州河南縣西南二十五里. 左傳云甘昭公, 王子叔帶也. 洛陽記云河南縣西南二十五里, 甘水出焉, 北流入洛. 山上有甘城, 卽甘公菜邑也.」 311 集解服虔曰:「戎伐周, 晉伐戎救周, 故和也.」 312 集解杜預曰:「國子, 高子, 天子所命爲齊守臣, 皆上卿也.」 313 集解賈逵曰:「節, 時也.」王肅曰:「春秋聘享之節也.」 314 集解服虔曰:「陪, 重也. 諸侯之臣於天子, 故曰陪臣.」 315 集解賈逵曰:「舅氏, 言伯舅之使也.」正義武王娶太公女爲后, 故呼舅氏, 遠言之, 我善汝有平戎之功勳. 316 正義杜預云:「管仲不敢以職自高, 卒受本位之禮也.」 317 集解左傳曰:「王召之.」 318 集解賈逵曰:「滑, 姬姓之國.」駰按:左傳曰「滑人叛鄭而服於衛」也. 正義杜預云滑國都費, 河南緱氏縣, 爲秦所滅, 時屬鄭、晉, 後屬周. 事在魯釐公二十年. 括地志云:「緱氏故城本費城也, 在洛州緱氏縣(南)東二十五里也.」 319 集解賈逵曰:「二子, 周大夫.」 320 集解服虔曰:「惠王以后之鞶鑒與鄭厲公, 而獨與虢公玉爵.」正義左傳云:「莊公二十一年, 王巡虢狩, 虢公爲王宮于蚌, 王與之酒泉, 鄭伯之享王, 王以后之鞶鑒與之. 虢公請器, 王與之爵. 鄭伯由是怨王也.」杜預云:「后鞶帶而以鏡爲飾也. 爵, 飮酒器也. 蚌, 地. 酒泉, 周邑.」 321 集解服虔曰:「滑, 小國, 近鄭, 世世服從, 而更違叛, 鄭師伐之, 聽命, 後自愬於王, 王以與衛.」 322 集解服虔曰:「富辰, 周大夫.」 323 集解唐固曰:「譚伯, 周大夫原伯、毛伯也.」索隱按:國語亦云「殺譚伯」, 而左傳太叔之難, 獲周公忌父、原伯、毛伯, 唐固據傳文讀「譚」爲「原」, 然春秋有譚, 何妨此時亦仕王朝, 預獲被殺? 國語旣云「殺譚伯」, 故太史公依之, 不從左傳說也. 324 正義公羊傳云:「王者無外, 此其言出, 何? 不能事母也.」 325 集解杜預曰:「鄭南氾在襄城縣南.」正義氾音凡. 括地志云:「故氾城在許州襄城縣一里. 左傳云『天王出居於鄭, 處於氾』是.」 326 正義括地志云:「故溫城在懷州溫縣西三十里, 漢、晉爲縣, 本周司寇蘇忿生之邑. 左傳云周與鄭人蘇忿生十二邑, 溫其一也. 地理志云溫縣, 故國, 己姓, 蘇忿生所封也.」 327 正義賈逵云:「晉有功, 賞之以地, 楊樊、溫、原、攢茅之田也.」 328 集解賈逵曰:「河陽, 晉之溫也. 踐土, 鄭地名, 在河內.」正義括地志云:「故王宮在鄭州滎澤縣西北十五里王宮城中. 左傳云晉文公敗楚于城濮, 至于衡雍, 作王宮于踐土也.」按:王城則所作在踐土城內. 東北隅有踐土臺, 東去衡雍三十餘里也. 329 集解左傳曰:「仲尼曰『以臣召君, 不可以訓』, 故書曰『狩』.」 330 集解地理志陸渾縣屬弘農郡. 正義渾音魂. 杜預云:「允姓之戎居陸渾, 在秦、晉西北, 二國誘而徙之伊川, 遂從戎號, 今洛州陸渾縣, 取其號也.」後漢書云陸渾戎自瓜州遷於伊川. 左傳云:「初, 平王之東遷也, 辛有適伊川, 見被髮而祭於野者, 曰『不及百年, 此其戎乎? 其禮先亡矣』.」按:至僖公二十二年秋, 秦、晉遷陸渾之戎於伊川, 計至辛有言, 適百年也. 括地志云:「故麻城謂之蠻中, 在汝州梁縣界. 左傳『單浮餘圍蠻氏』, 杜預云『城在河南新城東南, 伊洛之戎陸渾蠻氏城也. 俗以爲麻蠻聲相近故耳』.」按:新城, 今伊闕縣是也. 331 集解賈逵曰:「王孫滿, 周大夫也.」 332 集解皇覽曰:「靈王冢在河南城西南柏亭西周山上. 蓋以靈王生而有髭, 而神, 故謚靈王. 其冢, 民祀之不絶.」 333 索隱名貴. 按國語景王二十一年鑄大錢及無射, 單穆公及泠州鳩各設辭以諫. 今此不言, 亦其疏略耳. 334 集解賈逵曰:「景王之長庶子.」 335 正義左傳云:「子朝用成周之寶珪沈於河, 津人得諸河上.」杜預云:「禱河求福也, 珪自出水也.」按:河神不敢受故. 336 集解皇覽曰:「景王冢在洛陽太倉中. 秦封呂不韋洛陽十萬戶, 故大其城幷圍景王冢也.」 337 集解賈逵曰:「敬王, 猛母弟.」 338 集解賈逵曰:「澤邑, 周地也.」 339 集解春秋曰:「子朝奔楚.」皇覽曰:「子朝冢在南陽西鄂縣. 今西鄂晁氏自謂子朝後也.」 340 集解徐廣曰:「皇甫謐曰敬王四十四年, 元己卯, 崩壬戌也.」 341 集解徐廣曰:「世本云貞王介也.」 342 集解徐廣曰:「世本云元王赤也.」皇甫謐曰:「元王十一年癸未, 三晉滅智伯, 二十八年崩, 三子爭立, 立應爲貞定王.」索隱系本云元王赤, 皇甫謐云貞定王. 考據二文, 則是元有兩名, 一名仁, 一名赤. 如史記, 則元王爲定王父, 定王卽貞王也;依系本, 則元王是貞王子. 必有一乖誤. 然此「定」當爲「貞」, 字誤耳. 豈周家有兩定王, 代數又非遠乎? 皇甫謐見此, 疑而不決, 遂彌縫史記、系本之錯謬, 因謂爲貞定王, 未爲得也. 343 集解徐廣曰:「皇甫謐曰貞定王十年, 元癸亥, 崩壬申.」 344 集解徐廣曰:「皇甫謐曰考哲王元辛丑, 崩乙卯.」 345 正義帝王世紀云:「考哲王封弟揭於河南, 續周公之官, 是爲西周桓公.」按:自敬王遷都成周, 號東周也. 桓公都王城, 號西周桓公. 346 集解徐廣曰:「惠公之子也.」正義鞏音拱. 郭緣生述征記鞏縣, 周地, 鞏伯邑. 史記周顯王二年西周惠公封少子班於鞏, 以奉王室, 爲東周惠公也. 子武公, 爲秦所滅. 347 索隱考王封其弟于河南, 爲桓公. 卒, 子威公立. 卒, 子惠公立. 長子曰西周公. 又封少子於鞏, 乃襲父號曰東周惠公. 於是有東西二周也. 按:系本「西周桓公名揭, 居河南;東周惠公名班, 居洛陽」是也. 348 集解徐廣曰:「皇甫謐曰元丙辰, 崩己卯.」駰案:宋衷曰「威烈王葬洛陽城中東北隅」也. 349 集解皇甫謐曰:「安王元庚辰, 崩乙巳.」 350 索隱老子列傳曰「儋卽老子」耳, 又曰「非也」, 驗其年代是別人. 正義幽王時有伯陽甫. 唐固曰:「伯陽甫, 老子也.」按:幽王元年至孔子卒三百餘年, 孔子卒後一百二十九年, 儋見秦獻公. 然老子當孔子時, 唐固說非也. 351 正義秦本紀云獻公十一年見, 見後十五年, 周顯王致文武胙於秦孝公, 是復合時也. 352 集解應劭曰:「周孝王封伯翳之後爲侯伯, 與周別五百載. 至昭王時, 西周君臣自歸受罪, 獻其邑三十六城, 合也.」韋昭曰:「周封秦爲始別, 謂秦仲也. 五百歲, 謂從秦仲至孝公彊大, 顯王致伯, 與之親合也.」索隱按:周封非子爲附庸, 邑之秦, 號曰秦嬴, 是始合也. 及秦襄公始列爲諸侯, 是別之也. 自秦列爲諸侯, 至昭王五十二年, 西周君臣獻邑三十六城以入於秦, 凡五百一十六年, 是合也. 云「五百」, 擧其大數. 353 集解徐廣曰:「從此後十七年而秦昭王立.」駰案:韋昭曰「武王、昭王皆伯, 至始皇而王天下」. 索隱霸王, 謂始皇也. 自周以邑入秦, 至始皇初立, 政由太后、嫪毐, 至九年誅毐, 正十七年. 正義周始與秦國合者, 謂周、秦俱黃帝之後, 至非子未別封, 是合也. 而別者, 謂非子末年, 周封非子爲附庸, 邑之秦, 後二十九君, 至秦孝公二年五百載, 周顯王致文武胙於秦孝公, 復與之親, 是復合也. 合十七歲而霸王者出, 謂從秦孝公三年至十九年周顯王致胙於秦孝公, 是霸也. 孝公子惠王稱王, 是王者出也. 然五百載者, 非子生秦侯已下二十八君, 至孝公二年, 都合四百八十六年, 兼非子邑秦之後十四年, 則成五百. 354 正義扁, 邊典反. 355 集解胙, 膰肉也. 左傳曰:「王使宰孔賜齊侯胙, 曰天子有事于文武.」 356 正義秦本紀云惠王十三年, 與韓、魏、趙並稱王. 357 索隱謂韓、魏、齊、趙也. 358 索隱皇甫謐云名誕. 赧非謚, 謚法無赧. 正以微弱, 竊鈇逃債, 赧然慚愧, 故號曰「赧」耳. 又按:尙書中候以「赧」爲「然」, 鄭玄云「然讀曰赧」. 王劭按:古音人扇反, 今音奴板反. 爾雅曰面慚曰赧. 359 索隱西周, 河南也. 東周, 鞏也. 王赧微弱, 西周與東分主政理, 各居一都, 故曰東西周. 按:高誘曰西周王城, 今河南. 東周成周, 故洛陽之地. 360 正義敬王從王城東徙成周, 十世至王赧, 從成周西徙王城, 西周武公居焉. 361 集解徐廣曰:「惠公之長子.」索隱按:戰國策作東周武公. 362 正義翦音子踐反, 楚臣也. 363 正義楚臣也. 364 正義言以地資公子咎請爲太子, 周若不許, 是楚於周交益疏. 365 正義楚命翦適周, 諷周君欲立誰, 以微言告於翦, 翦令楚(賀)[資]之以地, 周果立咎爲太子也. 此以上至「西周武公」, 是楚令周立公子咎爲太子也. 366 正義括地志云:「故韓城一名宜陽城, 在洛州福昌縣東十四里, 卽韓宜陽縣城也.」 367 索隱宜陽, 韓地, 秦攻而楚救之, 周爲韓出兵, 而楚疑周爲秦, 因加兵伐周. 368 索隱蘇代爲周說楚王, 王何以道周爲秦, 周實不爲秦也. 今王責周道爲秦, 周懼楚, 必入秦, 是爲禍也. 369 索隱周、秦相近, 秦欲幷周而外睦於周, 故當時諸侯咸謂「周秦」. 370 正義解音紀買反. 代言周若知楚疑親秦, 其計定不可解免, 周必親於秦也. 是爲秦取周精妙之計. 371 正義代言爲王計者, 周親秦, 因而善之;周不親, 亦言善之. 楚若善周, 周必疏於秦也. 372 正義郢, 楚都也. 楚旣親周, 秦必絶周親楚矣. 以上至「八年」, 蘇代說楚合周. 373 正義上「借」音精夕反, 下音子夜反. 374 正義烏減反, 又於點反. 375 索隱周君, 西周武公也. 時王赧微弱, 不主盟會, 寄居西周耳. 376 集解徐廣曰:「一作『何』. 應劭(曰)氏姓注云以何姓爲韓後.」 377 正義質音竹利反. 使音所吏反. 質使, 令公子及重臣等往楚爲質, 使秦疑楚, 又得不信周也. 質平敵不相負也. 378 正義又謂秦曰:「韓强與周地, 令秦疑周親韓, 則周不敢不受, 秦必無巧辭而令周不敢(不)受韓地也.」 379 索隱此史厭說韓, 令與周地, 使質於楚, 令秦疑楚不信周, 得不仮道伐韓, 而猶聽命於秦. 380 索隱按:戰國策云或人爲周君謂魏王云者也. 381 索隱高誘注戰國策曰:「以魏兵在河南爲辭, 周君不往朝秦也.」 382 正義南陽, 今懷州也. 杜預云在晉山南河北. 以上至「秦召西周君」, 是西周君說韓令出兵河南謀秦也. 383 正義爲音于僞反. 乃或人爲東周說韓王, 令按兵無出, 則周德韓矣. 384 正義韓按兵不出伐東周, 而東周甚媿韓之恩德也. 385 正義韓出兵助西周, 雖不攻東周, 西周媿其佐助, 寶器必盡歸於韓. 以上至「東周與西周戰」, 是或人說韓令無救西周也. 386 集解徐廣曰:「陽翟雍氏城也. 戰國策曰『韓兵入西周, 西周令成君辯說秦求救』, 當是說此事而脫誤也.」索隱如徐此說, 自合當改而注結之, 不合與「楚圍雍氏」連注. 正義雍音於恭反. 括地志云:「故雍城在洛州陽翟縣東北二十五里, 故老云黃帝臣雍父作杵臼所封也.」按:其地時屬韓也. 387 集解徐廣曰:「今河南新城縣高都城也.」索隱高誘云:「高都, 韓邑, 今屬上黨也.」正義括地志云;「高都故城一名郜都城, 在洛州伊闕縣北三十五里.」 388 集解漢書百官表曰:「相國, 秦官.」駰謂韓亦有相國, 然則諸國共放秦也. 索隱相國, 公仲侈也. 389 正義謂楚兵弊弱也. 390 索隱已, 止也. 391 正義言幸甚也. 392 正義以上至「楚圍雍氏」, 是蘇代爲東周說韓, 令不徵甲而得高都. 393 集解徐廣曰:「扑, 一作『仆』. 戰國策曰秦敗魏將犀武於伊闕.」 394 集解地理志曰西河郡有藺、離石二縣. 正義藺音力刃反. 括地志云:「離石縣, 今石州所理縣也.」藺近離石, 皆趙二邑. 395 正義謂伊闕塞也, 在洛州南十九里. 伊闕山今名鍾山. 酈元注水經云:「兩山相對, 望之若闕, 伊水歷其閒, 故謂之伊闕.」按:今謂之龍門, 禹鑿以通水也. 396 索隱按:列女傳云「左手如拒, 右手如附枝, 右手發之, 左手不知, 此射之道也」. 又越絶書曰「左手如附泰山, 右手如抱嬰兒」. 397 索隱言不以其善而且停息. 息, 止也. 398 索隱息猶棄. 言幷棄前善. 399 正義以上至「三十四年」, 是蘇厲爲周說白起無伐梁也. 400 集解徐廣曰;「一作『厄』.」正義司馬彪云:「華陽, 亭名, 在密縣. 秦昭王三十三年, 秦背魏約, 使客卿胡傷擊魏將芒卯華陽, 破之.」六國年表云:「白起擊魏華陽, 芒卯走.」括地志云:「故華陽城在鄭州管城縣南四十里是.」按:馬犯見秦破魏華陽約, 懼周危, 故謂「請梁城周」也. 401 索隱華陽, 地名. 司馬彪曰:「華陽, 亭名, 在密縣. 秦昭王三十三年, 秦背魏約, 使客卿胡傷擊魏將芒卯華陽, 破之.」是馬犯見秦破魏約, 懼周危, 故謂周君請梁城周, 而設詭計也. 402 正義馬犯, 周臣也. 乃說梁王曰, 秦破魏華陽之軍, 去周甚近, 周王憂懼國破, 猶身之重病, 若死, 則犯必死也. 403 索隱圖, 謀也. 犯謂梁王, 我方入鼎於王, 王當謀救援己也. 404 正義戍, 守也. 周雖未入九鼎於梁, 而梁信馬犯矯言, 遂與之卒, 令守周. 405 正義梁兵非戍周也, 將漸伐周而取九鼎寶器, 王若不信, 試出師於境, 以觀梁王之變也. 406 正義馬犯說秦, 得秦出兵於境, 又重歸說梁王也. 407 索隱按:戰國策「甚」作「瘉」. 犯請後可而復之者, 言王病愈, 所圖不遂, 請得在後有可之時以鼎入梁也. 正義復音扶富反. 復, 重也. 秦旣破華陽軍, 今又出兵境上, 是周國病秦久矣. 犯前請卒戍周, 諸侯皆心疑梁取周, 後可更重請益卒守周乎? 408 索隱梁實圖周九鼎, 且外遣卒戍周和合. 秦擧兵欲侵周, 梁不救周, 是本無善周之事, 止是欲周危而取九鼎, 故諸侯皆心不信梁矣. 故不如匿事端, 使卒爲周城. 正義旣諸侯生心, 不如令卒便爲築城, 以隱匿疑伐周之事端, 絶諸侯不信之心. 梁王遂使城周, 解諸侯之疑也. 409 正義以上至「四十二年」, 是馬犯說梁王爲周築城也. 410 索隱(最)[聚]音詞喩反, 周之公子也. 411 集解徐廣曰:「地理志云應, 今潁川父城縣應鄕是也.」索隱戰國策作「原」. 原, 周地. 太后, 秦昭王母宣太后羋氏也. 正義括地志云:「故應城, 殷時應國, 在(城)父[城].」按:應城此時屬周. 太后, 秦昭王母宣太后羋氏. 412 正義客謂周聚曰, 周君與秦交善, 是聚之功也. 與秦交惡, 勸周君入秦者周聚, 今必得勸周君之罪也. 以上至「四十五年」, 是周客說周聚, 令周君以應入秦, 得交善而歸也. 413 正義令音力政反. 秦欲攻周, 周聚說秦曰, 周, 天子之國, 雖有重器名寶, 土地狹少, 不足利秦國. 王若攻之, 乃有攻天子之聲, 而令天下以攻天于之聲畏秦, 使諸侯歸於齊, 秦兵空獘於周, 則秦不王矣. 是天下欲獘秦, 故勸王攻周, 令秦受天下獘, 而令敎命不行於諸侯矣. 以上至「秦攻周」, 是周聚說秦也. 414 正義以秦輕易周相, 故相國於是反歸周也. 415 正義言秦之輕相國重相國, 亦未可知. 416 集解徐廣曰:「一作『■』, ■亦古之聚字.」 417 正義按:周聚事齊而和於齊周, 故得齊重. 今相國又得秦重, 是相國收秦, 周聚收齊, 周常不失大國之交也. 418 正義三晉, 韓、魏、趙也. 以上至「五十八年」, 是客說周相國, 令報三國之情, 得秦重也. 419 集解徐廣曰:「陽城有負黍聚.」正義括地志云:「陽城, 洛州縣也. 負黍亭在陽城縣西南三十五里. 故周邑. 左傳云『鄭伐周負黍』是也.」今屬韓國也. 420 集解文穎曰:「關東爲從, 關西爲橫.」孟康曰:「南北爲從, 東西爲橫.」瓚曰:「以利合曰從, 以威勢相脅曰橫.」正義按:諸說未允. 關東地南北長, 長爲從, 六國共居之. 關西地東西廣, 廣爲橫, 秦獨居之. 421 正義西周以秦取韓陽城、負黍, 恐懼, 倍秦之約, 共諸侯連從, 領天下銳師, 從洛州南出伊闕攻秦軍, 令不得通陽城. 422 集解漢書百官表曰:「前、後、左、右將軍, 皆周末官也.」正義摎音紀虯反. 423 正義謂西周武公. 424 索隱秦昭王之五十二年. 425 集解宋衷曰:「謚曰西周武公.」索隱非也. 徐以西周武公是惠公之長子, 此周君卽西周武公也. 蓋此時武公與王赧皆卒, 故連言也. 正義劉伯莊云:「赧是慚恥之甚, 輕微危弱, 寄住東西, 足爲慚赧, 故號之曰赧.」帝王世紀云:「名誕. 雖居天子之位號, 爲諸侯之所役逼, 與家人無異. 名負責於民, 無以得歸, 乃上臺避之, 故周人名其臺曰逃責臺.」 426 集解徐廣曰:「■音憚. ■狐聚與陽人聚相近, 在洛陽南百五十里梁、新城之閒.」索隱西周, 蓋武公之太子文公也. 武公卒而立, 爲秦所遷. 而東周亦不知其名號. 戰國策雖有周文君, 亦不知滅時定當何主. 蓋周室衰微, 略無紀錄, 故太史公雖考衆書以卒其事, 然二國代系甚不分明. 正義括地志云:「汝州外古梁城卽■狐聚也. 陽人故城卽陽人聚也, 在汝州梁縣西四十里, 秦遷東周君地. 梁亦古梁城也, 在汝州梁縣西南十五里. 新城, 今洛州伊闕縣也.」按:■狐、陽人傍在三城之閒. 427 集解徐廣曰:「周比亡之時, 凡七縣, 河南、洛陽、谷城、平陰、偃師、鞏、緱氏.」正義括地志云:「故谷城在洛州河南縣西北十八里苑中. 河陰縣城本漢平陰縣, 在洛州洛陽縣東北五十里. 十三州志云在平津大河之南也. 魏文帝改曰河陰.」 428 集解皇甫謐曰:「周凡三十七王, 八百六十七年.」索隱旣, 盡也. 日食盡曰旣. 言周祚盡滅, 無主祭祀. 正義按:王赧卒後, 天下無主三十五年, 七雄並爭. 至秦始皇立, 天下一統, 十五年, 海內咸歸於漢矣. 429 集解徐廣曰:「一作『社』.」 430 集解瓚曰:「汲冢古文謂衛將軍文子爲子南彌牟, 其後有子南勁, 朝于魏, 後惠成王如衛, 命子南爲侯. 秦井六國, 衛最爲後, 疑嘉是衛後, 故氏子南而稱君也.」正義括地志云:「周承休城一名梁雀塢, 在汝州梁縣東北二十六里. 帝王世紀云『漢武帝元鼎四年, 東巡河洛, 思周德, 乃封姬嘉三千戶, 地方三十里, 爲周子南君, 以奉周祀. 元帝初元五年, 嘉孫延年進爵爲承休侯』, 在此城也. 平帝元始四年, 進爲鄭公. 光武建武十三年, 封於觀, 爲衛公.」顔師古云:「子南, 其封邑之號, 爲周後, 故總言周子南君.」按:自嘉以下皆姓姬氏, 著在史傳. 瓚言子南爲氏, 恐非. 431 集解徐廣曰:「自周亡乙巳至元鼎四年戊辰, 一百四十四年, 漢之九十四年也. 漢武元鼎四年封周後也.」 |
'中國歷史와文學 > 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史記 卷五. 秦本記 Ⅱ (0) | 2019.05.11 |
---|---|
史記 卷五. 秦本紀 Ⅰ (0) | 2019.05.11 |
史記 卷四. 周本記 Ⅱ (0) | 2019.05.11 |
史記 卷四. 周本記 Ⅰ (0) | 2017.06.22 |
史記 卷三. 殷本記 (0) | 2017.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