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中國歷史와文學/史記

史記 卷五. 秦本記 Ⅱ

by 柳川 2019. 5. 11.

史記 卷五. 秦本記 Ⅱ



康公元年. 往歲繆公之卒, 晉襄公亦卒;襄公之弟名雍, 秦出也,129) 在秦. 晉趙盾欲立之, 使隨會130)來迎雍, 秦以兵送至令狐.131) 晉立襄公子而反擊秦師, 秦師敗, 隨會來奔. 二年, 秦伐晉, 取武城,132) 報令狐之役. 四年, 晉伐秦, 取少梁.133) 六年, 秦伐晉, 取羈馬.134) 戰於河曲, 大敗晉軍. 晉人患隨會在秦爲亂, 乃使魏讎餘135)詳反,136) 合謀會, 詐而得會, 會遂歸晉. 康公立十二年卒, 子共公立.137)

 

강공 원년, 지난해 목공이 서거했을 때, 진 양공(晉襄公)도 서거했다. 양공의 동생 옹(雍)은 진(秦)나라 여자의 소생으로 진나라에 살고 있었다. 진(晉)의 조순(趙盾)이 그를 옹립하기 위해서 수회(隨會)를 보내 영접하니, 진(秦)나라는 군사를 파견해 영호(令狐)까지 호송했다. 한편 진(晉)나라는 양공의 아들을 옹립하고 도리어 진군(秦軍)을 공격하니, 진군은 패하고 수회는 진(秦)나라로 도망쳐 왔다.

 

2년, 진(秦)나라가 진(晉)나라를 공격해 무성(武城)을 탈취하고 영호(令狐)에서의 패배를 보복했다. 4년, 진(晉)나라가 진(秦)나라를 공격해 소량(少梁)을 탈취했다. 6년, 진(秦)나라가 진(晉)나라를 공격해 기마(羈馬)를 탈취했으며, 하곡(河曲)에서 교전해 진군(晉軍)을 대패시켰다. 진(晉)나라 사람들은 수회가 진(秦)나라에서 난을 일으킬까 두려워, 위수여(魏讐餘)로 하여금 거짓으로 진(晉)나라를 배반하고 진(秦)나라에 투항하게 해, 수회를 만나 함께 진(晉)나라로 돌아갈 계획을 논의하게 했다. 수회는 진(晉)나라의 속임수에 걸려들어 드디어 진(晉)나라로 돌아갔다. 강공은 즉위 12년 만에 죽었고, 그의 아들 공공(共公)이 즉위했다.


 

共公二年, 晉趙穿弑其君靈公. 三年, 楚莊王彊, 北兵至雒, 問周鼎. 共公立五年卒, 子桓公立.

桓公三年, 晉敗我一將. 十年, 楚莊王服鄭, 北敗晉兵於河上. 當是之時, 楚霸, 爲會盟合諸侯. 二十四年, 晉厲公初立, 與秦桓公夾河而盟. 歸而秦倍盟, 與翟合謀擊晉. 二十六年, 晉率諸侯伐秦, 秦軍敗走, 追至涇而還. 桓公立二十七年卒, 子景公立.138)

 

공공 2년, 진(晉)의 조천(趙穿)이 그의 군주인 영공(靈公)을 시해했다. 3년, 초 장왕(楚莊王)이 강대해져서 군사들은 북쪽으로 진격해 낙읍(洛邑)까지 이르렀고, 주(周)나라의 구정(九鼎)에 대해 수소문했다. 공공이 즉위한 지 5년 만에 서거하자, 그의 아들 환공(桓公)이 즉위했다.

 

환공 3년, 진(秦)의 장수 한 명이 진군(晉軍)에게 패해 포로가 되었다. 10년, 초 장왕이 정(鄭)나라를 정복하고, 북쪽으로 황하 근처에서 진군(晉軍)을 무찔렀다. 당시 초(楚)나라는 패자로서 제후들을 소집해 회맹(會盟)했다. 24년, 막 즉위한 진 여공(晉厲公)이 진 환공과 황하를 사이에 두고 회맹했으나, 환공은 진(秦)나라로 돌아와 맹약을 어기고 적인(狄人)과 공모해 진(晉)나라를 공격했다. 26년, 진(晉)나라가 제후들을 이끌고 진(秦)나라를 공격했다. 진군(秦軍)이 달아나자 경수(涇水)까지 추격하고 돌아갔다. 환공은 즉위 27년 만에 서거하고, 그의 아들 경공(景公)이 즉위했다.


 

景公四年, 晉欒書弑其君厲公. 十五年, 救鄭, 敗晉兵於櫟.139) 是時晉悼公爲盟主. 十八年, 晉悼公彊, 數會諸侯, 率以伐秦, 敗秦軍. 秦軍走, 晉兵追之, 遂渡涇, 至棫林而還.140) 二十七年, 景公如晉, 與平公盟, 已而背之. 三十六年, 楚公子圍弑其君而自立, 是爲靈王. 景公母弟后子鍼141)有寵, 景公母弟富, 或譖之, 恐誅, 乃奔晉, 車重千乘. 晉平公曰:「后子富如此, 何以自亡?」對曰:「秦公無道, 畏誅, 欲待其後世乃歸.」三十九年, 楚靈王彊, 會諸侯於申,142) 爲盟主, 殺齊慶封. 景公立四十年卒, 子哀公立.143) 后子復來歸秦.

 

 

경공 4년, 진(晉)의 난서(欒書)가 그의 군주인 여공(厲公)을 시해했다. 15년에는 정(鄭)나라를 구원해 역(櫟)에서 진군(晉軍)을 패퇴시켰다. 이때 진 도공(晉悼公)이 제후들의 맹주(盟主)가 되었다. 18년, 진 도공이 강대해져서 여러 번 제후와 회맹하고 그들을 이끌고 진(秦)나라를 공격해 진군(秦軍)을 무찔렀다. 진군(秦軍)이 도망치자, 진(晉)나라 병사들이 경수를 건너서 역림(棫林)까지 추격했다가 돌아갔다. 27년, 경공이 진(晉)에 가서 평공(平公)과 회맹했으나, 얼마 있다가 또 배신했다. 36년, 초(楚)의 공자 위(圍)가 초왕을 시해하고 스스로 즉위하니, 그가 바로 초 영왕(楚靈王)이다.

 

경공의 모제(母弟)인 후자침(后子鍼)은 총애를 받았으며 또 부유했다. 어떤 사람이 후자침을 모함하자, 그는 살해될 것이 두려워서 진(晉)나라로 달아났는데, 재물을 실은 수레가 천 대나 되었다. 진 평공(晉平公)이 “그대는 이처럼 부유한데 어찌해 스스로 도망쳤는가?”라고 물으니, 후자침은 “진왕(秦王)은 무도하므로 저를 죽일까 두려웠습니다. 그가 죽은 후에 돌아가고자 합니다”라고 대답했다. 39년, 초 영왕이 강대해져서 신(申)에서 제후들과 회합하고 맹주가 되어 제(齊)의 경봉(慶封)을 죽였다. 경공은 재위 40년 만에 죽고, 그의 아들 애공(哀公)이 즉위했다. 그러자 후자침은 다시 진(秦)나라로 돌아갔다.


 

哀公八年, 楚公子棄疾弑靈王而自立, 是爲平王. 十一年, 楚平王來求秦女爲太子建妻. 至國, 女好而自娶之. 十五年, 楚平王欲誅建, 建亡;144)伍子胥奔吳. 晉公室卑而六卿彊, 欲內相攻, 是以久秦晉不相攻. 三十一年, 吳王闔閭與伍子胥伐楚, 楚王亡奔隨, 吳遂入郢. 楚大夫申包胥來告急,145) 七日不食, 日夜哭泣.146) 於是秦乃發五百乘救楚,147) 敗吳師. 吳師歸, 楚昭王乃得復入郢. 哀公立三十六年卒. 太子夷公, 夷公蚤死, 不得立, 立夷公子, 是爲惠公.

 

애공 8년, 초(楚)의 공자 기질(棄疾)이 영왕을 시해하고 스스로 즉위하니, 그가 바로 평왕(平王)이다. 11년, 초 평왕이 와서 진(秦)나라 여자를 구해 태자 건(建)의 아내로 삼으려고 했다. 그러나 초 나라에 도착해서는 그녀가 아름다웠으므로 오히려 자기의 아내로 맞이했다. 15년, 초 평왕이 태자 건을 죽이려 하자 건은 도망쳤다. 또한 오자서(伍子胥) 는 오(吳)나라로 달아났다. 진(晉)나라 왕실은 권력이 쇠약해지고 육경(六卿)의 세력이 강해져 내부에서 서로 공략했기에 진(秦)과 진(晉) 두 나라는 오랫동안 싸우지 않았다.

 

 

31년, 오왕(吳王) 합려(闔閭)와 오자서가 초 나라를 공격하자, 초왕은 수(隨)로 달아났고 오군(吳軍)은 영(郢)으로 진입했다. 초 나라 대부(大夫) 신포서(申包胥)가 진(秦)에 와서 위급함을 알리며 7일 동안 먹지 않고 밤낮으로 울었다. 이에 진(秦)에서는 500대의 전거(戰車)를 보내어 초 나라를 구원하고 오군(吳軍)을 물리쳤다. 오군이 철수하자 초 소왕(楚昭王)은 다시 영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애공은 재위 36년 만에 서거했다. 태자 이공(夷公)이 일찍 죽었으므로 즉위하지 못하고 이공의 아들이 즉위했으니, 그가 바로 혜공(惠公)이다.


 

惠公元年, 孔子行魯相事. 五年, 晉卿中行、范氏反晉, 晉使智氏、趙簡子攻之, 范、中行氏亡奔齊. 惠公立十年卒, 子悼公立.

悼公二年, 齊臣田乞弑其君孺子, 立其兄陽生, 是爲悼公. 六年, 吳敗齊師. 齊人弑悼公, 立其子簡公. 九年, 晉定公與吳王夫差盟, 爭長於黃池, 卒先吳.148) 吳彊, 陵中國. 十二年, 齊田常弑簡公, 立其弟平公, 常相之. 十三年, 楚滅陳. 秦悼公立十四年卒, 子厲共公立. 孔子以悼公十二年卒.

 

 

혜공 원년, 공자(孔子)가 노(魯)나라의 재상 직무를 대행했다. 5년, 진(晉)나라 경(卿)인 중항씨(中行氏)와 범씨(范氏)가 진(晉)을 배반했다. 진(晉)에서는 지씨(智氏)와 조간자(趙簡子)를 보내 그들을 토벌하게 하자, 범씨와 중항씨는 제(齊)나라로 달아났다. 혜공은 재위 10년 만에 죽고, 그의 아들 도공(悼公)이 즉위했다.

 

도공 2년, 제나라 신하인 전기(田乞)가 그의 군주인 유자(孺子)를 시해하고, 유자의 형 양생(陽生)을 옹립하니 그가 바로 제 도공(齊悼公)이다. 6년, 오나라는 제군(齊軍)을 물리쳤다. 제나라 사람이 도공을 시해하고 그의 아들 간공(簡公)을 옹립했다. 9년, 진 정공(晉定公)과 오왕 부차(夫差)가 회맹해 황지(黃池)에서 맹주를 다투었는데, 결국 오왕이 맹주가 되었다. 오나라가 강성해지자 중원 각국을 멸시했다. 12년, 제나라 전상(田常)이 간공을 시해하고 간공의 아우 평공(平公)을 옹립하고 자신은 재상이 되었다. 13년, 초가 진(陳)나라를 멸망시켰다. 진도공은 재위 14년 만에 죽고, 그의 아들 여공공(厲共公)이 즉위했다. 공자(孔子)가 도공 12년에 죽었다.


 

厲共公二年, 蜀人來賂. 十六年, 塹河旁. 以兵二萬伐大荔, 取其王城.149) 二十一年, 初縣頻陽.150) 晉取武成. 二十四年, 晉亂, 殺智伯, 分其國與趙、韓、魏. 二十五年, 智開與邑人來奔.151) 三十三年, 伐義渠, 虜其王.152) 三十四年, 日食. 厲共公卒, 子躁公立.

 

 

여공공 2년, 촉나라 사람이 와서 재물을 헌상했다. 16년, 황하 주변에 참호를 팠으며, 2만의 병력으로 대려(大荔)를 토벌했고 왕성(王城)을 빼앗았다. 21년, 처음으로 빈양(頻陽)에 현을 설치했다. 진(晉)은 무성(武成)을 점령했다. 24년, 진(晉)에 내란이 일어나 지백(智伯)을 죽이고, 지백의 영토를 조씨(趙氏), 한씨(韓氏), 위씨(魏氏)에게 나누어주었다. 25년, 지개(智開)가 읍(邑)의 사람들을 이끌고 진(秦)에 투항해 왔다. 33년, 의거(義渠)를 정벌해 그 왕을 포로로 잡았다. 34년, 일식이 있었다. 여공공이 죽고 그의 아들 조공(躁公)이 즉위했다.


 

躁公二年, 南鄭反.153) 十三年, 義渠來伐, 至渭南. 十四年, 躁公卒, 立其弟懷公.154)

 

 

조공 2년, 남정(南鄭)에서 모반이 일어났다. 13년, 의거가 진(秦)을 공격해 와서 위남(渭南)에 이르렀다. 14년, 조공이 죽고 그의 아우 회공(懷公)이 즉위했다.


 

懷公四年, 庶長晁155)與大臣圍懷公, 懷公自殺. 懷公太子曰昭子, 蚤死, 大臣乃立太子昭子之子, 是爲靈公.156) 靈公, 懷公孫也.

 

회공 4년, 서장(庶長) 조(鼂)가 대신들과 함께 회공을 포위하자, 회공은 자살했다. 회공의 태자는 이름이 소자(昭子)인데 요절했기에, 대신들이 태자 소자의 아들을 세우니 그가 바로 영공(靈公)이다. 영공은 회공의 손자이다.


 

靈公六年, 晉城少梁, 秦擊之. 十三年, 城籍姑.157) 靈公卒, 子獻公158)不得立, 立靈公季父悼子, 是爲簡公. 簡公, 昭子之弟而懷公子也.159)

 

 

영공 6년, 진(晉)이 소량(少梁)에 성을 쌓자, 진군(秦軍)이 침공했다. 13년, 진(秦)이 적고(籍姑)에 성을 쌓았다. 이해에 영공이 죽었으나 그의 아들 헌공(獻公)이 즉위하지 못하고 영공의 막내 숙부 도자(悼子)가 즉위하니, 그가 바로 간공(簡公)이다. 간공은 소자의 동생이며 회공의 아들이다.

 

 

簡公六年, 令吏初帶劍.160) 塹洛. 城重泉.161) 十六年卒,162) 子惠公立.

 

 

간공 6년, 처음으로 관리에게 칼을 차게 했다. 또 낙수(洛水) 근처에 참호를 만들었다. 중천(重泉)에는 성을 쌓았다. 16년, 간공이 죽고 그의 아들 혜공(惠公)이 즉위했다.

 

 

惠公十二年, 子出子生. 十三年, 伐蜀, 取南鄭. 惠公卒, 出子立.

出子二年, 庶長改迎靈公之子獻公于河西而立之.163) 殺出子及其母, 沈之淵旁. 秦以往者數易君, 君臣乖亂, 故晉復彊, 奪秦河西地.164)


 

혜공 12년, 아들 출자(出子)가 출생했다. 13년, 촉(蜀)나라를 공격해 남정을 빼앗았다. 혜공이 죽자 출자가 즉위했다.

 

출자 2년, 서장(庶長) 개(改)가 하서(河西)에서 영공의 아들 헌공을 맞이해 옹립하고, 출자와 그의 모친을 죽여 그들의 시신을 깊은 호수에 버렸다. 진(秦)은 이전부터 자주 왕을 바꾸어 군신관계가 화애롭지 못했기에, 진(晉)이 다시 강대해져 진(秦)나라의 하서 지역을 빼앗았다.

 

 

獻公元年,165) 止從死. 二年, 城櫟陽.166) 四年正月庚寅, 孝公生. 十一年, 周太史儋見獻公曰:「周故與秦國合而別, 別五百歲復合, 合(七)十七歲而霸王出.」十六年, 桃冬花. 十八年, 雨金櫟陽.167) 二十一年, 與晉戰於石門,168) 斬首六萬, 天子賀以黼黻.169) 二十三年, 與魏晉戰少梁, 虜其將公孫痤.170) 二十四年, 獻公卒,171) 子孝公立,172) 年已二十一歲矣.

 

헌공 원년, 순장제도를 폐지했다. 2년, 역양(櫟陽)에 성을 쌓았다. 4년 정월 경인일에 효공(孝公)이 출생했다. 11년, 주(周)나라 태사(太史) 담(儋)이 헌공을 알현해 말하기를 “본래 주나라와 진(秦)나라는 하나였는데, 나중에 나누어졌습니다. 나누어진 지 500년 후에 다시 합쳐지고, 합쳐진 지 17년 뒤에 진(秦)나라에 천하를 통일하는 패왕(覇王)이 나타날 것입니다”라 했다.

 

16년, 겨울에 복숭아꽃이 피었다. 18년, 역양에 황금비가 내렸다. 21년, 진(晉)과 석문(石門)에서 교전해 6만 명의 목을 베니, 주 천자가 수놓은 예복을 보내어 축하했다. 23년, 위진(魏晉)과 소량에서 싸워서 그들의 장수 공손좌(公孫痤)를 포로로 잡았다. 24년, 헌공이 죽고 그의 아들 효공(孝公)이 즉위하니 그때 그의 나이 21세였다.


 

孝公元年,173) 河山以東彊國六, 與齊威、楚宣、魏惠、燕悼、韓哀、趙成侯並. 淮泗之閒174)小國十餘. 楚、魏與秦接界.175) 魏築長城, 自鄭濱洛以北, 有上郡. 楚自漢中, 南有巴、黔中. 周室微, 諸侯力政, 爭相倂. 秦僻在雍州, 不與中國諸侯之會盟, 夷翟遇之. 孝公於是布惠, 振孤寡, 招戰士, 明功賞. 下令國中曰:「昔我繆公自岐雍之閒, 修德行武, 東平晉亂, 以河爲界,176) 西霸戎翟, 廣地千里, 天子致伯, 諸侯畢賀, 爲後世開業, 甚光美. 會往者厲、躁、簡公、出子之不寧, 國家內憂, 未遑外事, 三晉攻奪我先君河西地, 諸侯卑秦、醜莫大焉. 獻公卽位, 鎭撫邊境, 徙治櫟陽, 且欲東伐, 復繆公之故地, 脩繆公之政令. 寡人思念先君之意, 常痛於心. 賓客群臣有能出奇計彊秦者, 吾且尊官, 與之分土.」於是乃出兵東圍陝城, 西斬戎之獂王.177)

 

 

효공 원년, 황하와 효산(殽山) 동쪽에 여섯 개의 강대국이 있었는데, 진 효공은 제 위왕(齊威王), 초 선왕(楚宣王), 위 혜왕(魏惠王), 연 도후(燕悼侯), 한 애후(韓哀侯), 조 성후(趙成侯) 등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회하(淮河)와 사수(泗水) 사이에는 10여 개의 소국이 있었으며, 초 나라와 위나라는 진(秦)나라와 인접해 있었다. 위나라는 장성(長城)을 축조했는데, 장성은 정현(鄭縣)에서부터 시작되어 낙수(洛水)를 따라 북쪽으로 상군(上郡)에까지 이르렀다. 초 나라는 한중(漢中)에서부터 남쪽으로 파(巴)와 검중(黔中)까지 소유하고 있었다.

 

주 왕실이 쇠약해지자 제후들은 무력으로 정벌하고 서로 다투어 합병했다. 진(秦)은 편벽한 옹주(雍州)에 위치하고 있었으니 중원지역 제후들과의 회맹에 참가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제후들은 이적(夷狄)을 대하듯 진(秦)을 대우했다. 이에 공은 널리 은혜를 베풀고 고아와 과부를 구제하며, 군사를 모집하고 논공행상을 분명히 했다. 그리고는 전국에 이러한 영을 내렸다.

 

옛날 우리 목공께서는 기산(岐山)과 옹읍(雍邑)에서 덕정(德政)을 베푸시고 무공을 닦으셨다. 동쪽으로 진(晉)의 내란을 평정하시어 영토는 황하까지 이르렀으며, 서쪽으로는 융적(戎狄)을 쟁패해 국토를 천리나 늘리시니, 주 천자가 패자의 칭호를 내리고 제후들이 모두 와서 하례를 올렸다. 이렇듯 후세를 위해서 창업을 이루었으니, 그 공적은 매우 빛나고 아름다웠다. 그러나 이전의 여공(厲公), 조공(躁公), 간공(簡公), 출자(出子)의 시대에는 편안하지 못하고 나라 안에 우환이 있었으므로 나라 밖의 일을 돌볼 겨를이 없었다.

 

 

그 결과 삼진(三晉)이 우리 선왕께서 확장하신 하서지역을 침탈했고, 제후들도 우리 진(秦)을 멸시하니 이보다 더한 치욕이 없을 것이다. 헌공께서 즉위하시어 변경지역을 안정시키고 역양으로 천도해 다스렸으며, 동쪽으로 정벌해 목공 때의 영토를 되찾고 목공의 정치 강령을 시행하고자 하셨다. 나는 선왕의 유지를 생각할 때마다 항상 마음이 아프니, 빈객과 여러 신하들이 진(秦)이 강국이 될 수 있는 기발한 계책을 내준다면 나는 관직을 높여주고 토지를 나누어줄 것이다.

 

그리고는 군대를 이끌고 동쪽으로 진격해 섬성(陝城)을 침공했고, 서쪽으로 진격해 융족의 원왕(獂王)을 죽였다.


 

衛鞅聞是令下, 西入秦, 因景監178)求見孝公.

 

위앙(衛鞅)이 반포령 소문을 듣고 서쪽으로 진(秦)나라에 와서 경감(景監)을 통해서 효공에게 알현을 청했다.


 

二年, 天子致胙.

三年, 衛鞅說孝公變法修刑, 內務耕稼, 外勸戰死之賞罰, 孝公善之. 甘龍、杜摯等弗然, 相與爭之. 卒用鞅法, 百姓苦之;居三年, 百姓便之. 乃拜鞅爲左庶長. 其事在商君語中.

七年, 與魏惠王會杜平.179) 八年, 與魏戰元里,180) 有功. 十年, 衛鞅爲大良造, 將兵圍魏安邑, 降之.181) 十二年, 作爲咸陽,182) 築冀闕,183) 秦徙都之. 幷諸小鄕聚,184) 集爲大縣, 縣一令,185) 四十一縣. 爲田開阡陌.186) 東地渡洛. 十四年, 初爲賦.187) 十九年, 天子致伯.188) 二十年, 諸侯畢賀. 秦使公子少官率師會諸侯逢澤,189) 朝天子.

 

2년, 주 천자가 제육(祭肉)을 보내왔다.

 

3년, 위앙은 효공에게 법령을 바꾸고 형벌을 정비하며, 안으로는 농사에 힘쓰고 밖으로는 전사한 자들의 상벌을 분명하게 하게 권하자, 효공은 위앙의 말을 좋게 여겼다. 그러나 감룡(甘龍)과 두지(杜摯) 등이 동의하지 않아 서로 논쟁을 벌였다. 결국 효공이 위앙의 신법을 채용하자, 백성들은 그 법으로 고통을 당했으나 3년이 지나서는 백성들이 그 법을 편리하게 여겼다. 이에 효공은 위앙을 좌서장(左庶長)에 임명했다. 이 일은 「상군열전(商君列傳)」에 기록되어 있다.

 

7년, 효공은 위 혜왕(魏惠王)과 두평(杜平)에서 회맹했다. 8년, 위나라와 원리(元里)에서 싸워서 승리했다. 10년, 위앙이 대량조(大良造)가 되어 군대를 이끌고 위나라의 안읍(安邑)을 포위해 항복시켰다. 12년, 진(秦)은 함양(咸陽)에 성을 만들어 기궐(冀闕)을 축조하고, 함양으로 천도했다. 여러 작은 마을을 병합해 큰 현을 만들고 현마다 현령 한 사람을 두었으니, 전국에는 모두 41개의 현이 있었다. 그리고 논밭의 구획경계를 없애버렸으며, 동쪽으로의 영토가 낙수를 넘었다. 14년, 처음으로 새로운 부세제도를 제정했다. 19년, 주 천자가 패자 칭호를 내렸다. 20년, 제후들이 모두 와서 하례를 올렸다. 진(秦)은 공자 소관(少官)에게 군대를 이끌고 봉택(逢澤)에서 제후들과 회맹해 천자를 조현(朝見)하게 했다.


 

二十一年, 齊敗魏馬陵.190)

二十二年, 衛鞅擊魏, 虜魏公子卬. 封鞅爲列侯, 號商君.191)

二十四年, 與晉戰鴈門,192) 虜其將魏錯.193)


21년, 제(齊)나라가 마릉(馬陵)에서 위(魏)나라를 무찔렀다.


22년, 위앙이 위(魏)를 공격해 위나라 공자(公子) 앙(卬)을 포로로 잡았다. 진 효공은 위앙을 열후(列侯)에 봉하고 상군(商君)이라고 칭했다.

 

24년, 진(晉)과 안문(雁門)에서 싸워 진(晉)의 장수 위착(魏錯)을 포로로 잡았다.

 

 

孝公卒, 子惠文君立.194) 是歲, 誅衛鞅. 鞅之初爲秦施法,195) 法不行, 太子犯禁. 鞅曰:「法之不行, 自於貴戚. 君必欲行法, 先於太子. 太子不可黥, 黥其傅師.」於是法大用, 秦人治. 及孝公卒, 太子立, 宗室多怨鞅, 鞅亡, 因以爲反, 而卒車裂以徇秦國.196)

 

효공이 죽고 그의 아들 혜문군(惠文君)이 즉위했다. 혜문군은 이해에 위앙을 죽였다. 위앙이 처음 진(秦)나라에서 변법을 시행할 때 법이 잘 지켜지지 않았는데, 태자가 금령(禁令)을 어기게 되었다. 이때 위앙은 “법령이 잘 지켜지지 않는 것은 왕의 친족들이 잘 지키지 않기 때문입니다. 왕께서 법령을 시행하고자 하신다면, 먼저 태자에게 시행하셔야 합니다. 그렇지만 태자가 경형(黥刑)을 받을 수는 없으니, 그의 사부가 대신 경형을 받아야 합니다”라 했다. 이로부터 법령은 널리 쓰여서 진(秦)나라가 잘 다스려졌다. 효공이 죽고 태자가 즉위하니, 종실의 많은 사람들이 위앙을 미워했기에 위앙은 도망쳤다. 그 때문에 반란죄로 몰려서 결국은 거렬형(車裂刑)을 받고 도성에서 백성들에게 본보기로 보였다.

 

 

惠文君元年, 楚、韓、趙、蜀人來朝. 二年, 天子賀. 三年, 王冠.197) 四年, 天子致文武胙. 齊、魏爲王.198)

 

 

혜문군 원년, 초(楚), 한(韓), 조(趙), 촉(蜀) 나라 사람이 와서 조현했다. 2년, 주 천자가 축하했다. 3년, 혜문군이 20세가 되어 관례(冠禮)를 거행했다. 4년, 주 천자가 문왕(文王)과 무왕(武王) 제사에 올린 제육(祭肉)을 보내왔다. 제(齊)나라와 위(魏)나라도 왕이라고 칭했다.


 

五年, 陰晉人犀首199)爲大良造. 六年, 魏納陰晉, 陰晉更名寧秦.200) 七年, 公子卬與魏戰, 虜其將龍賈, 斬首八萬. 八年, 魏納河西地. 九年, 渡河, 取汾陰、皮氏.201) 與魏王會應.202) 圍焦, 降之.203) 十年, 張儀相秦. 魏納上郡十五縣.204) 十一年, 縣義渠.205) 歸魏焦、曲沃.206) 義渠君爲臣. 更名少梁曰夏陽. 十二年, 初臘.207) 十三年四月戊午, 魏君爲王, 韓亦爲王.208) 使張儀伐取陝, 出其人與魏.

 

5년, 음진(陰晉) 사람 서수(犀首)가 대량조(大良造)가 되었다. 6년, 위나라가 음진을 진(秦)에 헌상하니, 진은 이곳을 영진(寧秦)으로 개명했다. 7년, 공자 앙이 위(魏)와 싸워 위나라의 장수 용고(龍賈)를 포로로 잡고 위나라 병사 8만 명의 목을 베었다. 8년, 위나라가 하서(河西) 지역을 헌상했다. 9년에는 황하를 건너 분음(汾陰)과 피지(皮氏)를 빼앗고, 위왕(魏王)과 응(應)에서 회맹했으며, 초(焦)를 포위해 항복시켰다.

 

 

10년, 장의(張儀)가 진(秦)나라의 재상이 되었다. 위나라가 상군(上郡)의 15 현을 진(秦)나라에 헌상했다. 11년, 의거(義渠)에 현을 설치했다. 초(焦)와 곡옥(曲沃)을 위나라에 돌려주었다. 의거의 왕이 진(秦)나라의 신하가 되었다. 소량(少梁)을 하양(夏陽)으로 개명했다. 12년, 처음으로 12월에 납제(臘祭)를 거행했다. 13년 4월 무오일, 위나라 군주가 왕이라고 칭하자, 한(韓)에서도 왕을 자칭했다. 장의를 파견해 섬(陜)을 빼앗고, 그곳 사람들을 위나라로 내쫓았다.


 

十四年, 更爲元年. 二年, 張儀與齊、楚大臣會齧桑. 三年, 韓、魏太子來朝. 張儀相魏. 五年, 王游至北河.209) 七年, 樂池210)相秦. 韓、趙、魏、燕、齊帥匈奴共攻秦. 秦使庶長疾與戰修魚, 虜其將申差,211) 敗趙公子渴、韓太子奐, 斬首八萬二千. 八年, 張儀復相秦. 九年, 司馬錯伐蜀, 滅之.212) 伐取趙中都、西陽213)十年, 韓太子蒼來質. 伐取韓石章.214) 伐敗趙將泥.215) 伐取義渠二十五城. 十一年, 樗里疾攻魏焦, 降之. 敗韓岸門, 斬首萬, 其將犀首走. 公子通封於蜀.216) 燕君讓其臣子之. 十二年, 王與梁王會臨晉. 庶長疾攻趙, 虜趙將莊. 張儀相楚. 十三年, 庶長章擊楚於丹陽, 虜其將屈丐, 斬首八萬;又攻楚漢中, 取地六百里, 置漢中郡. 楚圍雍氏, 秦使庶長疾助韓而東攻齊, 到滿217)助魏攻燕. 十四年, 伐楚, 取召陵. 丹、犂臣, 蜀218)相壯219)殺蜀侯來降.

 

14년(혜문군 14년), 혜문왕 원년(元年)으로 바꾸었다. 2년, 장의가 제나라와 초 나라의 대신과 설상(齧桑)에서 회맹했다. 3년, 한(韓)나라와 위나라의 태자가 와서 조회했다. 장의가 위나라의 재상이 되었다. 5년, 혜문왕이 북하(北河)까지 순수했다. 7년, 악지(樂池)가 진(秦)의 재상이 되었다. 한(韓), 조(趙), 위(魏), 연(燕), 제(齊) 나라가 흉노를 거느리고 함께 진(秦)나라를 공격했다. 진(秦)은 서장(庶長) 질(疾)을 보내어 수어(修魚)에서 싸웠다. 그들의 장수 신치(申差)를 포로로 잡고, 조나라 공자 갈(渴)과 한나라 태자 환(奐)을 패퇴시켰으며, 병사 8만 2천명의 목을 베었다.

 

8년, 장의가 다시 진(秦)나라의 재상이 되었다. 9년, 사마착(司馬錯)이 촉을 정벌해 멸망시켰다. 또 조나라의 중도(中都)와 서양(西陽)을 빼앗았다. 10년, 한나라 태자 창(蒼)이 인질로 왔다. 또 한나라의 석장(石章)을 공격해 빼앗았다. 조나라 장수 이(泥)를 패퇴시키고, 의거(義渠)의 25성을 빼앗았다. 11년, 저리질(樗里疾)이 위나라의 초(焦)를 공격해 항복시키고, 안문(岸門)에서 한나라 군대를 무찌르고 만 명의 목을 베니, 그 장수 서수(犀首)가 달아났다. 공자 통(通)이 촉에 봉해졌다. 연(燕)나라 군주가 그의 신하 자지(子之)에게 양위(讓位)했다.

 

12년, 진왕(秦王)이 양왕(梁王)과 임진(臨晉)에서 회맹했다. 서장 질이 조나라를 공격해 조나라 장수 장(莊)을 포로로 잡았다. 장의가 초 나라의 재상이 되었다. 13년, 서장 장(章)이 단수(丹水) 북쪽에서 초 나라를 공격해 초 나라 장수 굴개(屈丐)를 포로로 잡고 8만 명의 목을 베었다. 또 초 나라의 한중(漢中)을 공격해 6백 리의 땅을 빼앗고, 한중군(漢中郡)을 설치했다. 초군(楚軍)이 옹지(雍氏)를 포위하자, 진(秦)은 서장질을 보내 한나라를 돕고 동쪽 제나라를 공격했으며, 도만(到滿)을 파견해 위나라를 도와 연나라를 침공했다. 14년에는 초 나라를 공격해 소릉(召陵)을 빼앗았다. 융족인 단(丹)과 여(犁)가 진나라의 신하가 되었고, 촉나라의 상국(相國)인 장(壯)이 촉후(蜀侯)를 죽이고 투항해 왔다.


 

惠王卒, 子武王立.220) 韓、魏、齊、楚、越221)皆賓從.

 

혜왕이 죽고 그의 아들 무왕(武王)이 즉위했다. 한(韓), 위(魏), 제(齊), 초(楚), 월(越) 나라가 모두 진(秦)나라에 귀의했다.


 

武王元年, 與魏惠王會臨晉.222) 誅蜀相壯. 張儀、魏章皆東出之魏. 伐義渠、丹、犂. 二年, 初置丞相,223) 樗里疾、甘茂爲左右丞相. 張儀死於魏. 三年, 與韓襄王會臨晉外.224) 南公揭卒, 樗里疾相韓. 武王謂甘茂曰:「寡人欲容車通三川, 窺周室, 死不恨矣.」其秋, 使甘茂、庶長封伐宜陽.225) 四年, 拔宜陽, 斬首六萬. 涉河, 城武遂.226) 魏太子來朝. 武王有力好戱, 力士任鄙、烏獲、孟說皆至大官. 王與孟說擧鼎, 絶臏.227) 八月, 武王死.228) 族孟說. 武王取魏女爲后, 無子. 立異母弟, 是爲昭襄王.229) 昭襄母楚人, 姓羋氏, 號宣太后. 武王死時, 昭襄王爲質於燕, 燕人送歸, 得立.


 

무왕 원년, 위 혜왕(魏惠王)과 임진에서 회맹했다. 촉나라의 상국인 진장(陳壯)을 죽였다. 장의와 위장(魏章)이 진나라를 떠나서 동쪽의 위나라로 갔다. 의거(義渠), 단(丹), 여(犁)를 토벌했다. 2년, 처음으로 승상(丞相)을 두었는데, 저리질과 감무(甘茂)가 각각 좌승상(左丞相), 우승상(右丞相)이 되었다. 장의가 위나라에서 죽었다. 3년, 진왕(秦王)이 한 양왕(韓襄王)과 임진 밖에서 회맹했다. 남공게(南公揭)가 죽고 저리질이 한나라의 재상이 되었다.

 

무왕이 감무에게 “나는 유람용 수레를 타고 낙양(洛陽)을 지나며 주나라의 도성을 구경하고 싶구나. 그렇게만 된다면 죽어도 여한이 없으리라.”라 했다. 그해 가을 감무와 서장 봉(封)을 보내어 의양(宜陽)을 공격하게 했다. 4년, 의양을 점령하고 6만 명의 머리를 베었다. 황하를 건너 무수(武遂)에 성을 쌓았다. 위나라 태자가 와서 조회했다.

 

무왕은 힘이 세어 힘겨루기를 좋아했기에, 역사(力士) 임비(任鄙)와 오획(烏獲), 맹열(孟說) 등이 높은 관직에 올랐다. 무왕이 맹열과 정(鼎)을 들다가 정강이뼈가 부러졌다. 8월, 무왕이 죽자 맹열은 멸족滅族당했다. 무왕은 위나라 여자를 왕후로 맞았으나 아들이 없었다. 무왕의 이복동생이 즉위하니 그가 바로 소양왕(昭襄王)이다. 소양왕의 모친은 초 나라 사람으로, 성은 미씨(羋氏)이며 선태후(宣太后)라고 불렸다. 무왕이 죽을 때 소양왕은 연나라에 인질로 있었으나 연나라에서 돌려보내어 즉위할 수 있었다.


 

昭襄王元年, 嚴君疾爲相.230) 甘茂出之魏. 二年, 彗星見.231) 庶長壯與大臣、諸侯、公子爲逆, 皆誅, 及惠文后皆不得良死.232) 悼武王后出歸魏. 三年, 王冠. 與楚王會黃棘,233) 與楚上庸.234) 四年, 取蒲阪.235) 彗星見. 五年, 魏王來朝應亭,236) 復與魏蒲阪. 六年, 蜀侯煇反,237) 司馬錯定蜀. 庶長奐伐楚, 斬首二萬. 涇陽君238)質於齊. 日食, 晝晦. 七年, 拔新城.239) 樗里子卒. 八年, 使將軍羋戎攻楚, 取新市.240) 齊使章子, 魏使公孫喜, 韓使暴鳶241)共攻楚方城, 取唐眛. 趙破中山, 其君亡, 竟死齊. 魏公子勁、韓公子長爲諸侯.242) 九年, 孟嘗君薛文來相秦. 奐攻楚, 取八城, 殺其將景快. 十年, 楚懷王入朝秦, 秦留之. 薛文以金受免.243) 樓緩爲丞相. 十一年, 齊、韓、魏、趙、宋、中山五國共攻秦,244) 至鹽氏而還.245) 秦與韓、魏河北及封陵以和.246) 彗星見. 楚懷王走之趙, 趙不受, 還之秦, 卽死, 歸葬. 十二年, 樓緩免, 穰侯247)魏冉爲相. 予楚粟五萬石.

 

소양왕 원년, 엄군질(嚴君疾)이 승상이 되었다. 감무가 진나라를 떠나 위나라로 갔다. 2년, 혜성(彗星)이 나타났다. 서장 장(壯)과 대신, 제후, 공자 등이 반역해 모두 주살되었고, 연루된 혜문후(惠文后)도 명을 다하지 못했다. 도무왕후(悼武王后)는 위나라로 돌아갔다. 3년, 소양왕이 20세가 되어 관례를 거행했다. 소양왕은 초왕과 황극(黃棘)에서 회맹하고, 상용(上庸)을 초 나라에 돌려주었다. 4년에는 포판(蒲阪)을 빼앗았고, 다시 혜성이 나타났다. 5년, 위왕(魏王)이 응정(應亭)에 와서 조현했다. 위나라에 포판을 다시 돌려주었다.

 

 

6년, 촉후(蜀侯) 휘(煇)가 반란을 일으키자, 사마착이 촉나라를 평정했다. 서장 환(奐)이 초 나라를 토벌하고 2만 명의 머리를 베었다. 경양군(涇陽君)이 제나라에서 인질이 되었다. 일식이 일어나 낮에도 어두웠다. 7년, 신성(新城)을 점령했다. 저리질이 죽었다. 8년, 장군 미융(羋戎)을 파견해 초 나라를 침공하고, 신시(新市)를 빼앗았다. 제나라는 장자(章子)를, 위나라는 공손희(公孫喜)를, 한나라는 포연(暴鳶)을 보내 함께 초 나라의 방성(方城)을 공격해 당매(唐眛)를 죽였다. 조나라가 중산(中山)을 공격하자, 그 왕은 달아나다가 결국 제나라에서 죽었다. 위나라 공자 경(勁)과 한나라 공자 장(長)이 제후가 되었다.

 

 

9년, 맹상군(孟嘗君) 설문(薛文)이 진나라에 와서 승상이 되었다. 서장 환이 초 나라를 공격해 여덟 성을 빼앗고 초 나라 장수 경쾌(景快)를 죽였다. 10년, 초 회왕(楚懷王)이 진나라에 와서 알현하니, 진나라에서 그를 억류했다. 설문이 금(金)을 수뢰해 면직되자, 누완(樓緩)이 승상이 되었다. 11년, 제(齊), 한(韓), 위(魏), 조(趙), 송(宋), 중산(中山) 등 다섯 나라가 연합해 진나라를 공격해 염지(鹽氏)까지 왔다가 철수했다. 진은 한나라와 위나라에게 황하 이북 및 봉릉(封陵)의 땅을 주고 강화를 맺었다. 혜성이 또다시 나타났다. 초 회왕은 조나라로 달아났으나 조나라에서 받아주지 않아 다시 진나라로 가서 바로 죽으니, 초 나라로 돌려보내 안장했다. 12년, 누완이 면직되자 양후(穰侯) 위염(魏冉)이 승상이 되었다. 식량 5만 석을 초 나라에 주었다.


 

十三年, 向壽伐韓, 取武始.248) 左更白起攻新城.249) 五大夫禮出亡奔魏. 任鄙爲漢中守.250) 十四年, 左更白起攻韓、魏於伊闕,251) 斬首二十四萬, 虜公孫喜, 拔五城. 十五年, 大良造白起攻魏, 取垣,252) 復予之. 攻楚, 取宛. 十六年, 左更錯取軹及鄧.253) 冉免, 封公子市宛, 公子悝鄧,254) 魏冉陶, 爲諸侯. 

十七年, 城陽君255)入朝, 及東周君來朝. 秦以垣爲蒲阪、皮氏.256) 王之宜陽. 十八年, 錯攻垣、257)河雍, 決橋取之.258) 十九年, 王爲西帝, 齊爲東帝, 皆復去之. 呂禮來自歸. 齊破宋, 宋王在魏, 死溫. 任鄙卒.


13년, 상수(向壽)가 한나라를 정벌해 무시(武始)를 빼앗았다. 좌경(左更) 백기(白起)가 신성을 공략했다. 오대부(五大夫) 예(禮)가 진(秦)에서 위나라로 도망쳤다. 임비가 한중(漢中)의 수(守)가 되었다. 14년, 좌경 백기가 이궐(伊闕)에서 한나라와 위나라를 공격해 24만 명의 목을 베고 공손희를 포로로 잡았으며, 5 성을 점령했다. 15년, 대양조 백기가 위나라를 공격해 원(垣)을 빼앗았으나 다시 위나라에 돌려주었다. 또한 초 나라를 침공해 완(宛)을 빼앗았다. 16년, 좌경 착(錯)이 지(軹)와 등(鄧)을 빼앗았다. 위염이 면직되었다. 공자 불(市)을 완(宛)에, 공자 회(悝)를 등(鄧)에, 위염을 도(陶)에 봉하니, 그들은 모두 제후가 되었다.

 

 

17년, 성양군(城陽君)이 입조했고 동주(東周)의 군주도 와서 알현했다. 진나라는 원(垣)을 분리해 포판과 피지에 편입시켰다. 진왕이 의양(宜陽)으로 갔다. 18년, 좌경 착(錯)이 원(垣)과 하옹(河雍)을 침공해 교량을 끊고 두 땅을 빼앗았다. 19년, 진 소왕(秦昭王)이 서제(西帝)라고 칭하고, 제 민왕(齊閔王)은 동제(東帝)라고 칭했다가 모두 제호(帝號)를 취소했다. 여례(呂禮)가 스스로 투항해 왔다. 제나라가 송나라를 침공하자, 송왕은 위나라로 도망쳐서 온(溫)에서 죽었다. 임비(任鄙)가 죽었다.



二十年,259) 王之漢中, 又之上郡、北河. 二十一年,260) 錯攻魏河內. 魏獻安邑, 秦出其人, 募徙河東賜爵, 赦罪人遷之. 涇陽君封宛. 二十二年, 蒙武伐齊. 河東爲九縣. 與楚王會宛. 與趙王會中陽.261) 

二十三年, 尉斯離262)與三晉、燕伐齊, 破之濟西. 王與魏王會宜陽, 與韓王會新城. 二十四年, 與楚王會鄢,263) 又會穰. 秦取魏安城,264) 至大梁, 燕、趙救之, 秦軍去. 魏冉免相. 二十五年, 拔趙二城. 與韓王會新城, 與魏王會新明邑. 二十六年, 赦罪人遷之穰. 侯冉復相. 


20년, 진왕이 한중으로 갔다가 다시 상군(上郡)과 북하(北河)로 갔다. 21년, 좌경 착이 위나라 하내(河內)를 침공했다. 위나라가 안읍(安邑)을 진나라에 헌상하자, 진나라는 안읍의 주민을 내쫓고 진나라 사람을 모집해 하동(河東)으로 이주시키고 작위를 주었으며, 또 사면받은 죄인을 옮겨 살게 했다. 경양군을 완에 봉했다. 22년, 몽무(蒙武)가 제나라를 정벌했다. 하동에 9현을 설치했다. 진왕은 초왕과 완에서, 조왕과 중양(中陽)에서 회맹했다.

 

23년, 위(尉) 사리(斯離)가 삼진(三晉), 연나라와 함께 제나라를 정벌해 제수(濟水) 서쪽에서 제나라를 무찔렀다. 진왕은 위왕과 선양(宣陽)에서, 한왕과 신성에서 회맹했다. 24년, 진왕이 언(鄢)과 양(穰)에서 초왕과 회맹했다. 진이 위나라 안성(安城)을 탈취하고 대량(大梁)까지 공격해오니, 연나라와 조나라가 위나라를 구원하러 왔으므로 진군(秦軍)은 철수했다. 위염이 승상에서 면직되었다. 25년, 조나라의 2성을 점령했다. 진왕이 한왕과 신성에서, 위왕과 신명읍(新明邑)에서 회맹했다. 26년, 죄인을 사면해 양(穰)으로 이주시켰다. 후(侯) 위염이 다시 승상이 되었다.


二十七年, 錯攻楚. 赦罪人遷之南陽.265) 白起攻趙, 取代光狼城.266) 又使司馬錯發隴西, 因蜀攻楚黔中,267) 拔之. 二十八年, 大良造白起攻楚, 取鄢、鄧,268) 赦罪人遷之. 二十九年, 大良造白起攻楚, 取郢爲南郡,269) 楚王走. 周君來. 王與楚王會襄陵.270) 白起爲武安君.271) 三十年, 蜀守若伐楚, 取巫郡,272) 及江南爲黔中郡.273) 


三十一年, 白起伐魏, 取兩城. 楚人反我江南.274) 三十二年, 相穰侯攻魏, 至大梁, 破暴鳶, 斬首四萬, 鳶走, 魏入三縣請和. 三十三年, 客卿胡(傷)[陽]攻魏卷、275)蔡陽、長社, 取之.276) 擊芒卯華陽, 破之,277) 斬首十五萬. 魏入南陽以和.278) 三十四年, 秦與魏、韓上庸地爲一郡, 南陽免臣遷居之. 


27년, 좌경착이 초 나라를 침공했다. 죄인을 사면해 남양(南陽)으로 이주시켰다. 백기가 조나라를 침공해 대(代)의 광랑성(光狼城)을 빼앗았다. 또 사마착으로 하여금 농서(隴西)에서 군사를 징발해 촉나라를 지나 초 나라의 검중(黔中)을 공격해 점령하게 했다. 28년, 대량조 백기가 초 나라를 침공해 언(鄢)과 등(鄧)을 빼앗고 죄인을 사면해 이곳으로 이주시켰다. 29년, 대량조 백기가 초 나라를 침공해 영(郢)을 빼앗아 남군(南郡)을 설치하니, 초왕은 달아났다. 주나라 군주가 진에 왔다. 진왕은 초왕과 양릉(襄陵)에서 회맹했다. 백기가 무안군(武安君)에 봉해졌다. 30년, 촉나라의 수(守)인 약(若)이 초 나라를 토벌해 무군(巫郡)과 강남(江南)을 점령하고 검중군(黔中郡)을 설치했다.

 

31년, 백기가 위나라를 공격해 2성을 빼앗았다. 초 나라 사람이 강남에서 진나라에 반란을 일으켰다. 32년, 승상 양후(穰侯)가 위나라를 침공해, 대량(大梁)까지 이르러 포연(暴鳶)을 무찌르고 4만 명의 머리를 베었다. 포연은 달아나고 위나라는 3현을 바치며 강화를 청했다. 33년, 객경(客卿) 호양(胡陽)이 위나라의 권성(卷城), 채양(蔡陽), 장사(長社)를 침공해 모두 탈취했다. 화양(華陽)에서 망묘(芒卯)를 공격해 패퇴시키고 15만 명의 머리를 베었다. 위나라가 남양(南陽)을 바치며 강화를 청했다. 34년, 진(秦)은 위나라와 한나라에 상용(上庸)을 주어 군(郡) 하나를 설치하고 항복한 남양 백성들을 그곳으로 이주시켰다.



三十五年, 佐韓、魏、楚伐燕. 初置南陽郡.279) 三十六年, 客卿灶攻齊, 取剛、壽,280) 予穰侯. 三十八年, 中更胡(傷)[陽]攻趙閼與,281) 不能取. 四十年, 悼太子死魏, 歸葬芷陽.282) 四十一年夏, 攻魏, 取邢丘、懷.283) 四十二年, 安國君爲太子. 十月, 宣太后薨,284) 葬芷陽酈山.285) 九月, 穰侯出之陶. 


四十三年, 武安君白起攻韓, 拔九城, 斬首五萬. 四十四年, 攻韓南(郡)[陽], 取之. 四十五年, 五大夫賁286)攻韓, 取十城. 葉陽君287)悝出之國, 未至而死. 四十七年, 秦攻韓上黨, 上黨降趙, 秦因攻趙, 趙發兵擊秦, 相距. 秦使武安君白起擊, 大破趙於長平, 四十餘萬盡殺之. 


35년, 한, 위, 초 나라를 도와 연나라를 공격했다. 처음으로 남양군(南陽郡)을 설치했다. 36년, 객경 조(竈)가 제나라를 침공해 강(剛)과 수(壽) 두 지역을 빼앗아서 양후에게 주었다. 38년, 중경(中更) 호양(胡陽)이 조나라의 연여(閼與)를 침공했으나 빼앗지 못했다. 40년, 도태자(悼太子)가 위나라에서 죽어서 돌아오니, 지양(芷陽)에 안장했다. 41년 여름, 위나라를 침공해 형구(邢丘)와 회(懷) 두 지역을 빼앗았다. 42년, 안국군(安國君)이 태자가 되었다. 10월에 선태후(宣太后)가 죽으니, 지양의 여산(酈山)에 안장했다. 9월에 양후가 도(陶)로 도망갔다.

 

43년, 무안군(武安君) 백기가 한나라를 공격해 9개의 성을 점령하고 5만 명의 머리를 베었다. 44년, 한나라의 남양을 공격해 빼앗았다. 45년, 오대부(五大夫) 분(賁)이 한나라를 침공해 10성을 빼앗았다. 섭양군(葉陽君) 회(悝)가 도성을 떠나서 봉지로 가다가 도착하지 못하고 죽었다. 47년, 진이 한나라의 상당(上黨)을 공격하자 상당이 조나라에 투항했다. 진은 다시 조나라를 공격했다. 그러자 조나라가 군대를 보내어 반격해 서로 대치했다. 진은 무안군 백기를 보내 공격을 벌여 장평(長平)에서 조군(趙軍)을 크게 무찌르고 40만여 명을 모두 죽였다.

 


四十八年十月, 韓獻垣雍.288) 秦軍分爲三軍. 武安君歸. 王齕將伐趙(武安)皮牢, 拔之. 司馬梗北定太原, 盡有韓上黨. 正月, 兵罷, 復守上黨. 其十月, 五大夫陵攻趙邯鄲. 四十九年正月, 益發卒佐陵. 陵戰不善, 免, 王齕代將. 其十月, 將軍張唐攻魏, 爲蔡尉289)捐弗守, 還斬之. 

五十年十月, 武安君白起有罪, 爲士伍, 遷陰密.290) 張唐攻鄭, 拔之. 十二月, 益發卒軍汾城旁.291) 武安君白起有罪, 死. 齕攻邯鄲, 不拔, 去, 還奔汾軍. 二月餘攻晉軍, 斬首六千, 晉楚流死河二萬人.292) 攻汾城, 卽從唐拔寧293)新中,294) 寧新中更名安陽.295) 初作河橋.296)

 


48년 10월, 한나라는 원옹(垣雍)을 헌상했다. 진은 군대를 삼군(三軍)으로 나누었다. 무안군이 돌아왔다. 왕흘(王齕)이 군대를 이끌고 조나라의 피뢰(皮牢)를 공격해 점령했다. 사마경(司馬梗)이 북쪽으로 진격해 태원(太原)을 평정하고, 한나라의 상당을 모두 점령했다. 정월, 군대는 전투를 멈추고 다시 상당을 수비했다. 그해 10월, 오대부 능(陵)이 조나라의 한단(邯鄲)을 침공했다. 49년 정월, 군사를 증원해 오대부 능을 돕게 했다. 능이 싸움을 잘하지 못했기에 면직시키고 장수를 왕흘로 바꾸었다. 그해 10월, 장군 장당(張唐)이 위나라를 공격해 빼앗은 땅을 채위(蔡尉)가 지키지 못해서 잃었기에, 장당이 돌아와서 그를 죽였다.

 

 

50년 10월, 무안군 백기가 죄를 지었으므로 사병으로 강등해 음밀(陰密)로 유배시켰다. 장당이 정(鄭)을 공격해 점령했다. 12월, 병력을 증원해 분성(汾城) 부근에 주둔시켰다. 무안군 백기가 죄를 짓자, 그를 죽였다. 왕흘이 한단을 공격했으나 점령하지 못하고 철수해 분성 부근에 주둔한 군대에 투항했다. 두 달쯤 뒤에 진(晉)나라 군대를 공격해 6천 명의 머리를 베었으니, 황하에 떠다니는 진군(晉軍)과 초군(楚軍)의 시체가 2만 명이었다. 또 분성을 공격하고 나서, 장당을 따라서 영신중(寧新中)을 점령해 그곳을 안양(安陽)으로 개명했다. 처음으로 하교(河橋)를 설치했다.


 

五十一年, 將軍摎攻韓, 取陽城、負黍,297) 斬首四萬. 攻趙, 取二十餘縣, 首虜九萬. 西周君298)背秦, 與諸侯約從, 將天下銳兵出伊闕攻秦, 令秦毋得通陽城. 於是秦使將軍摎攻西周. 西周君走來自歸, 頓首受罪, 盡獻其邑三十六城, 口三萬. 秦王受獻, 歸其君於周. 五十二年, 周民東亡, 其器九鼎入秦.299) 周初亡.

 

 

51년, 장군 규(摎)가 한나라를 공격해 양성(陽城)과 부서(負黍)를 빼앗고 4만 명의 머리를 베었다. 조나라를 침공해 20여 현을 빼앗고 9만 명의 머리를 베었다. 서주(西周)의 군주가 진을 배반하고 제후들과 연합해 천하의 정예 군사를 이끌고 이궐(伊闕)을 나와 진나라를 공격하니, 진은 양성과 교통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진은 장군 규를 파견해 서주를 공격했다. 서주의 군주가 진으로 달려와서 투항해, 돈수(頓首)하며 죄를 인정하고 36 성읍과 3만 명을 모두 헌상했다. 진왕은 헌상을 받아들여 서주 군주를 주나라로 돌려보냈다. 52년, 주나라 백성들은 동쪽으로 도망쳤고, 주나라의 보물인 구정(九鼎)을 진으로 가져왔다. 주나라는 이때부터 쇠망하기 시작했다.


 

五十三年, 天下來賓. 魏後, 秦使摎伐魏, 取吳城.300) 韓王入朝, 魏委國聽令. 五十四年, 王郊見上帝於雍. 五十六年秋, 昭襄王卒, 子孝文王立.301) 尊唐八子爲唐太后,302) 而合其葬於先王.303) 韓王衰絰入弔祠, 諸侯皆使其將相來弔祠, 視喪事.

 

53년, 천하가 모두 진나라에 귀복(歸服)했다. 위나라가 제일 뒤지자, 진은 규를 보내 위나라를 토벌해 오성(吳城)을 빼앗았다. 한왕(韓王)이 와서 알현했으며, 위왕도 진에 나라를 위탁해 명령을 들었다. 54년, 진왕은 옹성의 남쪽 교외에서 상제께 제사 드렸다. 56년 가을, 소양왕(昭襄王)이 죽고 그의 아들 효문왕(孝文王)이 즉위했다. 효문왕은 생모 당팔자(唐八子)를 당태후(唐太后)로 추존하고 선왕(소양왕)과 합장했다. 한왕(韓王)이 소복을 입고 조문했고, 다른 제후들도 모두 장군과 승상을 보내 조문 드리고 상례에 참가했다.


 

孝文王元年, 赦罪人, 修先王功臣, 褒厚親戚, 弛苑囿. 孝文王除喪, 十月己亥卽位, 三日辛丑卒, 子莊襄王立.304)

 

 

효문왕 원년, 죄인을 사면하고 선왕 때의 공신을 표창했으며, 친척들을 후대하고 원유(苑囿)를 개방했다. 효문왕이 복상을 마치고 10월 기해일에 즉위했으나 3일 만인 신축일에 죽으니 그의 아들 장양왕(莊襄王)이 즉위했다.


 

莊襄王元年, 大赦罪人, 修先王功臣, 施德厚骨肉而布惠於民. 東周君與諸侯謀秦, 秦使相國呂不韋誅之, 盡入其國. 秦不絶其祀, 以陽人地305)賜周君, 奉其祭祀. 使蒙驁伐韓, 韓獻成皐、鞏.306) 秦界至大梁, 初置三川郡.307) 二年, 使蒙驁攻趙, 定太原. 三年, 蒙驁攻魏高都、汲,308) 拔之. 攻趙楡次、新城、狼孟,309) 取三十七城.310) 四月日食. (四年)王齕攻上黨.311) 初置太原郡.312) 魏將無忌率五國兵擊秦,313) 秦卻於河外.314) 蒙驁敗, 解而去. 五月丙午, 莊襄王卒, 子政立, 是爲秦始皇帝.

 

 

장양왕 원년, 죄인을 크게 사면하고 선왕 때의 공신들을 표창했으며, 널리 덕을 베풀어 친족을 후대하고 백성들에게 은혜를 베풀었다. 동주(東周)의 군주가 제후들과 함께 진(秦)을 배반할 것을 도모했다.

 

진이 상국(相國) 여불위(呂不韋)를 보내 그들을 토벌하고 동주의 영토를 모두 합병했다. 진은 주나라의 제사를 끊지 않고 양인(陽人) 지역을 주나라 군주에게 내려주어 제사를 받들게 했다. 또한 몽오(蒙驁)를 파견해 한나라를 토벌하니, 한나라는 성고(成皐)와 공(鞏)을 헌상했다. 진나라 국경은 대량(大梁)까지 이르렀고 처음으로 삼천군(三川郡)을 설치했다. 2년, 몽오를 보내 조나라를 침공해 태원(太原)을 평정했다.

 

3년, 몽오는 위나라의 고도(高都)와 급(汲)을 침공해 점령했다. 또 조나라의 유차(楡次), 신성(新城), 낭맹(狼孟)을 공격해 37 성을 탈취했다. 4월, 일식이 있었다. 왕흘이 상당을 공격해 처음으로 태원군(太原郡)을 설치했다. 위나라의 장수 무기(無忌)가 다섯 나라의 군사를 이끌고 진을 공격해오니, 진군(秦軍)은 하외(河外)로 퇴각했다. 몽오가 패전해 포위를 풀고 철수했다. 5월 병오일, 장양왕이 죽고 그의 아들 정(政)이 즉위하니, 그가 진시황제(秦始皇帝)이다.


 

秦王政立二十六年, 初幷天下爲三十六郡, 號爲始皇帝.315) 始皇帝五十一年而崩, 子胡亥立, 是爲二世皇帝.316) 三年, 諸侯並起叛秦, 趙高殺二世, 立子嬰. 子嬰立月餘, 諸侯誅之, 遂滅秦. 其語在始皇本紀中.

 

 

진왕 정은 즉위 26년 만에 처음으로 천하를 통일해 36군을 설치했으며, 칭호를 시황제(始皇帝)라 했다. 시황제는 51세에 서거하고 그의 아들 호해(胡亥)가 즉위하니 그가 2세 황제(二世皇帝)이다. 3년, 제후들이 분분히 일어나서 진에 반기를 드니 조고(趙高)가 2세를 죽이고 자영(子嬰)을 세웠다. 자영이 즉위한 지 한 달여 만에 제후가 그를 죽이고, 결국 진나라를 멸망시켰다. 이러한 일은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에 자세히 나와 있다.


 

太史公曰:秦之先爲嬴姓. 其後分封, 以國爲姓, 有徐氏、郯氏、莒氏、終黎氏、317)運奄氏、菟裘氏、將梁氏、黃氏、江氏、脩魚氏、白冥氏、蜚廉氏、秦氏. 然秦以其先造父封趙城, 爲趙氏.

 

 

태사공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진나라 선조의 성은 영씨(嬴氏)이다. 그의 후손이 각 지역에 봉해져서 그 봉국의 이름으로 성씨를 삼았는데, 성씨로는 서씨(徐氏), 담씨(郯氏), 거씨(莒氏), 종려씨(終黎氏), 운엄씨(運奄氏), 도구씨(菟裘氏), 장량씨(將梁氏), 황씨(黃氏), 강씨(江氏), 수어씨(修魚氏), 백명씨(白冥氏), 비렴씨(蜚廉氏), 진씨(秦氏) 등이 있다. 그러나 진나라는 그의 선조 조보(造父)가 조성(趙城)에 봉해졌으므로 조씨(趙氏)가 되었다.”



각주


130 正義韋昭云:「晉正卿士■之孫, 成伯之子季武子也. 食采於隨范, 故曰隨會, 或曰范會. 季, 范子字也.」

131 集解杜預曰:「在河東.」正義令音零. 括地志云:「令狐故城在蒲州猗氏縣界十五里也.」

132 正義括地志云:「故武城一名武平城, 在華州鄭縣東北十三里也.」

133 正義前入秦, 後歸晉, 今秦又取之.

134 集解服虔曰:「晉邑也.」

135 集解服虔曰:「晉之魏邑大夫.」正義讎音受. 又作「犨」, 音同.

136 正義詳音羊.

137 索隱名貑. 十代至靈公, 又並失名.

138 集解徐廣曰:「世本云景公名后伯車也.」索隱景公已下, 名又錯亂, 始皇本紀作(哀)[僖]公.

139 集解杜預曰:「晉地也.」正義櫟音歷. 括地志云:「洛州陽翟縣, 古櫟邑也.」

140 集解徐廣曰:「棫音域.」駰案:杜預曰「秦地也」.

141 正義音鉗.

142 正義在鄧州南陽縣[北]三十里.

143 索隱始皇本紀作「■公」.

144 正義太子建亡之鄭, 鄭殺之.

145 正義包胥姓公孫, 封於申, 故號申包胥. 左傳云:「申包胥如秦乞師, 曰:『吳爲封豕長蛇, 以荐食上國, 虐始於楚. 寡君失守社稷, 越在草莽, 使下臣告急曰, 夷德無厭, 若鄰於君, 疆埸之患也. 逮吳之未定, 君其取分焉. 若楚之遂亡, 君之土也. 若以君靈撫之, 世以事君.』」

146 正義左傳云:「申包胥對秦伯曰『寡君越在草莽, 未獲所伏, 下臣何敢卽安』. 立依於庭牆而哭, 日夜不絶聲, 勺飮不入口, 七日. 秦哀公爲賦無衣, 九頓首而坐. 秦師乃出.」

147 正義左傳魯定公五年, 秦子蒲、子虎帥車五百乘以救楚, 敗吳師於軍祥.

148 集解徐廣曰:「外傳云吳王先歃.」

149 集解徐廣曰:「今之臨晉也. 臨晉有王城.」正義荔音戾. 括地志云:「同州東三十里朝邑縣東三十步故王城. 大荔近王城邑.」

150 集解地理志馮翊有頻陽縣. 正義括地志云:「頻陽故城在雍州同官縣界, 古頻陽縣城也.」

151 集解徐廣曰:「一本二十六年城南鄭也.」正義開, 智伯子. 伯被趙襄子等滅其國, 其子與從屬來奔秦.

152 集解應劭曰:「義渠, 北地也.」正義括地志云:「寧、慶二州, 春秋及戰國時爲義渠戎國之地也.」

153 正義南鄭, 今梁州所理縣也. 春秋及戰國時, 其地屬於楚也.

154 索隱厲共公子也. 生昭太子, 未立而卒. 太子之子, 是爲靈公.

155 正義長, 丁丈反. 晁, 竹遙反. 晁, 人名也. 劉伯莊音潮.

156 索隱生獻公也.

157 正義括地志云:「籍姑故城在同州韓城縣北三十五里.」

158 索隱名師隰.

159 索隱簡公, 昭之弟而懷公子. 簡公, 懷公弟, 靈公季父也. 始皇本紀云靈公生簡公, 誤也. 又紀年云簡公九年卒, 次敬公立, 十二年卒, 乃立惠公. 正義劉伯莊云簡公是昭子之弟, 懷公之子, 厲公之孫. 今(史)[秦]記謂簡公是(厲)[靈]公子者抄寫之誤.

160 正義春秋官吏各得帶劍.

161 集解地理志重泉縣屬馮翊. 正義重, 直龍反. 括地志云:「重泉故城在同州蒲城縣東南四十五里也.」

162 集解徐廣曰:「表云十五年也.」

163 正義西者, 秦州西縣, 秦之舊地, 時獻公在西縣, 故迎立之.

164 正義奪前所上八城也.

165 集解徐廣曰:「丁酉.」

166 集解徐廣曰:「徙都之, 今萬年是也.」正義括地志云:「櫟陽故城一名萬年城, 在雍州東北百二十里. (櫟陽)漢七年, 分櫟陽城內爲萬年縣, 隋文帝開皇三年, 遷都於龍首川, 今京城也. 改萬年爲大興縣. 至唐武德元年, 又改曰萬年, 置在州東七里.」

167 正義言雨金於秦國都, 明金瑞見也.

168 正義括地志云:「堯門山俗名石門, 在雍州三原縣西北三十三里. 上有路, 其狀若門. 故老云堯鑿山爲門, 因名之. 武德年中於此山南置石門縣, 貞觀年中改爲雲陽縣.」

169 集解周禮曰:「白與黑謂之黼, 黑與靑謂之黻.」

170 正義在戈反.

171 集解徐廣曰:「表云二十三年.」

172 索隱名渠梁.

173 集解徐廣曰:「庚申也.」

174 正義並, 白浪反. 謂淮泗二水.

175 正義楚北及魏西與秦相接, 北自梁州漢中郡, 南有巴、渝, 過江南有黔中、巫郡也. 魏西界與秦相接, 南自華州鄭縣, 西北過渭水, 濱洛水東岸, 向北有上郡鄜州之地, 皆築長城以界秦境. 洛卽漆沮水也.

176 正義卽龍門河也.

177 集解地理志天水有獂道縣. 應劭曰:「獂, 戎邑, 音桓.」

178 正義監, 甲暫反, 閹人也.

179 正義在同州澄城縣界也.

180 正義祁城在同州澄城縣界.

181 集解地理志曰河東有安邑縣. 正義括地志云:「安邑故城在絳州夏縣東北十五里, 本夏之都.」

182 正義括地志云:「咸陽故城亦名渭城, 在雍州咸陽縣東十五里, 京城北四十五里, 卽秦孝公徙都之者. 今咸陽縣, 古之杜郵, 白起死處.」

183 正義劉伯莊云:「冀猶記事, 闕卽象魏也.」

184 正義萬二千五百家爲鄕. 聚猶村落之類也.

185 集解漢書百官表曰:「縣令長皆秦官. 萬戶以上爲令, 秩千石至六百石;減萬戶爲長, 秩五百石至三百石. 皆有丞尉.」

186 索隱風俗通曰:「南北曰阡, 東西曰陌. 河東以東西爲阡, 南北爲陌.」

187 集解徐廣曰:「制貢賦之法也.」索隱譙周云:「初爲軍賦也.」

188 正義伯音霸, 又如字. 孝公十九年, 天子始封爵爲霸, 卽太史儋云「合(七)十七歲而霸王出」之年, 故天子致伯. 桓譚新論云:「夫上古稱三皇、五帝, 而次有三王、五伯, 此天下君之冠首也. 故言三皇以道理, 而五帝用德化;三王由仁義, 五伯以權智. 其說之曰, 無制令刑罰謂之皇;有制令而無刑罰謂之帝;賞善誅惡, 諸侯朝事謂之王;興兵約盟, 以信義矯世謂之伯.」

189 集解徐廣曰:「開封東北有逢澤.」正義括地志云:「逢澤亦名逢池, 在汴州浚儀縣東南十四里.」

190 正義虞喜志林云:「濮州甄城縣東北六十餘里有馬陵, 澗谷深峻, 可以置伏.」按:龐涓敗卽此也.

191 正義商州商洛縣在州東八十九里, 鞅所封也. 契所封地.

192 索隱紀年云「與魏戰岸門」, 此云「鴈門」, 恐聲誤也. 又下云「敗韓岸門」, 蓋一地也. 尋秦與韓、魏戰, 不當遠至鴈門也. 正義括地志云:「岸門在許州長社縣西北二十八里, 今名西武亭.」

193 正義七故反.

194 索隱名駟.

195 正義爲, 于僞反.

196 集解漢書曰:「商君爲法於秦, 戰斬一首賜爵一級, 欲爲官者五十石. 其爵名:一爲公士, 二上造, 三簪褭, 四不更, 五大夫, 六官大夫, 七公大夫, 八公乘, 九五大夫, 十左庶長, 十一右庶長, 十二左更, 十三中更, 十四右更, 十五少上造, 十六大上造, 十七駟車庶長, 十八大庶長, 十九關內侯, 二十徹侯.」

197 正義冠音館. 禮記云年二十行冠禮也.

198 索隱齊威王、魏惠王.

199 集解犀首, 官名. 姓公孫, 名衍. 索隱官名, 若虎牙之類. 姓公孫, 名衍, 魏人也. 正義犀音西. 地理志云華陰縣, 故陰晉, 秦惠王五年, 更名寧秦, 高祖八年更名華陰.

200 集解徐廣曰:「今之華陰也.」

201 集解地理志二縣屬河東. 正義渡河東取之. 括地志云:「汾陰故城俗名殷湯城, 在蒲州汾陰縣北也. 皮氏在絳州龍門縣西一里八十步, 卽古皮氏城也.」

202 正義應, 乙陵反. 括地志云:「故應城因應山爲名, 古之應國, 在汝州魯山縣東三十里. 左傳云『邘、晉、應、韓, 武之穆也』.」

203 正義括地志云:「焦城在陝州城內東北百步, 因焦水爲名. 周同姓所封, 左傳云虞、虢、焦、滑、霍、陽、韓、魏皆姬姓也.」杜預云八國皆爲晉所滅. 按:武王克商, 封神農之後于焦, 而後封姬姓也.

204 正義今鄜、綏等州也. 魏前納陰晉, 次納同、丹二州, 今納上郡, 而盡河西濱洛之地矣.

205 正義地理志云北地郡義渠道, 秦縣也. 括地志云:「寧、原、慶三州, 秦北地郡, 戰國及春秋時爲義渠戎國之地, 周先公劉、不窋居之, 古西戎也.」

206 正義括地志云:「曲沃在陝州[陝]縣西南三十二里, 因曲沃水爲名.」按:焦、曲沃二城相近, 本魏地, 適屬秦, 今還魏, 故言歸也.

207 正義臘, 盧盍反, 十二月臘日也. 秦惠文王始效中國爲之, 故云初臘. 獵禽獸以歲終祭先祖, 因立此日也. 風俗通云:「禮傳云『夏曰嘉平, 殷曰淸祀, 周曰蜡, 漢改曰臘』. 禮曰『天子大蜡八, 伊耆氏始爲蜡』. 蜡者, 索也. 歲十二月合聚萬物而索饗之.」

208 正義魏襄王、韓宣惠王也.

209 集解徐廣曰:「戎地, 在河上.」正義按:王游觀北河, 至靈、夏州之黃河也.

210 正義樂音岳. 池, 徒何反. 裴氏音池也.

211 正義修魚, 韓邑也. 年表云秦敗我修魚, 得韓將軍申差.

212 索隱蜀西南夷舊有君長, 故昌意娶蜀山氏女也. 其後有杜宇, 自立爲王, 號曰望帝. 蜀王本紀曰:「張儀伐蜀, 蜀王開戰不勝, 爲儀所滅也.」

213 集解地理志太原有中都縣. 正義括地志云:「中都故縣在汾州平遙縣西十二里, 卽西都也. 西陽卽中陽也, 在汾州隰城縣東十里. 地理志云西都、中陽屬西河郡.」此云「伐取趙中都西陽」. 趙世家云「秦卽取我西都及中陽」. 年表云「秦惠文王後元九年, 取趙中都、西陽、安邑. 趙武靈王十年, 秦取中都安陽」. 本紀、世家、年表其縣名異, 年歲實同, 所伐唯一處, 故具錄之, 以示後學.

214 正義韓地名也.

215 集解徐廣曰:「將, 一作『莊』.」正義趙將名也.

216 集解徐廣曰:「是歲王赧元年.」索隱華陽國志曰:「赧王元年, 秦惠王封子通國爲蜀侯, 以陳莊爲相.」徐廣所云, 亦據國志而言之.

217 正義滿, 或作「蒲」. 秦將姓名也.

218 正義二戎號也, 臣伏於蜀. 蜀相殺蜀侯, 幷丹、犂二國降秦. 在蜀西南姚府管內, 本西南夷, 戰國時蜀、滇國, 唐初置犂州、丹州也.

219 集解徐廣曰:「一作『狀』.」

220 索隱名蕩.

221 集解徐廣曰:「一作『趙』.」

222 集解徐廣曰:「表云哀王.」正義按:魏惠王卒已二十五年矣.

223 集解應劭曰:「丞者, 承也. 相, 助也.」

224 正義外謂臨晉城外. 「外」字一作「水」.

225 正義在河南府福昌縣東十四里, 故韓城是也. 此韓之大郡, 伐取之, 三川路乃通也.

226 集解徐廣曰:「韓邑也.」正義按:此邑本屬韓, 近平陽. 韓世家云「貞子居平陽, 九世至哀侯, 徙鄭」. 楚世家云「而韓猶服事秦者, 以先王墓在平陽」. 而秦之武遂去之七十里, 故知近平陽.

227 集解徐廣曰:「一作『■』.」正義臏音頻忍反. 絶, 斷也. 臏, 脛骨也.

228 集解皇覽曰:「秦武王冢在扶風安陵縣西北, 畢陌中大冢是也. 人以爲周文王冢, 非也. 周文王冢在杜中.」正義括地志云:「秦悼武王陵在雍州咸陽縣西北十五里也.」

229 索隱名則, 一名稷.

230 正義蓋封蜀郡嚴道縣, 因號嚴君. 疾, 名也.

231 正義彗, 似歲反, 又先到反.

232 集解徐廣曰:「迎婦於楚者.」

233 正義棘, 紀力反. 蓋在房、襄二州也.

234 集解地理志漢中有上庸縣. 正義括地志云:「上庸, 今房州竹山縣及金州是也.」

235 正義括地志云:「蒲阪故城在蒲州河東縣南二里, 卽堯舜所都也.」

236 集解徐廣曰:「魏世家云會臨晉.」正義應音乙陵反.

237 索隱煇音暉. 華陽國志曰:「秦封王子煇爲蜀侯. 蜀侯祭, 歸胙於王, 後母疾之, 加毒以進, 王大怒, 使司馬錯賜煇劍.」此煇不同也.

238 索隱名市.

239 正義楚世家云:「懷王二十九年, 秦復伐楚, 大破楚軍, 楚軍死二萬, 殺我將軍景缺.」年表云:「秦敗我襄城, 殺景缺.」括地志云:「許州襄城縣卽古新城縣也.」按世家、年表, 則「新」字誤作「襄」字.

240 集解晉地記曰:「江夏有新市縣.」

241 索隱韓將姓名.

242 索隱別封之邑, 比之諸侯, 猶商君、趙長安君然.

243 正義金受, 秦丞相姓名. 免, 奪其丞相.

244 正義蓋中山此時屬趙, 故云五國也.

245 集解徐廣曰:「鹽, 一作『監』.」正義括地志云:「鹽故城一名司鹽城, 在蒲州安邑縣.」按:掌鹽池之官, 因稱氏.

246 正義年表云:「秦與魏封陵, 與韓武遂以和.」按:河外陝、虢、曲沃等地. 封陵在古蒲阪縣西南河曲之中. 武遂, 近平陽地也.

247 正義括地志云:「穰, 鄧州所理縣, 卽古穰侯國.」

248 集解地理志魏郡有武始縣. 正義括地志云:「武始故城在洛州武始縣西南十里.」

249 正義白起傳云:「白起爲左庶長, 將而擊韓之新城.」括地志云:「洛州伊闕縣本是漢新城縣, 隋文帝改爲伊闕, 在洛州南七十里.」

250 集解漢書百官表曰:「郡守, 秦官.」

251 正義括地志云:「伊闕在洛州南十九里. 注水經云『昔大禹疏龍門以通水, 兩山相對, 望之若闕, 伊水歷其閒, 故謂之伊闕』.」按:今洛南猶謂之龍門也.

252 正義垣音袁. 前秦取蒲阪, 復以蒲阪與魏, 魏以爲垣. 今又取魏垣, 復與之, 後秦以爲蒲阪皮氏.

253 集解地理志河內有軹縣, 南陽有鄧縣. 正義括地志云:「故軹城在懷州濟源縣東南十三里, 故鄧城在懷州河陽縣西三十一里, 並六國時魏邑也.」按:二城相連, 故云及也.

254 索隱悝號高陵君, 初封於彭, 昭襄王弟也.

255 正義括地志云:「濮州雷澤縣本漢郕陽縣, 古郕伯姬姓之國, 周武王封弟季載於郕, 其後遷城之陽也.」

256 索隱「爲」當爲「易」, 蓋字訛也. 正義蒲阪, 今河東縣也. 皮氏故城在絳州龍門縣西一里八十步.

257 正義蓋蒲阪、皮氏又歸魏, 魏復以爲垣, 今重攻取之也.

258 集解徐廣曰:「汲冢紀年云魏哀王二十四年, 改宜陽曰河雍, 改向曰高平. 向在軹之西.」

259 集解徐廣曰:「秦地有父馬生駒.」

260 集解徐廣曰:「有牡馬生牛而死.」

261 集解地理志西河有中陽縣.

262 索隱尉, 秦官. 斯離, 其姓名. 正義尉, 都尉. 斯離, 名也.

263 正義鄢, 於建反, 又音偃. 括地志云:「故偃城在襄州安養縣北三里, 古郾子之國也.」

264 集解地理志汝南有安城縣. 正義括地志云:「安城在豫州汝陽縣東南十七里.」

265 正義南陽及上遷之穰, 皆今鄧州也.

266 正義括地志云:「光狼故城在今澤州高平縣西二十里.」

267 正義今黔府也.

268 正義鄢鄧二城並在襄州.

269 正義括地志云:「郢城在荊州江陵縣東北六里, 楚平王築都之地也.」

270 集解地理志河東有襄陵縣. 正義括地志云:「襄陵在晉州臨汾縣東南三十五里. 闞駰十三州志云襄陵, 晉大夫犨邑也.」

271 正義言能撫養軍士, 戰必剋, 得百姓安集, 故號武安. 故城在(潞)[洛]州武安縣西南五十里. 七國時趙邑, 卽趙奢救閼與處也.

272 正義華陽國志張若爲蜀中郡守. 括地志云:「巫郡在蘷州東百里.」

273 正義括地志云:「黔中故城在辰州沅陵縣西二十里. 江南, 今黔府亦其地也.」

274 正義黔中郡反歸楚.

275 集解地理志河南有卷縣. 正義卷音丘袁反. 括地志云:「故卷城在鄭州原武縣西北七里, 卽衡雍也.」

276 集解地理志潁川有長社縣. 正義括地志云:「蔡陽, 今豫州上蔡水之陽, 古城在豫州北七十里. 長社故城在許州長社縣西一里. 皆魏邑也.」

277 集解司馬彪曰:「華陽, 亭名, 在密縣.」索隱芒卯, 魏將. 譙周云孟卯也. 正義括地志云:「故華城在鄭州管城縣南三十里. 國語云史伯對鄭桓公, 虢、鄶十邑, 華其一也. 華陽卽此城也.」按:是時韓、趙聚兵於華陽攻秦, 卽此矣.

278 集解徐廣曰:「河內修武, 古曰南陽, 秦始皇更名河內, 屬魏地. 荊州之南陽郡, 本屬韓地.」正義括地志云:「懷獲嘉縣卽古之南陽. 杜預云在晉州山南河北, 故曰南陽. 秦破芒卯軍, 斬首十五萬, 魏入南陽以和.」

279 正義今鄧州也. 前已屬秦, 秦置南陽郡, 在漢水之北. 釋名云:「在中國之南而居陽地, 故以爲名焉.」張衡南都賦云:「陪京之南, 居漢之陽.」

280 正義括地志云:「故剛城在兗州龔丘縣界. 壽, 鄆州之縣.」

281 集解孟康曰:「音焉與, 邑名, 在上黨涅縣西.」正義閼, 於達反. 與音預. 閼與聚城一名烏蘇城, 在潞州銅鞮縣西北二十里, 趙奢破秦軍處. 又儀州和順縣卽古閼與城, 亦云趙奢破秦軍處. 然儀州與潞州相近, 二所未詳. 又閼與山在洺州武安縣西南五十里, 趙奢拒秦軍於閼與, 卽山北也. 按:閼與山在武安故城西南, 又近武安故城, 蓋儀州是所封故地.

282 集解徐廣曰:「今霸陵.」正義括地志云:「芷陽在雍州藍田縣西六里. 三秦記云[白]鹿原東有霸川之西阪, 故芷陽也.」

283 集解徐廣曰:「邢丘在平皐.」駰案:韓詩外傳武王伐紂, 到于邢丘, 勒兵於寧, 更名邢丘曰懷, 寧曰修武. 正義括地志云:「平皐故城本邢丘邑, 漢置平皐縣, 在懷州武德縣東南二十里. 故懷城, 周之懷邑, 在懷州武陟縣西十一里.」

284 集解徐廣曰:「羋氏.」

285 正義酈, 力知反, 在雍州新豐縣南十四里也.

286 正義音奔. 五大夫, 官. 疑賁, 名也.

287 集解一云「華陽」. 正義葉, 書涉反.

288 集解司馬彪曰:「河南卷縣有垣雍城.」

289 正義爲, 于僞反. 蔡, 姓;尉, 名.

290 集解如淳曰;「嘗有爵而以罪奪爵, 皆稱士伍.」正義括地志云:「陰密故城在涇州鶉觚縣西, 卽古密須國也.」

291 正義括地志云:「臨汾故城在絳州正平縣東北二十五里, 卽古臨汾縣城也.」按:汾城卽此城是也.

292 集解徐廣曰:「楚, 一作『走』.」正義按:此時無楚軍, 「走」字是也.

293 集解徐廣曰:「一作『曼』. 此趙邑也.」

294 正義唐, 今晉州平陽, 堯都也. 括地志云:「寧新中, 七國時魏邑, 秦昭襄王拔魏寧新中, 更名安陽城, 卽今相州外城是也.」

295 集解徐廣曰:「魏郡有安陽縣.」正義今相州外城古安陽城.

296 正義此橋在同州臨晉縣東, 渡河至蒲州, 今蒲津橋也.

297 正義今河南府縣也. 負黍亭在陽城縣西南三十五里, 本周邑, 亦時屬韓也.

298 正義武公.

299 正義器謂寶器. 禹貢金九牧, 鑄鼎於荊山下, 各象九州之物, 故言九鼎. 歷殷至周赧王十九年, 秦昭王取九鼎, 其一飛入泗水, 餘八入於秦中.

300 集解徐廣曰:「在大陽.」正義括地志云:「虞城故城在陝州河北縣東北五十里虞山之上, 亦名吳山, 周武王封弟虞仲於周之北故夏墟吳城, 卽此城也.」

301 索隱名柱, 五十三而立, 立一年卒, 葬壽陵. 子莊襄王.

302 集解徐廣曰:「八子者, 妾媵之號, 姓唐.」正義孝文王之母也. 先死, 故尊之. 晉灼云:「除皇后, 自昭儀以下, 秩至百石, 凡十四等.」漢書外戚傳云:「八子視千石, 比中更.」

303 正義以其母唐太后與昭王合葬.

304 索隱名子楚. 三十二而立, 立三年卒, 葬陽陵. 紀作「四年」.

305 集解地理志河南梁縣有陽人聚.

306 正義括地志云:「洛州氾水縣古(之)[東]虢國, 亦鄭之制邑, 又名虎牢, 漢之成皐.」鞏, 恭勇反, 今洛州鞏縣. 爾時秦滅東周, 韓亦得其地, 又獻於秦.

307 集解韋昭曰:「有河、洛、伊, 故曰三川.」駰案:地理志漢高祖更名河南郡.

308 集解徐廣曰:「一作『波』. 波縣亦在河內.」正義汲音急. 括地志云:「高都故城今澤州是. 汲故城在衛州所理汲縣西南二十五里. 孟康云漢波縣, 今郗城是也.」括地志云:「故郗城在懷州河內縣西三十二里. 左傳云蘇忿生十二邑, 郗其一也.」

309 正義括地志云:「楡次, 幷州縣, 卽古楡次地也. 新城一名小平城, 在朔州善陽縣西南四十七里. 狼孟故城在幷州陽曲縣東北二十六里.」

310 正義案:取三十七城, 幷代、朔三州之地矣.

311 正義上黨又反秦, 故攻之.

312 正義上黨以北皆太原地, 卽上三十七城也.

313 正義信陵君也. 率燕、趙、韓、楚、魏之兵擊秦也.

314 正義蒙驁被五國兵敗, 遂解而卻至於河外. 河外, 陝、華二州也.

315 索隱十三而立, 立三十七年崩, 葬酈山.

316 索隱十二年立. 紀云二十一. 立三年, 葬宜春. 秦自襄公至二世, 凡六百一十七歲. 此實本紀而注別擧之, 以非本文耳.

317 集解徐廣曰:「世本作『鍾離』.」應劭曰:「氏姓注云有姓終黎者是.」

'中國歷史와文學 > 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史記 卷六. 秦始皇本期 Ⅱ  (0) 2019.05.11
史記 卷六. 秦始皇本記 Ⅰ  (0) 2019.05.11
史記 卷五. 秦本紀 Ⅰ  (0) 2019.05.11
史記 卷四. 周本記 Ⅲ  (0) 2019.05.11
史記 卷四. 周本記 Ⅱ  (0) 2019.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