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中國歷史와文學/史記

史記 卷五. 秦本紀 Ⅰ

by 柳川 2019. 5. 11.

史記 卷五. 秦本期 Ⅰ

 



秦之先, 帝顓頊之苗裔1)孫曰女脩. 女脩織, 玄鳥隕卵, 女脩呑之, 生子大業.2) 大業取少典之子, 曰女華. 女華生大費,3) 與禹平水土. 已成, 帝錫玄圭. 禹受曰:「非予能成, 亦大費爲輔.」帝舜曰:「咨爾費, 贊禹功, 其賜爾皁游.4) 爾後嗣將大出.」5)乃妻之姚姓之玉女.6) 大費拜受, 佐舜調馴鳥獸, 鳥獸多馴服, 是爲柏翳. 舜賜姓嬴氏.

 

 

진(秦)의 선조(先祖)는 전욱제(顓頊帝)의 후예로서, 이름은 여수(女修)라 했다. 여수가 베를 짜고 있는데 제비가 알을 떨어트리자, 여수가 이 알을 먹고 아들 대업(大業)을 낳았다. 대업은 소전(少典)의 딸 여화(女華)를 아내로 맞았다. 여화는 대비(大費)를 낳았고, 대비는 우(禹)와 함께 물을 다스렸다.

 

 

치수(治水)에 성공하자 순(舜) 임금이 우에게 현규(玄圭)를 하사하니, 우는 받으면서 “저 혼자서 이룰 수 있었던 것이 아니고 대비가 도와주었습니다”라고 대답하자, 순임금은 “아! 비(費)야, 우를 도와서 공을 이루었으니 그대에게 조유(皁游)를 내리노라. 장차 그대의 후손이 번창할 것이다”라고 말하고는 요성(姚姓)의 미녀를 그의 아내로 삼게 했다. 대비는 조유를 공손히 받으며 순임금을 도와서 새와 짐승을 조련하니, 새와 짐승들은 그에 의해서 잘 길들여졌다. 이 사람이 바로 백예(柏翳)인데, 순임금은 그에게 영씨(嬴氏) 성을 하사했다.

 

大費生子二人:一曰大廉, 實鳥俗氏;二曰若木, 實費氏.7) 其玄孫曰費昌, 子孫或在中國, 或在夷狄.8) 費昌當夏桀之時, 去夏歸商, 爲湯御, 以敗桀於鳴條. 大廉玄孫曰孟戱、中衍,9) 鳥身人言.10) 帝太戊聞而卜之使御, 吉, 遂致使御而妻之. 自太戊以下, 中衍之後, 遂世有功,11) 以佐殷國, 故嬴姓多顯, 遂爲諸侯.

 

 

대비는 아들 둘을 낳았다. 한 아들은 대렴(大廉)이라고 불리는데 그는 조속씨(鳥俗氏)의 선조가 되었으며, 다른 아들은 약목(若木)이라고 불리는데 그는 비씨(費氏)의 선조가 되었다. 약목의 현손(玄孫)은 비창(費昌)이라고 하는데, 그의 자손은 중원(中原)에 살기도 하고 이적(夷狄) 지역에 살기도 했다. 비창은 하(夏)의 걸왕(桀王) 때에, 하를 떠나 상(商)에 귀순해 탕왕(湯王)을 위해서 수레를 몰았으며, 명조(鳴條)에서 걸왕을 격파했다.

 

대렴의 현손은 맹희(孟戲)와 중연(中衍)인데, 그들은 모습은 새를 닮았으나 사람의 말을 했다. 태무(太戊)가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그들에게 수레를 몰게 하려고 점을 쳐보니 점괘가 길하게 나오자, 그들에게 수레를 몰게 하고 아내를 얻어주었다. 태무 이래로 중연의 후손들은 마침내 대대로 공을 세우고 은나라를 도왔으므로, 영씨는 대부분 현귀(顯貴)하게 되어 결국은 제후가 되었다.


 

其玄孫曰中潏,12) 在西戎, 保西垂. 生蜚廉. 蜚廉生惡來. 惡來有力,13) 蜚廉善走, 父子俱以材力事殷紂. 周武王之伐紂, 幷殺惡來. 是時蜚廉爲紂石北方,14) 還, 無所報, 爲壇霍太山15)而報, 得石棺,16) 銘曰「帝令處父17)不與殷亂, 賜爾石棺以華氏」. 死, 遂葬於霍太山.18) 蜚廉復有子曰季勝.19) 季勝生孟增. 孟增幸於周成王, 是爲宅皐狼.20) 皐狼生衡父, 衡父生造父. 造父以善御幸於周繆王, 得驥、溫驪、21)驊騮、22)騄耳之駟,23) 西巡狩, 樂而忘歸.24) 徐偃王作亂,25) 造父爲繆王御, 長驅歸周, 一日千里以救亂.26) 繆王以趙城封造父,27) 造父族由此爲趙氏. 自蜚廉生季勝已下五世至造父, 別居趙. 趙衰其後也. 惡來革者, 蜚廉子也, 蚤死. 有子曰女防. 女防生旁皐, 旁皐生太几, 太几生大駱, 大駱生非子. 以造父之寵, 皆蒙趙城, 姓趙氏.

 

중연의 현손은 중휼(中潏)인데 서융(西戎) 지역에 살면서 서수(西垂)를 지켰다. 그는 비렴(蜚廉)을 낳았고, 비렴은 오래(惡來)를 낳았다. 오래는 힘이 세었고, 비렴은 달리기를 잘했다. 부자 두 사람은 자기들이 가진 재주와 힘으로 은(殷)의 주왕(紂王)을 섬겼다. 주 무왕(周武王)은 주왕을 정벌하면서 오래도 함께 죽였다. 이때 비렴은 주(紂)를 대신해 북방으로 출사(出使)했는데, 돌아와보니 (주왕이 이미 죽어서) 보고할 곳이 없자, 곽태산(霍太山)에 제단을 쌓아서 주왕에게 보고했다.

 

그때 석관(石棺) 하나를 얻었는데, 그 석관에는 “천제께서는 비렴을 은나라의 재난에서 벗어나게 하시고, 비렴에게 석관을 하사해 씨족을 번창하게 하노라”라고 새겨져 있었다. 비렴이 죽자 곽태산에 장사 지냈다. 비렴에게는 또 계승(季勝)이라고 불리는 아들이 있었다. 계승은 맹증(孟增)을 낳았다. 맹증은 주 성왕(周成王)의 총애를 받았으니, 그가 택고랑(宅皐狼)이다. 고랑은 형보(衡父)를 낳았고, 형보는 조보(造父)를 낳았다. 조보는 말을 잘 다루었으므로 주 목왕(周繆王)의 총애를 받았다.

 

목왕은 기(驥), 온려(溫驪), 화류(驊駵), 녹이(騄耳)라는 이름의 준마 네 필을 얻자, 서쪽으로 순수를 떠나서는 즐거워 돌아오는 것을 잊었다. 서언왕(徐偃王)이 난을 일으키자, 조보는 목왕의 수레를 하루에 천리 길을 쉬지 않고 몰아서 주(周)나라로 귀부(歸附)했다. 목왕은 조성(趙城)을 조보에게 봉읍으로 하사하니, 조보의 가족은 이때부터 조씨(趙氏)가 되었다. 비렴이 계승을 낳은 이래 5대째인 조보에 이르러서 따로 조성에서 살았으며, 조최(趙衰)가 바로 그 후 손이다.

 

오래혁(惡來革)은 비렴의 아들인데 요절했다. 그에게는 여방(女防)이라는 아들이 있었다. 여방은 방고(旁皐)를 낳았고, 방고는 태궤(太几)를 낳았고, 태궤는 대락(大駱)을 낳았고, 대락은 비자(非子)를 낳았다. 이들은 모두 조보가 목왕의 총애를 받은 덕으로 조성에 거주하는 은혜를 입었으며 조씨의 성을 가지게 되었다.


 

非子居犬丘,28) 好馬及畜,29) 善養息之. 犬丘人言之周孝王, 孝王召使主馬于汧渭之閒,30) 馬大蕃息. 孝王欲以爲大駱適嗣. 申侯之女爲大駱妻, 生子成爲適. 申侯乃言孝王曰:「昔我先酈山之女,31) 爲戎胥軒妻,32) 生中潏, 以親故歸周, 保西垂, 西垂以其故和睦. 今我復與大駱妻, 生適子成. 申駱重婚, 西戎皆服, 所以爲王.33) 王其圖之.」於是孝王曰:「昔伯翳爲舜主畜, 畜多息, 故有土, 賜姓嬴. 今其後世亦爲朕息馬, 朕其分土爲附庸.」邑之秦,34) 使復續嬴氏祀, 號曰秦嬴. 亦不廢申侯之女子爲駱適者, 以和西戎.

 

비자는 견구(犬丘)에 살았는데, 말과 가축을 좋아했으며 또 사육과 번식에도 뛰어난 재주를 가지고 있었다. 견구 사람들이 주 효왕(周孝王)에게 이런 사실을 말하자, 효왕은 비자를 불러서 견수(汧水)와 위수(渭水) 사이에서 말을 사육하게 했다. 그러자 말이 대량으로 번식되었다. 효왕은 비자를 대락의 후계자로 삼고자 했다. 그러나 신후(申侯)의 딸이 대락의 아내로서 아들 성(成)을 낳았으니 성이 후계자였다. 신후가 효왕에게 이렇게 말했다.

 

옛날 저의 선조가 여산(酈山)에 거주할 적에 낳은 딸이 융족(戎族) 서헌(胥軒)의 아내가 되어 중휼(中潏)을 낳으셨는데, 친척인 관계로 인해서 주(周)나라에 귀의해 서수(西垂)를 지키니 서수가 태평해졌습니다. 이제 제가 다시 대락에게 딸을 주어 적자인 성(成)을 낳았습니다. 저와 대락이 다시 혼인을 맺어 서융족(西戎族)이 모두 귀순했으니, 이것이 왕께서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까닭입니다. 왕께선 그점을 잘 생각해보십시오.

 

그러자 효왕은 이렇게 말했다.

 

옛날 백예가 순 임금을 위해서 가축을 관리했는데, 번식을 잘 시켜서 봉토를 하사받고 영씨 성을 받았던 것이다. 그런데 지금 그 후 손들도 나를 위해서 말을 많이 번식시켰기에, 나는 그들에게 토지를 나누어주어 부용국(附庸國)으로 삼고자 한다.

 

그리고는 진(秦)나라 땅을 비자에게 봉읍(封邑)으로 하사하고, 그로 하여금 다시 영씨의 제사를 잇게 하고서는 진영(秦嬴)이라고 이름했다. 또 신후의 딸이 낳은 아들을 원래 그대로 대락의 적자로 삼음으로써, 서융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秦嬴生秦侯. 秦侯立十年, 卒. 生公伯. 公伯立三年, 卒. 生秦仲.

秦仲立三年, 周厲王無道, 諸侯或叛之. 西戎反王室, 滅犬丘大駱之族. 周宣王卽位,35) 乃以秦仲爲大夫, 誅西戎. 西戎殺秦仲. 秦仲立二十三年, 死於戎.36) 有子五人, 其長者曰莊公. 周宣王乃召莊公昆弟五人, 與兵七千人, 使伐西戎, 破之. 於是復予秦仲後, 及其先大駱地犬丘幷有之, 爲西垂大夫.37)

 

진영은 진후(秦侯)를 낳았다. 진후는 재위 10년 만에 죽었다. 진후는 공백(公伯)을 낳았고, 공백은 재위 3년 만에 죽었다. 공백은 진중(秦仲)을 낳았다.

 

진중이 즉위한 지 3년, 주 여왕(周厲王)이 무도(無道)하니, 제후들 중에서 배반하는 자가 있었으며 서융도 주 왕실에 반기를 들고 견구의 대락 일족을 주멸했다. 주 선왕(周宣王)이 즉위하자 진중을 대부(大夫)로 삼아 서융을 토벌했다. 그러나 진중은 재위 23년에 서융 땅에서 목숨을 잃었다. 그에게는 아들 다섯이 있었는데, 큰 아들은 장공(莊公)이라 했다. 주 선왕은 장공의 다섯 형제를 불러 7,000명의 병사를 주고 서융을 치게 하자, 그들은 서융을 물리쳤다. 이에 선왕은 진중의 후손에게 상을 내리고 그들의 선조인 대락의 봉지인 견구까지 그들에게 주었으며, 그들을 서수의 대부로 삼았다.


 

莊公居其故西犬丘, 生子三人, 其長男世父. 世父曰:「戎殺我大父仲, 我非殺戎王則不敢入邑.」遂將擊戎, 讓其弟襄公. 襄公爲太子. 莊公立四十四年, 卒, 太子襄公代立. 襄公元年, 以女弟繆嬴爲豐王妻. 襄公二年,38) 戎圍犬丘, (世父)世父擊之, 爲戎人所虜. 歲餘, 復歸世父. 七年春, 周幽王用褒姒廢太子, 立褒姒子爲適, 數欺諸侯, 諸侯叛之. 西戎犬戎與申侯伐周, 殺幽王酈山下. 而秦襄公將兵救周, 戰甚力, 有功. 周避犬戎難, 東徙雒邑,39) 襄公以兵送周平王. 平王封襄公爲諸侯, 賜之岐以西之地. 曰:「戎無道, 侵奪我岐、豐之地, 秦能攻逐戎, 卽有其地.」與誓, 封爵之. 襄公於是始國, 與諸侯通使聘享之禮, 乃用騮駒、40)黃牛、羝羊各三, 祠上帝西畤.41) 十二年, 伐戎而至岐, 卒. 生文公.

 

장공은 그들의 옛 땅인 서견구(西犬丘)에 살면서 세 아들을 낳았는데, 큰아들은 세보(世父)라고 불렸다. 세보는 “서융이 나의 조부인 진중을 죽였으니, 내가 서융의 왕을 죽이지 않으면 봉읍으로 돌아갈 수 없다”라고 말했다. 세보는 서융을 치기 위해 아우 양공(襄公)에게 양위(讓位)하니, 양공이 태자가 되었다. 장공이 재위 44년 만에 죽자, 태자인 양공이 뒤를 이었다.

 

양공 원년, 양공의 여동생 목영(繆瀛)이 풍왕(豐王)의 처가 되었다. 양공 2년, 서융이 견구를 포위하자 세보는 서융을 공격했다가 서융의 포로가 되었다. 1년 남짓 지난 후에 서융은 세보를 돌려보냈다.

 

7년 봄, 주 유왕(周幽王)이 포사(褒姒)를 총애해 태자를 폐하고 포사의 아들을 태자로 삼았으며, 여러 차례 제후들을 기만하자 제후들은 유왕을 배반했다. 서융의 견융(犬戎)과 신후(申侯)가 주나라를 공격해 유왕을 여산(酈山) 아래에서 죽였다. 진 양공이 군대를 이끌고 주나라를 구원했는데 힘껏 싸워 공을 세웠다. 주나라 왕실이 견융의 반란을 피해서 동쪽의 낙읍(雒邑)으로 천도하니, 양공은 군대를 이끌고 주 평왕(周平王)을 호송했다.

 

평왕은 양공을 제후로 봉하고 기산(岐山)의 서쪽 땅을 하사하면서 “서융은 무도해 우리의 기산과 풍읍(豐邑) 지역을 침탈했으니, 진(秦)이 서융을 공격해 물리친다면 그 땅을 소유하게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평왕은 양공과 서약하고 봉지와 작위를 하사했다. 양공은 이때 처음으로 제후국이 되어 다른 제후들과 사절을 교환하고 빙향(聘享)의 예를 행하게 되었으며, 이에 유구(駵駒), 황소, 숫양 세 마리씩을 사용해 서치(西畤)에서 상제(上帝)에게 제사를 올렸다. 12년, 양공은 서융을 토벌하기 위해서 기산까지 갔다가 그곳에서 죽었다. 양공은 문공(文公)을 낳았다.


 

文公元年, 居西垂宮.42) 三年, 文公以兵七百人東獵. 四年, 至汧渭之會. 曰:「昔周邑我先秦嬴於此, 後卒獲爲諸侯.」乃卜居之, 占曰吉,43) 卽營邑之. 十年, 初爲鄜畤,44) 用三牢. 十三年, 初有史以紀事, 民多化者. 十六年, 文公以兵伐戎, 戎敗走. 於是文公遂收周餘民有之, 地至岐, 岐以東獻之周. 十九年, 得陳寶.45) 二十年, 法初有三族之罪.46) 二十七年, 伐南山大梓, 豐大特.47) 四十八年, 文公太子卒, 賜謚爲竫公.48) 竫公之長子爲太子, 是文公孫也. 五十年, 文公卒, 葬西山.49) 竫公子立, 是爲寧公.50)

 

문공 원년, 문공은 서수궁(西垂宮)에 거주했다. 3년에 문공은 700명의 병사를 이끌고 동쪽으로 사냥을 나갔다가, 4년에 견수와 위수가 만나는 지점에 이르렀다. 문공은 “옛날 주나라가 이곳을 우리 선조인 진영에게 봉읍으로 하사했고, 그 후 우리는 제후국이 되었지”라고 말했다. 그리고는 그곳이 살기에 적당한가를 점치게 했는데, 점괘가 길했기에 그곳에 성읍(城邑)을 건설했다. 10년, 처음으로 부치(鄜畤)를 만들어서 소, 양, 돼지의 세 가지 가축으로 천지에 제사를 올렸다. 13년, 처음으로 사관(史官)을 두어서 일을 기록했으며, 백성들은 대다수 교화되었다.

 

16년, 문공이 병사를 이끌고 서융을 토벌하니, 서융은 패해 달아났다. 이에 문공은 주나라의 유민들을 수습해 진의 백성으로 삼고 영토를 기산까지 넓혔으며, 기산의 동쪽 지역을 주나라에 헌상했다. 19년, 진보(陳寶)를 얻었다. 20년, 처음으로 삼족(三族)을 멸하는 형벌을 만들었다. 27년, 남산의 큰 가래나무를 베자, 가래나무 신이 커다란 황소로 변해서 풍수로 들어갔다. 48년, 문공의 태자가 죽으니 정공(靜公)이라는 시호를 하사했다. 정공의 큰 아들이 태자가 되니, 그가 바로 문공의 손자였다. 50년, 문공이 서거하자 서산에 안장했다. 정공의 아들이 등극하니, 그가 바로 영공(寧公)이다.

 

寧公二年, 公徙居平陽.51) 遣兵伐蕩社.52) 三年, 與亳戰, 亳王奔戎, 遂滅蕩社.53) 四年, 魯公子翬54)弑其君隱公. 十二年, 伐蕩氏, 取之. 寧公生十歲立, 立十二年卒, 葬西山.55) 生子三人, 長男武公爲太子. 武公弟德公, 同母魯姬子.56) 生出子. 寧公卒, 大庶長弗忌、威壘、57)三父廢太子而立出子爲君. 出子六年, 三父等復共令人賊殺出子. 出子生五歲立, 立六年卒. 三父等乃復立故太子武公.

 

영공 2년, 영공은 평양(平陽)으로 옮겨가서 살았다. 영공은 군대를 보내 탕사(蕩社)를 토벌했다. 3년에는 박(亳)나라와 싸웠다. 박왕(亳王)이 서융으로 달아나자 마침내 탕사를 멸망시켰다. 4년, 노(魯)나라의 공자(公子) 휘(翬)가 그의 군주인 은공(隱公)을 시해했다. 12년, 영공은 탕씨(蕩氏)를 토벌해 그 땅을 빼앗았다. 영공이 10세에 등극해 재위 12년 만에 죽자 그를 서산(西山)에 안장했다.

 

영공은 아들 셋을 낳았는데, 장남인 무공(武公)이 태자가 되었다. 무공의 동생 덕공(德公)은 무공과 같은 어머니 소생이었으며, 막내인 출자(出子)는 노희자(魯姬子)의 소생이었다. 영공이 죽자 대서장(大庶長)인 불기(弗忌)와 위루(威壘)인 삼보(三父) 등이 태자를 폐위하고 출자를 군주로 옹립했다. 출자 6년, 삼보 등이 함께 사람을 시켜서 출자를 시해했다. 출자는 5세에 등극해 재위 6년 만에 죽으니, 삼보 등은 다시 원래의 태자인 무공을 옹립했다.

 

武公元年, 伐彭戱氏,58) 至于華山下,59) 居平陽封宮.60) 三年, 誅三父等而夷三族, 以其殺出子也. 鄭高渠眯殺其君昭公.61) 十年, 伐邽、冀戎, 初縣之.62) 十一年, 初縣杜、鄭.63) 滅小虢.64)

 

무공 원년, 무공은 팽희씨(彭戲氏)를 토벌하기 위해서 화산(華山) 아래에 이르러 평양성(平陽城)의 봉궁(封宮)에서 거주했다. 3년, 삼보 등의 무리를 죽이고 그들의 삼족을 멸했으니, 이것은 그들이 출자를 시해했기 때문이다. 정(鄭)나라 고거미(高渠眯)가 그의 군주인 소공(昭公)을 시해했다. 10년, 규(邽)와 기(冀) 지역의 융족(戎族)을 토벌하고, 처음으로 이 두 지역을 진의 현(縣)으로 삼았다. 11년, 처음으로 두(杜)와 정(鄭) 두 지역을 현으로 삼았고, 소괵(小虢)을 멸망시켰다.


 

十三年, 齊人管至父、連稱等殺其君襄公而立公孫無知. 晉滅霍、魏、耿.65) 齊雍廩66)殺無知、管至父等而立齊桓公. 齊、晉爲彊國.

 

13년, 제(齊)나라 사람 관지보(管至父)와 연칭(連稱) 등이 그들의 군주인 양공(襄公)을 죽이고 공손무지(公孫無知)를 옹립했다. 진(晉)나라는 곽(霍), 위(魏), 경(耿) 나라를 멸망시켰다. 제(齊)나라의 옹름(雍廩)이 무지(無知)와 관지보 등을 죽이고 제 환공(齊桓公)을 세웠다. 제와 진이 강국(强國)이 되었다.

 

 

十九年, 晉曲沃始爲晉侯.67) 齊桓公伯於鄄.68)


19년, 진나라의 곡옥(曲沃)이 처음으로 진후(晉侯)가 되었고, 제 환공이 견(鄄)에서 패자(覇者)가 되었다.

 

 

二十年, 武公卒, 葬雍平陽. 初以人從死, 從死者六十六人. 有子一人, 名曰白, 白不立, 封平陽.69) 立其弟德公.

 

 

20년, 무공이 죽으니 옹읍(雍邑)의 평양(平陽)에 안장했다. 이때 처음으로 사람을 순장(殉葬)했는데, 순장한 사람은 모두 66명이었다. 무공에게는 아들 하나가 있었는데, 이름을 백(白)이라 했다. 백은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평양에 봉해졌으며, 무공의 동생인 덕공(德公)이 왕위에 올랐다.


 

德公元年, 初居雍城70)大鄭宮.71) 以犠三百牢祠鄜畤. 卜居雍. 後子孫飮馬於河.72) 梁伯、芮伯來朝.73) 二年, 初伏,74) 以狗禦蠱.75) 德公生三十三歲而立, 立二年卒. 生子三人:長子宣公, 中子成公, 少子穆公. 長子宣公立.

 

덕공 원년, 처음으로 옹성의 대정궁(大鄭宮)에 거주했다. 소, 양, 돼지의 희생을 각각 300마리 올려, 부치(鄜畤)에서 천지에 제사 드렸다. 옹성에서 거주하는 것이 적합한가를 점치니, “후대 자손들은 황하에서 말에게 물을 먹이게 될 것이다”라는 점괘가 나왔다. 그해 양백(梁伯)과 예백(芮伯)이 와서 조회했다.

 

2년, 처음으로 복일(伏日)을 정해, 개를 잡아서 열독(熱毒)을 제거했다. 덕공은 33세에 왕위에 올라서 재위 2년 만에 죽었다. 그는 아들 셋을 낳았는데, 큰아들이 선공(宣公)이고, 둘째 아들은 성공(成公)이며, 막내아들이 목공(繆公)이다. 큰아들 선공이 왕위에 올랐다.


 

宣公元年, 衛、燕伐周,76) 出惠王, 立王子穨. 三年, 鄭伯、虢叔77)殺子穨而入惠王. 四年, 作密畤.78) 與晉戰河陽, 勝之. 十二年, 宣公卒. 生子九人, 莫立, 立其弟成公.

 

선공 원년, 위(衛)나라와 연(燕)나라가 주나라를 공격해 혜왕(惠王)을 내쫓고 왕자 퇴(穨)를 옹립했다. 3년, 정백(鄭伯)과 괵숙(虢叔)이 왕자 퇴를 죽이고 다시 혜왕을 영입했다. 4년에는 밀치(密畤)를 만들었고, 진(晉)과 하양(河陽)에서 싸워서 승리했다. 12년, 선공이 죽었다. 선공은 아들을 아홉이나 두었지만, 모두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선공의 동생인 성공이 왕으로 옹립되었다.


 

成公元年, 梁伯、79)芮伯來朝. 齊桓公伐山戎, 次于孤竹.80)

 

성공 원년, 양백과 예백이 와서 조회했다. 제 환공은 산융(山戎)을 토벌하고 고죽(孤竹)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成公立四年卒. 子七人, 莫立, 立其弟繆公.81)

 

성공은 재위 4년 만에 죽었다. 성공은 아들 일곱을 두었으나 아무도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동생인 목공(繆公)이 왕으로 옹립되었다.


 

繆公任好元年, 自將伐茅津,82) 勝之. 四年, 迎婦於晉, 晉太子申生姊也. 其歲, 齊桓公伐楚, 至邵陵.

 

 

목공 임호(任好) 원년, 목공은 친히 군대를 이끌고 모진(茅津)을 토벌해 승리했다. 4년, 목공이 진(晉)나라에서 아내를 맞아들였는데, 그녀는 진의 태자 신생(申生)의 누이였다. 그해 제 환공은 초(楚)를 토벌해 소릉(邵陵)에 이르렀다.


 

五年, 晉獻公滅虞、虢, 虜虞君與其大夫百里傒, 以璧馬賂於虞故也. 旣虜百里傒, 以爲秦繆公夫人媵於秦. 百里傒亡秦走宛,83) 楚鄙人執之. 繆公聞百里傒賢, 欲重贖之, 恐楚人不與, 乃使人謂楚曰:「吾媵臣百里傒在焉, 請以五羖羊皮贖之.」. 楚人遂許與之. 當是時, 百里傒年已七十餘. 繆公釋其囚, 與語國事. 謝曰:「臣亡國之臣, 何足問!」繆公曰:「虞君不用子, 故亡, 非子罪也.」固問, 語三日, 繆公大說, 授之國政, 號曰五羖大夫. 百里傒讓曰:「臣不及臣友蹇叔, 蹇叔賢而世莫知. 臣常游困於齊而乞食絰人,84) 蹇叔收臣. 臣因而欲事齊君無知, 蹇叔止臣, 臣得脫齊難, 遂之周. 周王子穨好牛, 臣以養牛干之. 及穨欲用臣, 蹇叔止臣, 臣去, 得不誅. 事虞君, 蹇叔止臣. 臣知虞君不用臣, 臣誠私利祿爵, 且留. 再用其言, 得脫, 一不用, 及虞君難:是以知其賢.」於是繆公使人厚幣迎蹇叔, 以爲上大夫.

 

5년, 진 헌공(晉獻公)이 우(虞)나라와 괵(虢)나라를 멸망시키고 우왕(虞王)과 그의 대부 백리 혜(百里傒)를 포로로 잡아왔는데, 이것은 진헌공이 백옥(白玉)과 양마(良馬)를 우왕에게 뇌물로 주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진 헌공은 백리혜를 잡아온 후, 진 목공의 부인이 시집올 때 시종으로 진(秦)나라에 딸려보냈다. 백리혜는 진(秦)에서 도망쳐서 완(宛)으로 갔으나, 초(楚)나라 변경 사람에게 붙잡혔다.

 

백리혜가 어진 사람이라는 것을 들은 목공은 많은 재물로 그의 몸값을 치르고 데려오려고 했으나, 초 나라 사람이 내주지 않을까 걱정해 사람을 초 나라에 보내 “나의 잉신(媵臣)인 백리혜가 귀국에 있는데, 검정 숫양의 가죽 다섯 장으로 그의 몸값을 치르고자 한다”라고 전하게 했다. 초 나라 사람은 응낙하고 백리혜를 놓아주었다. 이때 백리혜의 나이는 70세가 넘었다.

목공은 백리혜를 석방시켜 그와 함께 국사를 논의했다. 그러자 백리혜는 사양하며 “신(臣)은 망한 나라의 신하인데 어찌 하문(下問)을 하십니까”라 했다. 목공은 “우왕은 그대를 등용하지 않아 망한 것이니, 그대의 죄가 아니오”라고 하며, 계속 하문하며 백리혜와 삼일간 담론했다. 목공은 크게 기뻐하며 그에게 국정을 맡기고 그를 오고대부(五羖大夫)에 임명했다. 그러자 백리혜는 사양하며 이렇게 말했다.

 

신(臣)은 신의 친구인 건숙(蹇叔)만 못합니다. 건숙은 현명하지만 세상 사람들이 알지 못합니다. 신이 일찍이 관직을 구해 돌아다니다가 제(齊)나라에서 곤경에 빠져 질 땅의 사람에게 걸식을 했을 때 건숙이 거두어주었습니다. 저는 제왕(齊王) 무지(無知)를 섬기려고 했으나 건숙이 만류했기에, 신은 제나라의 난리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이에 주(周)나라로 가서 주나라 왕자 퇴(穨)가 소를 좋아한다기에 신은 소 기르는 재주로 알현을 청했습니다. 퇴가 신을 임용하려고 했으나 건숙이 신을 만류했기에 주나라를 떠나서 죽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또 우왕(虞王)을 섬기니 건숙이 신을 만류했으나 우왕이 신을 임용하지 않을 것을 알면서도 속으로 봉록과 관직을 탐내어 잠시 머물렀습니다. 두 번은 그의 말을 들어서 재난에서 벗어날 수 있었고, 한 번은 듣지 않아 우왕의 재난을 당했습니다.

 

이에 목공은 사람을 보내 후한 예물을 갖추어 건숙을 맞아들이고 그를 상대부(上大夫)에 임명했다.

 

 

秋, 繆公自將伐晉, 戰於河曲.85) 晉驪姬作亂, 太子申生死新城,86) 重耳、夷吾出奔.87)

 

 

그해 가을, 목공은 친히 군대를 이끌고 진(晉)나라를 정벌해 하곡(河曲)에서 싸웠다. 진나라의 여희(驪姬)가 난을 일으켜 태자 신생이 신성(新城)에서 죽었고, 중이(重耳)와 이오(夷吾)는 도망했다.

 

 

九年, 齊桓公會諸侯於葵丘.88)

 

 

9년, 제 환공은 규구(葵丘)에서 제후들과 회합했다.

 

 

晉獻公卒. 立驪姬子奚齊, 其臣里克殺奚齊. 荀息立卓子,89) 克又殺卓子及荀息. 夷吾使人請秦, 求入晉. 於是繆公許之, 使百里傒將兵送夷吾. 夷吾謂曰:「誠得立, 請割晉之河西八城90)與秦.」及至, 已立, 而使丕鄭謝秦, 背約不與河西城, 而殺里克. 丕鄭聞之, 恐, 因與繆公謀曰:「晉人不欲夷吾, 實欲重耳. 今背秦約而殺里克, 皆呂甥、郤芮之計也. 願君以利急召呂、郤, 呂、郤至, 則更入重耳便.」繆公許之, 使人與丕鄭歸, 召呂、郤. 呂、郤等疑丕鄭有閒, 乃言夷吾殺丕鄭. 丕鄭子丕豹奔秦, 說繆公曰:「晉君無道, 百姓不親, 可伐也.」繆公曰:「百姓苟不便, 何故能誅其大臣? 能誅其大臣, 此其調也.」91)不聽, 而陰用豹.

 

 

진 헌공이 죽자 여희의 아들 해제(奚齊)가 옹립되었으나, 그의 신하인 이극(里克)이 해제를 죽였다. 순식(荀息)이 탁자(卓子)를 옹립했으나 이극이 또 탁자와 순식을 죽였다. 이오는 진(秦)나라에 사람을 보내어 자신이 진(晉)나라에 입국하게 도와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목공이 허락해 백리혜에게 군대를 이끌고 이오를 호송하게 했다. 이오는 “만약 내가 왕위에 오를 수 있다면 진(晉)나라 하서(河西) 지역의 여덟 성을 진(秦)나라에 떼어주겠소”라 했다. 이오는 귀국해 즉위한 후, 비정(丕鄭)을 진나라에 보내어 감사의 뜻만 전하고는 약속을 어기고 하서 지역의 성을 주지 않았으며 이극을 죽였다. 비정은 이 사실을 듣고 두려워하며 목공과 이렇게 의논했다.

 

진(晉)나라 사람들은 이오가 왕이 되는 것을 바라지 않고, 사실은 중이가 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지금 이오가 진(秦)과의 약속을 어기고 이극을 죽인 것은 모두 여생(呂甥)과 극예(郤芮)의 계략입니다. 왕께서는 이익으로 유혹해 여생과 극예를 급히 불러들이십시오. 그들이 오면 다시 중이를 진(晉)으로 호송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를 허락한 목공은 사신을 비정과 함께 귀국시켜 여생과 극예를 불러오도록 했다. 비정의 음모를 의심한 여생과 극예는 이오에게 보고하고서는 비정을 죽였다. 비정의 아들 비표(丕豹)가 진(秦)으로 도망해 목공에게 “진왕(晉王)은 무도해 백성들이 따르지 않으니 정벌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러자 목공은 “백성들이 정말 진왕(晉王)을 탐탁치 않게 여긴다면 어떻게 그의 대신을 죽일 수 있는가? 대신을 죽일 수 있다는 것은 백성들이 왕에게 협조하기 때문이다”라며 비표의 말을 듣지는 않았으나, 몰래 비표를 중용했다.

 

 

十二年, 齊管仲、隰朋死.

晉旱, 來請粟. 丕豹說繆公勿與, 因其饑而伐之. 繆公問公孫支,92) 支曰:「饑穰更事耳, 不可不與.」問百里傒, 傒曰:「夷吾得罪於君, 其百姓何罪?」於是用百里傒、公孫支言, 卒與之粟. 以船漕車轉, 自雍相望至絳.93)

 

12년, 제(齊)나라의 관중(管中)과 습붕(隰朋)이 죽었다.

 

진(晉)나라는 가뭄이 들자 진(秦)나라에 식량원조를 요청했다. 비표는 목공에게 식량을 원조해주지 말고 기근을 틈타서 정벌하라 했다. 목공이 공손지(公孫支)에게 물으니 그는 “기근과 풍년은 번갈아 일어나는 일이니, 원조해주지 않을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백리혜에게 물으니 그는 “이오가 왕(목공)께 죄를 진 것이지, 그의 백성이야 무슨 죄가 있습니까?”라 했다. 이에 목공은 백리혜와 공손지의 의견을 받아들여 결국은 식량을 원조해주었다. 식량을 운송하는 배와 수레가 옹성(雍城)에서 강성(絳城)까지 이어졌다.

 

 

十四年, 秦饑, 請粟於晉. 晉君謀之群臣. 虢射曰:94)「因其饑伐之, 可有大功.」晉君從之. 十五年, 興兵將攻秦. 繆公發兵, 使丕豹將, 自往擊之. 九月壬戌, 與晉惠公夷吾合戰於韓地.95) 晉君棄其軍, 與秦爭利, 還而馬驇.96) 繆公與麾下馳追之, 不能得晉君, 反爲晉軍所圍. 晉擊繆公, 繆公傷. 於是岐下食善馬者三百人馳冒晉軍, 晉軍解圍, 遂脫繆公而反生得晉君. 初, 繆公亡善馬, 岐下野人共得而食之者三百餘人,97) 吏逐得, 欲法之. 繆公曰:「君子不以畜産害人. 吾聞食善馬肉不飮酒, 傷人.」乃皆賜酒而赦之. 三百人者聞秦擊晉, 皆求從, 從而見繆公窘, 亦皆推鋒爭死, 以報食馬之德. 於是繆公虜晉君以歸, 令於國, 齊宿, 吾將以晉君祠上帝. 周天子聞之, 曰「晉我同姓」, 爲請晉君. 夷吾姊亦爲繆公夫人, 夫人聞之, 乃衰絰跣, 曰:「妾兄弟不能相救, 以辱君命.」繆公曰:「我得晉君以爲功, 今天子爲請, 夫人是憂.」乃與晉君盟, 許歸之, 更舍上舍, 而饋之七牢.98) 十一月, 歸晉君夷吾, 夷吾獻其河西地, 使太子圉爲質於秦. 秦妻子圉以宗女. 是時秦地東至河.99)

 

 

14년, 이번에는 진(秦)나라에 기근이 들어 진(晉)나라에 식량원조를 요청했다. 진왕(晉王)은 여러 신하들과 이 일을 상의했다. 괵석(虢射)이 “기근을 틈타 토벌하면 큰 공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하자, 진왕은 그의 말을 따랐다. 15년, 진왕은 군사를 일으켜서 진(秦)나라를 공격하자, 목공도 군사를 일으켜서 비표를 장수로 삼아 친히 싸우러 나갔다. 9월 임술일, 진 혜공(晉惠公) 이오와 한(韓) 땅에서 싸웠다. 진왕(晉王)은 자신의 군대를 뒤에 둔 채로 혼자 진격해 진군(秦軍)과 재물을 쟁탈하다 돌아오는 길에 말이 무게를 못 이겨 진흙에 빠졌다.

목공과 그의 부하가 진왕(晉王)을 추격했으나 잡지 못하고 도리어 진군(晉軍)에게 포위당했다. 진(晉)나라 군사들이 목공을 공격해 목공이 부상을 당했다. 이때, 기산(岐山) 아래에서 목공의 양마(良馬)를 훔쳐 먹었던 300명의 시골 사람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진군(晉軍)에게 달려들어 진군의 포위망이 풀어지니, 목공은 위험에서 벗어나고 오히려 진왕(晉王)을 사로잡게 되었다.

 

당초, 목공이 양마를 잃었는데, 기산 아래 300명의 사람들이 잡아 먹었기 때문이다. 관리가 이들을 체포해 처벌하고자 했으나, 목공은 “군자는 짐승 때문에 사람을 상하게 해서는 안 되오. 좋은 말고기를 먹고 술을 마시지 않으면 사람이 상한다고 들었소”라고 하면서 모두에게 술을 주고 그들을 사면해주었다. 그러므로 300명의 시골 사람들은 진(秦)나라가 진(晉)나라를 공격한다는 소식을 듣고 모두 따를 것을 청하게 된 것이다. 그들은 목공을 따라가던 중 목공이 포위당한 것을 보자, 무기를 들고 필사적으로 싸움으로써 말을 잡아먹고도 사면된 은덕에 보답했다.

 

이에 목공은 진왕(晉王)을 포로로 잡아 돌아와서는 전국에 영을 내리기를 “모두들 재계(齋戒)하고 혼자 잠자라. 내 진왕을 제물로 해 상제께 제사 드릴 것이다”라 했다. 주(周) 천자가 이 소식을 듣고 “진왕(晉王)은 우리 나라와 동성(同姓)이다”라며 진왕의 사면을 요청했다. 또한 목공의 부인은 이오의 누이였는데, 이 소식을 듣자 상복을 입고 맨발로 달려와 “소첩이 형제를 구제할 수 없었던 까닭으로, 군주의 명령을 욕되게 했습니다”라 했다.

 

목공이 “나는 진왕을 사로잡아 공을 이루었다고 여기는데, 지금 천자께서는 사면을 요청하고 부인은 이 일로 걱정을 하는구려”라고 하면서, 진왕과 맹약을 한 뒤 돌려보낼 것을 허락했다. 그리고는 진왕을 좋은 숙소로 옮겨서 머물게 하고, 소, 양, 돼지 각 일곱 마리씩을 보내주었다. 11월, 진왕(晉王) 이오를 본국으로 돌려보내니, 이오는 하서(河西) 지역을 헌상하고 태자 어(圉)를 진(秦)나라에 인질로 보냈다. 진(秦)은 태자 어에게 종실(宗室)의 딸을 시집 보냈다. 이때 진(秦)의 영토는 동쪽으로 황하에까지 이르렀다.

 

 

十八年, 齊桓公卒. 二十年, 秦滅梁、芮.100)

 

18년, 제 환공이 서거했다. 20년, 진(秦)이 양(梁)과 예(芮)를 멸망시켰다.

 

 

二十二年, 晉公子圉聞晉君病, 曰:「梁, 我母家也,101) 而秦滅之. 我兄弟多, 卽君百歲後, 秦必留我, 而晉輕, 亦更立他子.」子圉乃亡歸晉. 二十三年, 晉惠公卒, 子圉立爲君. 秦怨圉亡去, 乃迎晉公子重耳於楚, 而妻以故子圉妻. 重耳初謝, 後乃受. 繆公益禮厚遇之. 二十四年春, 秦使人告晉大臣, 欲入重耳. 晉許之, 於是使人送重耳. 二月, 重耳立爲晉君, 是爲文公. 文公使人殺子圉. 子圉是爲懷公.

 

 

22년, 진(晉)의 공자(公子) 어는 진왕(晉王)이 병이 났다는 소식을 듣고 “양(梁)은 우리 어머니의 나라인데 진(秦)나라가 멸망시켰다. 나는 형제가 많으므로, 왕께서 돌아가신다면 진(秦)은 필히 나를 억류할 것이며, 진(晉)에서도 나를 무시하고 다른 왕자를 세울 것이다”라고 하고는 진(晉)나라로 도망쳐 돌아갔다.

 

 

23년, 진 혜공(晉惠公)이 죽자 태자 어가 왕이 되었다. 진(秦)은 어가 도망친 것을 원통해하며 초 나라에서 진(晉)의 공자(公子) 중이(重耳)를 맞아들이고 이전에 어의 아내였던 여자를 시집 보냈다. 중이는 처음에는 사양했으나 결국에는 받아들였다. 목공은 더욱 후한 예우로 중이를 대접했다. 24년 봄, 진(秦)은 사신을 보내 진(晉)나라의 대신들에게 중이를 귀국시키고자 한다고 알리자, 진(晉)나라는 이를 허락하고 사신을 보내 중이를 호송했다. 2월, 중이가 진왕(晉王)으로 즉위하니 그가 문공(文公)이다. 문공은 사람을 시켜서 어를 죽이니, 어가 바로 회공(懷公)이다.


 

其秋, 周襄王弟帶以翟伐王, 王出居鄭.102) 二十五年, 周王使人告難於晉、秦. 秦繆公將兵助晉文公入襄王, 殺王弟帶. 二十八年, 晉文公敗楚於城濮.103) 三十年, 繆公助晉文公圍鄭.104) 鄭使人言繆公曰:「亡鄭厚晉, 於晉而得矣, 而秦未有利. 晉之彊, 秦之憂也.」繆公乃罷兵歸. 晉亦罷. 三十二年冬, 晉文公卒.

 

 

그해 가을, 주 양왕(周襄王)의 동생 대(帶)가 오랑캐의 군대를 빌려서 양왕을 공격하자, 양왕은 도망해 정(鄭)에 거주했다. 25년, 주 양왕이 사신을 보내 진(秦)과 진(晉)에 주나라에 난이 일어났음을 알렸다. 그러자 진 목공은 군대를 이끌고 진 문공(晉文公)을 도와서 양왕을 귀국시키고 양왕의 동생 대를 죽였다. 28년, 진 문공이 성복(城濮)에서 초군(楚軍)을 무찔렀다.

 

30년, 목공이 진 문공을 도와 정(鄭)나라를 포위하자, 정나라에서는 목공에게 사신을 보내 “정나라가 망하면 진(晉)나라 강대해지므로, 진(晉)나라에게는 득이 되지만 진(秦)나라에는 이익이 없습니다. 진(晉)나라 강대해지면 진(秦)나라의 우환이 될 것이오”라고 말하니, 목공은 군사를 철수해 돌아왔다. 그러자 진(晉)나라도 군대를 철수시켰다. 32년 겨울, 진 문공이 서거했다.


 

鄭人有賣鄭於秦曰:「我主其城門, 鄭可襲也.」繆公問蹇叔、百里傒, 對曰:「徑數國千里而襲人, 希有得利者. 且人賣鄭, 庸知我國人不有以我情告鄭者乎? 不可.」繆公曰:「子不知也, 吾已決矣.」遂發兵, 使百里傒子孟明視, 蹇叔子西乞術及白乙丙將兵. 行日, 百里傒、蹇叔二人哭之. 繆公聞, 怒曰:「孤發兵而子沮哭吾軍, 何也?」105)二老曰:「臣非敢沮君軍. 軍行, 臣子與往;106)臣老, 遲還恐不相見, 故哭耳.」二老退, 謂其子曰:「汝軍卽敗, 必於殽阨矣.」107)三十三年春, 秦兵遂東, 更晉地, 過周北門. 周王孫滿曰:「秦師無禮,108) 不敗何待!」兵至滑,109) 鄭販賣賈人110)弦高,111) 持十二牛將賣之周, 見秦兵, 恐死虜, 因獻其牛, 曰:「聞大國將誅鄭, 鄭君謹修守禦備, 使臣以牛十二勞軍士.」秦三將軍相謂曰:「將襲鄭, 鄭今已覺之, 往無及已.」滅滑. 滑, 晉之邊邑也.

 

정(鄭)나라 사람이 진(秦)나라에 정나라를 배반해 말하기를 “나는 정나라의 성문을 주관하는데, 정나라를 습격할 수가 있다”라 했다. 목공이 백리혜와 건숙에게 물으니, 그들은 모두 이렇게 말했다.

 

 

여러 나라를 거치는 천리 길을 지나 다른 나라를 습격하는 것은 이득될 것이 거의 없습니다. 더욱이 누군가 정나라를 배반해 말한 것이라면, 우리 나라 사람이 우리의 사정을 정나라에 밀고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어찌 알겠습니까? 정나라를 습격하는 것은 불가합니다.

 

그러자 목공은 “그대들은 모르오. 나는 이미 결정했소”라고 하고는 마침내 군사를 일으켜, 백리혜의 아들 맹명시(孟明視)와 건숙의 아들 서기술(西乞秫) 및 백을병(白乙丙) 등으로 하여금 군사를 통솔토록 했다. 군대가 출발하는 날, 백리혜와 건숙 두 사람은 통곡했다. 이를 들은 목공이 노하여 “내가 출병하는데 그대들은 통곡하며 우리 군사를 가로막으니 어찌 된 거요?”라고 하자, 두 노인은 “신들은 감히 군왕의 군대를 가로막으려는 것이 아니옵니다. 출병하면 저희 자식들도 떠나게 되는데, 늙은 저희들로서는 자식들이 늦게 돌아온다면 다시 볼 수 없을 것 같아 통곡하는 것입니다”라 했다. 두 노인은 물러나서 자식들에게 이르기를 “너희 군사가 패한다면, 틀림없이 효산(殽山)의 험난한 요해지에서일 것이다”라 했다.

 

33년 봄, 진군(秦軍)은 동쪽으로 진격해 진(晉)나라를 거쳐, 주(周)나라의 도성 북문(北門)을 지났다. 주나라의 왕손만(王孫滿)은 “진(秦)나라 군사들은 무례하니 틀림없이 패하게 될 것이다”라 했다. 진군(秦軍)이 활(滑)에 도착했을 때, 정나라 상인 현고(弦高)가 소 열두 마리를 끌고 주나라로 팔러 가다가 진나라 군대를 만났다. 그는 자신이 죽거나 포로가 될까 두려워서 소를 바치면서 “듣건대 귀국에서 정나라를 정벌하려고 한다 하는데, 정나라 왕은 착실하게 방어준비를 하고, 또 신에게 소 열두 마리를 끌고 가서 병사들을 위로하게 보내셨소”라고 말했다. 진(秦)나라의 세 장군은 “우리가 습격하려고 한다는 것을 정나라에서 이미 알고 있으므로 쳐들어간다 해도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말하고는 활을 멸망시켰다. 활은 진(晉)나라의 변경에 있는 성읍(城邑)이었다.


 

當是時, 晉文公喪尙未葬. 太子襄公怒曰:「秦侮我孤, 因喪破我滑.」遂墨衰絰, 發兵遮秦兵於殽, 擊之, 大破秦軍, 無一人得脫者. 虜秦三將以歸. 文公夫人, 秦女也,112) 爲秦三囚將請曰:「繆公之怨此三人入於骨髓, 願令此三人歸, 令我君得自快烹之.」晉君許之, 歸秦三將. 三將至, 繆公素服郊迎, 嚮三人哭曰:「孤以不用百里傒、蹇叔言以辱三子, 三子何罪乎? 子其悉心雪恥, 毋怠.」遂復三人官秩如故, 愈益厚之.

 

 

이때 진 문공이 죽었으나 아직 장사 지내지 못하고 있었다. 태자 양공이 노하여 “진(秦)은 부친을 잃은 나를 우습게 여기어, 상중인 때를 틈타 우리 활읍을 침공했다”라고 말하고는, 상복을 검게 물들여 입고 군대를 이끌고 효산에서 진(秦)나라 군사를 가로막아 공격해 진군(秦軍)을 크게 무찌르니, 진(秦)나라의 병사들은 한명도 도망치지 못했다. 진군(晉軍)은 진(秦)의 세 장수를 포로로 잡아 돌아왔다. 문공의 부인은 진(秦)나라 여자였다.

 

그녀는 포로가 된 진(秦)의 세 장수를 위해서 “목공은 이 세 사람에 대한 원망이 골수에 사무쳐 있을 것이니, 이 세 사람을 돌려보내 진왕(秦王)이 친히 통쾌하게 삶아 죽이도록 해주십시오”라고 청했다. 진왕(晉王)이 이를 허락해 세 장수를 진(秦)으로 돌려보냈다. 세 장수가 돌아오자, 목공은 소복을 입고 교외까지 나와 맞이하고는 울며 말하기를 “내가 백리혜와 건숙의 말을 듣지 않아 그대들을 굴욕되게 했으니, 그대들이 무슨 죄가 있겠소? 그대들은 이 치욕을 씻기 위해서 마음을 다하고 태만하지 마시오”라 했다. 이에 세 사람의 관직과 봉록을 이전대로 회복시키고, 더욱 후대했다.


 

三十四年, 楚太子商臣弑其父成王代立.

繆公於是復使孟明視等將兵伐晉, 戰于彭衙.113) 秦不利, 引兵歸.

 

 

34년, 초(楚)나라 태자 상신(商臣)이 그의 부친 성왕(成王)을 시해하고 왕위에 올랐다.

 

 

목공은 이때 다시 맹명시 등에게 군대를 이끌고 진(晉)을 공격하게 해 팽아(彭衙)에서 교전했다. 진군(秦軍)은 전세가 불리하자, 군대를 철수시켜 돌아왔다.


 

戎王使由余114)於秦. 由余, 其先晉人也, 亡入戎, 能晉言. 聞繆公賢, 故使由余觀秦. 秦繆公示以宮室、積聚. 由余曰:「使鬼爲之, 則勞神矣. 使人爲之, 亦苦民矣.」繆公怪之, 問曰:「中國以詩書禮樂法度爲政, 然尙時亂, 今戎夷無此, 何以爲治, 不亦難乎?」由余笑曰:「此乃中國所以亂也. 夫自上聖黃帝作爲禮樂法度, 身以先之, 僅以小治. 及其後世, 日以驕淫. 阻法度之威, 以責督於下, 下罷極115)則以仁義怨望於上, 上下交爭怨而相簒弑, 至於滅宗, 皆以此類也. 夫戎夷不然. 上含淳德以遇其下, 下懷忠信以事其上, 一國之政猶一身之治, 不知所以治, 此眞聖人之治也.」於是繆公退而問內史廖曰:116)「孤聞鄰國有聖人, 敵國之憂也. 今由余賢, 寡人之害, 將奈之何?」內史廖曰:「戎王處辟匿, 未聞中國之聲. 君試遺其女樂, 以奪其志;117)爲由余請, 以疏其閒;留而莫遣, 以失其期. 戎王怪之, 必疑由余. 君臣有閒, 乃可虜也. 且戎王好樂, 必怠於政.」繆公曰:「善.」因與由余曲席而坐,118) 傳器而食, 問其地形與其兵勢盡察, 而後令內史廖以女樂二八遺戎王. 戎王受而說之, 終年不還. 於是秦乃歸由余. 由余數諫不聽, 繆公又數使人閒要由余, 由余遂去降秦. 繆公以客禮禮之, 問伐戎之形.

 

융왕(戎王)은 진(秦)에 유여(由余)를 사신으로 보냈다. 유여의 선조는 진(晉)나라 사람인데 융(戎) 지역으로 도망쳤으므로 유여는 진(晉)나라 말을 할 줄 알았다. 융왕은 목공이 현명하다는 소문을 듣고 유여를 보내 진(秦)나라를 살피게 한 것이다. 진 목공은 유여에게 궁실과 쌓아 놓은 재물을 보여주었다. 유여는 “이러한 궁실과 재물을 귀신에게 만들어내라고 해도 귀신을 힘들게 하는 것인데, 하물며 사람에게 만들라고 하면 백성들 역시 고달플 것이다”라 했다. 목공은 그의 말을 괴이하게 여기며, “중원(中原)은 시, 서, 예, 악, 법도로 나라를 다스리는데도 항상 난리가 일어나는데, 지금 융족(戎族)은 이러한 것들이 없으니 무엇으로 나라를 다스리는가? 어려움이 있지 않은가?”라고 물었다.

 

유여는 웃으며 “이것이 바로 중원지역에 난리가 일어나는 원인입니다. 상고시대의 성인 황제(黃帝)께서 예악과 법도를 만드신 후로 친히 솔선수범하시어 겨우 나라가 다스려졌습니다. 그러나 후대에 이르러 왕들은 날로 교만하고 음락에만 빠졌습니다. 그들은 법률제도의 위력을 믿고 백성들을 문책하고 감독하니, 아래의 백성들은 극도로 피폐해져서 군주를 원망하며 인의(仁義)를 요구하게 됩니다. 위아래가 서로 다투고 원망하며 서로 찬탈하고 죽여서 멸족의 지경에까지 이르게 되는 것은 모두 이러한 이유에서입니다. 그러나 융족은 그렇지 않습니다. 윗사람은 순박한 덕으로 아랫사람을 대하고 아랫사람은 충성으로 그 윗사람을 받들므로, 한 나라의 정치가 사람이 자기 한몸을 다스리는 것같이 잘 다스려지지만, 잘 다스려지는 원인이 무엇인지 알지 못합니다. 이것이 진정한 성인의 다스림입니다”라 했다.

 

이에 목공은 물러나 내사(內史) 왕료(王廖)에게 “내 듣기로 이웃나라에 성인이 있으면 그 적대국가의 걱정거리라는데, 지금 유여의 현명함이 나의 걱정이니 장차 이를 어찌했으면 좋겠소?”라고 묻자, 내사 왕료는 이렇게 대답했다.

 

융왕(戎王)은 궁벽한 곳에 살고 있어 중원지방의 음악을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왕께서 시험삼아 가무에 뛰어난 기녀를 보내 그의 의지를 상실케 하십시오. 또 유여가 더 머물다 귀국하게 융왕에게 청한다면 그들의 군신관계는 멀어질 것이며, 유여를 이곳에 머물게 해 돌아가지 못하게 하면 돌아갈 시기를 넘기게 될 것입니다. 그러면 융왕이 괴이하게 여기어 틀림없이 유여를 의심할 것입니다. 군신관계에 틈이 생기면 포로로 삼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융왕은 음악을 좋아해 필시 정치에 태만할 것입니다.

 

그러자 목공은 “좋다”라 했다. 이에 목공은 유여와 나란히 자리에 앉아서 같은 그릇의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융족의 지형과 병력에 대해서 자세히 물었다. 그런 다음 내사 왕료에게 16명의 가무기녀를 융왕에게 보내도록 분부했다. 기녀들을 받은 융왕은 무척 기뻐하며 그해가 다하게 즐기느라 돌아갈 줄을 몰랐다. 이때 진(秦)나라에서 유여를 돌려보내자, 유여가 여러 차례 간했으나 융왕은 듣지 않았다. 목공은 또 여러 번 사람을 보내 몰래 유여를 초빙하니, 유여는 마침내 융왕을 떠나 진(秦)에 투항했다. 목공은 빈객에 대한 예우로써 유여를 대접하고, 융족을 정벌할 형세에 대해서 물었다.


 

三十六年, 繆公復益厚孟明等, 使將兵伐晉, 渡河焚船, 大敗晉人, 取王官及鄗,119) 以報殽之役. 晉人皆城守不敢出. 於是繆公乃自茅津120)渡河,121) 封殽中尸,122) 爲發喪, 哭之三日. 乃誓於軍曰:「嗟士卒! 聽無譁, 余誓告汝. 古之人謀黃髮番番,123) 則無所過.」以申思不用蹇叔、百里傒之謀, 故作此誓, 令後世以記余過. 君子聞之, 皆爲垂涕, 曰:「嗟乎! 秦繆公之與人周也,124) 卒得孟明之慶.」

 

36년, 목공은 맹명시 등을 더욱 후대하고 그들에게 군대를 이끌고 진(晉)나라를 치게 했다. 그들은 황하를 건너자 타고 온 배를 태워버리더니, 진군(晉軍)을 크게 무찌르고 왕관(王官)과 교(鄗)를 빼앗아 효산(殽山)에서의 패전에 보복했다. 진(晉)나라 사람들은 모두 성을 지키며 감히 나와서 싸우지 못했다. 이에 목공은 모진(茅津)에서 황하를 건너 효산 전투에서 죽은 병사들을 위해서 묘지를 만들어 장사 지내고 삼일 동안 곡했다.

 

그리고 진군(秦軍)에게 맹세하기를 “아! 병사들이여! 떠들지 말고 내 말을 잘 들어라. 내 너희에게 맹세하노라. 옛 사람들은 일을 도모함에 노인의 의견을 따랐으므로 과실이 없었던 것이다”라 했다. 목공은 건숙과 백리해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을 거듭 생각하며 이렇게 맹세함으로써 후대에 자신의 과실을 기억하게 했다. 군자들은 이 소문을 듣고 모두 눈물을 흘리며 “아! 진 목공은 사람을 대함이 용의주도하도다. 그래서 결국은 맹명시가 승리하는 기쁨을 얻었던 것이다”라고 말했다.


 

三十七年, 秦用由余謀伐戎王, 益國十二, 開地千里,125) 遂霸西戎. 天子使召公過賀繆公以金鼓. 三十九年, 繆公卒, 葬雍.126) 從死者百七十七人, 秦之良臣子輿氏三人127)名曰奄息、仲行、鍼虎, 亦在從死之中.128) 秦人哀之, 爲作歌黃鳥之詩. 君子曰:「秦繆公廣地益國, 東服彊晉, 西霸戎夷, 然不爲諸侯盟主, 亦宜哉. 死而棄民, 收其良臣而從死. 且先王崩, 尙猶遺德垂法, 況奪之善人良臣百姓所哀者乎? 是以知秦不能復東征也.」繆公子四十人, 其太子罃代立, 是爲康公.

 

37년, 진(秦)은 유여의 계책을 받아들여 융왕을 토벌하고, 12개의 나라를 병합해 천리의 땅을 개척하니 마침내 서융지역을 쟁패했다. 주(周) 천자는 목공에게 소공과(召公過)를 파견해 축하하며 금고(金鼓)를 선물했다. 39년, 목공이 서거하니 옹(雍)에 안장했다. 그때 순장한 사람이 177명이었는데, 그 가운데는 진(秦)나라 충신이었던 엄식(俺息), 중항(仲行), 침호(鍼虎) 등 세 사람의 자여씨(子輿氏)도 포함되었다. 진나라 사람들은 그들을 애도해 “황조(黃鳥)”라는 시를 지었으며, 군자들은 이렇게 말했다.

 

진 목공은 영토를 넓혀서 나라를 부강하게 했다. 동쪽으로는 강한 진(晉)을 굴복시키고, 서쪽으로는 융족을 쟁패했다. 그러나 그가 여러 제후들의 맹주가 될 수 없었던 것은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죽은 후에 백성들을 버리고 어진 신하를 순장시켰기 때문이다. 고대의 선왕(先王)은 죽은 후에도 좋은 도덕과 법도를 남겼거늘, 목공은 오히려 백성들이 동정하는 착한 사람과 어진 신하를 빼앗아 갔으니, 진(秦)은 더 이상 동쪽을 정벌할 수 없을 것임을 알겠다.

 

목공은 아들이 40명이었는데, 태자 앵(罃)이 왕위를 계승하니 그가 바로 강공(康公)이다.



각주


1 正義黃帝之孫, 號高陽氏.

2 索隱女脩, 顓頊之裔女, 呑鳦子而生大業. 其父不著. 而秦、趙以母族而祖顓頊, 非生人之義也. 按:左傳郯國, 少昊之後, 而嬴姓蓋其族也, 則秦、趙宜祖少昊氏. 正義列女傳云:「陶子生五歲而佐禹.」曹大家注云:「陶子者, 皐陶之子伯益也.」按此卽知大業是皐陶.

3 索隱扶味反, 一音袐. 尋費後以爲氏, 則扶味反爲得. 此則秦、趙之祖, 嬴姓之先, 一名伯翳, 尙書謂之「伯益」, 系本、漢書謂之「伯益」是也. 尋檢史記上下諸文, 伯翳與伯益是一人不疑. 而陳杞系家卽敘伯翳與伯益爲二, 未知太史公疑而未決邪? 抑亦謬誤爾?

4 索隱游音旒. 謂賜以皁色旌旆之旒, 色與玄玉色副, 言其大功成也. 然其事亦當有所出.

5 索隱出猶生也. 言爾後嗣繁昌, 將大生出子孫也. 故左傳亦云「晉公子姬出也」.

6 集解徐廣曰:「皇甫謐云賜之玄玉, 妻以姚姓之女也.」

7 索隱以仲衍鳥身人言, 故爲鳥俗氏. 俗, 一作「浴」. 若木以王父字爲費氏也.

8 索隱殷紂時費仲, 卽昌之後也.

9 索隱舊解以孟戱仲衍是一人, 今以孟仲分字, 當是二人名也.

10 正義身體是鳥而能人言. 又云口及手足似鳥也.

11 正義謂費昌及仲衍.

12 集解徐廣曰:「一作『滑』.」正義中音仲. 潏音決. 宋衷注世本云仲滑生飛廉.

13 集解晏子春秋曰:「手裂虎兕.」

14 集解徐廣曰:「皇甫謐云作石槨於北方.」索隱「石」下無字, 則不成文, 意亦無所見, 必是史記本脫. 皇甫謐尙得其說. 徐雖引之, 而竟不云是脫何字, 專質之甚也. 正義爲, 于僞反. 劉伯莊云:「霍太山, 紂都之北也. 霍太山在晉州霍邑縣.」按:在衛州朝歌之西方也.

15 集解地理志霍太山在河東彘縣.

16 正義紂旣崩, 無所歸報, 故爲壇就霍太山而祭紂, 報云作得石槨.

17 索隱蜚廉別號.

18 集解皇甫謐云:「去彘縣十五里有冢, 常祠之.」索隱言處父至忠, 國滅君死而不忘臣節, 故天賜石棺, 以光華其族. 事蓋非實, 譙周深所不信.

19 正義音升.

20 正義地理志云西河郡皐狼縣也. 按:孟增居皐狼而生衡父.

21 集解徐廣曰:「溫, 一作『盜』.」駰案:郭璞云「爲馬細頸. 驪, 黑色」. 索隱溫音盜. 徐廣亦作「盜」. 鄒誕生本作「駣」, 音陶. 劉氏音義云「盜驪, 騧驪也. 騧, 淺黃色」. 八駿旣因色爲名, 騧驪爲得之也.

22 集解郭璞曰:「色如華而赤. 今名馬驃赤者爲棗騮. 騮, 馬赤也.」

23 集解郭璞曰:「紀年云『北唐之君來見以一驪馬, 是生騄耳』. 八駿皆因其毛色以爲名號.」駰案:穆天子傳穆王有八駿之乘, 此紀不具者也. 索隱按:穆王傳曰赤驥、盜驪、白義、渠黃、驊騮、■■、騄耳、山子. 正義騄音錄.

24 集解郭璞曰:「紀年云穆王十七年, 西征於崑崙丘, 見西王母.」正義括地志云:「崑崙山在肅州酒泉縣南八十里. 十六國春秋云前凉張駿酒泉守馬岌上言, 酒泉南山卽崑崙之丘也, 周穆王見西王母, 樂而忘歸, 卽謂此山. 有石室王母堂, 珠璣鏤飾, 煥若神宮.」按:肅州在京西北二千九百六十里, 卽小崑崙也, 非河源出處者.

25 集解地理志曰臨淮有徐縣, 云故徐國. 尸子曰:「徐偃王有筋而無骨.」駰謂號偃由此. 正義括地志云:「大徐城在泗州徐城縣北三十里, 古徐國也. 博物志云徐君宮人有娠而生卵, 以爲不祥, 棄於水濱洲. 孤獨母有犬鵠蒼, 銜所棄卵以歸, 覆煖之, 乃成小兒. 生時正偃, 故以爲名. 宮人聞之, 更取養之. 及長, 襲爲徐君. 後鵠蒼臨死, 生角而九尾, 化爲黃龍也. 鵠蒼或名后蒼.」括地志又云:「徐城在越州鄮縣東南入海二百里. 夏侯志云翁洲上有徐偃王城. 傳云昔周穆王巡狩, 諸侯共尊偃王, 穆王聞之, 令造父御, 乘騕褭之馬, 日行千里, 自還討之. 或云命楚王帥師伐之, 偃王乃於此處立城以終.」

26 正義古史考云:「徐偃王與楚文王同時, 去周穆王遠矣. 且王者行有周衛, 豈得救亂而獨長驅日行千里乎?」並言此事非實. 按:年表穆王元年去楚文王元年三百一十八年矣.

27 集解徐廣曰:「趙城在河東永安縣.」正義括地志云:「趙城, 今晉州趙城縣是. 本彘縣地, 後改曰永安, 卽造父之邑也.」

28 集解徐廣曰:「今槐里也.」正義括地志云:「犬丘故城一名槐里, 亦曰廢丘, 在雍州始平縣東南十里. 地埋志云扶風槐里縣, 周曰犬丘, 懿王都之, 秦更名廢丘, 高祖三年更名槐里也.」

29 正義好, 火到反. 畜, 許救反.

30 正義汧音牽. 言於二水之閒, 在隴州以東.

31 正義申侯之先, 娶於酈山.

32 正義胥軒, 仲衍曾孫也.

33 正義重, 直龍反. 言申駱重婚, 西戎皆從, 所以得爲王. 王卽孝王.

34 集解徐廣曰:「今天水隴西縣秦亭也.」正義括地志云:「秦州淸水縣本名秦, 嬴姓邑. 十三州志云秦亭, 秦谷是也. 周太史儋云『始周與秦國合而別』, 故天子邑之秦.」

35 集解徐廣曰:「秦仲之十八年也.」

36 集解毛詩序曰:「秦仲始大, 有車馬禮樂侍御之好也.」

37 正義注水經云:「秦莊公伐西戎, 破之, 周宣王與大駱犬丘之地, 爲西垂大夫.」括地志云:「秦州上邽縣西南九十里, 漢隴西西縣是也.」

38 正義括地志云:「故汧城在隴州汧源縣東南三里. 帝王世紀云秦襄公二年徙都汧, 卽此城.」

39 正義周平王徙居王城, 卽雒誥云「我卜澗水東, 瀍水西」者也.

40 集解徐廣曰:「赤馬黑髦曰騮.」

41 集解徐廣曰:「年表云立西畤, 祠白帝.」索隱襄公始列爲諸侯, 自以居西(畤), 西(畤), 縣名, 故作西畤, 祠白帝. 畤, 止也, 言神靈之所依止也. 亦音市, 謂爲壇以祭天也.

42 正義卽上西縣是也.

43 正義括地志云:「郿縣故城在岐州郿縣東北十五里. 毛萇云郿, 地名也. 秦文公東獵汧渭之會, 卜居之, 乃營邑焉, 卽此城也.」

44 集解徐廣曰:「鄜縣屬馮翊.」索隱音敷, 亦縣名. 於鄜地作畤, 曰鄜畤. 故封禪書曰「秦文公夢黃蛇自天下屬地, 其口止於鄜衍」, 史敦以爲神, 故立畤也. 正義括地志云:「三畤原在岐州雍縣南二十里. 封禪書云秦文公作鄜畤, 襄公作西畤, 靈公作吳陽上畤, 並此原上, 因名也.」

45 索隱按:漢書郊祀志云「文公獲若石云, 於陳倉北阪城祠之, 其神來, 若雄雉, 其聲殷殷云, 野雞夜鳴, 以一牢祠之, 號曰陳寶」. 又臣瓚云「陳倉縣有寶夫人祠, 歲與葉君神會, 祭于此者也」. 蘇林云「質如石, 似肝」. 云, 語辭. 正義括地志云:「寶雞(神)[祠]在岐州陳倉縣東二十里故陳倉城中. 晉太康地志云『秦文公時, 陳倉人獵得獸, 若彘, 不知名, 牽以獻之. 逢二童子, 童子曰:「此名爲媦, 常在地中, 食死人腦.」卽欲殺之, 拍捶其首. 媦亦語曰:「二童子名陳寶, 得雄者王, 得雌者霸.」陳倉人乃逐二童子, 化爲雉, 雌上陳倉北阪, 爲石, 秦祠之』. 搜神記云其雄者飛至南陽, 其後光武起於南陽, 皆如其言也.」

46 集解張晏曰:「父母、兄弟、妻子也.」如淳曰:「父族、母族、妻族也.」

47 集解徐廣曰:「今武都故道有怒特祠, 圖大牛, 上生樹本, 有牛從木中出, 後見豐水之中.」正義括地志云:「大梓樹在岐州陳倉縣南十里倉山上. 錄異傳云『秦文公時, 雍南山有大梓樹, 文公伐之, 輒有大風雨, 樹生合不斷. 時有一人病, 夜往山中, 聞有鬼語樹神曰:「秦若使人被髮, 以朱絲繞樹伐汝, 汝得不因耶?」樹神無言. 明日, 病人語聞, 公如其言伐樹, 斷, 中有一靑牛出, 走入豐水中. 其後牛出豐水中, 使騎擊之, 不勝. 有騎墮地復上, 髮解, 牛畏之, 入不出, 故置髦頭. 漢、魏、晉因之. 武都郡立怒特祠, 是大梓牛神也』.」按:今俗畫靑牛障是.

48 集解徐廣曰:「文公之四十四年, 魯隱之元年.」

49 集解徐廣曰:「皇甫謐云葬於西山, 在今隴西之西縣.」

50 集解徐廣曰:「一作『曼』.」

51 集解徐廣曰:「郿之平陽亭.」正義帝王世紀云秦寧公都平陽. 按:岐山縣有陽平鄕, 鄕內有平陽聚. 括地志云:「平陽故城在岐州岐山縣西四十六里, 秦寧公徙都之處.」

52 集解徐廣曰:「蕩音湯. 社, 一作『杜』.」索隱西戎之君號曰亳王, 蓋成湯之胤. 其邑曰蕩社. 徐廣云一作「湯杜」, 言湯邑在杜縣之界, 故曰湯杜也. 正義括地志云:「雍州三原縣有湯陵. 又有湯臺, 在始平縣西北八里.」按:其國蓋在三原始平之界矣.

53 集解皇甫謐云:「亳王號湯, 西夷之國也.」

54 正義音暉, 卽羽父也.

55 正義括地志云:「秦寧公墓在岐州陳倉縣西北三十七里秦陵山. 帝王世紀云秦寧公葬西山大麓, 故號秦陵山也.」按:文公亦葬西山, 蓋秦陵山也.

56 正義德公母號魯姬子.

57 正義音力追反.

58 正義戱音許宜反, 戎號也. 蓋同州彭衙故城是也.

59 正義卽華嶽之下也.

60 正義宮名, 在岐州平陽城內也.

61 索隱春秋魯桓公十七年左傳作「高渠彌」也.

62 集解地理志隴西有上邽縣. 應劭曰:「卽邽戎邑也.」冀縣屬天水郡.

63 集解地理志京兆有鄭縣、杜縣也. 正義括地志云:「下杜故城在雍州長安縣東南九里, 古杜伯國. 華州鄭縣也. 毛詩譜云鄭國者, 周畿內之地. 宣王封其弟於咸林之地, 是爲鄭桓公.」按:秦得皆縣之.

64 集解班固曰西虢在雍州. 正義虢音古伯反. 括地志云:「故虢城在岐州陳倉縣東四十里. 次西十餘里又有城, 亦名虢城. 輿地志云此虢文王母弟虢叔所封, 是曰西虢.」按:此虢滅時, 陝州之虢猶謂之小虢. 又云, 小虢, 羌之別種.

65 索隱春秋魯閔公元年左傳云「晉滅耿, 滅魏, 滅霍」此不言魏, 史闕文耳. 又傳曰:「賜畢萬魏, 賜趙夙耿.」杜預注曰:「平陽皮氏縣東南有耿鄕, 永安縣東北有霍太山. 三國皆姬姓.」正義括地志云:「霍, 晉州霍邑縣, 又春秋時霍伯國. 韋昭云霍, 姬姓也.」括地志云:「故耿城今名耿倉城, 在絳州龍門縣東南十二里, 故耿國也. 都城記云耿, 嬴姓國也.」

66 正義雍, 於宮反. 廩, 力甚反. 是雍林邑人姓名也.

67 索隱晉穆侯少子成師居曲沃, 號曲沃桓叔, 至武公稱滅晉侯緡, 始爲晉君也.

68 正義伯音霸.

69 正義卽雍平陽也. 平陽時屬雍, 並在岐州. 解在上也.

70 集解徐廣曰:「今縣在扶風.」

71 正義括地志云:「岐州雍縣南七里故雍城, 秦德公大鄭宮城也.」

72 正義卜居雍之後, 國益廣大, 後代子孫得東飮馬於龍門之河.

73 索隱梁, 嬴姓. 芮, 姬姓. 梁國在馮翊夏陽. 芮國在馮翊臨晉. 正義括地志云:「南芮鄕故城在同州朝邑縣南三十里, 又有北芮城, 皆古芮伯國. 鄭玄云周同姓之國, 在畿內, 爲王卿士者. 左傳云桓公三年, 芮伯萬之母芮姜惡芮伯之多■人, 故逐之, 出居魏.」今按:[陝]州芮城縣界有芮國城, 蓋是殷末虞芮爭田之芮國是也.

74 集解孟康曰:「六月伏日初也. 周時無, 至此乃有之.」正義六月三伏之節起秦德公爲之, 故云初伏. 伏者, 隱伏避盛暑也. 曆忌釋云:「伏者何? 以金氣伏藏之日也. 四時代謝, 皆以相生:立春, 木代水, 水生木;立夏, 火代木, 木生火;立冬, 水代金, 金生水;立秋, 以金代火, 故至庚日必伏. 庚者金, 故曰伏也.」

75 集解徐廣曰:「年表云初作伏, 祠社, 磔狗邑四門也.」正義蠱者, 熱毒惡氣爲傷害人, 故磔狗以禦之. 年表云「初作伏, 祠社, 磔狗邑四門」. 按:磔, 禳也. 狗, 陽畜也. 以狗張磔於郭四門, 禳卻熱毒氣也. 左傳云皿蟲爲蠱. 顧野王云谷久積變爲飛蠱也.

76 正義衛惠公都卽今衛州也. 燕, 南燕也. 周, 天王也. 括地志云:「滑州故城古南燕國. 應劭云南燕, 姞姓之國, 黃帝之後.」

77 正義括地志云:「洛州氾水縣, 古東虢國, 亦鄭之制邑, 漢之城皐, 卽周穆王虎牢城. 左傳云宮之奇曰『虢仲虢叔, 王季之穆也』.」

78 正義括地志云:「漢有五畤, 在岐州雍縣南, 則鄜畤、吳陽上畤、下畤、密畤、北畤. 秦文公夢黃蛇自天而下. 屬地, 其口止於鄜衍, 作畤, 郊祭白帝, 曰鄜畤. 秦宣公作密畤於渭南, 祭靑帝. 秦靈公作吳陽上畤, 祭黃帝;作下畤, 祠炎帝. 漢高帝曰『天有五帝, 今四, 何也? 待我而具五』. 遂立黑帝, 曰北畤是也.」

79 正義括地志云:「同州韓城縣南二十二里少梁故城, 古少梁國. 都城記云梁伯國, 嬴姓之後, 與秦同祖. 秦穆公二十二年滅之.」

80 正義括地志云:「孤竹故城在平州盧龍縣十二里, 殷時諸侯竹國也.」

81 索隱秦自宣公已上皆史失其名. 今按系本、古史考, 得繆公名任好.

82 正義劉伯莊云:「戎號也.」括地志云:「茅津及茅城在陝州河北縣西二十里. 注水經云茅亭, 茅戎號.」

83 集解地理志南陽有宛縣. 正義宛, 於元反, 今鄧州縣.

84 集解徐廣曰:「絰, 一作『銍』.」正義銍音珍栗反. 銍, 地名, 在沛縣.

85 集解徐廣曰:「一作『西』.」 駰按:公羊傳曰「河千里而一曲也」. 服虔曰「河曲, 晉地」. 杜預曰「河曲在蒲阪南」. 正義按:河曲在華陰縣界也.

86 正義韋昭云:「曲沃新爲太子城.」括地志云:「絳州曲沃縣有曲沃故城, 土人以爲晉曲沃新城.」

87 正義重耳奔翟, 夷吾奔少梁也.

88 正義括地志云:「葵丘在曹州考城縣東南一里一百五十步郭內, 卽桓公會處. 又靑州臨淄縣有葵丘. 卽傳連稱, 管至父所戍處.」

89 集解徐廣曰:「一作『倬』.」

90 正義謂同、華等州地.

91 正義調音徒聊反. 言能誅大臣丕鄭, 云是夷吾於百姓調和也. 劉伯莊音徒弔反. 按:調, 選也. 邪臣誅, 忠臣用, 是夷吾能調選. 兩通也.

92 集解服虔曰:「秦大夫公孫子桑.」

93 集解賈逵曰:「雍, 秦國都;絳, 晉國都也.」

94 正義射音石也.

95 正義左傳云僖公十五年, 秦晉戰于韓原, 秦獲晉侯以歸. 括地志云:「韓原在同州韓城縣西南十八里. 十六國春秋云魏顆夢父結草抗秦將杜回, 亦在韓原.」

96 正義驇音致, 又敕利反. 國語云:「晉師潰, 戎馬還, 濘而止.」韋昭云:「濘, 深泥也.」

97 正義括地志云:「野人塢在岐州雍縣東北二十里.」按:野人盜馬食處, 因名焉.

98 集解賈逵曰:「諸侯雍餼七牢. 牛一羊一豕一爲一牢也.」

99 正義晉河西八城入秦, 秦東境至河, 卽龍門河也.

100 正義梁、芮國皆在同州. 秦得其地, 故滅二國之君.

101 正義子圉母, 梁伯之女也.

102 正義王居于氾邑也.

103 正義衛地也, 今濮州.

104 正義左傳云僖公三十年, 晉侯、秦伯圍鄭. 杜預云:「文公過鄭, 鄭不禮之.」

105 正義沮, 自呂反. 沮, 毁也. 左傳云蹇叔哭之曰:「孟子, 吾見師之出, 不見其入也.」

106 正義與音預.

107 正義殽音胡交反. 阨音厄. 春秋云魯僖公三十三年, 晉人及姜戎敗秦師于殽. 括地志云:「三殽山又名嶔岑山, 在洛州永寧縣西北二十里, 卽古之殽道也.」

108 正義左傳云:「秦師過周北門, 左右免冑而下, 超乘者三百乘. 王孫滿尙幼, 觀之, 言於王曰:『秦師輕而無禮, 必敗.』」杜預云:「王城北門也. 謂過天子門不卷甲束兵. 超乘, 示勇也.」

109 正義爲八反. 括地志云:「緱氏故城在洛州緱氏縣東二十五里, 滑伯國也. 韋昭云, 姬姓小國也.」

110 正義賣, 麥卦反. 賈音古. 左傳作「商人」也.

111 集解人姓名.

112 集解服虔曰:「繆公女.」

113 集解杜預曰:「馮翊郃陽縣西北有衙城.」正義括地志云:「彭衙故城在同州白水縣東北六十里.」

114 正義戎人姓名.

115 正義罷音皮.

116 集解漢書百官表曰:「內史, 周官也.」

117 集解徐廣曰:「奪, 一作『徇』.」

118 正義按:床在穆公左右, 相連而坐, 謂之曲席也.

119 集解徐廣曰:「左傳作『郊』.」駰案:服虔曰「皆晉地, 不能有」. 正義鄗音郊. 左傳作「郊」. 杜預云:「書取, 言易也.」括地志云:「王官故城在同州澄城縣西北九十里. 又云南郊故城在縣北十七里. 又有北郊故城, 又有西郊古城. 左傳云文公三年, 秦伯伐晉, 濟河焚舟, 取王官及郊也.」括地志云:「蒲州猗氏縣南二里又有王官故城, 亦秦伯取者.」上文云「秦地東至河」, 蓋猗氏王官是也.

120 集解徐廣曰:「在大陽.」正義括地志云:「茅津在陝州河北縣、大陽縣也.」

121 正義自茅津南渡河也.

122 集解賈逵曰:「封識之.」正義左傳云:「秦伯伐晉, 濟河焚舟, 晉人不出, 遂自茅津濟, 封殽尸而還.」杜預云:「封, 埋藏也.」

123 正義音婆. 字當作「皤」. 皤, 白頭貌. 言髮白而更黃, 故云黃髮番番, (以申思)謂蹇叔、百里奚也.

124 集解服虔曰:「周, 備也.」

125 正義韓安國云「秦穆公都地方三百里, 幷國十四, 辟地千里」, 隴西、北地郡是也.

126 集解皇覽曰:「秦繆公冢在橐泉宮祈年觀下.」正義廟記云:「橐泉宮, 秦孝公造. 祈年觀, 德公起. 蓋在雍州城內.」括地志云:「秦穆公冢在岐州雍縣東南二里.」

127 正義毛萇云:「良, 善也, 三善臣也.」左傳云:「子車氏之三子.」杜預云:「子車, 秦大夫也.」

128 正義行音胡郎反. 鍼音其廉反. 應劭云:「秦穆公與群臣飮酒酣, 公曰『生共此樂, 死共此哀』. 於是奄息、仲行、鍼虎許諾. 及公薨, 皆從死. 黃鳥詩所爲作也.」杜預云:「以人葬爲殉也.」括地志云:「三良冢在岐州雍縣一里故城內.」

129 正義雍母秦女, 故言秦出也.

 

 

'中國歷史와文學 > 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史記 卷六. 秦始皇本記 Ⅰ  (0) 2019.05.11
史記 卷五. 秦本記 Ⅱ  (0) 2019.05.11
史記 卷四. 周本記 Ⅲ  (0) 2019.05.11
史記 卷四. 周本記 Ⅱ  (0) 2019.05.11
史記 卷四. 周本記 Ⅰ  (0) 2017.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