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中國歷史와文學/史記

史記 卷六. 秦始皇本記 Ⅰ

by 柳川 2019. 5. 11.

史記 卷六. 秦始皇本記 Ⅰ



秦始皇帝者, 秦莊襄王子也.1) 莊襄王爲秦質子於趙,2) 見呂不韋姬, 悅而取之,3) 生始皇. 以秦昭王四十八年正月生於邯鄲. 及生, 名爲政, 姓趙氏.4) 年十三歲, 莊襄王死, 政代立爲秦王. 當是之時, 秦地已幷巴、蜀、漢中, 越宛有郢, 置南郡矣;北收上郡以東, 有河東、太原、上黨郡;東至滎陽, 滅二周, 置三川郡. 呂不韋爲相, 封十萬戶, 號曰文信侯. 招致賓客游士, 欲以幷天下. 李斯爲舍人.5) 蒙驁、王齮、6) 麃公等爲將軍.7) 王年少, 初卽位, 委國事大臣.

 

진시황제(秦始皇帝)는 진(秦) 장양왕(莊襄王)의 아들이다. 장양왕이 진(秦)나라의 질자(質子)로서 조(趙)나라에 있을 때 여불위(呂不韋)의 첩을 보고 반해 그녀를 아내로 맞이해 시황(始皇)을 낳았다. 시황은 진 소왕(秦昭王) 48년 정월 한단(邯鄲)에서 태어났는데, 출생하자 이름을 정(政), 성을 조(趙)라 했다. 13세 때 장양왕이 죽자 정이 왕위를 계승해 진왕(秦王)이 되었다.

 

이때 진의 영토는 이미 파(巴), 촉(蜀), 한중(漢中)을 병합하고 완(宛)을 넘어 영(郢)을 점유해 남군(南郡)을 설치했다. 북으로는 상군(上郡) 동쪽을 거두어 하동(河東), 태원(太原), 상당(上黨) 등의 군을 점령했으며, 동으로는 형양(滎陽)에까지 이르러 이주(二周)를 멸하고 삼천군(三川郡)을 설치하고 있었다.

 

 

여불위는 재상이었는데 10만 호를 봉토로 받았고, 호를 문신후(文信侯)라고 했으며, 널리 빈객, 유사(游士)들을 초빙해 천하를 병합하려고 했다. 이사(李斯)가 여불위의 사인(舍人)이 되었으며, 몽오(蒙驁), 왕의(王齮), 표공(麃公) 등이 장군이 되었다. 진왕은 나이가 어린 데다 막 즉위한 터라 국사를 대신들에게 맡겨 처리하게 했다.

 

晉陽反, 元年, 將軍蒙驁擊定之. 二年, 麃公將卒攻卷,8) 斬首三萬. 三年, 蒙驁攻韓, 取十三城. 王齮死. 十月, 將軍蒙驁攻魏氏暢、有詭.9) 歲大饑. 四年, 拔暢、有詭. 三月, 軍罷. 秦質子歸自趙, 趙太子出歸國. 十月庚寅, 蝗蟲從東方來, 蔽天. 天下疫. 百姓內粟千石, 拜爵一級. 五年, 將軍驁攻魏, 定酸棗、10) 燕、虛、長平、11)雍丘、山陽城,12) 皆拔之, 取二十城. 初置東郡. 冬雷. 六年, 韓、魏、趙、衛、楚共擊秦, 取壽陵.13) 秦出兵, 五國兵罷. 拔衛, 迫東郡, 其君角率其支屬徙居野王, 阻其山以保魏之河內. 七年, 彗星先出東方, 見北方, 五月見西方.14) 將軍驁死. 以攻龍、孤、慶都,15) 還兵攻汲. 彗星復見西方16)十六日. 夏太后死.17) 八年, 王弟長安君成蟜18)將軍擊趙, 反,19) 死屯留,20) 軍吏皆斬死, 遷其民於臨洮.21) 將軍壁死,22) 卒屯留、蒲鶴反, 戮其屍.23) 河魚大上,24) 輕車重25)馬東就食.26)

 

진양(晉陽)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진시황 원년, 장군 몽오가 공격해 반란을 평정했다. 2년에는 표공이 군사를 거느리고 권(卷)을 공격해 3만여 명의 목을 베었다. 3년에는 몽오가 한(韓)나라를 공격해 13성을 점령했다. 그해에 왕의가 죽었다. 10월에는 장군 몽오가 위(魏)나라의 창(暢), 유궤(有詭)를 공격했다. 그해에 큰 기근이 있었다.

 

4년에는 창, 유궤를 함락시켰다. 3월에 군대를 거두었다. 진(秦)나라의 질자가 조(趙)나라에서 돌아왔고, 조나라의 태자는 본국으로 돌아갔다. 10월 경인일(庚寅日)에 메뚜기 떼가 동쪽에서 날아와 하늘을 뒤덮었다. 천하에 전염병이 돌았다. 식량 천 섬을 헌납한 백성에게는 작위(爵位) 한 등급을 하사했다.

 

 

5년에는 장군 몽오가 위나라를 공격해 산조(酸棗), 연(燕), 허(虛), 장평(長平), 옹구(雍丘), 산양성(山陽城)을 평정해 모두 함락시키고 20성을 빼앗았다. 처음으로 동군(東郡)을 설치했다. 겨울에 천둥이 쳤다.

 

 

6년에는 한(韓), 위(魏), 조(趙), 위(衛), 초(楚) 나라가 함께 진나라를 공격해 수릉(壽陵)을 점령했다. 진(秦)이 출병하자 다섯 나라가 군사를 거두었다. 진나라가 위(衛)나라를 점령하고 동군까지 쳐들어가자, 그 임금 각(角)이 일족을 이끌고 거주지를 야왕(野王)으로 옮겨 험한 산세에 의지해 위(衛)의 하내(河內)를 보유했다.

 

 

7년에는 혜성이 먼저 동쪽에서 나타났다가 북쪽에 출현했으며, 5월에는 서쪽에 나타났다. 용(龍), 고(孤), 경도(慶都)를 공격하던 장군 몽오가 죽자, 군사를 돌려 급(汲)을 공격했다. 혜성이 다시 서쪽에 16일 동안 출현했다. 하태후(夏太后)가 서거했다.

 

 

8년에는 진왕의 아우 장안군(長安君) 성교(成蟜)가 군대를 이끌고 조(趙)나라를 공격하다가 도리어 반란을 일으켜 둔류(屯留)에서 죽임을 당했고, 군관들도 모두 참살되었다. 둔류의 백성들을 임조(臨洮)로 옮겨 살게 했다. 성교 장군이 군영에서 죽자, 둔류와 포고에서 반란에 참여했던 군졸들이 모두 육시(戮屍)를 당했다. 황하가 범람해 물고기들이 육지로 밀려나오니, 사람들은 가벼운 수레와 말들을 몰고 먹을 것을 찾아 동쪽으로 갔다.

 

嫪毐27)封爲長信侯. 予之山陽地,28) 令毐居之. 宮室車馬衣服苑囿馳獵恣毐. 事無小大皆決於毐. 又以河西29)太原郡更爲毐國. 九年, 彗星見, 或竟天. 攻魏垣、蒲陽.30) 四月, 上宿雍.31) 己酉, 王冠, 帶劍.32) 長信侯毐作亂而覺, 矯王御璽33)及太后璽以發縣卒34)及衛卒、官騎、戎翟君公、舍人, 將欲攻蘄年宮爲亂.35) 王知之, 令相國昌平君、昌文君發卒攻毐.36) 戰咸陽,37) 斬首數百, 皆拜爵, 及宦者皆在戰中, 亦拜爵一級. 毐等敗走. 卽令國中:有生得毐, 賜錢百萬;殺之, 五十萬. 盡得毐等. 衛尉竭、38) 內史肆、佐弋竭、39) 中大夫令齊等40)二十人皆梟首.41) 車裂以徇, 滅其宗.42) 及其舍人, 輕者爲鬼薪.43) 及奪爵遷蜀四千餘家, 家房陵.44) (四)[是]月寒凍, 有死者.45) 楊端和攻衍氏.46) 彗星見西方, 又見北方, 從斗以南八十日. 十年,47) 相國呂不韋坐嫪毐免. 桓齮爲將軍. 齊、趙來置酒. 齊人茅焦說秦王曰:「秦方以天下爲事, 而大王有遷母太后之名, 恐諸侯聞之, 由此倍秦也.」秦王乃迎太后於雍而入咸陽,48) 復居甘泉宮.49)

 

노애(嫪毐)가 장신후(長信侯)로 봉해졌다. 노애에게 산양(山陽) 땅을 주어 그곳에 살게 하고, 궁실, 거마, 의복, 원유(苑囿), 치렵(馳獵) 등을 노애가 마음대로 하게 하니, 크고 작은 일이 모두 노애에 의해 결정되었다. 또 하서(河西)의 태원군(太原郡)을 노애의 봉국(封國)으로 변경했다.

 

9년에 혜성이 나타나서 간혹 하늘을 가로질렀다. 위(魏)나라의 원(垣)과 포양(蒲陽)을 공격했다. 4월에 진왕이 옹(雍)에 유숙했다. 기유일(己酉日), 진왕은 관례(冠禮)를 거행하고 검을 찼다. 장신후 노애가 반란을 일으키려다가 발각되자, 왕의 옥새와 태후의 인장을 위조해 도성의 군사 및 호위군사, 관아의 기병, 융적(戎翟)의 우두머리, 가신(家臣)들을 동원해 기년궁(蘄年宮)을 공격하고 반란을 일으키려 했다. 진왕이 그 사실을 알고 상국(相國) 창평군(昌平君)과 창문군(昌文君)으로 하여금 군사를 일으켜 노애를 공격하게 하니, 함양(咸陽)에서 싸워 수백 명의 머리를 베었다. 진왕은 그들에게 모두 작위를 하사하고, 참전한 환관 모두에게 작위 한 등급을 하사했다.

 

노애 등이 패해 달아나자 즉시 전국에 영(令)을 내려 노애를 생포하는 자에게는 1백만 냥을 하사하고, 그를 죽이는 자에게는 50만 냥을 하사한다고 했다. 결국 노애 등이 모두 잡혔다. 위위(衛尉) 갈(竭), 내사(內史) 사(肆), 좌익(佐弋) 갈(竭), 중대부령(中大夫令) 제(齊) 등 20여 명은 모두 머리가 잘려 높은 곳에 매달렸고, 사지는 수레에 찢겨서 사람들에게 본보기로 보이게 되었으며, 그들의 일족은 다 주살되었다. 가신 및 죄가 가벼운 자는 귀신(鬼薪)의 형벌을 받았으며, 작위를 삭탈당하고 촉(蜀)으로 쫓겨 간 것이 4천여 가구가 되는데 모두 방릉(房陵)에 옮겨 살게 했다. 그 달에 한파가 심해 얼어 죽은 자가 있었다. 양단화(楊端和)가 연지(衍氏)를 공격했다. 혜성이 서쪽에 나타났다가 다시 북쪽에 나타났는데 북두성(北斗星)에서 남쪽으로 80일간 출현했다.

 

10년, 상국 여불위가 노애의 반란에 연루되어 면직되었다. 환의(桓齮)가 장군이 되었다. 제(齊)나라와 조(趙)나라에서 사신이 오니 연회를 베풀었다.

 

제나라 사람 모초(茅焦)가 진왕에게 권하기를

 

“진이 장차 천하를 취함을 큰 일로 삼고자 하는데 대왕께서 모태후(母太后)를 유배시켰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그 소문을 들은 제후들이 그 일 때문에 진을 배반할까 두렵습니다.”

 

라고 했다. 진왕이 옹(雍)에서 태후를 맞아들여 함양에 거하게 했다가, 다시 감천궁(甘泉宮)에서 기거하게 했다.

 

大索, 逐客, 李斯上書說, 乃止逐客令. 李斯因說秦王, 請先取韓以恐他國, 於是使斯下韓. 韓王患之. 與韓非謀弱秦. 大梁人尉繚來, 說秦王曰:「以秦之彊, 諸侯譬如郡縣之君, 臣但恐諸侯合從, 翕而出不意, 此乃智伯、夫差、湣王之所以亡也. 願大王毋愛財物, 賂其豪臣, 以亂其謀, 不過亡三十萬金, 則諸侯可盡.」秦王從其計, 見尉繚亢禮, 衣服食飮與繚同. 繚曰:「秦王爲人, 蜂準,50) 長目, 摯鳥膺,51) 豺聲, 少恩而虎狼心, 居約易出人下,52) 得志亦輕食人.53) 我布衣, 然見我常身自下我. 誠使秦王得志於天下, 天下皆爲虜矣. 不可與久游.」乃亡去. 秦王覺, 固止, 以爲秦國尉,54) 卒用其計策. 而李斯用事.

 

진왕이 진나라에 와 있는 유세객(遊說客)들을 대규모로 조사해 추방시키려 했다. 이사가 글을 올려 권고하니 진왕은 축객령(逐客令)을 취소했다. 그리고 이사가 진왕에게 먼저 한(韓)나라를 빼앗아 다른 나라들에게 위협을 가할 것을 건의하자, 이사로 하여금 한나라를 함락시키게 했다. 한왕(韓王)이 그것을 걱정해 한비(韓非)와 함께 진나라를 약화시킬 것을 도모했다. 대량(大梁) 사람인 국위(國尉) 요(繚)가 와서 진왕에게 이렇게 권했다.

 

“진의 강대함 때문에 제후들은 다만 군현의 우두머리에 불과할 따름이지만, 신은 다만 제후들이 연합해 군사를 모아서 갑자기 공격해올까 걱정이 됩니다. 이것이 바로 지백(智伯), 부차(夫差), 민왕(湣王)이 망한 까닭입니다. 원하옵건대 대왕께서는 재물을 아끼지 마시고 대신들에게 주어, 이로써 그들의 계획을 혼란시킨다면, 불과 30만금을 잃고 제후들을 모두 소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진왕은 그의 계략을 따랐고, 국위 요를 회견할 때는 평등한 예절로 대해 의복과 음식을 그와 같게 했다. 그러자 요는

 

“진왕의 사람됨이 높은 콧등, 긴 눈, 맹금(猛禽) 같은 가슴, 승냥이 소리 같은 목소리에, 인덕이 부족하고 호랑이와 이리 같은 마음을 가져서 곤궁한 때에는 쉽게 다른 사람의 아래에 거하지만, 일단 뜻을 얻으면 역시 쉽게 사람을 잡아먹을 것이다. 나는 평민신분이거늘 나를 볼 때마다 항상 스스로 나에게 몸을 낮추고 있으나, 만약 진왕이 천하에서 뜻을 이루면 천하 사람들이 다 그의 노예가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그와 더불어 오래 교유하지 못할 것이다.”

 

라고 말하고는 도망치려 했다. 진왕이 그 사실을 알고서 그에게 한사코 머무를 것을 권유하며 진나라의 국위로 삼아 결국 그의 계책을 채택했다. 이때는 이사가 정권을 장악했다.

 

十一年, 王翦、桓齮、楊端和攻鄴, 取九城. 王翦攻閼與、橑楊,55) 皆幷爲一軍. 翦將十八日, 軍歸斗食以下,56) 什推二人從軍57)取鄴安陽, 桓齮將. 十二年, 文信侯不韋死, 竊葬.58) 其舍人臨者, 晉人也逐出之;59)秦人六百石以上奪爵, 遷60);五百石以下不臨, 遷, 勿奪爵.61) 自今以來, 操國事不道如嫪毐、不韋者籍其門,62) 視此. 秋, 復嫪毐舍人遷蜀者. 當是之時, 天下大旱, 六月至八月乃雨.

 

11년, 왕전(王翦), 환의, 양단화가 업(鄴)을 공격해 9성을 빼앗았다. 왕전이 연여(閼與), 요양(橑楊)을 공격하고, 한 군대로 병합했다. 왕전이 18일간 군사를 통솔했는데 군사 중 봉록이 두식(斗食) 이하의 군사는 집으로 돌려보내고, 10명 중에 2명을 선발해 종군하게 했다. 업, 안양(安陽)을 빼앗아서 환의가 군사를 통솔했다.

 

12년에 문신후 여불위가 죽자 몰래 매장했다. 그의 가신으로 장례식에 참가한 사람 중 진(晉)나라 사람은 국경으로 축출했고, 진(秦)나라 사람으로 봉록이 6백 섬 이상인 자는 관직을 삭탈해 (방릉으로) 옮기게 했으며, 봉록이 5백 섬 이하로 장례식에 참가하지 않은 사람은 (방릉으로) 옮기게만 하고 관직은 삭탈하지 않았다.

 

이때부터 국사를 처리할 때 노애, 여불위처럼 정도(正道)를 따르지 않은 자는 일족을 몰수해 관노(官奴)로 삼는 예를 따랐다. 가을에는 촉(蜀)으로 옮긴 노애의 가신들에게 부세와 요역을 면제해주었다. 당시 천하에 큰 가뭄이 들었는데, 6월부터 시작된 것이 8월이 되어서야 비로소 비가 내렸다.

 

 

十三年, 桓齮攻趙平陽,63) 殺趙將扈輒,64) 斬首十萬. 王之河南. 正月, 彗星見東方. 十月, 桓齮攻趙. 十四年, 攻趙軍於平陽, 取宜安,65) 破之, 殺其將軍. 桓齮定平陽、武城.66) 韓非使秦, 秦用李斯謀, 留非, 非死雲陽.67) 韓王請爲臣.

 

13년, 환의가 조나라의 평양(平陽)을 공격해, 조나라 장군 호첩(扈輒)을 죽이고 10만 명의 목을 베었다. 진왕이 하남에 행차했다. 정월에 혜성이 동쪽에 나타났다. 10월에 환의가 조나라를 공격했다. 14년, 평양에서 조군(趙軍)을 공격해 의안(宜安)을 빼앗았으며, 조군을 물리치고 조나라의 장군을 죽였다. 환의가 평양, 무성(武城)을 평정했다. 한비(韓非)가 진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자, 진나라에서는 이사의 계략을 써서 한비를 억류하니 한비가 운양(雲陽)에서 죽었다. 한왕(韓王)이 신하가 되기를 청했다.

 

 

十五年, 大興兵, 一軍至鄴, 一軍至太原, 取狼孟.68) 地動. 十六年九月, 發卒受地韓南陽仮守69)騰. 初令男子書年. 魏獻地於秦. 秦置麗邑.70) 十七年, 內史騰攻韓, 得韓王安, 盡納其地,71) 以其地爲郡, 命曰潁川. 地動. 華陽太后卒. 民大饑.

 

15년, 진왕이 군사를 크게 일으켜서 한 군대는 업에 도착하고 또 한 군대는 태원에 도착해 낭맹(狼孟)을 빼앗았다. 이해에 지진이 발생했다. 16년 9월에 군사를 일으켜서 한(韓)나라 남양(南陽) 땅을 인수하고 등(騰)을 대리 태수로 삼았다. 처음으로 남자의 나이를 등록하게 명을 내렸다. 위(魏)나라가 진(秦)나라에 땅을 헌납했다. 진나라는 여읍(麗邑)을 설치했다.

 

17년, 내사(內史) 등(騰)이 한나라를 공격해 한왕(韓王) 안(安)을 사로잡았으며, 그 영토를 다 몰수해 군(郡)으로 삼고 영천(穎川)이라고 이름했다. 이 해에 지진이 있었다. 화양태후(華陽太后)가 세상을 떠났다. 백성들이 큰 기근을 겪었다.

 

十八年,72) 大興兵攻趙, 王翦將上地,73) 下井陘,74) 端和將河內, 羌瘣75)伐趙, 端和圍邯鄲城. 十九年, 王翦、羌瘣盡定取趙地東陽, 得趙王.76) 引兵欲攻燕, 屯中山. 秦王之邯鄲, 諸嘗與王生趙時母家有仇怨, 皆阬之. 秦王還, 從太原、上郡歸. 始皇帝母太后崩. 趙公子嘉率其宗數百人之代, 自立爲代王, 東與燕合兵, 軍上谷. 大饑.

 

18년, 군사를 크게 일으켜 조(趙)나라를 공격했는데, 왕전이 상지(上地)의 군사를 이끌고 정경(井陘)을 공격했고, 양단화가 하내(河內)의 군사를 거느렸다. 강외(羌瘣)가 조나라를 토벌하고 단화가 한단성을 포위했다. 19년, 왕전, 강외가 조나라 땅인 동양(東陽)을 모두 평정해 빼앗고, 조왕(趙王) 천(遷)을 사로잡았다. 그리고는 군사를 이끌고 연(燕)나라를 공격하고자 중산(中山)에 주둔했다. 진왕은 한단에 가서, 일찍이 자신이 조나라에서 태어날 때 외가와 원한이 있던 사람들을 모두 생매장시켰다. 진왕은 태원, 상군을 거쳐서 진으로 돌아왔다. 시황제의 모태후가 서거했다. 조나라 공자 가(嘉)가 종족 수백 명을 이끌고 대(代)로 가서 스스로 대왕(代王)에 즉위했으며, 동쪽으로 연나라와 연합해 군사를 상곡(上谷)에 주둔시켰다. 이 해에 큰 기근이 있었다.

 

二十年, 燕太子丹患秦兵至國, 恐, 使荊軻刺秦王. 秦王覺之, 體解77)軻以徇, 而使王翦、辛勝攻燕. 燕、代發兵擊秦軍, 秦軍破燕易水之西. 二十一年, 王賁78)攻(薊)[荊]. 乃益發卒詣王翦軍, 遂破燕太子軍, 取燕薊城, 得太子丹之首. 燕王東收遼東而王之.79) 王翦謝病老歸. 新鄭反. 昌平君徙於郢. 大雨雪,80) 深二尺五寸.

 

 

20년, 연나라 태자 단(丹)은 진의 군사들이 연나라를 침략해올 것을 근심해, 두려운 나머지 형가(荊軻)를 시켜서 진왕을 척살(刺殺)하게 했다. 진왕이 그 사실을 알고 형가의 사지를 찢어 백성들에게 보이고, 왕전, 신승(辛勝)으로 하여금 연나라를 공격하게 했다. 그러자 연나라와 대나라가 군사를 일으켜서 진군을 공격했으나, 진군이 역수(易水) 서쪽에서 연나라를 격파했다.

 

21년, 왕분(王賁)이 초 나라를 공격했다. 진왕은 군사를 증원해 왕전의 군대에 파견하니, 마침내 연나라 태자의 군사를 격파하고 연나라의 계성(薊城)을 점령했으며, 태자 단의 목을 얻었다. 연왕이 동쪽으로 요동(遼東)을 점령하고 그곳의 왕이 되었다. 왕전이 늙고 병든 것을 핑계로 관직을 사임하고 귀향했다. 신정(新鄭)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창평군(昌平君)을 영(郢)으로 옮겨 살게 했다. 큰 눈이 내렸는데, 높이가 두 자 다섯 치나 되었다.

 

二十二年, 王賁攻魏, 引河溝灌大梁, 大梁城壞, 其王請降,81) 盡取其地.

 

22년, 왕분이 위(魏)나라를 공격하면서 하구(河溝)의 물을 끌어다가 대량(大梁)으로 흘러가게 하니, 대량성이 파괴되었다. 그러자 위왕이 항복을 요청하므로, 그 땅을 모두 빼앗았다.

 

二十三年, 秦王復召王翦, 彊起之, 使將擊荊.82) 取陳以南至平輿,83) 虜荊王.84) 秦王游至郢陳. 荊將項燕立昌平君爲荊王, 反秦於淮南.85) 二十四年, 王翦、蒙武攻荊, 破荊軍, 昌平君死, 項燕遂自殺.

 

23년, 진왕이 왕전을 다시 불러 강제로 기용했다. 그를 시켜 초 나라를 공격하게 하니, 진(陳)의 남쪽부터 평여(平輿)까지의 땅을 점령하고 형왕(荊王)을 사로잡았다. 진왕이 영도(郢都)와 진현(陳縣)까지 행차했다. 초 나라 장수 항연(項燕)이 창평군을 옹립해 초왕(楚王)으로 삼았고, 회하(淮河)의 남쪽에서 진나라에 반기를 들었다. 24년, 왕전, 몽무(蒙武)가 초 나라를 공격해 초군을 무찔렀다. 창평군이 죽자 항연도 마침내 자살했다.

 

二十五年, 大興兵, 使王賁將, 攻燕遼東, 得燕王喜.86) 還攻代, 虜代王嘉. 王翦遂定荊江南地;87)降越君,88) 置會稽郡. 五月, 天下大酺.89)

 

25년, 진왕은 크게 군사를 일으켜서 왕분으로 하여금 거느리게 했다. 연나라의 요동을 공격하고 연왕 희(喜)를 사로잡았다. 돌아오는 도중에 대(代)나라를 공격해 대왕(代王) 가(嘉)를 사로잡았다. 왕전은 마침내 초 나라의 강남(江南) 지역을 평정해, 월(越)나라의 군주를 항복시키고 거기에 회계군(會稽郡)을 설치했다. 5월, 천하에 큰 연회를 베풀도록 허락했다.

 

二十六年, 齊王建與其相后勝90)發兵守其西界, 不通秦. 秦使將軍王賁從燕南攻齊, 得齊王建.91)

 

 

26년, 제왕(齊王) 전건(田建)과 그의 상국(相國) 후승(后勝)이 군사를 일으켜 서쪽 변경을 지키며 진(秦)과 왕래하지 않았다. 진왕은 장군 왕분을 시켜서 연나라로부터 남쪽으로 제(齊)나라를 공격해 제왕 전건을 사로잡았다.

 

秦王初幷天下, 令丞相、御史曰:92)「異日韓王納地效璽,93) 請爲藩臣, 已而倍約, 與趙、魏合從畔秦, 故興兵誅之, 虜其王. 寡人以爲善, 庶幾息兵革. 趙王使其相李牧來約盟, 故歸其質子.94) 已而倍盟, 反我太原, 故興兵誅之, 得其王. 趙公子嘉乃自立爲代王, 故擧兵擊滅之. 魏王始約服入秦, 已而與韓、趙謀襲秦, 秦兵吏誅, 遂破之. 荊王獻靑陽以西,95) 已而畔約, 擊我南郡, 故發兵誅, 得其王, 遂定其荊地. 燕王昏亂, 其太子丹乃陰令荊軻爲賊, 兵吏誅, 滅其國. 齊王用后勝計, 絶秦使, 欲爲亂, 兵吏誅, 虜其王, 平齊地. 寡人以眇眇之身, 興兵誅暴亂, 賴宗廟之靈, 六王咸伏其辜, 天下大定. 今名號不更, 無以稱成功, 傳後世. 其議帝號.」丞相綰、御史大夫劫、96) 廷尉斯等97)皆曰:「昔者五帝地方千里, 其外侯服夷服諸侯或朝或否, 天子不能制. 今陛下98)興義兵, 誅殘賊, 平定天下, 海內爲郡縣,99) 法令由一統, 自上古以來未嘗有, 五帝所不及. 臣等謹與博士議曰:100)『古有天皇, 有地皇, 有泰皇,101) 泰皇最貴.』臣等昧死上尊號, 王爲『泰皇』. 命爲『制』, 令爲『詔』,102) 天子自稱曰『朕』.103)」王曰:「去『泰』,104) 著『皇』, 采上古『帝』位號, 號曰『皇帝』. 他如議.」制曰:「可.」105) 追尊莊襄王爲太上皇.106) 制曰:「朕聞太古有號毋謚, 中古有號, 死而以行爲謐. 如此, 則子議父, 臣議君也, 甚無謂, 朕弗取焉. 自今已來, 除謚法.107) 朕爲始皇帝. 後世以計數,108) 二世三世至于萬世, 傳之無窮.」

 

진왕이 막 천하를 통일하고 나자, 상국 및 어사(御史)에게 이렇게 명했다.

 

 

“전에 한왕(韓王)은 영토를 헌납하고 옥새를 바치면서 번신(藩臣)이 되기를 간청했다. 허나 얼마 안 되어 약속을 배신하고 조(趙), 위(魏) 나라와 함께 연합해 진을 배반했기에 군사를 일으켜서 그들을 토벌하고 한왕을 사로잡았다. 과인은 이 일을 잘했다고 여겨 전쟁이 멈추기를 바랐노라, 그 후 조왕(趙王)이 상국 이목(李牧)을 사신으로 보내 맹약(盟約)했기에 그의 질자(質子)를 돌려보냈거늘, 얼마 후에 맹약을 위배하고 태원(太原)에서 우리 진나라에 모반했다. 까닭에 군사를 일으켜 토벌하고 그 왕을 사로잡았노라.

 

 

조나라 공자인 가(嘉)가 스스로 대왕(代王)에 즉위했기에 또 군사를 일으켜서 그들을 격멸했노라. 위왕(魏王)이 처음에는 진에 복종하기로 약속했으나 얼마 안 되어 한(韓), 조(趙) 나라와 함께 진을 습격할 것을 모의했기에 진의 군사들이 그들을 토벌해 무찔렀으며, 초왕이 청양(靑陽) 서쪽 땅을 헌납했으나 얼마 안 되어 맹약을 배신하고 진의 남군(南郡)을 공격했기에 군사를 일으켜서 토벌하고 초왕을 사로잡아 마침내 초 나라 땅을 평정했노라.

 

연왕이 혼미해 태자 단이 몰래 형가를 자객으로 삼아 나를 죽이도록 했기에 군사를 보내 물리치고 연나라를 멸망시켰으며, 제왕이 후승의 계책을 사용해 진나라와 왕래를 끊고 반란을 일으키려고 했기에 군사를 보내어 토벌하고 그 왕을 사로잡아 제(齊) 땅을 평정했노라.

 

과인이 보잘것없는 몸으로 군사를 일으켜서 폭란(暴亂)을 토벌할 수 있었던 것은 조상의 혼령이 돌보았기 때문이며, 육국(六國)의 왕들이 모두 처벌당하자 천하가 크게 안정되었으니, 이제 호칭을 바꾸지 않는다면 그동안 이루어 놓은 공업(功業)을 드러낼 수 없고 후세에 전할 수도 없을 것이다. 그대들은 황제의 호칭을 논의하게 하라.”

 

그러자 승상 왕관(王綰), 어사대부(御史大夫) 풍겁(馮劫), 정위(廷尉) 이사(李斯) 등이 모두 이렇게 아뢰었다.

 

“옛날 오제(五帝) 때에는 땅이 사방 천리에 지나지 않았고, 그 바깥에는 후복(侯服), 이복(夷服) 등의 제후가 있었는데 그들이 어떤 때에는 조현하고 어떤 때에는 조현하지 않아 천자는 그들을 제압할 수 없었습니다. 이제 폐하께서 의로운 군사를 일으켜 잔적(殘敵)을 토벌하시고 천하를 평정해 전국에 군현을 설치하고 법령을 하나로 통일시켰습니다. 이는 상고(上古) 이래 일찍이 없었던 일로 오제(五帝)라고 할지라도 미치지 못할 것입니다. 신들이 삼가 박사(博士)들과 함께 논의하기를 “고대에는 천황(天皇), 지황(地皇), 태황(泰皇)이 있었는데, 그중에서 태황이 가장 존귀했다”라고 했습니다. 신들이 황공하게도 존호(尊號)를 올리나니, 왕을 ‘태황(泰皇)’이라고 하고, 명(命)을 ‘제(制)’라고 하고, 영(令)을 ‘조(詔)’라고 하며, 천자가 스스로를 칭할 때는 ‘짐(朕)’이라고 하십시오.”

 

그러자 진왕은 “태(泰)자를 없애고 황(皇)자를 취하고, 상고시대의 제(帝)라는 호칭을 채택해 ‘황제(皇帝)’라고 칭할 것이며, 다른 것은 그대들이 논의한 대로 하라.”라고 말했다. 그리고는 (관리가 이를 상주하자) “좋다.”라고 재가했다. 장양왕을 태상황(太上皇)이라고 추존하고, 또 이렇게 분부했다.

 

“짐이 듣건대 태고(太古)에는 호(號)는 있었으나 시호는 없었으며, 중고(中古)에는 호가 있었고 죽은 후에 생전 사적에 따라서 시호를 정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자식이 아비를 논의하고, 신하가 군주를 논의하는 것과 같은데 이는 아무런 의미도 없는 것이니, 짐은 이러한 제도를 채택하지 않겠노라. 그래서 지금부터는 시호를 추서하는 법을 폐지하노라. 짐은 최초로 황제가 되었기에 시황제(始皇帝)라고 칭하고, 후세에는 수를 세어서 2세(二世), 3세(三世)라고 해 만세(萬世)에 이르기까지 길이 전해지도록 하라.”

 

 


각주


1 索隱莊襄王者, 孝文王之中子, 昭襄王之孫也, 名子楚. 按:戰國策本名子異, 後爲華陽夫人嗣, 夫人楚人, 因改名子楚也.

2 正義質音致. 國彊欲待弱之來相事, 故遣子及貴臣爲質, 如上音. 國弱懼其侵伐, 令子及貴臣往爲質, 音直實反. 又二國敵亦爲交質, 音致. 左傳云周鄭交質, 王子狐爲質於鄭, 鄭公子忽爲質於周是也.

3 索隱按:不韋傳云不韋, 陽翟大賈也. 其姬邯鄲豪家女, 善歌舞, 有娠而獻於子楚.

4 集解徐廣曰:「一作『正』.」宋忠云:「以正月旦生, 故名正.」索隱系本作「政」, 又生於趙, 故曰趙政. 一曰秦與趙同祖, 以趙城爲榮, 故姓趙氏. 正義正音政, 「周正建子」之「正」也. 始皇以正月旦生於趙, 因爲政, 後以始皇諱, 故音征.

5 集解文穎曰:「主廐內小吏官名. 或曰待從賓客謂之舍人也.」

6 集解徐廣曰:「一作『齕』.」索隱蒙驁, 齊人, 蒙武之父, 蒙恬之祖. 王齮卽王齕, 昭王四十九年代大夫陵伐趙者. 正義齮, 魚綺反. 劉伯莊云音綺. 後同.

7 集解應劭曰:「麃, 秦邑.」索隱麃公蓋麃邑公, 史失其姓名. 正義麃, 彼苗反, 蓋秦之縣邑. 大夫稱公, 若楚制.

8 正義將, 子匠反. 卒, 子必反. 卷, 丘員反.

9 集解徐廣曰:「暢音場.」 索隱音暢, 魏之邑名.

10 集解地理志陳留有酸棗縣. 正義括地志云:「酸棗故城在滑州酸棗縣北十五里古酸棗縣南.」

11 集解徐廣曰:「一作『千』.」駰案:地理志汝南有長平縣也. 索隱二邑名. 春秋桓十二年「會于虛」, 又戰國策曰「拔燕酸棗、虛、桃人」, 桃人亦魏邑, 虛地今闕, 蓋與諸縣相近. 按:今東郡燕縣東三十里有故桃城, 則亦非遠. 正義燕, 烏田反. 括地志云:「南燕城, 古燕國也, 滑州胙城縣是也. 姚虛在濮州雷澤縣東十三里. 孝經援神契云帝舜生於姚墟, 卽東郡也. 長平故城在陳州宛丘縣西六十六里.」

12 集解地理志陳留有雍丘縣, 河內有山陽縣. 正義雍, 於用反, 汴州縣.

13 正義徐廣云:「在常山.」按:本趙邑也.

14 正義彗音似歲反. 見, 並音行練反. 孝經內記云:「彗在北斗, 兵大起. 彗在三台, 臣害君. 彗在太微, 君害臣. 彗在天獄, 諸侯作亂. 所指其處大惡. 彗在日旁, 子欲殺父.」

15 集解徐廣曰:「慶, 一作『麃』.」正義括地志云:「定州恆陽縣西南四十里有白龍水, 又有挾龍山. 又定州唐縣東北五十四里有孤山. 蓋都山也. 帝王紀云望堯母慶都所居. 張晏云堯山在北, 堯母慶都山在南, 相去五十里, 北登堯山, 南望慶都山也. 注水經云『望都故城東有山, 不連陵, 名之曰孤』. 孤都聲相近, 疑卽都山, 孤山及望都故城三處相近.」

16 正義復, 扶富反. 見, 行見反.

17 索隱莊襄王所生母. 正義子楚母也.

18 正義蟜音紀兆反. 成蟜者, 長安君名也, 號爲長安君.

19 正義將, 如字. 將猶領也. 又子匠反.

20 正義括地志云:「屯留故城在潞州長子縣東北三十里, 漢屯留, 留吁國也.」

21 索隱臨洮在隴西. 正義臨洮水, 故名臨洮. 洮州在隴右, 去京千五百五十一里. 言屯留之民被成蟜略衆共反, 故遷之於臨洮郡也.

22 正義壁, 邊覓反. 言成蟜自殺壁壘之內.

23 集解徐廣曰:「■, 一作『鶡』. 屯留, 蒲鶡, 皆地名也. 壁于此地時, 士卒死者皆戮其屍.」索隱高誘云屯留, 上黨之縣名. 謂成蟜爲將軍而反. 秦兵擊之, 而蟜壁於屯留而死. 屯留、蒲■二邑之反卒雖死, 猶皆戮其屍. ■, 古「■」字. 正義卒, 子忽反. ■音高, 注同. 蒲, ■, 皆地名.

24 索隱謂河水溢, 魚大上平地, 亦言遭水害也. 卽漢書五行志劉向所謂「豕蟲之孽」. 明年, 嫪毐誅. 魚, 陰類, 小人象. 正義始皇八年, 黃河之魚西上入渭. 渭, 渭水也. 漢書五行志云「魚者陰類, 臣民之象也」. 十七年, 滅韓. 二十六年, 盡幷天下. 自滅韓至幷天下, 蓋十年矣. 周本紀云「十年, 數之紀也. 天之所棄, 不過其紀」. 明關東後屬秦, 其象類先見也.

25 集解徐廣曰:「一無此『重』字.」

26 索隱言河魚大上, 秦人皆輕車重馬, 並就食於東. 言往河旁食魚也. 一云, 河魚大上爲災, 人遂東就食, 皆輕車重馬而去.

27 索隱嫪, 姓;毐, 字. 按:漢書嫪氏出邯鄲. 王劭云「賈侍中說秦始皇母予嫪毐淫坐誅, 故世人罵淫曰『嫪毐』也」. 正義上躬虯反, 下酷改反.

28 正義予音與. 括地志云:「山陽故城在懷州修武縣西北太行山東南.」

29 集解徐廣曰:「河, 一作『汾』.」

30 正義垣, 作「■」. ■音袁. 括地志云:「故垣城, 漢縣治, 本魏王垣也, 在絳州垣縣西北二十里. 蒲邑故城在隰州縣北四十五里. 在蒲水之北. 故言蒲陽. 卽晉公子重耳所居邑也.」

31 集解蔡邕曰:「上者, 尊位所在也.」駰案:司馬遷記事, 當言「帝」則依違但言「上」, 不敢媟言, 尊尊之意也.

32 集解徐廣曰:「年二十二.」正義冠音灌. 禮記云年二十而冠. 按:年二十一也.

33 集解蔡邕曰:「御者, 進也. 凡衣服加於身, 飮食入於口, 妃妾接於寢, 皆曰御. 御之親愛者曰幸. 璽者, 印信也. 天子璽白玉螭虎鈕. 古者尊卑共之. 月令曰『固封璽』, 左傳曰『季武子璽書追而與之』, 此諸侯大夫印稱璽也.」衛宏曰:「秦以前, 民皆以金玉爲印, 龍虎鈕, 唯其所好. 秦以來, 天子獨以印稱璽, 又獨以玉, 群臣莫敢用.」正義崔浩云:「李斯磨和璧作之, 漢諸帝世傳服之, 謂『傳國璽』.」韋曜吳書云璽方四寸, 上句交五龍, 文曰「受命于天旣壽永昌」. 漢書云文曰「昊天之命皇帝壽昌」. 按:二文不同. 漢書元后傳云王莽令王舜逼太后取璽, 王太后怒, 投地, 其角小缺. 吳志云孫堅入洛, 埽除漢陵廟, 軍於甄官井得璽, 後歸魏. 晉懷帝永嘉五年六月, 帝蒙塵平陽, 璽入前趙劉聰. 至東晉成帝咸和四年, 石勒滅前趙, 得璽. 穆帝永和八年, 石勒爲慕容俊滅, 濮陽太守戴施入鄴, 得璽, 使何融送晉. 傳宋, 宋傳南齊, 南齊傳梁. 梁傳至天正二年, 侯景破梁, 至廣陵, 北齊將辛術定廣陵, 得璽, 送北齊. 至周建德六年正月, 平北齊, 璽入周. 周傳隋, 隋傳唐也.

34 正義子忽反, 下同.

35 集解地理志蘄年宮在雍. 正義蘄, 巨衣反. 括地志云:「蘄年宮在岐州城西故城內.」

36 索隱昌平君, 楚之公子, 立以爲相, 後徙於郢, 項燕立爲荊王, 史失其名. 昌文君名亦不知也.

37 正義括地志云:「咸陽故城亦名渭城, 在雍州北五里, 今咸陽縣東十五里. 秦孝公已下並都此城. 始皇鑄金人十二於咸陽, 卽此也.」

38 集解漢書百官表曰:「衛尉, 秦官.」

39 集解漢書百官表曰:「秦時少府有佐弋, 漢武帝改爲佽飛, 掌弋射者.」正義弋音翊.

40 正義令, 力政反. 中大夫令, 秦官也. 齊, 名也.

41 集解縣首於木上曰梟. 正義梟, 古堯反. 懸首於木上曰梟.

42 正義說苑云:「秦始皇太后不謹, 幸郎嫪毐, 始皇取毐四支車裂之, 取兩弟撲殺之, 取太后遷之咸陽宮. 下令曰:『以太后事諫者, 戮而殺之, 蒺藜其脊.』諫而死者二十七人. 茅焦乃上說曰:『齊客茅焦, 願以太后事諫.』皇帝曰:『走告若, 不見闕下積死人耶?』使者問焦. 焦曰:『陛下車裂仮父, 有嫉妒之心;囊撲兩弟, 有不慈之名;遷母咸陽, 有不孝之行;蒺藜諫士, 有桀紂之治. 天下聞之, 盡瓦解, 無向秦者.』王乃自迎太后歸咸陽, 立茅焦爲傅, 又爵之上卿.」括地志云:「茅焦, 滄州人也.」

43 集解應劭曰:「取薪給宗廟爲鬼薪也.」如淳曰:「律說鬼薪作三歲.」正義言毐舍人罪重者已刑戮, 輕者罰徒役三歲.

44 正義括地志云:「房陵卽今房州房陵縣, 古楚漢中郡地也. 是巴蜀之境. 地理志云房陵縣屬漢中郡, 在益州部, 接東南一千三百一十里也.」

45 正義四月建巳之月, 孟夏寒凍, 民有死者, 以秦法酷急, 則天應之而史書之. 故尙書洪範「急常寒若」, 孔注云「君行急則常寒順之」.

46 索隱端和, 秦將. 衍氏, 魏邑. 正義衍, 羊善反. 在鄭州.

47 集解徐廣曰:「甲子.」

48 集解說苑曰:「始皇帝立茅焦爲傅, 又爵之上卿. 太后大喜, 曰『天下亢直, 使敗復成, 安秦社稷, 使妾母子復相見者, 茅君之力也』.」

49 集解徐廣曰:「表云咸陽南宮也.」

50 集解徐廣曰:「蜂, 一作『隆』.」正義蜂, 孚逢反. 準, 章允反. 蜂, ■也. 高鼻也. 文穎曰:「準, 鼻也.」

51 正義鷙鳥, 鶻. 膺突向前, 其性悍勇.

52 正義易, 以豉反. 言始皇居儉約之時易以謙卑.

53 正義言始皇得天下之志, 亦輕易而啖食於人.

54 正義若漢太尉、大將軍之比也.

55 集解徐廣曰:「橑音老, 在幷州.」正義漢表在淸河. 十三州志云:「橑陽, 上黨西北百八十里也.」

56 集解漢書百官表曰:「百石以下, 有斗食, 佐史之秩.」正義一曰得斗粟爲料.

57 索隱言王翦爲將, 諸軍中皆歸斗食以下, 無功佐史, 什中唯推擇二人令從軍耳.

58 索隱按:不韋飮鴆死, 其賓客數千人竊共葬於洛陽北芒山.

59 正義臨, 力禁反, 臨哭也. 若是三晉之人, 逐出令歸也.

60 正義上音時掌反. 若是秦人哭臨者, 奪其官爵, 遷移於房陵.

61 正義若是秦人不哭臨不韋者, 不奪官爵, 亦遷移於房陵.

62 集解徐廣曰:「一作『文』.」索隱謂藉沒其一門皆爲徒隷, 後並視此爲常故也. 正義籍錄其子孫, 禁不得仕宦.

63 正義括地志云:「平陽故城在相州臨漳縣西二十五里.」又云:「平陽, 戰國時屬韓, 後屬趙.」

64 正義扈音戶. 輒, 張獵反, 趙之將軍.

65 正義括地志云:「宜安故城在常山稿城縣西南二十五里也.」

66 正義卽貝州武城縣外城是也. 七國時趙邑.

67 正義括地志云:「雲陽城在雍州雲陽縣西八十里, 秦始皇甘泉宮在焉.」

68 集解地理志太原有狼孟縣.

69 正義仮, 格雅反. 守音狩.

70 正義麗, 力知反. 括地志云:「雍州新豐縣, 本周時驪戎邑. 左傳云晉獻公伐驪戎, 杜注云在京兆新豐縣, 其後秦滅之以爲邑.」

71 正義韓王安之九年, 秦盡滅之.

72 集解徐廣曰:「巴郡出大人, 長二十五丈六尺.」

73 正義上郡上縣, 今綏州等是也.

74 集解服虔曰:「山名, 在常山. 今爲縣. 音刑.」

75 正義胡罪反.

76 索隱趙王遷也. 正義趙幽繆王遷八年, 秦取趙地至平陽. 平陽在貝州歷亭縣界. 遷王於房陵.

77 正義紀買反.

78 正義音奔.

79 正義王, 于放反.

80 正義雨, 于遇反.

81 索隱魏王仮也.

82 正義秦號楚爲荊者, 以莊襄王名子楚, 諱之, 故言荊也.

83 集解地理志汝南有平輿縣. 正義輿音餘. 平輿, 豫州縣也.

84 索隱荊王負芻也. 楚稱荊者, 以避莊襄王諱, 故易之也.

85 集解徐廣曰:「淮, 一作『江』.」正義昌平也. 楚淮北之地盡入於秦.

86 正義燕王喜之五十三年, 燕亡.

87 正義言王翦遂平定楚及江南地, 降越君, 置爲會稽郡.

88 正義降, 閑江反. 楚威王已滅[越], 其餘自稱君長, 今降秦.

89 正義服虔曰:「酺音蒲.」文穎曰:「酺, 周禮族師掌春秋祭酺, 爲人物災害之神.」蘇林曰:「陳留俗, 三月上巳水上飮食爲酺.」正義天下歡樂大飮酒也. 秦旣平韓、趙、魏、燕、楚五國, 故天下大酺也.

90 正義音升, 齊相姓名.

91 索隱六國皆滅也. 十七年得韓王安, 十九年得趙王遷, 二十二年魏王仮降, 二十三年虜荊王負芻, 二十五年得燕王喜, 二十六年得齊王建. 正義齊王建之三十四年, 齊國亡.

92 正義令, 力政反. 乃今之赦令、赦書.

93 正義效猶至見.

94 正義質音致.

95 集解漢書鄒陽傳曰:「越水長沙, 還舟靑陽.」張晏曰:「靑陽, 地名.」蘇林曰:「靑陽, 長沙縣是也.」

96 集解漢書百官表曰:「御史大夫, 秦官.」應劭曰:「侍御史之率, 故稱大夫也.」索隱綰姓王. 劫姓馮.

97 集解漢書百官表曰:「廷尉, 秦官.」應劭曰:「聽獄必質諸朝廷, 與衆共之, 兵獄同制, 故稱廷尉.」

98 集解蔡邕曰:「陛, 階也, 所由升堂也. 天子必有近臣立於陛側, 以戒不虞. 謂之『陛下』者, 群臣與天子言, 不敢指斥, 故呼在陛下者與之言, 因卑達尊之意也. 上書亦如之.」

99 正義郡, 人所群聚也.

100 集解漢書百官表曰:「博士, 秦官, 掌通古今.」

101 索隱按:天皇、地皇之下卽云泰皇, 當人皇也. 而封禪書云「昔者太帝使素女鼓瑟而悲」, 蓋三皇已前稱泰皇. 一云泰皇, 太昊也.

102 集解蔡邕曰:「制書, 帝者制度之命也, 其文曰『制』. 詔, 詔書. 詔, 告也.」正義令音力政反. 制詔三代無文, 秦始有之.

103 集解蔡邕曰:「朕, 我也. 古者上下共稱之, 貴賤不嫌, 則可以同號之義也. 皐陶與舜言『朕言惠, 可底行』. 屈原曰『朕皇考』. 至秦, 然後天子獨以爲稱. 漢因而不改.」

104 正義去音丘呂反.

105 集解蔡邕曰:「群臣有所奏, 請尙書令奏之, 下有司曰『制』, 天子答之曰『可』.」

106 集解漢高祖尊父曰太上皇, 亦放此也.

107 集解謚法, 周公所作.

108 正義色主反.


'中國歷史와文學 > 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史記 卷六. 秦始皇本期 Ⅲ  (0) 2019.05.11
史記 卷六. 秦始皇本期 Ⅱ  (0) 2019.05.11
史記 卷五. 秦本記 Ⅱ  (0) 2019.05.11
史記 卷五. 秦本紀 Ⅰ  (0) 2019.05.11
史記 卷四. 周本記 Ⅲ  (0) 2019.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