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11章
孔子曰, 「見善如不及, 見不善如探湯, 吾見其人矣, 吾聞其語矣。隱居以求其志, 行義以達其道, 吾聞其語矣, 未見其人也。」
공자가 말씀하셨다.
“선을 보고는 도달하지 못할 듯이 하며, 불선을 보고는 끓는 물에 손이 닿은 것처럼 하는 것을, 나는 그러한 사람을 보았고 그러한 말을 들었다.
은거하면서 그 뜻을 구하고, 의(義)를 행하면서 그 도(道)에 도달하는 것을, 나는 그러한 말만 들었고 그러한 사람은 보지 못하였다.”
[해설]
‘선을 보고는 도달하지 못할 듯이 한다.’라는 말은 선을 좋아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지 않으면 그만두지 않다는 의미이다. ‘불선을 보고는 끓는 물을 더듬는 듯이 한다.’는 것은 악을 싫어할 뿐만 아니라 한 번이라도 시험 삼아 가까이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런 경지에 이른 뒤에야 선이 날로 새로워지고 불선이 날로 멀어지며, 수신하여 선을 좋아하고 불선을 미워하게 된다. 만일 곽공(郭公)이 나라를 다스리는 것과 같이 선을 좋게만 여기고 악을 미워만 한다면 또한 끝내 망하게 될 뿐이다.
‘은거하면서 도를 구한다.’라고 하지 않고, ‘뜻을 구한다.’라고 말했으니, 군자가 뜻을 세울 때에는 반드시 성인을 표준으로 삼기 때문에 추구하는 지향점이 당초의 뜻을 저버리지 않는 것이다. ‘도달하여 의(義)를 행한다.’라고 하지 않고, ‘의를 행하여 도(道)에 도달한다.’라고 하였으니, 군자의 달(達)이란 자기 몸을 통달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도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에 도달하고자 하기 때문에 반드시 그 의를 행한다. ‘인(仁)을 행한다.’라고 하지 않고, ‘의를 행한다.’라고 말한 것은 마름질하는 작용의 측면에서 말한 것이다. <讀書箚義>
○眞知善惡而誠好惡之, 顔曾冉閔之徒蓋能之矣. 語 蓋古語也.
○참으로 선악을 알아서 성실히 좋아하고 미워할 것이니, 안자 증자 염백우 민자건의 무리가 대개 능했느니라. 어는 대개 옛 말이라.
隱居以求其志, 行義以達其道, 吾聞其語矣, 未見其人也.
은거하면서 그 뜻을 구하고, 의(義)를 행하면서 그 도(道)에 도달하는 것을, 나는 그러한 말만 들었고 그러한 사람은 보지 못하였다.”
○求其志 守其所達之道也, 達其道 行其所求之志也. 蓋惟伊尹, 太公之流可以當之. 當時 若顔子亦庶乎此. 然 隱而未見, 又不幸而蚤死. 故 夫子云然.
○그 뜻을 구함은 그 통달한 바의 도를 지킴이오, 그 도를 통달함은 그 구하는 바의 뜻을 행함이라. 대개 오직 이윤과 태공의 무리가 가히 써 그에 해당하고, 당시에 안자도 또한 거의 이와 같으니라. 그러나 숨어서 나타나지 않고 또한 불행히도 일찍 죽었음이라. 그러므로 부자가 그렇게 이르셨느니라.
第12章
齊景公有馬千駟, 死之日民無德而稱焉。伯夷叔齊餓于首陽之下, 民到于今稱之。其斯之謂與。
제(齊)나라 경공(景公)은 말 4000필을 소유한 부자였지만, 죽었을 때 그의 덕을 칭송하는 백성이 없었다.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는 수양산(首陽山) 아래에서 굶어 죽었지만 백성들이 지금까지 칭송하고 있다.
아마도 이것을 말하는 것인가?
○駟 四馬也. 首陽 山名.
○사는 네 마리 말이라. 수양은 산 이름이라.
其斯之謂與.
아마도 이것을 말하는 것인가?
○胡氏曰, 程子以爲第十二篇 錯簡, '誠不以富 亦祗以異' 當在此章之首, 今詳文勢, 似當在此句之上. 言人之所稱 不在於富而在於異也. 愚謂此說近是, 而章首當有孔子曰字, 蓋闕文. 大抵此書 後十篇 多闕誤.
○호씨 가로대 정자가 제12편이(10장 3절) 착간되어 ‘진실로 부로써 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괴이한 짓이로다’가 마땅히 이 장 머리에 있어야 한다 하니, 지금 글의 형세를 상고하건대 마땅히 이 구절 위에 있어야 할 것 같으니라(곧 ‘誠不以富, 亦祗以異. 其斯之謂與.’가 되어야 한다). 사람이 일컫는 바가 부에 있는 것이 아니고 특이한 데 있느니라. 우는 이르되, 이 말이 이에 가까워서 머릿장에 마땅히 ‘공자왈’자가 있어야 하거늘(곧 ‘孔子曰齊景公 有馬千駟,…’이 되어야 한다) 대개 궐문이라. 대개 이 글과 뒤의 열편은 빠지고 잘못된 것이 많으니라.
第13章
陳亢問於伯魚曰, 「子亦有異聞乎?」 對曰, 「未也。嘗獨立鯉趨而過庭曰, 『學詩乎?』, 對曰, 『未也。』, 『不學詩無以言。』 鯉退而學詩。他日又獨立, 鯉趨而過庭曰, 『學禮乎?』 對曰, 『未也。』, 『不學禮無以立。』 鯉退而學禮。聞斯二者。」 陳亢退而喜曰, 「問一得三, 聞詩聞禮, 又聞君子之遠其子也。」
진항(陳亢)이 백어(伯魚)에게 물었다.
“자네는 선생님께 남다른 말씀을 들은 것이 있는가?”
백어가 대답했다.
“없었네. 언젠가 홀로 서 계실 때 내가 종종걸음으로 뜰을 지나는데, ‘시를 배웠느냐?’ 하시기에 ‘아직 못 배웠습니다.’ 하고 대답했더니, ‘시를 배우지 않으면 남과 말을 할 수가 없다.’고 말씀하셨네. 그래서 나는 물러나와 그때부터 시를 배웠다네. 다른 날 또 홀로 서 계실 때 내가 종종걸음으로 뜰을 지나는데, ‘예(禮)를 배웠느냐?’ 하시기에 ‘아직 못 배웠습니다.’ 하고 대답했더니, ‘예를 배우지 않으면 사람이 설 수가 없다.’고 말씀하셨네 그래서 나는 물러나와 그때부터 예를 배웠다네. 이 두 가지를 들은 적이 있네.”
진항이 물러나와 기뻐하면서 말하였다.
“하나를 물어서 세 가지를 들었다. 시를 듣고, 예를 듣고, 또 군자가 아들을 남달리 대하지 않는다는 것을 들었다.”
○亢 以私意 窺聖人疑必陰厚其子.
○항이 사사로운 뜻으로써 성인이 아마 반드시 그 아들에게 음으로 후하게 하지 않을까 엿봄이라.
對曰, 「未也。嘗獨立鯉趨而過庭曰, 『學詩乎?』, 對曰, 『未也。』, 『不學詩無以言。』 鯉退而學詩。
백어가 대답했다.
“없었네. 언젠가 홀로 서 계실 때 내가 종종걸음으로 뜰을 지나는데, ‘시를 배웠느냐?’ 하시기에 ‘아직 못 배웠습니다.’ 하고 대답했더니, ‘시를 배우지 않으면 남과 말을 할 수가 없다.’고 말씀하셨네. 그래서 나는 물러나와 그때부터 시를 배웠다네.
○事理通達而心氣和平. 故 能言.
○(시를 배우면) 사리가 통달하고 심기가 화평해지니라. 그러므로 능히 말하니라.
他日又獨立, 鯉趨而過庭曰, 『學禮乎?』 對曰, 『未也。』, 『不學禮無以立。』 鯉退而學禮。
다른 날 또 홀로 서 계실 때 내가 종종걸음으로 뜰을 지나는데, ‘예(禮)를 배웠느냐?’ 하시기에 ‘아직 못 배웠습니다.’ 하고 대답했더니, ‘예를 배우지 않으면 사람이 설 수가 없다.’고 말씀하셨네 그래서 나는 물러나와 그때부터 예를 배웠다네.
○品節詳明而德性堅定. 故 能立.
○품절(물건마다의 절도)이 자세하고 밝아지고 덕성이 굳고 정립되니라. 그러므로 능히 서니라.
聞斯二者。
이 두 가지를 들었네.
○當獨立之時 所聞不過如此, 其無異聞 可知.
○홀로 서 있을 때를 당하여 들은 바가 이와 같음을 지나지 아니하니 그 달리 들음이 없음을 가히 알만하니라.
陳亢退而喜曰, 「問一得三, 聞詩聞禮, 又聞君子之遠其子也。」
진항이 물러나와 기뻐하면서 말하였다.
“하나를 물어서 세 가지를 들었다. 시를 듣고, 예를 듣고, 또 군자가 아들을 남달리 대하지 않는다는 것을 들었다.”
○尹氏曰, 孔子之敎其子 無異於門人. 故 陳亢以爲遠其子.
○윤씨 가로대 공자가 그 아들을 가르침에 문인과 다름이 없느니라. 그러므로 진항이 써 그 아들을 멀리했다 하니라.
第14章
邦君之妻, 君稱之曰夫人, 夫人自稱曰小童。邦人稱之曰君夫人, 稱諸異邦曰寡小君, 異邦人稱之亦曰君夫人。
나라 임금의 아내를 임금이 부를 때는 ‘부인(夫人)’이라 하고, 부인이 스스로를 칭할 때에는 ‘소동(小童)’이라고 한다. 나라 사람들이 일컬을 때는 ‘군부인(君夫人)’이라 하고, 다른 나라 사람에게 말할 때는 ‘과소군(寡小君)’이라 하고, 다른 나라 사람들이 부를 때는 역시 ‘군부인(君夫人)’이라 한다.
○寡 寡德, 謙辭.
○吳氏曰, 凡語中所載, 如此類者不知何謂. 或古有之, 或夫子嘗言之, 不可考也.
○과는 과덕이니 겸손한 말이라.
○오씨 가로대 무릇 논어 가운데에 실린 것이 이와 같은 종류가 무엇을 이름인지 아지 못하니 혹 옛날에 있었거나 혹 부자가 일찍이 말씀하신 것인지는 가히 상고하지 못하니라.
'四書 > 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陽貨。第 1章. 陽貨欲見孔子, ~ 第 5章. 公山弗擾以費畔召, (0) | 2020.01.15 |
---|---|
陽貨。第十七。本文 (0) | 2020.01.15 |
季氏。第 6章. 侍於君子有三愆, ~ 第10章. 君子有九思, (0) | 2020.01.15 |
季氏。第 1章. 季氏將伐顓臾, ~ 第 5章. 益者三樂, 損者三樂, (0) | 2020.01.15 |
季氏。第十六。本文 (0) | 2020.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