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 4章
孟子之平陸, 謂其大夫曰, 「子之持戟之士, 一日而三失伍, 則去之否乎?」 曰, 「不待三。」 「然則子之失伍也, 亦多矣。凶年饑歲, 子之民老羸轉於溝壑, 壯者散而之四方者, 幾千人矣。」 曰, 「此非距心之所得爲也。」
曰, 「今有受人之牛羊, 而爲之牧之者 則必爲之求牧與芻矣, 求牧與芻而不得則反諸其人乎? 抑亦立而視其死與?」 曰, 「此則距心之罪也。」 他日見於王曰, 「王之爲都者, 臣知五人焉, 知其罪者惟孔距心。」 爲王誦之, 王曰, 「此則寡人之罪也。」
맹자가 평륙에 가서 그 대부에게 물었다. “그대의 창을 든 병사가 하루에 세 번 대오를 이탈하였다면 그를 죽이겠습니까? ”
대부가 대답했다. “세 번까지 기다릴 것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그대가 대오를 잃는 것도 또한 많습니다. 흉년이 들어 굶주린 해에 그대의 백성중 늙고 병약한 자들이 계곡에 굴러다니고 장정들은 흩어져 사방으로 간 자들이 수천명입니다."
대부가 대답했다. “이는 제(거심)가 할 수 있는 바가 아닙니다."
맹자가 물었다. “지금 남의 소와 양을 받아 그 주인을 위하여 소와 양을 기른다면, 소와 양을 기르기 위해 필요한 목장과 목초를 구하여야 하는데, 목장과 꼴을 구하여도 구하지 못했다면 그 사람에게 소와 양을 돌려주어야 합니까? 아니면 가만히 서서 소와 양이 죽는 것을 보고 있어야 합니까?"
대부가 대답했다. "이것은 제 죄입니다."
어느 날 맹자가 왕을 접견하고 말했다. "왕의 도읍을 다스리는 자 중, 제가 다섯 사람을 아는데, 자신의 잘못을 아는 자는 오직 공거심뿐이었습니다."
왕에게 자세히 설명해주자 왕이 말했다. "이것은 과인의 잘못입니다."
○平陸 齊下邑也. 大夫 邑宰也. 戟 有枝兵也. 士 戰士也. 伍 行列也. 去之 殺之也.
○평륙은 제나라 하읍이라. 대부는 읍을 맡은 재상이라. 극(戟)은 가지가 있는 병기라. 사(士)는 전사라. 오(伍)는 항렬이라. 거지(去之)는 죽임이라. (下邑 : 임금이 있는 마을을 상읍이라 하고 나머지는 그 아래를 지칭하여 하읍이라 한다.)
「然則子之失伍也, 亦多矣。凶年饑歲, 子之民老羸轉於溝壑, 壯者散而之四方者, 幾千人矣。」
曰, 「此非距心之所得爲也。」
“그렇다면 그대가 대오를 잃는 것도 또한 많습니다. 흉년이 들어 굶주린 해에 그대의 백성중 늙고 병약한 자들이 계곡에 굴러다니고 장정들은 흩어져 사방으로 간 자들이 수천명입니다."
대부가 대답했다. “이는 제(거심)가 할 수 있는 바가 아닙니다."
羸 : 파리할 리. 여위다. 파리함. 수척함. 고달프다. 휘감기다. 곤란을 당함. 엎다. 전복시킴. 앓다. 알몸. 나체.
踞 : 웅크릴 거. 떨어지다.(시간적, 공간적으로). 이르다. 도달함. 어기다. 따르지 않음. 겨루다. 대항함. 뛰다. 도약함. 크다. 어찌.
○子之失伍 言其失職, 猶士之失伍也. 距心 大夫名. 對言此乃王之大政使然, 非我所得專爲也..
○‘그대가 대오를 잃음’은 그 직책을 잃음을 말한 것이니 전사가 대오를 잃음과 같음이라. 거심은 대부의 이름이라. 대답하여 말하되 ‘이는(이에) 왕의 큰 정사로 하여금 그렇게 함이지 내가 맘대로 (얻어) 하는 바가 아니라’ 하니라.
曰, 「今有受人之牛羊, 而爲之牧之者 則必爲之求牧與芻矣, 求牧與芻而不得, 則反諸其人乎? 抑亦立而視其死與?」 曰, 「此則距心之罪也。」
맹자가 물었다. “지금 남의 소와 양을 받아 그 주인을 위하여 소와 양을 기른다면, 소와 양을 기르기 위해 필요한 목장과 목초를 구하여야 하는데, 목장과 꼴을 구하여도 구하지 못했다면 그 사람에게 소와 양을 돌려주어야 합니까? 아니면 가만히 서서 소와 양이 죽는 것을 보고 있어야 합니까?"
대부가 대답했다. "이것은 제 죄입니다."
[해설]
앞서 제나라 대부인 공거심은 맹자의 질문에 ‘대오를 잃는 전사는 바로 죽여야 한다’고 답했다. 이에 맹자가 정사도 그와 마찬가지라며 자기 직무를 제대로 이행 못하면 어찌할 것인가며 공거심에게 되물었다. 공거심이 정치는 궁극적으로 임금의 일이지 자신의 책임은 아니라고 발뺌하자, 맹자가 목축의 예로써 공거심을 일깨우는 내용이다.
여기서 임금이 소와 양을 준 주인에 해당하면 공거심은 소와 양을 잘 기르도록 위임받은 사람에 해당된다. 그런데 소와 양을 받은 사람이 목장을 짓고 꼴을 베어 소와 양을 잘 길러야 하는데 그러지 못해 소와 양을 주인에게 돌려주지 않으면 소와 양은 굶어 죽게 된다. 다시말해 한 읍의 책임자인 대부가 정사를 제대로 펼치지 못해 백성이 굶어죽는 사태가 발생하면, 그 대부는 목민관으로서 당연히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비유에 공거심은 바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있다.
○牧之 養之也. 牧 牧地也. 芻 草也. 孟子 言若不得自專, 何不致其事而去.
○牧之는 牛羊을 기름이라. 牧은 목장터이고, 꼴(芻)은 풀이라. 맹자가 ‘만약 (얻어) 스스로 마음대로 하지 못할진댄 어찌 그 일을 버리고 가지 않으랴’ 를 말함이라. (致 : 여기서는 ‘버릴 치’)
他日見於王曰, 「王之爲都者, 臣知五人焉, 知其罪者惟孔距心。」 爲王誦之, 王曰, 「此則寡人之罪也。」
어느 날 맹자가 왕을 접견하고 말했다. "왕의 도읍을 다스리는 자 중, 제가 다섯 사람을 아는데, 자신의 잘못을 아는 자는 오직 공거심뿐이었습니다."
왕에게 자세히 설명해주자 왕이 말했다. "이것은 과인의 잘못입니다."
○爲都 治邑也. 邑有先君之廟曰都. 孔 大夫姓也. 爲王誦其語 所以風曉王也.
○陳氏曰 孟子 一言而齊之君臣, 擧知其罪, 固足以興邦矣, 然而齊卒不得爲善國者, 豈非說而不繹, 從而不改故邪!
○위도(爲都)는 읍을 다스림이라. 읍에 선군의 사당이 있는 곳을 都라 이르니라. 공은 대부의 성씨라. 왕을 위하여 그 말(공거심의 일)을 외운 것은 (써한 바) 왕을 풍자(諷刺)하여 깨닫게 함이라.
○진양(陳暘) 가로대 “맹자의 한 말씀에 의해 제나라 인군과 신하가 그 죄를 (들어) 아니 (이는) 진실로 족히 (써) 나라를 일으킬만한 것인데도 불구하고 제나라가 마침내 (얻어) 훌륭한 나라가 되지 못한 것은 이 어찌 ’기뻐는 하되 연역하지 아니하며 따르기는 하되 고치지 않은 까닭으로 인한 것이 아니겠는가?“ 하니라.
繹 : 궁구할 역/풀 석. 궁구하다. 실을 뽑아내다. 이치를 헤아림. 늘어놓다. 잇달다. 뜻이 통하다. 실마리. 길다. 큼. 가득함. 기뻐하다.
정제(正祭) 이튿날에 지내는 제사. [석] 풀다.
[해설]
제나라의 인군과 신하가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는 태도로 보아 이는 능히 나라를 부흥시킬 수 있는 훌륭한 덕목이다. 그런데 제왕은 잘못을 겉으로만 인정했지 실제로는 그에 걸맞는 혁신적인 정사를 펼치지 않았다. 이는 『주역』 澤火革괘에 나오는 ‘大人虎變, 君子豹變, 小人革面’이란 말에 비유해볼 때 ‘小人革面’과 같은 태도이다.
즉 대인과 군자는 잘못된 점을 깨달으면 범과 표범이 완전히 털갈이(虎變.豹變) 하듯이 바로 ‘革新’적인 조치를 취하는데 반해 소인은 낯빛만 살짝 바꾸어 겉으로만 고치는 척한다는 뜻이다. 주자는 제나라가 흥하지 못한 이유는 소인이 혁면하는 수준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해설하고 있다.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公孫丑 <下> 第 6章 (0) | 2020.05.06 |
---|---|
公孫丑 <下> 第 5章 (0) | 2020.05.06 |
公孫丑 <下> 第 3章 (0) | 2020.05.06 |
公孫丑 <下> 第 2章 (0) | 2020.05.06 |
公孫丑 <下> 第 1章 (0) | 2020.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