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四書/孟子

公孫丑 <下> 第 9章

by 柳川 2020. 5. 6.

第 9章

 

燕人畔王曰, 「吾甚慙於孟子。」 陳賈曰, 「王無患焉。王自以爲與周公, 孰仁且智?」  王曰, 「惡。是何言也?」  曰, 「周公使管叔監殷, 管叔以殷畔。知而使之, 是不仁也, 不知而使之, 是不智也。仁智周公未之盡也, 而況於王乎! 賈請見而解之。」 見孟子問曰, 「周公何人也?」  曰, 「古聖人也。」 曰, 「使管叔監殷, 管叔以殷畔, 有諸?」  曰, 「然。」  曰, 「周公知其將畔而使之與?」 曰, 「不知也。」  「然則聖人且有過與?」  曰, 「周公弟也, 管叔兄也, 周公之過不亦宜乎!  且古之君子過則改之, 今之君子過則順之。古之君子其過也, 如日月之食, 民皆見之, 及其更也, 民皆仰之, 今之君子 豈徒順之? 又從而爲之辭。」

 

 

 

연나라 사람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왕이 말했다. “내 맹자에게 매우 부끄럽구나."

진가가 말했다. “왕께서는 염려하지 마십시오. 왕께서는 주공과 더불어 누가 더 어질고 지혜롭다고 여기십니까?”

왕이 물었다. “오! 이것이 무슨 말인가?”

진가가 말했다. “주공은 관숙으로 하여금 은나라를 감독케 하였는데 관숙이 은나라에서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주공이 알고 시켰다면 이는 불인(不仁)함이며, 알지 못하고 시켰다면 이는 지혜롭지 못한 것입니다. 어짊과 지혜로움은 주공도 다하지 못했는데 하물며 왕에게 있어서이겠습니까!  제가 맹자를 만나 해명하겠습니다."

진가가 맹자를 만나 물었다. “주공은 어떤 사람이었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옛 성인입니다."

진가가 물었다. “관숙에게 은나라를 감독하게 했는데 관숙이 은나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고 하였습니다. 그런 일이 있었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그렇습니다."

진가가 재차 물었다. “주공은 관숙이 장래에 배반할 줄을 알고 은나라를 감독하게 하였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알지 못하였습니다."

진가가 물었다. “그렇다면 성인에게도 잘못이 있는 것입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주공은 아우이고 관숙은 형이니 주공의 잘못이 또한 마땅하지 않겠습니까?  또, 옛날의 군자는 잘못을 하면 고쳤는데 지금의 군자는 잘못이 있어도 그대로 나아갑니다. 옛날의 군자는 그 잘못이 있으면 일식과 월식과 같아서, 백성들이 모두 그 잘못을 보게 되고, 군자가 잘못을 고침에 이르러서는 백성들이 모두 군자를 우러러 보았는데, 지금의 군자는 어찌 그대로 넘어가기만 할 뿐이겠습니까? 게다가 나아가 변명까지 합니다."

 

 

○齊 破燕, 後二年 燕人共立太子平 爲王.

 

○제나라가 연나라를 깨트린 후 2년만에 연나라 사람이 다같이 태자 평을 세워 왕을 삼음이라.

 

 

 

陳賈曰, 「王無患焉。王自以爲與周公, 孰仁且智?」  王曰, 「惡。是何言也?」  曰, 「周公使管叔監殷, 管叔以殷畔。知而使之, 是不仁也, 不知而使之, 是不智也。仁智周公未之盡也, 而況於王乎! 賈請見而解之。」

 

 

진가가 말했다. “왕께서는 염려하지 마십시오. 왕께서는 주공과 더불어 누가 더 어질고 지혜롭다고 여기십니까?” 

왕이 물었다. “오! 이것이 무슨 말인가?” 

진가가 말했다. “주공은 관숙으로 하여금 은나라를 감독케 하였는데 관숙이 은나라에서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주공이 알고 시켰다면 이는 불인(不仁)함이며, 알지 못하고 시켰다면 이는 지혜롭지 못한 것입니다. 어짊과 지혜로움은 주공도 다하지 못했는데 하물며 왕에게 있어서이겠습니까!  제가 맹자를 만나 해명하겠습니다."

 

 

○陳賈 齊大夫也. 管叔 名 鮮, 武王 弟, 周公 兄也. 武王 勝商殺紂, 立紂子武庚, 而使管叔與弟蔡叔霍叔監其國, 武王崩成王幼, 周公攝政, 管叔與武庚畔, 周公討而誅之.

 

○진가는 제나라 대부라. 관숙은 이름이 선이니 무왕의 아우요, 주공의 형이라. 무왕이 상나라를 이겨 주왕을 죽이고, 주왕의 아들 무경을 세워서 관숙과 함께 아우 채숙, 곽숙으로 하여금 그 나라를 감독하게 하셨는데 무왕이 붕하시고, 성왕이 어려서 주공이 섭정을 하는데 관숙이 무경과 더불어 반란을 일으키거늘 주공이 쳐서 죽이심이라.

 

 

 

見孟子問曰, 「周公何人也?」  曰, 「古聖人也。」 曰, 「使管叔監殷, 管叔以殷畔, 有諸?」  曰, 「然。」  曰, 「周公知其將畔而使之與?」 曰, 「不知也。」  「然則聖人且有過與?」  曰, 「周公弟也, 管叔兄也, 周公之過不亦宜乎!」

 

 

진가가 맹자를 만나 물었다. “주공은 어떤 사람이었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옛 성인입니다."

진가가 물었다. “관숙에게 은나라를 감독하게 했는데 관숙이 은나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고 하였습니다. 그런 일이 있었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그렇습니다."

진가가 재차 물었다. “주공은 관숙이 장래에 배반할 줄을 알고 은나라를 감독하게 하였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알지 못하였습니다."

진가가 물었다. “그렇다면 성인에게도 잘못이 있는 것입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주공은 아우이고 관숙은 형이니 주공의 잘못이 또한 마땅하지 않겠습니까! 

 

 

○言周公 乃管叔之弟, 管叔 乃周公之兄. 然則周公不知管叔之將畔而使之, 其過 有所不免矣. 或曰, 周公之處管叔 不如舜之處象 何也?○游氏曰 象之惡已著, 而其志不過富貴而已. 故 舜得以是而全之, 若管叔之惡則未著, 而其志其才 皆非象比也, 周公詎忍逆探其兄之惡而棄之邪! 周公愛兄宜無不盡者, 管叔之事 聖人之不幸也. 舜 誠信而喜象, 周公 誠信而任管叔, 此 天理人倫之至, 其用心 一也.

 

○‘주공은 (이에) 관숙의 아우이고 관숙은 (이에) 주공의 형이라. 그런즉 주공이 관숙이 장차 반란을 일으킬 줄 모르고 부리셨으니 그 허물을 면하지 못할 바가 있음’을 말함이라. 혹 가로대 “주공이 관숙을 대처함이 순임금이 상(象 : 순임금의 이복동생)을 대처함과 같지 않은 것은 어째서입니까?” 하니라.

○유씨 가로대 “상의 악행은 이미 나타났고 그 뜻은 다만 (일신의) 부귀에 지나지 않을 뿐이었음이라. 이에 순임금이 이로써 (얻어) 온전히 했거니와 만약 관숙의 악행인즉 나타나지 아니한데다 그 뜻과 그 재주가 (다) 象에 비할 바가 아니니, 주공이 어찌 차마 그 형의 악행을 거슬러 헤아려서 (그 악행을 ) 버리게 할 수 있었겠는가? 주공이 형을 사랑함이 마땅히 다하지 않음이 없었으니 관숙의 일은 성인의 불행이라. 순임금이 진실로 믿고 상을 기쁘게 하시고, 주공이 진실로 믿고 관숙에게 맡기셨으니 이는 천리 인륜의 지극함이요 그 마음 쓰심은 한가지로 같음이라.” 하니라. 

 

 

 

且古之君子過則改之, 今之君子過則順之。古之君子其過也, 如日月之食, 民皆見之, 及其更也, 民皆仰之, 今之君子豈徒順之?  又從而爲之辭。

 

 

또, 옛날의 군자는 잘못을 하면 고쳤는데 지금의 군자는 잘못이 있어도 그대로 나아갑니다. 옛날의 군자는 그 잘못이 있으면 일식과 월식과 같아서, 백성들이 모두 그 잘못을 보게 되고, 군자가 잘못을 고침에 이르러서는 백성들이 모두 군자를 우러러 보았는데, 지금의 군자는 어찌 그대로 넘어가기만 할 뿐이겠습니까? 게다가 나아가 변명까지 합니다."

 

 

○順 猶遂也. 更 改也. 辭 辯也. 更之則無損於明故 民仰之. 順而爲之辭 則其過 愈深矣. 責賈 不能勉其君以遷善改過, 而敎之以遂非文過也.

○林氏曰 齊王慙於孟子, 蓋羞惡之心 有不能自已者. 使其臣有能因是心 而將順之, 則義不可勝用矣, 而陳賈鄙夫, 方且爲之曲爲辯說, 而沮其遷善改過之心, 長其飾非拒諫之惡. 故孟子深責之.

○然 此書記事, 散出而無先後之次. 故其說必參考而後通, 若以第二篇十章十一章, 置之前章之後, 此章之前 則孟子之意 不待論說而自明矣.

 

○순(順)은 이룸과 같으니라. 경(更)은 고침이라. 사(辭)는 변명이라. 허물을 고친즉 밝음에 손해가 없는 고로 백성이 우러름이라. (허물에) 순종하고 변명하면 그 허물이 더욱 깊어짐이라. 진가가 능히 그 인군에게 개과천선(遷善改過)으로써 권면하지 하지 아니하고 그릇됨을 이루고 허물을 꾸밈으로써 (왕을) 가르침을 책망하심이라.

○임씨 가로대 “제나라 왕이 맹자께 부끄러워하니 대개 (왕의) 수오지심(羞惡之心)이 능히 스스로 그치지 않음이 있음이라. 그 신하로 하여금 능히 이 마음으로 인하여 장차 따르게 하면 義를 가히 다 쓰지 못할 것이거늘, 진가 같은 비루한 자가 (바야흐로) (또한) (왕을) 위해서 왜곡하고 변설하여 그 개과천선하는 마음을 막으니, (이는) 그 그른 것을 꾸며대고 간언함을 막는 악행을 기르는 것이라. 이에 맹자가 깊이 꾸짖음이라.” 하니라.

○그러나 이 글의 사건을 기록한 바가 흩어져 나와 선후의 차례가 없음이라. 이에 그 말(관련된 문장)을 반드시 참고한 뒤에야 통하니 만약 제2편(양혜왕 하) 10장과 11장으로써 앞장의 뒤와 이 장의 앞에 두면 맹자의 뜻이 (별도의) 논설을 기다리지 않고도 스스로 밝혀짐이라.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公孫丑 <下> 第11章  (0) 2020.05.06
公孫丑 <下> 第10章  (0) 2020.05.06
公孫丑 <下> 第 8章  (0) 2020.05.06
公孫丑 <下> 第 7章  (0) 2020.05.06
公孫丑 <下> 第 6章  (0) 2020.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