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四書/孟子

滕文公 <上> 第 1章

by 柳川 2020. 5. 6.

第 1章

 

滕文公爲世子將之楚,  過宋而見孟子,  孟子道性善, 言必稱堯舜。世子自楚反, 復見孟子, 孟子曰, 「世子疑吾言乎? 夫道一而已矣。成覵謂齊景公曰, 『彼丈夫也, 我丈夫也。吾何畏彼哉?』  顔淵曰, 『舜何人也? 予何人也? 有爲者亦若是。』  公明儀曰, 『文王我師也。周公豈欺我哉?'』  今滕絶長補短,  將五十里也,  猶可以爲善國。書曰, 『若藥不瞑眩, 厥疾不瘳。』」

 

 

등나라 문공이 세자가 된 후 초나라에 가면서 송나라를 지나가다가 맹자를 만났는데,  맹자가 사람의 성품은 선하다고 말하고 말할 때에는 반드시 요순을 칭찬했다. 세자가 초나라에서 돌아올 때 다시 맹자를 만났는데 맹자가 말했다.

"세자는 내 말을 의심하십니까? 도는 하나일 뿐입니다. 성견이 제나라 경공에게 말했습니다. '저들(聖賢)도 장부이며 나도 장부인데 제가 어찌 저들을 두려워 하겠습니까?'  또 안연은, '순임금은 어떤 사람이며 나는 어떤 사람인가? 행하기만 하면 순임금과 같을 것이다.' 라고 하였으며, 공명의는, '문왕은 내 스승이다. 주공이 어찌 나를 속이겠는가.' 라고 하였습니다. 이제 등나라를 긴 것을 잘라내어 짧은 것을 보충하면 오십리는 될 것인데,  그래도 좋은 나라를 이룰 수 있습니다. 서경에 '약을 먹었는데도 어지럽지 않으면 그 병은 낫지 않는다.'했습니다."

 

 

 

○世子 太子也.

 

○세자는 태자라

 

 

○道 言也. 性者人所稟於天以生之理也, 渾然至善, 未嘗有惡. 人與堯舜 初無小異, 但衆人汨於私欲而失之, 堯舜則無私欲之蔽, 而能充其性爾. 故 孟子與世子言, 每道性善, 而必稱堯舜以實之, 欲其知仁義不假外求, 聖人可學而至而不懈於用力也. 門人不能悉記其辭, 而撮其大旨如此.

○程子曰, 性 卽理也. 天下之理原其所自, 未有不善, 喜怒哀樂未發, 何嘗不善? 發而中節, 卽無往而不善, 發不中節然後, 謂不善. 故 凡言善惡, 皆先善而後惡, 言吉凶 皆先吉而後凶, 言是非 皆先是而後非.

 

○도는 말함이라. 성은 사람이 하늘에서 품부(稟賦)해서 써 생하는 바의 이치니 혼연히 지극히 선하여 일찍이 악함이 있지 아니함이라. 사람과 다못 요순이(사람이 요순과 더불어) 처음에는 조금도 다름이 없으되 다만 뭇사람들은 사사로운 욕심에 빠져서 잃고, 요순인즉 사사로운 욕심의 가림이 없어서 능히 그 성품을 채우니라. 그러므로 맹자가 세자와 더불어 말씀하심에 늘 성품의 선함을 말씀하시고 반드시 요순을 일컬어서 써 실증으로 하시니, 그 인의가 밖에서 구해 빌림이 아니요, 성인이 가히 배워서 이르는데 힘을 씀에 게을리 아니함을 알게 하고자 하심이라. 문인이 능히 그 말씀을 다 기록하지 못하고 그 큰 뜻만 따옴이 이와 같으니라.

○정자 가라사대 성품은 곧 이치라. 천하의 이치가 그 비롯한 바를 근원으로 하면 선하지 아니함이 있지 아니하니, 희노애락이 발하지 않음에 어찌 일찍이 선하지 아니하리오, 발하되 절도를 맞추면 곧 가는 데마다 선하지 않음이 없을 것이오, 발하되 중절을 하지 못한 연후에 불선함을 이름이라. 그러므로 무릇 선악을 말함에 다 선을 먼저하고 악을 뒤에 하며, 길흉을 말함에 다 길을 먼저하고 흉을 뒤에 하고, 시비를 말함에 다 시를 먼저하고 비를 뒤에 하니라.

 

汨 : 빠질 골/내이름 멱.  빠지다. 물에 잠김. 어지럽다. 빠르다, 갑자기. 다스리다. 성난 파도. 내이름. 

撮 : 취할 촬,  취하다. 모으다. 상투를 싸는 작은 관. 용량의 단위. 사진을 찍다. 

 

 

[해설]

 

『주역』중천건괘 彖傳에 “乾道變化 各正性命, 保合大和, 乃利貞.(乾의 도가 변하고 화함에 각기 성명을 바루나니 크게 화함을 보전하고 합해서 이에 이롭고 바르게 하니라)”라는 구절이 있다. 하늘의 도는 변화하고 이로 말미암아 만물이 성품과 명을 바르게 부여받으므로 하늘이 주신 性命에 크게 화합해서 이를 잘 보전하고 합할 줄 알아야 이롭고 바르다는 뜻이다. 곧 사람의 성품(性品)이란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것으로 마음(心, 忄)에서 생(生)하는 이치이기에 마음은 성품의 그릇이다. 그러한 성품은 虛靈不昧(허령불매 ; 마음이 맑고 영묘하여 일체의 대상을 명찰함)한 明德과 같이 뭇 이치를 갖춰 만사에 응한 것(明德者 人之所得乎天而虛靈不昧, 以具衆理而應萬事者也)과 마찬가지로 渾然至善한 것이다. 다시 말해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성품이란 훤히 텅 비어 있는 것과 같이 잡된 것이 섞이지 않고 선함으로만 채워진 것이다.

정자도 말하였듯이 성품이란 손으로 거머쥘 수도 없고 볼 수도 없는 이치로, 原其所自인 것이다. 『주역』계사전에 “原始反終, 故 知死生之說(始를 근원으로 하고 終으로 돌아가니라 그러므로 죽고 사는 말을 알며)”란 구절이 있다. 原始는 六爻 가운데 初爻를 말하고 反終는 上爻를 말하며 나오는 것은 原始요 죽어가는 것은 反終이다. 계절로 보아 봄이 원시라면 겨울은 반종이다. 원시가 없고는 반종을 못한다. 봄이 오면 결국은 겨울이 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람의 삶과 죽음으로 말하면 사람이 태어나는 것은 원시이고, 죽는 것은 반종이다. 그래서 물이 처음 나오는 근원인 물구멍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이 물이 어디서 나오고 있고, 어느 산 어느 암벽 사이에서 나오는지, 물이 맑을 것인지 흐릴 것인지, 그 물줄기가 어디까지 흘러서 끝날 것인지 알 수 있다. 原이라는 것은 시작인데, 그 시작을 근원으로 해서 연구해내면 끝에 돌아가서도 알 수 있는 것이고 그렇게 되면 사람이 어떻게 태어났으며, 어떻게 죽을 것이며, 언제 죽을 것인가를 다 알게 된다. 공자의 제자가 죽고 사는 이치를 물으니까 공자가 ‘사는 이치를 먼저 알고 죽는 이치를 알아라(未知生 焉知死)’라고 말씀하신 것처럼 사는 이치를 모르고는 죽는 이치를 모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原其所自는 근원으로부터 거슬러 올라가면 타고나면서부터 다 선하게 나온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중용』제1장에서 “喜怒哀樂之未發, 謂之中, 發而皆中節 謂之和, 中也者天下之大本也, 和也者天下之達道也. 致中和 天地位焉, 萬物育焉”라고 하였듯이, 중화를 이루면 천지가 다 제자리에 있고 만물이 길러진다. 기뻐하고 성내고 슬퍼하고 즐거워하는 희노애락 역시 계절로 비유해보면 기뻐함은 봄이요, 성냄은 여름이오, 슬퍼함은 가을이오, 즐거워함은 겨울이다. 봄에는 일기가 화창해 싹이 돋고 꽃이 피니 기쁜 것이고 사랑이며, 여름에는 덥다보니 성내기 마련이고, 가을은 숙살기로 서리가 내리고 만물이 쇠락하니 자연 서글픈 마음이 생겨나고, 겨울에는 일하지 아니하고 농사지은 것으로 먹고 즐기니 樂인 것이다. 이와같이 사람이란 춘하추동(元亨利貞)의 이치에 의해 희노애락의 감정을 타고나기 마련이다. 때가 다르듯이 사람의 성질도 때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자연한 이치이다. 이러한 희노애락의 감정이 아직 발하지 아니했을 때는 마음 속에 있기에 선한 것이고, 이것이 발하여 성품을 잃어버리고 난폭하게 나갔을 때는 喜善, 怒善, 哀善, 樂善을 지키지 못하고 너무 기뻐하거나, 너무 성내거나, 너무 슬퍼하거나, 너무 즐거워하는 등 기질에 좌우되기 십상이다. 또한 이것이 지나치면 병이 되고 만다. 따라서 발하는데 중절을 지키면 가는 곳마다 선할 것이다.

 

 

 

世子自楚反, 復見孟子, 孟子曰, 「世子疑吾言乎? 夫道一而已矣。

 

 

세자가 초나라에서 돌아올 때 다시 맹자를 만났는데 맹자가 말했다. "세자는 내 말을 의심하십니까? 도는 하나일 뿐입니다.

 

 

[해설]

 

세자가 초나라에서 돌아와 맹자를 다시 본 뜻은 맹자의 말이 허황된 것 같기도 하고 행하기가 어려워 무슨 쉬운 방법이 없을까 묻기 위한 것이다. 이를 알아차린 맹자가 성인의 도라고 하여 어려운 것이 없고 어리석은 이의 도라고 하여 쉬운 것이 없이 오직 하나일 뿐이라고 대답한 내용이다.

‘道 一而已矣’라는 말은 『주역』계사하전 제5장에 “言致一也.(하나를 이룸을 말함이라)”나 『논어』에서 공자가 “吾道 一以貫之.(나의 도는 하나로써 꿰었노라)”라고 말씀하신 내용과 통한다. 일이라는 숫자는 어느 곳에나 가지 않는 곳이 없는 것처럼(1x1=1 1x2=2 1x3=3......), 도는 하나로 두루 통한다(꿰어진다). 다시 말해 모든 도는 태극에서 나와 태극으로 돌아가는 이치를 뜻한다.

 

 

○時人 不知性之本善, 而以聖賢爲不可企及. 故世子於孟子之言, 不能無疑而復來求見, 蓋恐別有卑近易行之說也. 孟子知之.  故但告之如此, 以明古今聖愚本同一性, 前言已盡, 無復有他說也.

 

○당시의 사람들이 성품의 근본이 선함을 아지 못하고 성현으로써 가히 바래서 미치지 못하게 되느니라. 그러므로 세자가 맹자의 말씀에 능히 의심이 없지 아니해서 다시 와서 구해서 보니, 대개 아마도 별도로 비근하고 행하기 쉬운 말이 있을까 의심함이라. 맹자가 아시니라. 그러므로 다만 이와 같이 고하여 써 고금의 성인과 어리석은 이가 본래 한 성품을 한가지로 했으니, 앞의 말에 이미 다하여 다시 다른 말이 있지 않음을 밝히심이라. 

 

恐 : 아마, 추측컨대.  

 

 

 

成覵謂齊景公曰, 『彼丈夫也, 我丈夫也。吾何畏彼哉?』  顔淵曰, 『舜何人也? 予何人也? 有爲者亦若是。』  公明儀曰, 『文王我師也。周公豈欺我哉?』

 

 

성견이 제경공에게 말했습니다. '저들(聖賢)도 장부이며 나도 장부인데 제가 어찌 저들을 두려워 하겠습니까?'  안연은, '순임금은 어떤 사람이며 나는 어떤 사람인가? 행하기만 하면 순임금과 같을 것이다.'고 하였으며, 공명의는, '문왕은 내 스승이다. 주공이 어찌 나를 속이겠는가.' 라고 하였습니다.

 

 

覵 : 엿볼 간/지릅뜰 한, 엿보다. 보다. [한]눈을 치뜨다. 곁눈질. 백안. 굳센모양. 간질. 여기서는 사람으로는 ‘견’으로 발음

 

 

○成覵 人姓名. 彼 謂聖賢也. 有爲者亦若是 言人能有爲則皆如舜也. 公明 姓, 儀 名, 魯賢人也. 文王我師也 盖周公之言, 公明儀亦以文王 爲必可師. 故 誦周公之言 而歎其不我欺也.  孟子旣告世子以道無二致, 而復引此三言以明之, 欲世子篤信力行, 以師聖賢, 不當復求他說也.

 

○성견은 사람의 성명이라. 피는 성현을 이름이라. ‘하옴이 있는 자 또한 이와 같다’는 것은 사람이 능히 하옴이 있은즉 다 순임금과 같다함을 말함이라. 공명은 성이오, 의는 이름이니 노나라의 어진 사람이라. 문왕이 내 스승이라는 것은 대개 주공의 말씀이니 공명의가 또한 문왕으로써 반드시 가히 스승으로 삼느니라. 그러므로 주공의 말씀을 외우고 그 나를 속이지 아니함을 탄식함이라. 맹자가 이미 세자에게 도가 둘로 이룸이 없음으로써 고하시고 다시 이 세 말을 이끌어서 써 밝히시니 세자가 독신역행해서 써 성현을 스승으로 삼아 마땅히 다시 다른 말을 구하지 않고자 하심이라.

 

 

 

今滕絶長補短, 將五十里也, 猶可以爲善國。書曰, 『若藥不瞑眩, 厥疾不瘳。』」

 

 

이제 등나라를 긴 것을 잘라내어 짧은 것을 보충하면 오십리는 될 것인데,  그래도 좋은 나라를 이룰 수 있습니다. 서경에 '약을 먹었는데도 어지럽지 않으면 그 병은 낫지 않는다.'했습니다."

 

 

瞑 : 눈감을 명/잘 면/중독될 면. 눈을 감다. 눈이 어둡다. 소경. 백성. 자다. 중독되다. 어둡다. 아찔하다. 현기증이 남.

眩 : 아찔할 현/팔 견/요술 환. 아찔하다. 현기증나다. 갈피를 잡지 못하다. 착각하다. 현혹시키다. 어둡다. 현기증. 보는 모양. 눈부시다.

憒 : 심란할 궤. 심란하다. 마음이 어지러움. 어둡다. 어리석음.    瘳 : 나을 추

 

 

○絶 猶截也. 書 商書說命篇. 瞑眩 憒難. 言滕國雖小, 猶足爲治, 但恐安於卑近, 不能自克 則不足以去惡而爲善也.

○愚 按孟子之言性善, 始見於此, 而詳具於告子之篇. 然 黙識而旁通之, 則七篇之中, 無非此理, 其所以擴前聖之未發, 而有功於聖人之門, 程子之言 信矣.

 

○절은 끊어짐과 같음이라. 서는 상서 열명편이라. 명현은 희미하고 어지러움이라. 말하되 등나라가 비록 작으나 오히려 족히 다스려질지니 다만 비근한데 편안히 해서 능히 스스로 다스리지 못하면 곧 족히 써 악함을 버리고 선함을 하지 못할까 두려워함이라.

○우(주자)는 상고하건대 맹자의 성선을 말씀한 것이 비로소 이에 나타나고, 고자편에 자세히 갖추어졌으나 그러나 묵묵히 알아서 곁으로 통하면 곧 칠 편 가운데 이러한 이치가 아님이 없어 그 써한 바 전 성인들의 발하지 못한 바를 확충하고 성인의 문에 공이 있으니 정자의 말씀이 믿을만하도다.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滕文公 <上> 第 3章  (0) 2020.05.06
滕文公 <上> 第 2章  (0) 2020.05.06
滕文公 <上> 本文  (0) 2020.05.06
公孫丑 <下> 第14章  (0) 2020.05.06
公孫丑 <下> 第13章  (0) 2020.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