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二八回. 里克兩弑孤主, 穆公一平晉亂.
話說荀息擁立公子奚齊,百官都至喪次哭臨,惟狐突托言病篤不至。里克私謂丕鄭父曰:「孺子遂立矣,其若亡公子何?」丕鄭父曰:「此事全在荀叔,姑與探之。」 二人登車,同往荀息府中。息延入,里克告曰:「主上晏駕,重耳夷吾俱在外,叔爲國大臣,乃不迎長公子嗣位,而立嬖人之子,何以服人?且三公子之黨,怨奚齊子母入於骨髓,只礙主上耳。今聞大變,必有異謀。秦翟輔之於外,國人應之於內,子何策以禦之?」 荀息曰:「我受先君遺託,而傅奚齊,則奚齊乃我君矣。此外不知更有他人!萬一力不從心,惟有一死,以謝先君而已。」 丕鄭父曰:「死無益也,何不改圖?」 荀息曰:「我旣以忠信許先君矣,雖無益,敢食言乎?」 二人再三勸諭,荀息心如鐵石,終不改言;乃相辭而去。里克謂鄭父曰:「我以叔有同僚之誼,故明告以利害。彼堅執不聽,奈何?」 鄭父曰:「彼爲奚齊,我爲重耳,各成其志,有何不可。」
晏駕 : 崩御. 力不從心 : 할 마음은 있으나, 힘이 따르지 못하다. 힘이 모자라 뜻대로 되지 않다.
순식이 헌공의 뒤를 이어 공자 해제를 군주로 옹립하자 백관들이 모두 빈소에 가서 곡을 하였는데 오직 호돌만은 병이 위중하다고 핑계대고 빈소에 나가지 않았다.
이극이 은밀히 비정보에게 물었다. "어린아이가 군주로 옹립되었으니 외국으로 망명한 공자들은 어찌합니까?"
비정보가 대답했다. "이일은 전적으로 순식에게 달려 있으니 잠시 그의 의중을 떠 보시지요."
두 사람이 수레에 올라 함께 순식의 부중으로 갔다.
순식이 맞아들이자 이극이 말했다.
"주상께서 붕어하시고 공자 중이와 이오가 모두 외국에 망명해 있는데 그대는 나라의 대신이 되어 나이가 제일 많은 공자를 맞아들여 헌공을 잇게 하지 않고 헌공의 총애를 받았던 첩의 소생을 옹립하여 대를 잇게 하였으니 누가 복종하겠습니까? 또 세 공자를 따르는 무리들이 해제 모자에 대하여 그 원한이 골수에까지 미쳤으나 주상께서 막아주셨을 뿐입니다. 이제 주공께서 돌아가셨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반드시 달리 계책을 세울 것입니다. 진(秦)나라와 적(翟)나라가 밖에서 돕고 나라 사람들이 안에서 내응한다면 그대는 무슨 계책으로 방어할 것입니까?"
순식이 대답했다.
"나는 선군으로부터 유언으로 부탁을 받았고 해제의 스승이라 해제는 바로 나의 주군입니다. 그밖에 또 다른 사람이 있음을 알지 못합니다. 만일 힘이 미치지 못하면 오직 죽음이 있을 뿐이니 죽음으로 선군에 보답할 뿐입니다."
비정보가 물었다.
"죽는다는 것은 무익한 일입니다. 어찌 뜻을 바꾸려고 하지 않습니까?"
순식이 대답했다.
"나는 이미 충(忠)과 신(信)을 바치기로 선군에게 약속했습니다. 비록 무익하다 할지라도 감히 약속을 어길 수 있겠습니까?"
두 사람이 재삼 권하며 설득하였으나 순식의 마음은 철석(鐵石)같아 끝내 의견을 바꾸지 않았다. 마침내 서로 작별하고 헤어졌다.
이극이 비정보에게 말했다.
"나는 순식에게 동료로서의 정이 있어 이해로써 그를 깨우치려 했습니다. 그가 고집을 부리며 듣지 않으니 어찌합니까?"
비정보가 대답했다.
"그는 해제를 위하고 우리는 중이를 위하니 각각 뜻을 이루는 수 밖어 어찌할 도리가 없습니다."
於是二人密約,使心腹力士,變服雜於侍衛服役之中,乘奚齊在喪次,就刺殺於苫塊之側。時優施在旁,挺劍來救,亦被殺。一時幕間大亂。荀息哭臨方退,聞變大驚。疾忙趨入,撫屍大慟曰:「我受遺命託孤,不能保護太子,我之罪也!」 便欲觸柱而死。驪姬急使人止之曰:「君柩在殯,大夫獨不念乎?且奚齊雖死,尙有卓子在,可輔也。」 荀息乃誅守幕者數十人,即日與百官會議,更扶卓子爲君,時年纔九歲。里克丕鄭父佯爲不知,獨不與議。梁五曰:「孺子之死,實里丕二人爲先太子報仇也,今不與公議,其跡昭然。請以兵討之!」 荀息曰:「二人者,晉之老臣,根深黨固,七輿大夫,半出其門,討而不勝,大事去矣。不如姑隱之,以安其心而緩其謀。俟喪事既畢,改元正位,外結鄰國,內散其黨,然後乃可圖矣。」梁五退謂東關五曰:「荀卿忠而少謀,作事迂緩,不可恃也。里丕雖同志,而克爲先太子之冤,銜怨獨深。若除克,則丕氏之心惰矣。」 東關五曰:「何策除之?」 梁五曰:「今喪事在邇,誠伏甲東門,視其送葬,突起攻之,此一夫之力也。」 東關五曰:「善。我有客屠岸夷者,能負三千鈞絶地而馳。若啖以爵祿,此人可使也。」 乃召屠岸夷而語之。夷素與大夫騅遄相厚,密以其謀告於騅遄,問:「此事可行否?」 遄曰:「故太子之冤,擧國莫不痛之,皆因驪姬母子之故。今里丕二大夫,欲殲驪姬之黨,迎立公子重耳爲君,此義擧也。汝若輔佞仇忠,幹此不義之事,我等必不容汝。徒受萬代罵名,不可,不可!」 夷曰:「我儕小人不知也,今辭之何如?」 騅遄曰:「辭之,則必復遣他人矣。子不如佯諾,而反戈以誅逆黨,我以迎立之功與子。子不失富貴,而且有令名,與爲不義殺身,孰得?」 屠岸夷曰:「大夫之敎是也。」 騅遄曰:「得無變否?」 夷曰:「大夫見疑,則請盟!」 乃割雞而爲盟。夷去。遄即與丕鄭父言之,鄭父亦言於里克,各整頓家甲,約定送葬日齊發。
喪次 : 喪中에 喪主가 거처하며 집상(執喪)하는 처소. 여차(廬次)라고도 함. 상주가 머무는 방. 대개 중문 밖에 있는 소박한 방으로 정한다.
苫塊 : 거적자리와 흙덩이 베개라는 뜻으로, 어버이의 상중에 있는 사람이 앉는 자리를 이르는 말.
苫 : 이엉 점/약초이름 첨/섬 섬. 이엉, 거적. 덮다. [섬] 섬(곡식을 담기 위해 짚으로 엮은 멱서리), 뜸집(띠나 부들 따위로 지붕을 이어 간단하게 지은 집). 섬. 도서(島嶼)
卓子 : 春秋에는 卓子로(春秋 僖公 3年>, 史記에서는 모두 도자(悼子)로 나온다. <史記 卷39. 晉世家>, 자료에 따라 이름이 다르다.
七輿大夫 : 태자 申生이 헌공과 당진의 군사들을 양분하여 거느리고 있을 때 그 하군(下軍) 휘하에 속했던 일곱 대부를 말한다.
騅 : 오추마 추. 오추마. 철청총이. 검푸른 바탕에 흰 털이 섞인 말. 항우가 타던 말.
儕 : 무리 제. 무리. 동배. 함께. 같이. 동행하다. 어울림.
이리하여 두 사람은 밀약하여 심복 역사(力士)를 변복시킨 후 시위군사들에게 섞여 들어가 근무하게 한 다음, 해제가 상차(喪次)에 있는 틈을 타서 해제를 창으로 찔러 죽였다. 그때 배우 시가 옆에 있다가 검을 들고 와서 해제를 구하려다가 역시 죽임을 당했다. 한 순간에 빈소 밖이 크게 어지러워졌다.
순식이 빈소에서 곡하고나서 물러가려다가 해제가 죽었다는 말을 듣고 크게 놀랐다.
급하게 달려들어가 해제의 시신을 부등켜 안고 크게 통곡하며 말했다.
"내가 선군으로부터 어린 군주를 부탁한다는 유명(遺命)을 받고도 태자를 보호하지 못한 것은 내 죄로다!"
그리고 바로 기둥에 머리를 부딛쳐 죽으려고 하였다.
여희가 급히 사람을 시켜 제지하면서 말했다.
"선군의 유해가 빈소에 있음을 대부께서는 어찌 마음에 두지 않으십니까? 또 해제가 죽었다 해도 아직 탁자가 있으니 도와야 합니다."
순식은 빈소 주변을 지키는 군사 수십 명을 주살하고 그날로 백관회의를 열어 다시 탁자를 부축하여 군주로 옹립하니 그때 탁자의 나이가 겨우 9살이었다. 이극과 비정보는 모르는체 하면서 회의에 불참했다.
양오가 말했다.
"해제의 죽음은 사실 이극과 비정보 두 사람이 전 태자 신생의 원수를 갚은 것이라 지금 공론의 자리에 참석하지 않은 것은 그 행적을 밝힌 것입니다. 군사를 보내 그들을 쳐야 합니다."
순식이 대답했다.
"두 사람은 당진의 신하들 중 원로라 뿌리가 깊고 단단히 결속되어 있으며 칠여대부 중 반만 문을 나서도 토벌군이 이기지 못하며 만사는 끝입니다. 잠시 숨죽이고 지내며 그들의 마음을 안심시키고 서서히 도모하느니만 못합니다. 장례를 마치고 개원하여 새로운 군주의 지위를 확고하게 한 다음 밖으로는 이웃 나라들과 결연하고 안으로는 그들의 무리를 해산시킨 후라야 그들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오."
양오가 물러나 동관오에게 말했다.
"순식은 충성스럽지만 지모가 부족합니다. 일을 처리함에 있어 멀리 돌아가려 하니 믿을 수가 없습니다. 이극과 비정보는 동지라 해도 이극은 태자 신생의 원통함을 풀기 위해 원한을 깊이 품고 있습니다. 이극을 제거한다면 비정보의 마음이 누그러질 것입니다."
동관오가 물었다. "어떤 계책으로 그를 제거할겁니까?"
양오가 대답했다.
"이제 발상이 가깝습니다. 갑사들을 동문에 매복시키고 장례행렬이 나가는 것을 보고 갑자기 그를 공격한다면 이 일은 한 사람의 힘이면 됩니다."
동관오가 말했다.
"좋습니다. 나에게 도안이(屠岸夷)란 식객이 있는데 능히 삼천 균(鈞 : 균은 서른 근이니 삼천 균은 9만 근)을 지고 절벽을 달릴 수 있습니다. 벼슬과 봉록을 약속한다면 그를 부릴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하여 도안이를 불러 그 일을 제의했다.
도안이는 평소 대부 추천(騅遄)과 교분이 두터운 자라 은밀히 추천에게 그 모의 사실을 알리고 물었다.
"이 일을 해야 합니까?"
추천이 말했다. "옛 태자의 원통한 죽음으로 온 나라에서 애통해 하지 않은 자가 없는데 모두 여희 모자때문에 일어난 일이오. 지금 이극, 비정보 두 대부가 여희의 도당을 모두 섬멸하고 공자 중이(重耳)를 맞이해 군주로 세우려고 하는데 이것은 의로운 일이오. 그대가 만약 간신을 도와 충신들과 원수가 된다면 이는 의롭지 않은 일에 가담하는 것이니 우리는 반드시 그대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오. 부질없이 만대에 걸쳐 그 이름이 욕되게 될 것이니 안되오, 절대 안됩니다."
도안이가 말했다. "자는 소인배라 몰랐습니다. 이제 그에게 가서 거절하려고 하는데 어떻습니까?"
추천이 말했다.
"그들에게 거절한다면 반드시 다른 사람에게 그 일을 시킬 것이오. 그대가 승락한 것 처럼 하였다가 창을 돌려 역당을 주살한다면 우리는 그대를 공을 세운 자로 환영할 것이오. 그대는 부귀를 잃지 않고 또 이름도 드날리게 될 것인데, 불의를 행하여 자신을 죽이는 것 중 어느 쪽을 택하겠소?"
도안이가 말했다. "대부의 가르침이 옳습니다."
추천이 물었다. "변하지 않을 수 있겠소?"
도안이가 말했다. "대부께서 의심하신다면 제가 맹세하겠습니다."
그리고는 닭을 잡아 맹세의식을 치르고 돌아갔다.
추천은 즉시 비정보에게 그 사실을 알렸고 비정보도 이극에게 알렸다. 각각 가병들을 무장시켜 발상하는 날을 기하여 일제히 거사하기로 하였다.
至期,里克稱病不會葬。屠岸夷謂東關五曰:「諸大夫皆在葬,惟里克獨留,此天奪其命也。請授甲兵三百人,圍其宮而殲之。」 東關五大悅,與甲士三百,僞圍里克之家。里克故意使人如墓告變。荀息驚問其故,東關五曰:「聞里克將乘隙爲亂,五等輒使家客,以兵守之。成則大夫之功,不成不相累也。」 荀息心如芒刺,草草畢葬,即使「二五」勒兵助攻,自己奉卓子坐於朝堂,以俟好音。東關五之兵先至東市。屠岸夷來見,托言稟事,猝以臂拉其頸,頸折墜,軍中大亂。屠岸夷大呼曰:「公子重耳,引秦翟之兵,已在城外。我奉里大夫之命,爲故太子申生伸冤,誅姦佞之黨,迎立重耳爲君。汝等願從者皆來,不願者自去。」 軍士聞重耳爲君,無不踴躍願從者。梁五聞東關五被殺,急趨朝堂,欲同荀息奉卓子出奔。卻被屠岸夷追及,里克、丕鄭父、騅遄各率家甲,一時亦到。梁五料不能脫,拔劍自刎,不斷,被屠岸夷只手擒來,里克趁勢揮刀,劈爲兩段。時左行大夫共華,亦統家甲來助,一齊殺入朝門。里克仗劍先行,眾人隨之,左右皆驚散。荀息面不改色,左手抱卓子,右手擧袖掩之。卓子懼而啼。荀息謂里克曰:「孺子何罪?寧殺我,乞留此先君一塊肉!」 里克曰:「申生安在?亦先君一塊肉也!」 顧屠岸夷曰:「還不下手!」 屠岸夷就荀息手中奪來,擲之於階。但聞趷蹋一聲,化爲肉餠。荀息大怒,挺佩劍來鬥里克,亦被屠岸夷斬之。遂殺入宮中。驪姬先奔賈君之宮,賈君閉門不納。走入後園,從橋上投水中而死,里克命戮其屍。驪姬之娣,雖生卓子,無寵無權,恕不殺,錮之別室。盡滅「二五」及優施之族。
芒刺 : 까끄라시와 가시, 바늘로, 혀에 좁쌀 같은 붉은 것이 돋아서 쓰리고 깔깔하며 아픈 증상임. 까끄라기와 가시를 뜻하는 것임.
草草 : 간략(簡略)한 모양(模樣). 바빠서 거친 모양(模樣). 猝 : 갑자기 졸.갑자기, 갑작스럽게. 갑작스럽다.
趷 : 발소리날 걸. 발소리 나다. 蹋 : 밟을 답. 밟다. 공을 차다.
약속한 날이 되자 이극은 병을 칭탁하고 장례식에 불참했다.
도안이가 동관오에게 말했다.
"대부들이 장례식에 모두 참석했음에고 오직 이극만 홀로 참석하지 않았는데 이는 하늘이 이극의 목숨을 거두는 것입니다. 저에게 갑병 300명을 주시면 이극의 집을 포위하여 그 집안을 몰살시키겠습니다."
동관오가 크게 기뻐하고 그에게 갑사 300명을 주자 거짓으로 이극의 집을 에워쌌다. 이극이 일부러 사람을 시켜 장지에 가서 변고를 알리게 했다.
순식이 놀라 그 일을 묻자 동관오가 대답했다.
"이극이 기회를 보아 난을 일으킬 것이라는 말을 듣고 우리가 잠시 식객들을 시켜 병사들을 이끌고 지키게 하였습니다. 성공하면 대부의 공으로 하고 실패한다면 대부께 연루시키지 않을 것입니다."
순식은 마음이 가시에 찔린 듯 좌불안석이라 대충 장례를 마치자 즉시 이오(二五 : 양오와 동관오)에게 병사들을 거느리고 도안이를 돕게 하고 자신은 조당에서 탁자를 받들어 앉게 하고 좋은 소식을 기다렸다.
동관오가 이끄는 병사들이 먼저 동시(東市)에 도착했다. 도안이가 와서 품할 일이 있다고 핑계대고는 갑자기 그의 목을 치니 목이 잘려 떨어지자 군중이 크게 어지러워졌다.
도안이가 크게 외쳤다.
"공자 중이가 섬진과 적(翟)나라의 병사들을 이끌고 이미 성밖에 와 있다. 나는 대부 이극의 명을 받들어 옛 태자인 신생의 원통함을 풀고 간신의 무리를 주살한 다음 공자 중이를 맞이하여 주군으로 옹립하려고 하는 바이다. 그대들 중 따르기를 원하는 자는 모두 오고 따르기를 원치 않는 자들은 스스로 물러가라."
군사들은 중이를 군주로 세운다는 말을 듣고 뛸듯이 기뻐하며 따르기를 원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
양오는 동관오가 피살되었다는 것을 알고 급히 조당으로 달려가 순식과 함께 탁자를 받들어 도망치려고 하였다. 그러나 도안이의 추격을 받고 이극, 비정보, 추천이 각 가병들을 이끌고 한꺼번에 도착했다. 양오는 탈출할 수 없다고 헤아리고 칼을 뽑아 스스로 목을 베었으나 베어지지 않아 도안이의 손에 잡혀 왔는데 이극이 여세를 몰아 칼을 휘두르니 몸이 두 동강이 나버렸다.
그때 좌행대부 공화(共華)도 무장한 가병들을 통솔하여 도우려 왔는데 일제히 조문(朝門)에 짓쳐들어왔다. 이극이 장검을 빼들고 앞장서자 병사들이 그 뒤를 따랐으며 그들의 모습에 좌우에서 모두 놀라 흩어졌다. 순식은 안색이 전혀 바꾸지 않은채 왼 손으로는 탁자를 안고 오른 손으로는 소매로 탁자를 가렸다. 탁자가 두려워 울음을 터뜨렸다.
순식이 이극에게 말했다. "어린 아이가 무슨 죄입니까? 차라리 나를 죽이고 선군의 일점 혈육을 살려주시오."
이극이 대답했다. "태자 신생은 어디에 계시는가? 그 또한 선군의 일점 혈육이다!"
그리고 도안이를 돌아보며 말했다. "어찌 손을 쓰지 않는가!"
도안이가 순식에게 다가가 탁자를 빼앗아 계단에 던져버렸다. 철썩 하는 소리가 들렸을 뿐인데 시체로 변했다. 순식이 크게 노하여 허리에 찬 검을 뽑아 이극에게 달려들었으나 도안이에게 살해당했다. 마침내 궁중으로 짓쳐 들어갔다.
그때 여희는 앞서 가군(賈君)의 궁으로 도망쳤으나 가군은 문을 닫아걸고 들여보내지 않았다. 그리하여 후원으로 달려들어가 다리 위에서 물 속으로 몸을 던져 죽고 말았다. 이극은 명을 내려 그녀의 시신을 도륙했다. 여희의 동생은 탁자를 낳았지만 총애도 받지 못했고 권세도 없어 용서하여 죽이지 않고 별실에 가두었다. 이오(二五)와 배우 시의 일족도 모두 멸족되었다.
髯仙有詩嘆驪姬云:
譖殺申生意若何?
要將稚子掌山河。
一朝母子遭駢戮,
笑殺當年《暇豫》歌。
又有詩嘆荀息從君之亂命,而立庶孽,雖死不足道也!詩云:
昏君亂命豈宜從?
猶說硜硜效死忠。
璧馬智謀何處去?
君臣束手一場空。
笑殺 : 어떤 문제를 대수롭지 않게 웃어넘김. 크게 소리를 내어 비웃음. 亂命 : 죽을 때에 정신이 흐려져서 골자 없이 하는 유언.
硜硜 : 돌 부딛치는 소리처럼 의미없는 말. 논어<憲問 第42章>에는 '고집스럽다.'는 표현으로 쓰여졌다.
璧馬 : 垂棘之璧과 屈産之馬,
염선이 시를 남겨 여희의 무모함을 탄식했다.
태자 신생을 참소하여 죽인 뜻은 무엇이었는가?
어린 아이 손바닥에 나라를 쥐어주려고 했는가.
하루아침에 모자가 나란히 죽음을 맞았으니,
그때 배우 시가 불렀던 가예가(暇豫歌)가 웃음거리가 되었도다.
또 순식이 군주의 옳지 못한 명을 좇아 서자를 옹립하여 비록 죽음으로 지키려 했지만 덕행에 이를 수 없었음을 탄식하며 시를 남겼다.
어리석은 군주의 어지러운 유명(遺命)을 어찌 따르려 했던가?
의미도 없는 말을 지키느라 죽음으로 충성을 바쳤구나.
수극지벽과 굴산지마를 쓴 지모는 어디로 갔는가?
군신이 벌인 한 판이 속수무책으로 부질없게 되었도다.
里克大集百官於朝堂,議曰:「今庶孽已除,公子中惟重耳最長且賢,當立。諸大夫同心者,請書名於簡!」 丕鄭父曰:「此事非狐老大夫不可。」 里克即使人以車迎之。狐突辭曰:「老夫二子從亡,若與迎,是同弑也。突老矣,惟諸大夫之命是聽!」 里克遂執筆先書己名,次丕鄭父,以下共華、賈華、騅遄等共三十餘人。後至者俱不及書。以上士之銜假屠岸夷,使之奉表往翟,奉迎公子重耳。重耳見表上無狐突名,疑之。魏犨曰:「迎而不往,欲長爲客乎?」 重耳曰:「非爾所知也。群公子尙多,何必我?且二孺子新誅,其黨未盡,入而求出,何可得也?天若祚我,豈患無國?」 狐偃亦以乘喪因亂,皆非美名,勸公子勿行。乃謝使者曰:「重耳得罪於父,逃死四方。生旣不得展問安侍膳之誠,死又不得盡視含哭位之禮,何敢乘亂而貪國。大夫其更立他子,重耳不敢違!」 屠岸夷還報,里克欲遣使再往。大夫梁繇靡曰:「公子孰非君者,盍迎夷吾乎?」 里克曰:「夷吾貪而忍。貪則無信,忍則無親。不如重耳。」 梁繇靡曰:「不猶愈於群公子乎?」 眾人俱唯唯。里克不得已,乃使屠岸夷輔梁繇靡迎夷吾於梁。
이극은 백관들을 조당에 모이게 하여 논의했다.
"지금 서얼은 이미 제거되었는데 공자들 중 오직 중이가 나이가 제일 많고 현명하니 마땅히 그를 옹립해야 합니다. 모든 대부들도 같은 마음이라면 이 죽간에 서명해주십시오."
비정보가 말했다. "이 일은 호노대부(狐老大夫)가 아니면 불가합니다."
이극은 즉시 사람을 보내 수레로 맞이해 오려고 하였다.
그러나 호돌이 사양하며 말했다.
"노부의 두 아들이 공자 중이를 따라 함께 망명중입니다. 함께 맞이해 온다면 함께 죽이는 것이 될 것입니다. 나는 늙었으니 오직 대부들의 의견에 따를 뿐입니다."
이극이 마침내 붓을 들어 먼저 자신의 이름을 쓰자 다음에는 비정보가, 이하 공화, 가화, 추천등 30여명이 함께 이름을 올렸다. 후에 도착한 사람들은 여백이 없어 모두 이름을 올릴 수 없었다. 상사(上士)의 지위에 오른 도안이를 시켜 표문을 받들고 적나라에 가서 공자 중이를 모셔오도록 했다. 중이는 표문을 보고 호돌의 이름이 없는 것을 보고 의아하게 여겼다.
위주가 말했다. "맞이하러 왔는데도 가지 않는 것은 영원히 나그네로 지내시겠다는 것입니까?"
중이가 대답했다.
"그대는 모르고 있소. 공자들이 아직 많은데 하필이면 나인가? 또 두 어린 공자가 새로이 죽었으나 그 잔당이 남아 있고 귀국하였으나 다시 빠져나와야 할 상황이 된다면 어찌할 수 있겠소? 하늘이 나를 돕는다면 어찌 환난만 주고 나라를 주지 않겠소?"
호언도 헌공의 죽음으로 나라가 어지러운 틈을 타서 귀국하는 것은 명분이 좋지 않다고 하면서 공자에게 귀국하지 말라고 권고했다.
그리하여 사자에게 귀국을 사양하는 뜻을 전했다.
"중이는 부친에게 죄를 짓고 죽음을 피해 사방을 돌아다니고 있던 자입니다. 부친이 살아계실 때 문안을 드리고 음식시중을 드는 정성도 보일 수 없었으며 돌아가신 후에도 위패를 향하여 곡을하는 예조차 행할 수도 없었는데 어찌 감히 어지러운 상황을 틈타 국권을 탐하겠습니까? 대부들께서 다른 공자로 바꾸어 옹립하신다 해도 중이가 감히 거스를 수 있겠습니까!"
도안이가 돌아가 보고하였는데 이극이 사자를 다시 파견하려고 하자 대부 양요미(梁繇靡)가 말했다.
"공자중 군주가 되지 못할 자가 누구입니까? 어찌 이오를 맞아오지 않습니까?"
이극이 말했다.
"이오는 탐욕스럽고 잔인합니다. 탐욕스럽다면 신의가 없고 잔인하면 가까이 하는 사람이 없습니다. 중이만 못합니다."
양요미가 물었다. "그래도 공자들 중에서 이오가 낫지 않습니까?"
사람들이 모두 그렇다고 했다. 이극은 어찌할 수 없어 도안이로 하여금 양요미를 도와 양나라에 가서 이오를 맞아 오게 하였다.
且說公子夷吾在梁,梁伯以女妻之,生一子,名曰圉。夷吾安居於梁,日夜望國中有變,乘機求入。聞獻公已薨,即命呂飴甥襲屈城據之。荀息爲國中多事,亦不暇問。及聞奚齊卓子被殺,諸大夫往迎重耳,呂飴甥以書報夷吾,夷吾與虢射郤芮商議,要來爭國。忽見梁繇靡等來迎,以手加額曰:「天奪國於重耳,以授我也!」 不覺喜形於色。郤芮進曰:「重耳非惡得國者,其不行,必有疑也。君勿輕信。夫在內而外求君者,是皆有大欲焉。方今晉臣用事,里丕爲首,君宜捐厚賂以啖之。雖然,猶有危。夫入虎穴者,必操利器。君欲入國,非借强國之力爲助不可。鄰晉之國,惟秦最强,子盍遣使卑辭以求納於秦乎?秦許我,則國可入矣。」 夷吾用其言,乃許里克以汾陽之田百萬,許丕鄭父以負葵之田七十萬,皆書契而緘之。先使屠岸夷還報,留梁繇靡使達手書於秦,並道晉國諸大夫奉迎之意。
한편 공자 이오는 양(梁)나라에서 있을 때 양나라 군주가 그의 딸을 이오에게 시집보내 아들 하나를 낳았는데 이름을 어(圉)라고 하였다.
이오는 양나라에서 편히 지내면서 밤낮으로 당진에 변고가 일어나기를 바라면서 기회를 틈타 귀국하려고 했다. 헌공이 이미 죽었다는 소문에 즉시 여이생에게 명을 내려 굴읍성을 습격하고 그곳에서 점거하게 하였다. 순식은 나라에 일이 많아 그쪽 일을 물을 틈이 없었다.
해제와 탁자가 피살되었고 대부들이 중이를 맞아하러 갔다는 소식을 듣고 여이생은 이오에게 서찰을 보내 보고했다. 이오는 괵석(虢射), 극예(郤芮)와 상의하여 귀국하여 국권을 쟁취하려고 했다.
그러는 중에 홀연히 양요미등이 맞이하러 온 것을 보고 손바닥을 이마를 치고 말했다.
"하늘이 중이로부터 나라를 빼앗아 나에게 주는구나!"
자신도 모르게 얼굴에 기쁜 빛이 가득했다.
극예가 진언했다. "중이가 나라를 얻는 것을 싫어하는 것이 아닌데도 그가 귀국하지 않는 것은 반드시 의혹이 있기 때문입니다. 주군께서는 경솔하게 믿지 마십시오. 안에 있는 자가 밖에서 군주를 구하는 것은 모두 큰 욕심이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당진의 신하로 일을 주관하는 자는 이극과 비정보가 우두머리이니 주군께서는 그들에게 후한 뇌물을 주겠다고 약속하셔야 합니다. 그렇다 해도 위험이 남아 있습니다. 범의 굴에 들어가려는 자는 반드시 예리한 무기를 들어야 합니다. 주군께서 입국하시려면 강한 나라의 힘을 빌려 도움을 받지 않으면 안됩니다. 당진의 이웃나라로는 섬진이 가장 강한데 주군께서는 어찌 사자를 보내 겸손한 말로 섬진에 도움을 청하지 않습니까? 섬진이 우리에게 도움을 주겠다고 약속한다면 귀국해도 좋을 것입니다."
이오가 그의 말에 따라 이극에게 분양(汾陽)의 땅 백만 전(田)을, 비정보에게는 부규(負葵)의 땅 70만 전(田)을 주겠다고 약속하고 문서를 작성하여 봉했다. 그리고 먼저 도안이가 돌아가 보고하게 하고 양요미는 남았다가 섬진에 서찰을 전달하게 하며 아울러 당진의 모든 대부들이 그를 받들어 군주로 맞이하려고 한다고 말하게 했다.
秦穆公謂蹇叔曰:「晉亂待寡人而平,上帝先示夢矣。寡人聞重耳夷吾皆賢公子也。寡人將擇而納之,未知孰勝。」 蹇叔曰:「重耳在翟,夷吾在梁,地皆密邇。君何不使人往弔,以觀二公子之爲人?」 穆公曰:「諾。」 乃使公子縶先弔重耳,次弔夷吾。公子縶至翟,見公子重耳,以秦君之命稱弔。禮畢,重耳即退。縶使閽者傳語:「公子宜乘時圖入,寡君願以敝賦爲前驅。」 重耳以告趙衰。趙衰曰:「卻內之迎,而借外寵以求入,雖入不光矣!」 重耳乃出見使者曰:「君惠弔亡臣重耳,辱以後命。亡人無寶,仁親爲寶,父死之謂何,而敢有他志?」 遂伏地大哭,稽顙而退,絕無一私語。公子縶見重耳不從,心知其賢,嘆息而去。遂弔夷吾於梁,禮畢,夷吾謂縶曰:「大夫以君命下弔亡人,亦何以教亡人乎?」 縶亦以「乘時圖入」相勸。夷吾稽顙稱謝。入告郤芮曰:「秦人許納我矣!」 郤芮曰:「秦人何私於我?亦將有取於我也!君必大割地以賂之。」夷吾曰:「大割地不損晉乎?」 郤芮曰:「公子不返國,則梁山一匹夫耳,能有晉尺寸之土乎?他人之物,公子何惜焉?」 夷吾復出見公子縶,握其手謂曰:「里克丕鄭皆許我矣,亡人皆有以酬之,且不敢薄也。苟假君之寵,入主社稷,惟是河外五城,所以便君之東遊者,東盡虢地,南及華山,內以解梁爲界。願入之於君,以報君德於萬一。」 出契於袖中,面有德色。公子縶方欲謙讓,夷吾又曰:「亡人另有黃金四十鎰,白玉之珩六雙,願納於公子之左右。乞公子好言於君,亡人不忘公子之賜。」 公子縶乃皆受之。
史臣有詩云:
重耳憂親爲喪親,
夷吾利國喜津津。
但看受弔相懸處,
成敗分明定兩人。
珩 : 노리개 형. 노리개. 갓끈. 패옥. 관의 끈.
섬진의 목공이 건숙에게 물었다.
"당진의 어지러움은 과인의 평정을 기다리고 있는데 상제가 앞서 꿈속에서 계시한 것이오. 과인이 듣기로는 중이와 이오는 모두 어진 공자라고 하였소. 과인이 둘 중에서 택하여 도우려고 하는데 누가 나은지 모르겠소."
건숙이 대답했다.
"중이는 적나라에 있고 이오는 양나라에 있어 모두 매우 가까운 곳에 있습니다. 주군께서는 어찌 사람을 보내 조문하게 하고 두 공자의 사람됨을 알아보려고 하지 않으십니까?"
목공이 대답했다. "알았소."
그리하여 공자 집으로 하여금 먼저 중이에게 조문하고 다음에는 이오에게 조문하도록 했다. 공자 집이 적나라로 가서 공자 중이를 만나 섬진 군주의 명을 받아 조문하러 갔다고 하였다. 예를 마치자 중이는 바로 물러났다.
공자 집은 내시로 하여금 말을 전하게 했다.
"공자께서는 이 기회를 틈타 당진으로 귀국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습니까? 저희 군주께서는 군사를 내어 공자의 귀국길에 앞장서고자 하십니다."
중이가 조최에게 그 말을 고하니 조최가 말했다.
"당진의 국내에서 맞이하려는 것을 물리치셨는데 외부의 도움을 받아 귀국하고자 한다면 들어간다고 하여도 빛이 나지 않을 것입니다."
마침내 중이가 나와 사자를 보고 말했다.
"군주께서 은혜를 베푸시어 망명객인 저에게 조문하게 하셨으니 몸둘 바를 모르겠습니다. 망명객의 신분이라 보화가 없어 어진 사람을 가까이 하는 것을 보화로 삼고 있을 뿐이며 부친이 돌아가셨는데 무엇을 말하겠으며 감히 딴 생각을 품으오리까?"
그리고는 땅에 엎드려 큰 소리로 곡하고는 이마를 조아리며 물러갔는데 사사로운 말은 전혀 없었다. 공자 집은 중이가 자신의 의견을 따르지 않는 것을 보고 그가 현인이라는 것을 알고 탄식하며 떠났다.
마침내 양나라에서 이오를 조문하게 되었는데 예를 마치자 이오가 공자 집에게 물었다.
"대부께서는 군명을 받아 망명객에게 조문을 오셨는데 무엇으로 망명객에게 가르침을 주시겠습니까?"
공자 집이 역시 "이 기회를 틈타서 귀국하시지요."라 하며 권했다.
이오가 이마를 조아리며 감사의 뜻을 표했다.
그리고 안으로 들어가 극예에게 말했다. "섬진에서 우리를 돕겠다고 약속했소."
극예가 말했다.
"섬진에서 어찌 우리를 편들어 주겠습니까? 앞으로 우리에게서 취할 것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주군께서는 반드시 영토를 크게 할양하여 뇌물로 쓰십시오."
이오가 물었다. "영토를 크게 할양해 준다면 당진에 큰 손해가 아닙니까?"
극예가 대답했다.
"공자께서 귀국하시지 못한다면 양나라 땅의 일개 필부가 될 뿐인데 당진의 한치의 땅이라도 가질 수 있겠습니까? 남의 물건이 될 것인데 공자께서는 어찌 아까워하십니까?"
이오가 다시 나와 공자 집을 만나 그의 손을 잡고 말했다.
"당진의 대부 이극과 비정보 모두 제게 귀국하면 당진의 군주로 옹립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망명객의 신분이라 그들에게 모두 보답해야 했는데 어찌 감히 박하게 할 수 있었겠습니까? 섬진 군주께서 은혜를 베푸신 덕택에 당진에 귀국하게 되어 사직을 주관하게 된다면 군주께서 동쪽으로 나가시기 편하도록 동으로는 괵 땅의 전부를, 남으로는 화산(華山)에 이르기까지, 안으로는 해량성(解梁城)을 경계로 하여 황하 밖의 5성을 군주께 바치겠습니다. 군주께 그 땅을 편입시켜 군주께서 베풀어 주신 은덕에 만의 하나라도 보답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소매 속에서 약속을 기재한 문서를 꺼냈는데 얼굴에 고맙게 여기는 빛이 가득했다.
공자 집이 겸양하여 받지 않으려 하자 이오가 말했다.
"망명객이 따로 황금 40일(鎰), 백옥으로 된 노리개 6쌍을 드리겠으니 공자의 좌우에 나눠주시기 바랍니다. 공자께서는 군주께 잘 말씀드려 주시기 바라오며 망명객은 공자의 은혜를 잊지 않겠습니다."
사신(史臣)이 시를 지었다.
중이는 걱정으로 부친상을 치르는데,
이오는 국권을 탐해 기쁨에 넘쳐있구나.
문상을 받는 모습이 현격히 대조가 되는데,
두사람의 성패가 분명히 정해졌구나.
縶返命於穆公,備述兩公子相見之狀。穆公曰:「重耳之賢,過夷吾遠矣!必納重耳。」 公子縶對曰:「君之納晉君也,憂晉乎?抑欲成名於天下乎?」 穆公曰:「晉何與我事?寡人亦欲成名於天下耳。」 公子縶曰:「君如憂晉,則爲之擇賢君。第欲成名於天下,則不如置不賢者。均之有置君之名,而賢者出我上,不賢者出我下,二者孰利?」 穆公曰:「子之言,開我肺腑。」 乃使公孫枝出車三百乘,以納夷吾。秦穆公夫人,乃晉世子申生之娣,是爲穆姬。幼育於獻公次妃賈君之宮,甚有賢德。聞公孫枝將納夷吾於晉,遂爲手書以屬夷吾,言:「公子入爲晉君,必厚視賈君。其群公子因亂出奔,皆無罪。聞葉茂者本榮,必盡納之,亦所以固我藩也。」 夷吾恐失穆姬之意,隨以手書復之,一一如命。時齊桓公聞晉國有亂,欲合諸侯謀之,乃親至高梁之地。又聞秦師已出,周惠王亦遣大夫王子黨率師至晉,乃遣公孫隰朋會周秦之師,同納夷吾。呂飴甥亦自屈城來會。桓公遂回齊。里克丕鄭父請出國舅狐突做主,率群臣備法駕,迎夷吾於晉界。夷吾入絳都即位,是爲惠公。即以本年爲元年。(按晉惠公之元年,實周襄王之二年也。)國人素慕重耳之賢,欲得爲君。及失重耳得夷吾,乃大失望。
공자 집이 섬진에 돌아와 목공에게 복명하면서 두 공자와 상면한 상황을 모두 설명했다.
목공이 말했다.
"중이의 현명함이 이오보다 훨씬 뛰어나구나! 반드시 중이들 도와야 하겠구나."
공자 집이 물었다.
"주군께서는 당진의 군주를 돕는 것이 진나라를 걱정해서 입니까? 아니면 천하에 명성을 떨치고자 하시는 것입니까?"
목공이 대답했다.
"당진의 일이 어찌 우리 일과 같겠는가? 과인은 천하에 명성을 떨치고자 할뿐이다."
공자 집이 말했다.
"주군께서 진나라를 걱정하신다면 현명한 자를 택하셔야 하고, 단지 천하에 명성을 떨치고자 하실 뿐이라면 현명하지 못한 자를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나라의 군주를 세워 명성을 떨치신 것을 따져본다면 현명한 자는 우리의 위에 있게 되고 현명치 못한 자는 우리의 아래에 있게 되는데 어느쪽이 유리하겠습니까?"
목공이 말했다. "그대의 말이 나의 폐부를 찔렀도다."
그리하여 공손지로 하여금 수레 300승을 이끌고 나가 이오를 돕게 하였다. 섬진 목공의 부인은 당진의 세자였던 신생의 여동생이니 바로 목희(穆姬)이다. 어려서 헌공의 차비(次妃)인 가군(賈君)의 궁에서 양육되었는데 매우 현명하고 덕이 있었다. 공손지가 이오를 도와 당진의 군주로 삼는다는 소식을 듣고 서찰을 작성하여 이오에게 주면서 부탁했다.
"공자가 귀국하여 당진의 군주가 되면 반드시 가군(賈君)을 잘 돌봐주시기 바랍니다. 또 당진의 뭇 공자들은 난으로 인하여 국외로 망명했지만 모두 죄가 없습니다. 듣건대 잎이 무성해야 뿌리가 튼튼해진다고 했으니 반드시 모두 귀국시켜 견고한 내 울타리가 되게 해주십시오."
이오는 목희의 마음을 잃을까 두려워 서찰을 작성하여 일일히 명을 받들겠다고 써 보냈다.
그때 제환공은 당진에 난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제후들과 회합하여 대책을 마련하고자 친히 고량(高量)이란 곳으로 갔다. 그곳에서 듣자니 섬진의 군대가 이미 출동하였고, 주혜왕(周惠王)도 대부 왕자 당(黨)을 보내 군사를 이끌고 당진에 이르렀다 하여 공손습붕을 보내 주나라 군과 섬진군을 만나 함께 이오를 돕게 하였다. 여이생도 굴성을 출발하여 가세했다. 제환공은 마침내 제나라로 돌아갔다.
이극과 비정보는 국구 호돌에게 나와서 이오의 옹립절차를 주관해달라고 청해, 법가(法駕)를 준비하여 군신들을 이끌고 당진의 경계로 나가 이오를 맞이했다. 이오는 강도(絳都)로 돌아와 즉위하였는데 바로 혜공(惠公)이다. 즉시 그 해를 원년으로 삼았다. (당진 혜공 원년을 상고하건대 실제로 주양왕(周襄王) 2년이다) 당진 사람들은 본래 중이의 어짐을 그리워하여 그가 군주가 되기를 바랬었다. 그러나 중이가 아니고 이오가 군주가 되자 크게 실망했다.
惠公旣即位,遂立子圉爲世子。以狐突虢射爲上大夫,呂飴甥郤芮俱爲中大夫,屠岸夷爲下大夫。其餘在國諸臣,一從其舊。使梁繇靡從王子黨如周,韓簡從隰朋如齊,各拜謝納國之恩。惟公孫枝以索取河西五城之地,尙留晉國。惠公有不舍之意,乃集群臣議之。虢射目視呂飴甥,飴甥進曰:「君所以賂秦者,爲未入,則國非君之國也。今旣入矣,國乃君之國矣,雖不畀秦,秦其奈君何?」 里克曰:「君始得國,而失信於强鄰,不可。不如與之。」 郤芮曰:「去五城是去半晉矣。秦雖極兵力,必不能取五城於我。且先君百戰經營,始有此地,不可棄也。」 里克曰:「旣知先君之地,何以許之?許而不與,不怒秦乎?且先君立國於曲沃,地不過蕞爾。惟自疆於政,故能兼並小國,以成其大。君能修政而善鄰,何患無五城哉?」 郤芮大喝曰:「里克之言,非爲秦也,爲取汾陽之田百萬,恐君不與,故以秦爲例耳!」 丕鄭父以臂推里克,克遂不敢復言。惠公曰:「不與則失信,與之則自弱,畀一二城可乎?」 呂飴甥曰:「畀一二城,未爲全信也,而適以挑秦之爭。不如辭之。」 惠公乃命呂飴甥作書辭秦。
書略曰:
始夷吾以河西五城許君。今幸入守社稷,夷吾念君之賜,欲即踐言。大臣皆曰:「地者,先君之地。君出亡在外,何得擅許他人?」 寡人爭之弗能得。惟君少緩其期,寡人不敢忘也。
蕞 : 표할 체(최)/더부룩할 절/작은 모양 촬. (띠묶어) 表하다. 자그마하다. 작은 모양. 모이는 모양. 땅이름.
혜공은 즉위하자 아들 어(圉)를 세자로 세웠다. 또 호돌(狐突)과 괵석(虢射)을 상대부로, 여이생과 극예를 중대부로, 도안이를 하대부로 삼았다. 그 나머지 당진 내의 모든 신하들은 종전대로 두었다.
양요미는 왕자 당과 함께 주나라로 가고 한간(韓簡)은 습붕을 따라 제나라로 가서 각각 이오가 군주로 등극하도록 도움을 준 은혜에 고마움을 표하게 했다. 오직 섬진의 공손지만은 섬진에 넘겨주기로 약속한 하서(下西)의 5성을 받아가기 위해 아직 당진에 머무르고 있었다.
혜공은 5성을 넘겨줄 뜻이 없어 신하들을 모아 상의했다.
괵석이 여이생을 바라보자 여이생이 진언했다.
"주군께서 섬진에 뇌물로 주기로 한 것은 귀국하지 않았을 때의 일인데 그때는 나라가 주군의 나라가 아니었을 때였습니다. 이제는 귀국하셨고 나라가 주군의 나라가 되었으니 섬진에 넘겨주지 않는다 해도 섬진에서 어찌하겠습니까?"
이극이 말했다.
"주군께서 비로소 나라를 얻으셨는데 강국인 이웃 나라에 믿음을 잃어서는 안됩니다.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극예가 말했다.
"5성을 버리는 것은 당진의 반을 버리는 것입니다. 진나라의 군사력이 정예롭기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5성을 반드시 취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또 선군께서 백 번을 싸운 끝에 비로소 소유한 땅이라 포기할 수 없습니다."
이극이 말했다.
"선군이 힘들게 얻은 땅임을 알았으면서도 어찌 약속하셨습니까? 주겠다고 약속하고도 주지 않는다면 섬진을 노하게 하지 않겠습니까? 또 선군께서는 곡옥에서 나라를 세우셨을 때, 땅은 조금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오직 스스로 정치를 굳세게 하셨기 때문에 주변의 작은 나라들을 병합하여 대국을 이루실 수 있었던 것입니다. 주군께서 정사를 잘 다스리실 수 있고 이웃나라와 좋은 관계를 유지한다면 5성이 없다 해도 무슨 걱정이 있겠습니까?"
극예가 큰 소리로 꾸짖었다.
"이극의 말은 진나라를 위한 것이 아니라 분양의 땅 백만 전을 얻기 위한 것이며 주군께서 주지 않을까 염려하고 있기 때문에 섬진을 예로 든 것 뿐입니다."
비정보가 팔로 이극을 밀쳐 이극은 감히 부언할 수 없었다.
혜공이 말했다.
"주지 않으면 믿음을 잃고 준다면 스스로 약해지게 되는 것이니 한 두 개의 성을 주는 것은 괜찮지 않소?"
여이생이 말했다.
"한 두개의 성을 준다해도 온전히 신의를 지키는 것이 되지 못하며 진나라를 자극해 분쟁을 일으킬 것입니다. 거잘하는 것이 낫습니다."
혜공은 여이생에게 명을 내려 진나라에 5성을 넘겨주지 않겠다는 문서를 작성하게 했다.
문서의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애초에 저 이오는 하서의 5성을 군주께 할양하기로 약속했었습니다. 지금 다행히도 귀국하여 사직을 보전할 수 있게 되었는데 저 이오는 군주의 은덕 덕분이라 생각하고 바로 약속을 실행하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대신들이 모두 '영토는 선군께서 개척하신 땅입니다. 주군께서 외국에 망명중이라 해도 어찌 함부로 남에게 주겠다고 약속하실 수 있습니까?' 라 하며 응하지 않습니다. 과인이 대신들과 논쟁을 벌였지만 어쩔 수 없었습니다. 오직 군주께서 조금만 기간을 늦춰주신다면 과인은 감히 그 은덕을 잊지 못할 것입니다."
惠公問:「誰人能爲寡人謝秦者?」 丕鄭父願往,惠公從之。原來惠公求入國時,亦曾許丕鄭父負葵之田七十萬,惠公旣不與秦城,安肯與里丕二人之田?鄭父口雖不言,心中怨恨,特地討此一差,欲訴於秦耳。鄭父隨公孫枝至於秦國,見了穆公,呈上國書。穆公覽畢,拍案大怒曰:「寡人固知夷吾不堪爲君,今果被此賊所欺!」 欲斬丕鄭父。公孫枝奏曰:「此非鄭父之罪也,望君恕之!」 穆公餘怒未盡,問曰:「誰使夷吾負寡人者?寡人願得而手刃之!」 丕鄭父曰:「君請屛左右,臣有所言。」 穆公色稍和,命左右退於簾下,揖鄭父進而問之。鄭父對曰:「晉之諸大夫,無不感君之恩,願歸地者。惟呂飴甥郤芮二人從中阻撓。君若重幣聘問,而以好言召此二人,二人至,則殺之。君納重耳,臣與里克逐夷吾,爲君內應,請得世世事君。何如?」 穆公曰:「此計妙哉!固寡人之本心也!」 於是遣大夫冷至隨丕鄭父行騁於晉,欲誘呂飴甥郤芮而殺之。
혜공이 물었다. "누가 나를 위해 섬진에 사신으로 가서 5성을 넘겨주지 않겠다고 하겠는가?"
비정보가 가기를 원하자 혜공이 허락했다. 원래 혜공이 귀국을 서두르고 있을 때 일찍이 비정보에게 부규(負葵)의 땅 70만 전을 주기로 약속했었는데 혜공이 이미 섬진에게 남겨주겠다는 5성조차 넘겨주지 않겠다는 마당에 어찌 이극과 비정보에게 땅을 주려고 하겠는가? 비정보는 입으로 말을 하지는 않았으나 마음속으로 원한을 품고 땅은 조금도 바랄 수 없음을 진나라 군주에게 호소하려고 했다.
비정보는 공손지를 따라 섬진에 도착하여 목공을 알현하고 국서를 바쳤다. 목공은 읽기를 마치자 탁자를 치면서 크게 노하여 말했다.
"과인은 본래 이오가 군주깜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지만 지금 보니 과연 이렇게 사람이나 속이는 적당이로구나!"
그리고 비정보를 참하려 하자 공손지가 말리며 아뢰었다.
"이 일은 비정보의 죄가 아닙니다. 주군께서는 그를 용서하소서."
목공은 노기가 가시지 않은채 물었다. "누가 이오로 하여금 과인의 은덕을 배반하게 하였는가? 과인이 그를 잡아다 참하리라!"
비정보가 말했다. "좌우를 물리쳐 주십시오.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목공이 약간 안색이 풀리며 좌우를 주렴밖으로 물리고 읍하고 있는 비정보에게 나아가 물었다.
비정보가 대답했다.
"당진의 대부들은 군주의 은혜에 감동하지 않은 자가 없으며 약속한 땅을 돌려보내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오로지 여이생과 극예 두 사람이 중간에서 막고 있습니다. 군주께서 후한 예물을 써서 사신을 보내시어 두 사람을 좋은 말로 초빙하신 다음 두 사람이 도착하면 그들을 죽이십시오. 그 다음에 공자 중이를 도우신다면 신은 이극과 더불어 이오를 쫒아내고 군주를 위하여 내응할 것이며 일이 성사돤 다음에는 대대로 군주를 섬기겠습니다. 어떻습니까?"
목공이 대답했다. "그 계책이 훌륭하도다! 원래 과인의 본심이었노라!"
이리하여 목공은 대부 냉지(冷至)를 사신으로 하여 비정보를 따라 당진에 답례차 방문토록 하고 여이생과 극예를 유인해 와서 죽이려고 하였다.
不知呂郤性命何如,且看下回分解。
여이생과 극예의 목숨은 어찌될 것인지 다음 회를 보면 알게 될 것이다.
'中國歷史와文學 > 列國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三十回. 秦晉大戰龍門山, 穆姬登臺要大赦. (0) | 2021.03.22 |
---|---|
第二九回. 晉惠公大誅群臣, 管夷吾病榻論相. (0) | 2021.03.22 |
第二七回. 驪姬巧計殺申生, 獻公臨終囑荀息. (0) | 2021.03.22 |
第二六回. 歌扊扅百里認妻, 獲陳寶穆公證夢. (0) | 2021.03.22 |
第二五回. 智荀息假途滅虢, 窮百里飼牛拜相. (0) | 2021.03.22 |